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거제도 노자산의 관속식물상

        정명희 ( Jung¸ Myung-hee ),문현식 ( Moon¸ Hyun-shik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거제도 노자산의 소중한 식물자원과 자생지에 대한 합리적인 보호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조사는 2019년 7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총 32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노자산의 관속식물상은 126과 390속 636종 5아종 67변종 14품종 등 총 71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특산식물로는 백양꽃, 변산바람꽃, 두메대극, 백운산원추리 등 29분류군이 관찰되었고, 특산율은 3.8%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로는 멸종위기종에 왕벚나무(식재), 애기송이풀 등 2분류군, 위기종에 백운기름나물, 백양꽃, 대흥란, 갈매기난초 등 4분류군, 취약종에 느리미고사리, 백작약, 애기등, 두메대극 등 12분류군, 약관심종은 왜구실사리, 변산바람꽃, 수정난풀 등 6분류군으로 합계 24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희귀식물 중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생물 2급인 대흥란과 애기송이풀의 자생지가 확인되었는데, 대흥란과 애기송이풀의 개체수는 각각 약 1,000개체, 500개체였다. 특히 대흥란은 이번 연구를 통해 노자산이 우리나라 최대 자생지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귀화식물은 43분류군이 관찰되었고,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도 각각 6.0%, 13.4%로 조금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귀화도가 4등급이면서 귀화시기가 3기인 식물로 유럽점나도나물, 미국실새삼, 큰비짜루국화, 미국가막사리, 큰김의털, 울산도깨비바늘, 서양금혼초, 만수국아재비 등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로 지정되어 있는 서양금혼초와 돼지풀은 자생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모니터링을 통한 주기적인 제거와 생태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요구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으로 애기지네고사리, 애기등, 두메대극, 단풍박쥐나무, 애기송이풀, 갯취, 대흥란 등 8분류군, Ⅳ등급은 산꽃고사리삼, 남도현호색, 섬딸기, 비진도콩 등 14분류군, Ⅲ등급은 처녀이끼, 육박나무, 생달나무 등 37분류군, Ⅱ등급은 왜구실사리, 각시고사리, 백작약 등 22분류군, 1등급은 실고사리, 발풀고사리, 풀고사리 등 49분류군으로 총 130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분포 변화가 쉽게 나타나는 식물구계학적 가치가 있는 Ⅲ~Ⅴ등급은 모두 59분류군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노자산의 지리적, 기후적 특성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반도 기후변화 적응 대상 식물은 특산식물로 지리고들빼기, 갯취, 두메대극, 변산바람꽃 등 15분류군, 남방계 식물로 좀딱취, 나도밤나무, 남오미자 등 37분류군, 북방계 식물로 참쑥과 왜미나리아재비 2분류군, 합계 5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노자산은 12 ㎢인 조사면적에 비해 관속식물이 719분류군으로 식물다양성이 아주 풍부한 곳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산식물 29분류군, 희귀식물 2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130분류군,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 54분류군 등 생태적으로 중요한 식물들도 노자산에 자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생물 2급인 대흥란과 애기송이풀은 전국 최대의 자생지를 확인하였다. 노자산의 이러한 생태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노자산의 생육환경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특산·희귀식물 등의 자생지를 보호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reasonable protection measures for the precious plant resources and native habitat of Nojasan(Mt.) in Geoje-do. Field surveys of 32 times were conducted from July 2019 to March 2021. The vascular flora of Nojasan was identified as a total of 719 taxa, including 126 families, 390 genera, 636 species, 5 subspecies, 67 variants, and 14 varieties.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29 taxa; Lycoris sanguinea var. koreana, Eranthis byunsanensis, Euphorbia fauriei, Hemerocallis hakuunensis and so forth.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24 taxa. There were 2 taxa as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such as Pedicularis ishiidoyana, 4 taxa as endangered species such as Cymbidium macrorrhizum, 12 taxa as vulnerable species such as Calanthe discolor, and 6 taxa as near threatened species such as Monotropa uniflor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3 taxa; Cerastium glomeratum, Cuscuta pentagona and so forth, and invasive alien plant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and Hypochaeris radicata.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ed index was 13.4% and 6.0%, respectively. As a plant with a naturalization degree of 4 and a naturalization period of 3, 8 taxa were identified, including Aster subulatus var. sandwicensis, Tagetes minuta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30 taxa; 8 taxa such as Dryopteris decipiens var. diplazioides and Cymbidium macrorrhizum of grade Ⅴ, 14 taxa such as Sceptridium japonicum and Dumasia truncata of grade Ⅳ, 37 taxa such as Paeonia japonica and Selaginella helvetica of grade Ⅲ, 22 taxa such as Hymenophyllum wrightii and Actinodaphne lancifolia of grade Ⅱ, and 49 taxa such as Lygodium japonicum and Gleichenia jaoinica of grade Ⅰ.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54 taxa; 15 taxa of endemic plants, 37 taxa of southern plants and 2 taxa of northern plants. It was confirmed that Nojasan is a place with very rich plant diversity with 719 taxa of vascular plants compared to the surveyed area of 12 ㎢. And, many ecologically important plants such as 29 taxa of endemic plants, 24 taxa of rare plants, 130 taxa of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and 54 taxa of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were also found growing in Nojasan. Considering the ecological importance of Nojasan, a fundamental alternative should be prepared to minimize changes in the growth environment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nd to protect the habitats of endemic and rare plants.

      • KCI등재

        한려해상국립공원 특정도서(特定島嶼)의 식물상

        김종섭,안현철,박삼봉,하현우,김진중,김봉규,장경환,추갑철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4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8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growing at fivespecific islands located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uch as Sochi-do, Jang-do, Sejon-do,Sol-seom, and Hak-seom. The vascular floras were surveyed a total of 50 times including thepreliminary investigation from April 2011 to October 2012. The flora of Jang-do wasinvestigated as a total of 124 taxa comprising of 52 families, 102 genus, 111 species, 11varieties, and 2 forma including 2 taxa of the endemic plants, 10 taxa of the naturalized plants,and 1 taxon of the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At Hak-seom investigation, a totalof 84 taxa were investigated as 44 families, 73 genus, 76 species, and 8 varieties. The endemicplants and naturalized plants at Hak-seom were 3 taxa and 5 taxa, respectively. The flora ofSochi-do was classified as a total of 59 taxa consisting of 38 families, 51 genus, 51 species,and 8 varieties along with 3 taxa of the naturalized plants and 3 taxa of the korean rare andendangered plant species. The Sol-seom was consisted of a total of 28 taxa comprising of 28families, 28 genus, 24 species, and 4 varieties including 1 taxon of the naturalized plants and 2taxa of the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At Sejon-do inspection, a total of 20 taxacomprising of 15 families, 19 genus, 16 species, and 4 varieties were investigated. 1 taxon of the naturalized plants and 1 taxon of the korean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wereinvestigated at Sejon-do.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at five specific islands located inHallyeohaesang National Park were a total of 69 taxa such as 46 species in class I, 1 speciesin class II, 16 species in class III, 2 species in class Ⅳ, and 4 species in class Ⅴ.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지역에 위치한 5개의 특정도서지역(소치도, 장도, 세존도, 솔섬, 학섬)의 관속식물상을 2011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총 50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장도에서 관속식물의 출현은 특산식물 1분류군, 귀화식물 10분류군, 희귀식물 1종을 포함하여 총 52과 102속 11종11변종 2품종 124분류군 이 조사되었으며, 학섬에서는 44과 73속 76종 8변종 84분류군이 출현하였고특산식물 3분류군 귀화식물 5분류군을 포함하고 있었다. 소치도에서의 관속식물은 38과 51속 51종 8변종 59분류군이 출현하였고, 귀화식물 3분류군, 희귀식물 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솔섬에서는 귀화식물 1종, 희귀식물 2분류군을 포함하여 28과 28속 24종 4변종 28분류군, 세존도에서는 귀화식물 1종, 희귀식물 1종을 포함하여 15과 19속 16종 4변종 2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등급 46종, II등급 1종, III등급 16종, Ⅳ등급 2종, Ⅴ등급 4종이 출현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의 식물상

        김혜진 ( Hye Jin Kim ),도은수 ( Eun Soo Doh ),장준복 ( Jun Pok Chang ),최명석 ( Myung Suk Choi ),양재경 ( Jae Kyung Yang ),조현제 ( Hyun Je Cho ),배관호 ( Kwan Ho Bae ),신학섭 ( Hak Sub Shin ),박희권 ( Hee Kwon Park ),이서희 ( Seo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의 소산 식물상을 밝히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6월까지 총 4차례의 현지조사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3문 2강 32목 64과 142속 181종 2아종 30변종 1품종으로 총 214분류군(taxa)으로 파악되었다. 특정식물종 중 I등급 식물이 15과 16속 15종 2변종 17분류군, Ⅱ등급 식물이 13과 15속 14종 2변종 16분류군, Ⅲ등급 식물이 16과 19속 18종 2변종 20분류군, Ⅳ등급 식물이 20과 23속 19종 4변종 23분류군, Ⅴ등급 식물이 2과 2속 2종 2분류군으로 총 78분류군이었다. 희귀식물은 9과 11속 10종 2변종 12분류군이었으며, 특산식물은 17과 19속 18종 3변종의 2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지역 내 멸종위기식물은 출현하지 않았고,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식물이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생태계가 안정되고, 생태적 위해성의 우려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산마늘 개체군 자생지에는 개다래, 층층나무, 만병초, 마가목 등 계곡성 및 고산성식물종이 주를 이루는 생육환경을 나타내고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habitats distributed with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populations in the South Korea. The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4 times from March 2009 to June 2010. The flora of studied area was listed as 214 taxa; 64 families, 142 genus, 181 species, 2 subspecies, 30 varieties, 1 forma. According to the specific plant species by classes, class Ⅰ has 17 taxa; 15 families, 16 genus, 15 species, 2 varieties. Class Ⅱ has 16 taxa; 13 families, 16 genus, 15 species, 2 varieties. Class Ⅲ has 20 taxa; 16 families, 19 genus, 18 species, 2 varieties. Class Ⅲ has 20 taxa; 16 families, 19 genus, 18 species, 2 varieties. Class Ⅳ has 23 taxa; 20 families, 23 genus, 19 species, 4 varieties. Class Ⅴ has 2 taxa; 2 families, 2 genus, 2 species. Rare plant was 12 taxa; 9 families, 11 genus, 10 species, 2 varieties. Endemic plant was 21 taxa; 17 families, 19 genus, 18 species, 3 varieties. Endangered plant was not present in study area. It was considered that the ecosystem was probably stabilized for nothing of naturalized species and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there.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environments in the habitats with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we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valley species and subalpine species such as Actinidia polygama, Cornus controversa, Rhododendron brachycarpum and Sorbus commixta.

      • KCI등재

        강원도 홍천군 지역의 관속식물상 -계방산, 공작산, 대룡산, 매화산, 응봉산, 침석봉을 중심으로-

        김중현 ( Jung Hyun Kim ),김용현 ( Yong Hyun Kim ),윤창영 ( Chang Young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강원도 홍천군 지역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08년 4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총 13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43목 118과 443속 903종 6아종 125변종 18품종 3교잡종으로 총 1,05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37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35분류군이었고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에는 6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환경부 지정 법정 보호식물은 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224분류군으로 집계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4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4.3%, 도시화지수는 16.1%로 나타났다. 조사된 1,055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이 359분류군(34%), 약용 293분류군(27.7%), 목초용 166분류군(15.7%), 관상용 143분류군(13.5%), 목재용 41분류군(3.9%), 섬유용 25분류군(2.3%) 그리고 공업용이 3분류군(0.2%)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scular flora of the Hongcheon-gun area in Gangwon Province. The vascular plants were collected 13 times(from April 2008 to May 2009), and 1,055 taxa in total were identified, including 43 orders, 118 families, 443 genera, 903 species, 6 subspecies, 125 varieties, 18 form and 3 hybrids. Among them, 37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 Office of Forestry-designated rare & endangered plants were identified as 35 taxa. Based on the list of plants which have been approved for overseas delivery, 61 taxa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designated plants,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law, were identified as four taxa and 224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5 taxa,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 index were found to be 4.3%, and 16.1% respectively. 1,055 taxa listed consistsof 359 taxa(34%) of edible plants, 293 taxa(27.7%) of medicinal plants, 166 taxa(15.7%) of pasture plants, 143 taxa(13.5%) of ornamental plants, 41 taxa(3.9%) of timber plants, 25 taxa(2.3%) of fiber plants and 3 taxa(0.2%) of industrial plants.

      • KCI등재

        강원도 설악산의 식물상(1)

        홍문표 ( Moon Pyo Hong ),이호준 ( Ho Joon Lee ),전영문 ( Young Moon Chun ),홍보람 ( Bo Ram H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4

        설악산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1984년부터 2010년까지 조사한 결과, 총 109과 463속 814종 1아종 122변종 57품종 총 994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994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53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60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Ⅴ등급 42분류군, Ⅳ등급 27분류군, Ⅲ등급 58분류군, Ⅱ등급 57분류군, Ⅰ등급 64분류군 등 총 248분류군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귀화식물은 60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국화과가 전체의 31.7%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으며, 귀화율은 6.0%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반지중식물(27.6%), 지중식물(25.0%), 지상식물(21.8%) 등이 높게 나타났다. The vascular flora of Mt. Seorak had been researched from 1984 to 2010, and this research revealed 994 taxa in total, including 814 species, 1 subspecies, 122 varieties and 57 forms in 463 genera, 109 families. Among them were 53 taxa of Korean endemic species, 60 taxa of rare and endangered species, and 248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species in view of floristic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hich includes 42 taxa of grade V, 27 taxa of grade IV, 58 taxa of grade III, 57 taxa of grade II, and 64 taxa of grade I. With regard to the naturalized plants, 60 taxa were recognized, and Compositae taxa was distributed in highest ratio, accounting for 31.7%, and naturalization ratio was found to be 6.0%. Furthermore, hemicryptophytes (27.6%), geophytes (25.0%) and phanerophytes (21.8%) showed high proportional ratio in life form spectrum.

      • KCI등재

        대구광역시 비슬산 일대의 식물상

        김중현 ( Jung Hyun Kim ),김용현 ( Yong Hyun Kim ),윤창영 ( Chang Young Yoon ),김주환 ( Joo Hwa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5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비슬산(1,083m)의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6년 5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10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89과 302속 397종 1아종 59변종 11품종의 총 4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자주꿩의다리, 매미꽃, 청괴불나무 등 17분류군, 환경부지정 법적 보호식물은 세뿔투구꽃의 1분류군, 산림청지정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태백제비꽃, 나도개감채, 금강애기나리 등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34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7.3%, 도시화지수는 12.2%로 나타났다. 본 조사에서 새롭게 확인된 식물은 160여 분류군이며, 이중에 귀화식물은 미국자리공, 금낭화, 다닥냉이, 잔개자리, 애기땅빈대, 돼지풀, 코스모스, 주홍서나물, 털별꽃아재비, 원추천인국, 방가지똥, 만수국아재비, 서양민들레, 나도바랭이, 큰김의털, 호밀풀, 자주닭개비 등 17분류군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본 지역은 세뿔투구꽃을 포함한 보존가치가 많은 식물자원이 분포하고 있으나 무분별한 개발 행위와 많은 탐방객의 출입 등으로 자연파괴가 가속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탐방객수 제한이나 자연휴식년제와 같은 관리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Biseul. The vascular plants collected 10 times(from May 2006 to October 2007) were identified as 468 taxa in total, including 89 families, 302 genera, 397 species, 1 subspecies, 59 varieties and 11 forms. Korean endemic plants of this area were identified as 17 taxa including Thalictrum uchiyamai, Coreanomecon hylomeconoides, Lonicera subsessilis, etc.; the Ministry of Environment-designated plants,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the wildlife protection law, were identified as one taxon including Aconitum austrokoreense; the Office of Forestry-designated rare & endangered plants were identified as 6 taxa including Viola albida, Lloydia triflora, Streptopus ovalis, etc.;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34 taxa,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 index were found to be 7.3%, and 12.2% respectively. This study newly identified about 160 taxa of the plants, among which 17 taxa were newly added to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such as Phytolacca americana, Dicentra spectabilis, Lepidium apetalum, Medicago lupulina, Euphorbia supina, Ambrosia artemisiifolia, Cosmos bipinnatus, Crassocephalum crepidioides, Galinsoga ciliata, Rudbeckia bicolor, Sonchus oleraceus, Tagetes minuta, Taraxacum officinale, Chloris virgata, Festuca arundinacea, Lolium perenne, Tradescantia reflexa, etc. There existed many kinds of plants resources having conservational value like Aconitum austrokoreense etc. in this area, but there remains a fear of nature destruction`s acceleration due to indiscriminate human development and access of a lot of visitors, so it is judged that there should be a management plan, such as a limit on the number of visitors or rest-year-system for restoration of nature.

      • KCI등재

        도솔산(강원, 양구)일대의 관속식물상

        김경아,한준수,천경식,박용호,강종수,유기억 한국식물분류학회 2014 식물 분류학회지 Vol.44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flora of Mt. Dosol(Yanggu-gun, Gangwon-do).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10 taxa, including 89 families, 281 genera, 438 species, 3 subspecies, 61 varieties and 8 forms. Among the investigated 510 taxa, 21 Korean endemic, 24 rare plants, 1 endangered plant and 122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lso includ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7 taxa. The percent of naturalized plants species and urbanization index were estimated as 5.3% and 8.4%, respectively. Usefulness of plants of 510 taxa listed consists of 201 taxa(39.4%) of edible plants, 186 taxa(36.5%) pasture plants, 144 taxa(28.2%) of medicinal plants, 56 taxa(11.0%) of ornamental plants, 16 taxa(3.1%) of timber plants, 8 taxa(1.6%) of miscellaneous plants and 4 taxa(0.8%) of fiber plants. 강원도 양구군에 위치한 도솔산 일대의 식물상을 2012년 4월부터 2013년 9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표본에 의해 확인된 관속식물은 89과 281속 438종 3아종 61변종 8품종으로 총 510분류군이었다. 조사된 식물 중 한국특산식물은 21분류군, 희귀식물은 24분류군, 그리고 멸종위기야생식물은 2등급에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 4분류군, IV등급 16분류군, III등급 30분류군, II등급 37분류군, 그리고 I등급 35분류군으로 총 12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2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5.3%, 도시화지수는 8.4%로 산출되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201분류군(39.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목초용 186분류군(36.5%), 약용 144분류군(28.2%), 관상용 56분류군(11.0%), 목재용 16분류군(3.1%), 다용도 8분류군(1.6%), 그리고 섬유용 4분류군(0.8%) 등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천황산 지역(경남)의 관속식물상

        고성철,최두섭,손동찬,박범균,김태훈 한국식물분류학회 2013 식물 분류학회지 Vol.43 No.2

        경상남도 밀양시의 천황산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총 1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천황산 지역의 관속식물은 90과 252속 387종 3아종 43변종 9품종의 총 44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중 14분류군은 한국특산식물이었고, 11분류군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종은 5등급 2분류군, 4등급 5분류군, 3등급 15분류군, 2등급 16분류군 그리고 1등급 21분류군 등 59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21분류군이었다. 또한, 조사된 식물들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163분류군, 섬유용식물 6분류군, 약용식물 125분류군, 관상용식물 76분류군, 목초용식물 163분류군, 공업용식물 4분류군, 염료용식물 9분류군, 목재용식물 21분류군 등이 자원식물로 나타났다.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Mt. Cheonhwang, located at Miryang-si, Gyeongsangnam-do Province, was surveyed 16 times from March, 2009 to September, 2011. The result of this survey revealed 442 taxa in total, comprising 90 families, 252 genera, 387 species, 3 subspecies, 43 varieties, and 9 forms. Among the flora of this area, 14 taxa were plants endemic to Korea and 11 taxa were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Kore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59 taxa: 2 taxa of grade V, 5 taxa of grade IV, 15 taxa of grade III, 16 taxa of grade II and 21 taxa of grade I. Alien plants in Korea numbered 21 taxa. In addition, 442 taxa were categorized by usage into 8 groups, as follows: 163 edible, 6 fiber, 125 medical, 76 ornamental, 163 pasturing, 4 industrial, 9 dyeing and 21 timber plants.

      • KCI등재

        청태산 지역(강원도 평창군)의 식물상

        지성진,양종철,정수영,장진,장정원,박명순,정규영 한국식물분류학회 2011 식물 분류학회지 Vol.41 No.4

        The vascular flora in the Mt. Cheongtae area, located Pyeongchang-gun in Gangwon-do, were surveyed 14 times from April of 2008 to October of 2011. The result of this survey revealed 663 taxa in total, comprising 89 families, 342 genera, 577 species, 6 subspecies, 73 varieties and 7 forms. In the flora of this area, 19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and 24 taxa were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Kore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136 taxa comprising 4 taxa of grade V, 16 taxa of grade IV, 31 taxa of grade III, 41 taxa of grade II and 44 taxa of grade I. Naturalized plants in Korea numbered37 taxa. In addition, 485 taxa were categorized by usage into 8 groups, as follows: 240 edible, 8 fiber, 177 medical, 60 ornamental,245 pasturing, 2 industrial, 12 dyeing and 16 timer plants. 강원도 평창군의 청태산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 조사를 2008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청태산 지역의 관속식물은 89과 342속 577종 6아종 73변종 7품종 총 66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19분류군이 한반도 특산식물이었고, 24분류군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5등급 4분류군, 4등급 16분류군, 3등급 31분류군, 2등급 41분류군 그리고 1등급 44분류군 등 136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37분류군이었으며, 또한 조사된 식물들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240분류군, 섬유용식물 8분류군, 약용식물 177분류군, 관상용식물 60분류군, 목초용식물 245분류군, 공업용식물 2분류군, 염료용식물 12분류군, 용재용식물 16분류군 등 485분류군이 자원식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무제치늪 식물상의 다양성

        박성준,박선주,안보람,장순영 한국식물분류학회 2011 식물 분류학회지 Vol.41 No.4

        We investigated the area around four moors from May 2009 to June 2010 for plant diversity in Moojechineup, officially designated as the Ramsar wetland. The vascular plants of Moojechineup at Mt. Jeongjok were recorded as total 149 taxa, 55 families, 105 genera, 128 species, 1 subspecies, 16 varieties, and 4 forms. Rare plants were observed 7 taxa (Eriophorum gracile Koch, Drosera rotundifolia L.,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Kobresia bellardii (All.) Degl, Utricularia bifida L., Utricularia racemosa Wall., Utricularia yakusimensis Masam.). Korean endemic plants were 1 taxon, floristics special plants were 19 taxa, and naturalized plants were 3 taxa. Phytogeographical and evolutionarily, Eriophorum gracile is an important species; henc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serve it. Moojechineup is similar to the Shinbulsan wetland in terms of wetland plants (hydrophytes). Moojechineup’s flora changes are in process slowly compared to earlier work; thus, continuing interest and appropriate measures should be encouraged. 람사르 습지 지역인 무제치늪의 식물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해 4개의 늪을 중심으로 2009년 5월부터 2010년 6월에 걸쳐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무제치늪 일대의 관속식물은 55과 105속 128종 1아종 16변종 4품종 등 총 149분류군으로 분류되었다. 희귀식물은 자주땅귀개, 작은황새풀, 끈끈이주걱, 땅귀개, 이삭귀개, 꽃창포, 좀바늘사초 등 7분류군이 관찰되었고, 한국특산식물 1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19분류군, 귀화식물 3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특히, 작은황새풀은 식물지리학적, 진화적으로 중요한 식물로서, 보전하기 위해 심층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무제치늪과 가장 유사한 습생(수생)식물을 가지고 있는 산지습지는 신불산고산습지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와 비교결과, 무제치늪 식물상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어서, 지속적인 관심과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