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업훈련 환경에 따른 훈련기관의 역할 변화와 시사점

        김수원 직업과고용서비스연구학회 2019 직업과 고용서비스 연구 Vol.14 No.1

        직업훈련은 산업구조와 국가정책 등 시대적 상황에 따라 역할과 기능이 변화하여 왔고 인력양성을 통한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해왔다. 그러나 시대적 상황에 따 라 훈련 직종과 그 내용, 양성 인력의 양과 수준 등이 산업사회와 괴리되는 등 직 업훈련이 제대로 역할과 기능을 하지 못한 경우도 많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1967년 1월 직업훈련법 제정된 이후 직업훈련 환경을 둘러싼 주요 현황과 특징의 변화 그리고 이에 따른 훈련기관들의 역할(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직업훈련 전달체계에 대한 함의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직업훈련법 제정 당시인 1967년부터 1980년대까지 기능인력을 양성하기 위 해 정부 주도의 직업훈련 실시 의지가 확고한 가운데, 공공훈련기관을 중심으로 양 적인 인력 양성에 치중하였다. 그러나 양적인 인력 양성에 치중한 나머지 직종에 따라서는 질적으로 다소 부족한 상태에서 직업훈련이 실시되었다. 둘째, 1997년 근로자직업훈련촉진법 제정 이후 공공훈련기관이 아닌 민간훈련기 관을 중심으로 민간 주도의 직업능력개발 기반이 조성되었고, 민간훈련기관의 기능 과 역할은 직업훈련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되었다. 또한, 다수의 민간훈련기관이 정 부 지원 직업훈련에 대거 참여함에 따라 훈련 기관 및 과정 평가를 통해 차등적으 로 재정을 지원하는 훈련기관 간 경쟁체제가 형성되었다. 셋째, 2004년 근로자직업능력개발법이 제정된 이후 지역·산업인자위 설립·운영, NCS 기반 교육훈련 등을 통해 산업수요 중심의 훈련체제로 변환하고 있다. 공공훈 련기관들은 정부의 행·재정 지원으로 이에 부응하는 신속한 변화가 비교적 용이할 수 있으나 민간훈련기관들은 대부분 그러하지 못한 형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 공훈련과 민간훈련의 기능 및 역할, 민간훈련시장의 재구조, 정부의 재정 지원방식 등에 대해 재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직업훈련기관의 인증제도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역량, 혁신행동의 매개효과

        정남인(Jung, Nam-In),황복주(Hwang, Bok-Ju) 한국경영교육학회 2020 경영교육연구 Vol.35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가 훈련기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직업훈련기관 경영성과를 종속변수로 하여 흡수역량과 혁신행동의 매개역할을 분석함으로써 직업훈련기관에 실질적인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전략적 대안과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직업훈련기관 운영자 및 실무자 1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설검정 및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는 흡수역량과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는 훈련기관 경영성과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흡수역량은 경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혁신행동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었다. 셋째, 혁신행동은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흡수역량은 혁신행동을 통해 경영성과에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 직업훈련기관 인증제도와 경영성과와의 관련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직업훈련기관의 인증제도 시행이 훈련기관의 경영성과에 직접적으로 성과를 내지 못함을 규명하였다. 직업훈련기관의 인증제도 시행과 관련된 매개역할로 흡수역량과 혁신행동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직업훈련기관의 인증제도가 실질적으로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대안 및 방안을 제시한 점이 본 연구의 중요한 시사점이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raining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By analyzing the mediation role of absorptive competence and innovation behavior, this study suggests desirable strategic alternatives to improve practical performance in th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Methodology] This study used 170 samples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test and causal relationship. [Finding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bsorptive competence and innovation behavior. However,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did not directly a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raining institution. Second, the absorption capacity did not directly a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bu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Third, innov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Fourth, absorptive competence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innovative actions. [Implications] There is no relevant study on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The absorptive competence and innovation behavior were identified as the mediator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This study presented the alternatives and measures that could produce practical result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활성화방안

        황아윤,심지영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연구개발 Vol.- No.22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장애인 직업훈련에서는 장애인의 훈련기회를 보장 및 사회통합의 중요성을 인지하여 1997년「장애인고용촉진 5개년 투자계획」에서 시도별 15개 공공훈련기관에 대하여 장애인을 5% 이상 선발할 것을 의무화함으로써 공공훈련기관에서 의 장애인 훈련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후 2003년 제2차 「장애인고용촉진 5개년 계획」에서는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훈련참여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모든 공공훈련기관으로 장애인의 선발을 의무화하였다. 공공훈련기관에서의 장애인 직업훈련은 장애인에게 통합 그 자체뿐만 아니라 장애인전문훈련기관이 제공하지 못하는 다양한 훈련욕구를 충족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한다. 또한 훈련공급자 입장에서는 훈련기관간 적절한 역할분담을 통해 제한된 장애인 훈련인프라의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최근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산하 직업능력개발센터가 중증장애인에 대한 서비스 중심으로 훈련방향을 전환함에 따라 비장애인과의 통합훈련이 가능한 경증장애인의 훈련을 담당할 대체훈련기관으로서 공공훈련기관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훈련상의 이점과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훈련참여 및 훈련실적은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이 공공훈련기관의 훈련에 참여하지 못하는 원인을 파악하고 장애인 훈련을 원활히 하기위한 지원방안을 모색하여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훈련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연구문제 첫째,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현황은 어떠하며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훈련참여가 저조한 원인은 무엇인가? 셋째,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훈련생과 훈련교사가 훈련 시 겪는 애로사항과 필요로 하는 지원사항은 무엇인가? III. 연구방법 첫째,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운영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각 훈련기관의 훈련운영 관련 자료 및 2006년 장애인 수료생의 자료를 입수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참여 저조원인은 크게 훈련공급과 수요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공급측면에서는 입시자료 분석을 통해 장애인의 훈련 진입이 제한되고 있지 않은지를 점검하였다. 다음으로 수요측면에서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의 공공훈련 참여가 저조한 원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셋째, 장애인 훈련생과 훈련교사가 훈련시 겪는 애로사항 및 지원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2007년 8월 현재 공공훈련기관에 재학 중인 장애인 훈련생과 48개 훈련기관의 훈련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IV. 연구결과 먼저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직업능력개발훈련 현황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6년 공공훈련기관을 수료한 장애인의 취업률은 40.6%로 공공훈련기관의 훈련전문성과 훈련인프라를 고려할 때 장애인의 취업률 성과는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훈련 내실화를 통한 취업률 제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2006년 공공훈련기관의 편의시설 설치율은 55.8%이며, 일부 편의시설 등은 장애인 편의시설에 대한 이해부족과 임의적인 해석으로 설치가 잘못되어 장애인의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 확충 등 물리적 환경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훈련기관에서는 장애인 훈련생 지원 체계는 매우 미약하며, 분기별 장애인 훈련실시상황 통보 외에 장애인 훈련생을 위한 별도의 훈련지원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학칙 및 내규에도 장애인 우선선발에 관한 사항 이외에 장애인 훈련지원에 관한 사항은 규정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공공훈련기관에 진입한 장애인 훈련생 중 장애인 선발 우대전형을 활용한 입학생은 전체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여 입학시점과 훈련 진입이후의 장애인 훈련생 현황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별전형을 통해 입학하지 않은 장애인에 대해서는 대부분 입학 이후 상담 또는 장애로 인한 사고 발생시 학생의 장애에 대해 알게 되어 장애인 훈련생에 대한 적절한 지원과 위기상황 시 대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장애인에 대한 배려를 통해 장애인이 장애를 숨기지 않고 훈련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출 필요가 있다. 다섯째, 현재 공공훈련기관은 장애인을 위한 선발우대제도는 갖추고 있지만, 장애인 지원자 선발 및 배치를 위한 평가체계가 부재하다. 장애인의 훈련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체계를 구축하여 외형적인 장애정도에 의해 훈련참여가 제한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평가결과를 훈련에 반영하여 적합한 훈련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공공훈련기관의 입시자료 분석 및 장애인 훈련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나타난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훈련참여 저조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폴리텍대학의 입시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장애인 우선선발제도룰 활용한 훈련지원인원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인이 훈련을 희망하는 경우 공공훈련기관의 진입율이 비장애인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공공훈련기관에서의 장애인 훈련이 저조한 원인은 공공훈련에 지원하는 장애인 훈련희망자가 절대적으로 작다는 데에서 주된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장애인 훈련생들은 대상으로 장애인의 공공훈련 참여가 저조한 원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결과 '공공훈련에 대해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 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장애인에게 적합한 훈련 직종이 개설되어 있지 않아서' 25.0%, '장애인 편의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아 훈련참여가 어렵기 때문' 18.1%, '장애인 훈련에 필요한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에'가 8.6% 순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결과 장애인이 공공훈련기관의 훈련정보를 알고 있더라도 공공훈련기관이 운영하는 훈련직종이나 장애인이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훈련환경이 갖추어지지 않은 것이 장애인의 훈련참여를 저조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장애인 훈련생의 훈련애로 및 지원요구에 대한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훈련생 중 49.2%가 훈련을 받으면서 장애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장애로 인한 훈련의 어려움으로는 '장시간 훈련 시 체력부족 및 장애로 인한 신체적 불편함'이 22.4%로 가장높고, 그 다음으로 '장애로 인해 실습에 참여하기 어려움'이 20.7%, '교사나 동료와의 대화 또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17.2%, '장애인 편의시설 미비로 인한 학교생활의 불편함'이 12.1% 순으로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훈련과 관련된 물리적 환경과 장애인에 대한 배려 부족으로 인한 훈련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훈련 중에 어려움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동료학생 또는 친구의 도움으로 해결한다'가 43.1%로 가장 높고, '스스로 문제를 해결한다'가 31.0%, 그리고 '그냥 참는다'라고 응답한 장애인도 12.1%를 차지하고 있어 훈련 중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소해주기 위한 지원체계 마련이 매우 시급함을 알 수 있다. 둘째, 공공훈련기관에서 훈련을 받으면서 가장 불만스러워 하는 점은 '훈련기간 동안 생계에 대한 부담으로 훈련에 집중할 수 없다'가 20.2%로 가장 많았고,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이 부족하다'가 16.8%, '훈련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가 14.3%, '훈련시설·장비·도구의 이용이 불편하다'가 8.4%, '장애 및 학습능력을 고려할 때 훈련기간이 너무 짧다'가 8.4% 등의 순으로, 훈련 중 소득보전,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편의시설과 훈련환경 미비, 장애를 고려하지 않는 훈련과정이 주요한 불만사항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훈련기관에서 장애인의 훈련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사항으로는 '공공훈련에 대한 홍보 강화' 28.2%, '입학절차 간소화 및 장애인 훈련 우선권 제공'이 13.7%로 장애인에 대한 공공훈련의 홍보강화가 매우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훈련을 위한 훈련환경과 관련해서는 '장애인 편의시설 확충'과 '장애학생 전담부서 설치 및 훈련을 위한 지원 강화'가 각각 11.1%, '교직원 및 비장애인 대상 장애이 해교육 실시'가 6.8%, '훈련에 필요한 보조기기 지원'이 4.3%, '장애인 개별 사례관리 실시'와 '교직원의 장애인 직업훈련기법 향상을 위한 교육 실시'가 각각 2.6%를 차지했다. 이외에 '훈련기간 중 경제적 지원 강화'가 13.7%, '장애인 훈련 의무화 등 강력한 제도 개선'이 6.0% 등이었다. 다음으로 훈련교사가 장애인 훈련 시 겪는 어려움과 필요로 하는 지원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을 지도해 본 경험이 있는 훈련교사 중 91.1%가 장애인훈련생 지도시 어려움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장애인 훈련생을 지도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으로는 '장애인의 학습능력부족으로 인한 훈련진행의 어려움'이 30.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취업연계에 대한 부담'24.8%, '장애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인한 훈련ㆍ생활지도의 어려움' 20.3%, '장애로 인한 수업내용 전달 및 의사소통의 어려움' 14.4%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 훈련수료자에 대한 취업연계가 용이했는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2.9%가 용이하지 않았다고 응답하여 훈련교사가 느끼는 장애인훈련생 취업연계의 어려움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연계가 용이하지 않았던 주된 이유로는 '기업체의 장애인 채용 기피'가 59.0%로 가장높아 취업처 발굴의 어려움으로 인한 취업연계의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취업여건 부적합' 과 '학생 실력 부족'이 각각 18.4%, '학생의 취업 거부' 2.9% 등의 순이었다. 둘째, 공공훈련기관에서의 장애인 훈련의 내실화를 위해 훈련교사에게 가장 우선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장애인 훈련수료생에 대한 취업연계 지원'이 40.3%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장애인 직업훈련기법 전수를 통한 교사의 전문성 강화'가 21.0%, '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장애이해 교육 실시'가 20.8%로 나타나 교사의 장애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훈련과 교육의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타 훈련교사에 대한 적절한 보상과 장애학생 지원 전담조직 등의 행정적 지원에 대한 요구가 각각 8.4%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훈련기관에서의 장애인 통합훈련에 대한 의견을 물어본 결과 공공훈련기관에서 실시하는 장애인 훈련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은 63.3%로 공공훈련기관에서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훈련을 받는 것에 대해 대부분의 훈련교사가 긍정적으로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합훈련보다는 장애인전용훈련기관에서의 훈련이 적합하다고 생각한다'는 부정적인 비중도 16.2%를 차지하고 있어 장애인 훈련에 대한 훈련교사의 인식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훈련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공공훈련기관에서의 장애인 직업훈련 활성화를 위한 각 훈련기관의 적극적인 노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공공훈련기관에서의 장애인 직업훈련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훈련에 관한 사항을 노동부 교시에 규정하는 한편 각 훈련기관의 학칙이나 내규에 장애인 훈련생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도록 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훈련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공공훈련기관의 경영평가 지표에 장애인 훈련에 대한 항목을 추가함으로써 장애인훈련 활성화를 위한 각 기관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에 대한 훈련정보 접근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취업알선 기관을 이용하지 않는 장애인들도 쉽게 훈련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장애인이 쉽게 접할 수 있는 TV, 라디오 등의 공중파 매체를 적극 활용하여 훈련에 대한 홍보를 강화하는 한편 인터넷상에서 제공되고 있는 직업훈련에 관한 정보를 보다 풍부하게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취업알선 기관에서도 공공훈련기관의 훈련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의 훈련선택의 폭을 넓혀주는 한편 공공훈련기관의 우선선발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공공훈련기관의 장애인 편의시설을 확충하여 물리적 제약으로 인한 훈련의 어려움을 최소화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편의시설 설치에 있어 장애인 당사자 또는 관련 전문가의 자문을 거치는 한편 공단과의 지속적인 협조를 통해 장애인의 실질적인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공공훈련기관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공공훈련기관내에 장애인 훈련생의 훈련지원을 위한 지원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단기적으로는 특수교육이나 재활·심리학·교육학·사회복지학 등을 전공한 직원을 장애인 훈련생 지원업무 담당자로 지정하여 장애학생이 훈련 참여시 필요한 지원사항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고, 이들에 대해서는 관련 교육을 통해 전문성을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장애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장애인 훈련생 전담 지원 조직(팀)을 구성하여 종합적이고 일원화된 훈련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훈련도우미 제도 운영 및 보조공학기기 지원, 훈련비 지원 및 장애인 특별 장학금 지급 등을 통해 장애인 훈련생의 면학을 도울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훈련교사의 장애에 대한 전문성 강화를 위해 공단과의 연계를 통해 장애이해 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공단 연수기능을 활용하여 공공훈련기관의 훈련교사를 위한 보다 전문화된 교육과정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또한 향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하는 직업훈련교사 교육과정에 장애인 훈련에 관한 내용을 추가함으로써 훈련교사의 장애인훈련 전문성을 갖추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훈련교사들의 취업연계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공단의 장애인 구인업체 정보를 공유하고, 취업처 발굴 노하우 및 장애인 우수지도 사례 발굴, 훈련교사에 대한 인센티브를 확대 등을 통해 장애인 훈련에 관한 관심과 노력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공단과의 연계를 통해 장애인 지원자를 위한 보다 전문적인 평가체계를 구축하여 적절한 평가를 통해 장애인의 능력과 적성에 맞는 훈련과정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각 훈련분야에서는 장애인이 수행 가능한 틈새직종 발굴 등 장애인이 진출 가능한 분야를 지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훈련직종을 다양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 국가위기관리훈련 발전방안 연구 : 법적.제도적 측면을 중심으로

        정찬권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08 Crisisonomy Vol.4 No.2

        이명박 정부 출범 후 정부조직개편을 통해 국가위기관리기능을 통합하고 업무수행과정을 단순화.체계화시켜 조직의 시너지(synergy) 효과의 창출기반을 마련했다는 의미와 상징성에도 불구하고, 전쟁, 재난, 테러, 전염병 등 다양한 위협대비훈련은 여전히 분산된 체제를 유지하고 있어 한정된 인력, 예산 낭비는 물론 훈련의 중복과 참여 미흡으로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있어 법적.제도적으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가위기관리훈련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위기대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먼저 일원화된 국가위기관리훈련실시 근거로서 단일화된 법이 제정되어야 한다. 두 번째는 교육훈련관리체계를 적용하여 계획-준비-실시-통제/평가 단계가 연계되고 또 순환(feedback)될 수 있도록 지속성과 안정성이 보장되는 체계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전.평시 국가위기관리훈련이 분산되어 실시되는 현 훈련체제를 하나로 연계.통합하여 강도 높고 집중적인 훈련을 실시하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가칭"국가위기관리종합연습"체제로 패러다임(paradigm)을 변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가위기관리훈련 전문가 육성을 위해 국가차원에서 위기관리전문대학이나 연구원 등을 신설하거나 민간대학과 협력하여 전문 인력을 양성하도록 해야 한다.

      • KCI등재

        선교사의 훈련과 파송 실태와 제언: 영성을 중심으로

        구성모 ( Ku Seong Mo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1 복음과 선교 Vol.53 No.-

        본고는 선교사 훈련기관과 파송기관, 선교대학원의 영성훈련 실태를 분석하고 영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교사 후보생의 선교훈련 과정에서 영성훈련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교사를 파송하는 기관은 영성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또한 잠재적 선교사가 될 가능성이 높은 선교대학원의 교과과정을 영성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견된 것은 선교사와 관련된 모든 기관들이 선교사에게 영성훈련의 귀중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영성관리를 체계적으로 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선교사 훈련기관과 파송기관들은 무엇보다도 선교훈련을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영성훈련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선교사의 훈련과 파송에 관련된 기관들의 영성훈련 실태를 토대로 선교사의 훈련과 파송 기관에 영성훈련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그것은 첫째로 선교대학원은 커리큘럼에서 이론과 훈련을 포함된 영성과목을 개설하는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로 선교사의 선발과정에 영성을 점검하는 객관적인 절차를 마련하여 활용하고, 미흡할 경우 이를 보완하는 제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선교훈련원은 일반적인 영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보다는 선교사 각 개인에게 전문화된 맞춤형 훈련을 시도하는 구체적인 영성훈련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piritual training in missionary training institutions, sending agencies, and mission graduate schools of missionary and to suggest alternatives to enhance spirituality. For this purpose, first, the actual condition of spiritual training was examined in the missionary training institutions process of missionary. And the study examined how the institutions that send missionaries deal with spirituality, and also analyzed the curriculum of mission graduate schools, which are likely to become potential missionary, from the perspective of spiritual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at even though all the institutions related to missionar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to missionary, efficient training and management are not applied. As a result, missionary training institutions and sending agencies need to check and supplement spiritual training from the overall perspective of missionary training.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followings in relation to spiritual training in missionary training and sending based on the actual state of spiritual training of institutions related to the training and sending of missionary. It is first, the mission graduate schools needs a change in the curriculum to open spiritual subjects that include theory and train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utilize objective procedures to check spirituality in the selection process of missionary and to operate a program to supplement them if it is insufficient. Finally, mission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conduct specific spiritual training to try customized training for each missionary rather than running a general spiritual time program.

      • KCI등재

        4차 산업혁명 선도인력 양성사업 성과분석을 통한 대학과 직업훈련기관 역할 제언

        정선정,이문수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1

        디지털 신기술 분야의 교육훈련 성과를 분석하고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이를 수행하는 대학과 직업훈련기관의 역할을 제언하는데 있다. 훈련과 취업자료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고용노동부 사 업(4차 산업혁명 선도인력 양성 사업, 이하 '4차 산업훈련')을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2017∼2018년 4 차 산업훈련을 실시한 28개 교육훈련기관의 훈련자료(79개 과정, 1,772명 훈련생)로, 분석방법은 Logic Model을 적용하여 단기성과(수료율, 만족도, 성취도, 프로그램 차별화)와 중기성과(취업률, 고용유지율, 임금)를 분석하였다. 결론은 첫째, 4차 산업훈련의 전체 수료율은 77.2%이며, 대학과 직업훈련기관의 수료율은 유사하다. 둘째, 훈련서비스품질(3.95)과 훈련만족도(4.03)는 높지만, 고용가능성(3.68)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대학 과 직업훈련기관은 훈련서비스품질의 일부 하위요인(취업지원, 행정지원)만 직업훈련기관이 더 높고, 그 외는 유사하다. 셋째, 성취도는 2017년 82.92점, 2018년 77.49점으로, 기관유형별로 대학에서 참여 한 훈련생의 성취도가 더 높지만, 비교 과정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우수 과정 차별성은 4차 산업혁명 분야에 맞게 훈련교과와 프로젝트 내용을 연계하여 협약기업 참여를 통한 프로젝트 수행 및 취업 지원이 원활하고, 우수 훈련생 선발 및 중도탈락 방지 등 체계적인 훈련생 관리 가 이루어지며, 우수한 교강사를 통해 고숙련훈련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일수록 양질의 모 집자원과 다양한 학과의 우수한 교수진을 확보함으로써 난이도 있는 훈련을 실시한 반면, 직업훈련기 관일수록 훈련생 선발·상담·관리·취업지원·사후관리 등 훈련생 관리의 체계성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취 업률이 65%, 고용유지율이 72.9%, 임금수준이 217만원으로, 대학에 비해 직업훈련기관의 취업률이 더 높고, 고용유지율은 유사하지만, 임금수준은 대학이 더 높았다. 제언으로 대학은 4차 산업혁명 관련 직업훈련 분야의 적극적인 참여, 학교교육과 직업훈련을 잇는 가교역할, 학사운영에서 발굴한 Best Practice를 직업훈련시장에 공유할 필요가 있다. 직업훈련기관은 산학협력을 더 강화하고, 다른 직업훈련기관 및 대학 등과의 컨소시엄을 통해 창의적인 융합과정을 개 발·운영하며, 소그룹 단계별 맞춤훈련을 실시하고, 재직자가 미래사회의 역량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향상훈련과 경력개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and training performance of new digital technology fields, draw useful implications, and suggest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 performanc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project(Training Project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ereinafter ‘4th Industrial Training’)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which education and training and employment data are systematically managed compared to other ministrie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raining data (79 courses, 1,772 trainees) of 28 educational and training institutions that conducted the 4th industrial training in 2017-2018. The project performance was divided into short-term and medium-term, and the completion rate, satisfaction, achievement, program differentiation and contribution to the job market (employment rate, employment retention rate, wage level) were analyzed. First, the overall completion rate of the 4th Industrial Training was 77.2%,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mpletion rate between universities and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Second, the level of recognition of trainees was high in the quality of training service (3.95) and satisfaction in training (4.03), but employability (3.68) was relatively low.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rainees was higher i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only for some sub-factors (employment support, administrative support) of the quality of training service, and most others were similar. Third, the achievement of trainees was 82.92 points in 2017 and 77.49 points in 2018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year, and the achievement of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college was higher,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due to the small number of comparative courses. Fourth, the distinction of excellent training courses is that by linking the training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fiel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roject execution and employment support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partner companies are smooth, and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rainees such as the selection of excellent trainees and the prevention of dropouts is perform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igh-skilled training was carried out by securing high-quality, excellent instructors. Higher-skilled training was conducted by securing high-quality recruitment resources and excellent faculty in various departments in universities, whereas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confirmed the systemicity of trainee management such as selection, counseling, management, job support, and follow-up management. Fifth, the employment rate of the 4th Industrial Training was 65%, the employment retention rate was 72.9%, and the wage level was 2.17 million won. Compared to universities, the employment rate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is higher and the employment retention rate is similar, but the wage level of universities is higher than that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s suggestions, universities ne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vocational training field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lay a bridge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vocational training, and share the best practice vocational training market discovered in academic management.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further strengthen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develop and operate creative convergence courses through consortiums with other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universities, conduct customized training for each small group, and improve training so that incumbents can respond to changes in capabilities in the future society. And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career development.

      • KCI등재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한 신기술 분야 교육훈련 운영기관의 효율성 분석

        진인선,이영민 한국직업교육학회 2023 職業 敎育 硏究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that operate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new technology field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education and training institutions’ operational efficiency through the CCR model, the CCR Super-CCR model, the BCC model, and the Super-SBM model. For the analysis of relative efficiency, the number of training courses, training hours, average training cost per person, total training cost, number of trainees, number of graduates, number of employees, and overall satisfaction were set as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7 institutions, 30.4% of the total 56 institutions, were confirmed to be more efficient than other institutions. It was confirmed that 4 institutions were used as reference institutions more than 10 times when comparing efficiency. Also as a result of the scale efficiency analysis, 32 institution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size as well as technical factors for inefficiency,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cale aspect to improve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to need to improve the training supply method, the need for efficiency-oriented training quality management away from the rank-and-file performance management method, and need to sharing of the best practices. 이 연구의 목적은 신기술 분야 교육훈련기관을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를 활용하여 운영 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자료포락분석 모형 중 CCR 모형, CCR 초효율성(Super-CCR) 모형, BCC 모형, 여유분 초효율성(Super-SBM) 모형을 통해 규모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교육훈련기관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을위해 훈련 과정 수, 훈련 시간, 인당 평균 훈련비, 총훈련비, 훈련 인원, 수료 인원, 취업 인원, 전반적 만족도를변수로 설정하였다. 기술효율성 분석 결과, 전체 56개 기관 중 30.4%인 17개 기관이 다른 비교 기관들에 비해운영 효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중 4개 기관은 효율성 분석에서 10회 이상 참조 기관으로 활용되었다. 또한, 규모 효율성 분석 결과, 비효율적 원인이 기술적 요인뿐만 아니라 규모와 연관 있는 기관은 32개 기관으로나타나 효율성 개선을 위해 규모적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교육훈련기관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훈련공급방식을 개선하고, 서열화된 성과관리 방식보다는 효율성 중심의 훈련품질 관리를 실시해야 하며, 상대적으로효율적인 교육훈련기관을 통한 우수사례를 확산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의 교육훈련 기능 수행 발전방향

        조경호 ( Kyung Ho Cho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106개 교육훈련 기능 수행 공공기관의 교육훈련 비전적합성과 가치잠재성을 검토하고 공공기관의 교육훈련 수행 합리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관별 발전방안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우리나라 공공기관의 교육훈련 기능 발전방안을 총체적으로도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둔다. 일단, 본 연구에서 추출한 공공기관 교육훈련기능의 문제점은 공공기관이 추구하는 비전과 교육훈련 가치의 일치성이 떨어지는 부분, 교육훈련의 내용이 훈련자의 욕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부분, 획일적인 교육훈련 방법론 적용 부분, 비효율적인 교육훈련 체제 파트, 산발적인 교육 진행 현황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기관 교육훈련 기능 수행 합리화 방안으로 첫째, 커리어 중심의 생애기술교육 실시, 둘째, 사이버 교육의 활성화를 통한 양질의 교육 수혜 확대, 셋째, Plan-Do-See 체계 도입과 삼진아웃제 도입을 통한 교육의 품질 관리 제고, 기관 인력개발관리체계 일원화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to training and education functionsof public institutions by analyzing their vision appropriateness and value potential toward mother organizations. Although this study does not provide each individual institutions’ measures, but tries to suggest ways to develop the broad plans on a mid-to-long-term perspective. The paper explains various problems embedded in the operation of training and education functions of public institutions from the port-polio analyses by matching the two criteria, vision appropriateness and value potential. In conclusion, the paper provides ways to develop efficiency and validity of public institutions’ training function in four important aspects: coordination between organization values and training function, reflection of trainees’ needs, breaking with the tradition of uniformity in training and education, and overcoming inefficiency in program management.

      • KCI등재

        민간직업훈련기관에서 훈련생이 인식하는 담임교사 역할에 대한 요구분석

        이명휴(Myung Hyu Lee),임세영(Se Yung Lim),김우철(Woo Cheol Kim)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6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최근 민간직업훈련기관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직업훈련 담임교사의 역할과, 담임교사의 역할 중 직업훈련의 실제적 수요자인 훈련생의 요구도가 높은 역할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직업훈련 담임교사의 중점 역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교사양성과정에 참여한 훈련교사들을 대상으로 브레인라이팅(Brain Writing)을 실시한 결과 3개 역할영역 총 38개 역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역할을 기반으로 직업훈련 담임교사 역할에 대한 설문문항을 작성하였고 민간직업훈련기관의 훈련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총 305부를 수집하였다. 설문 데이터 분석은 t검정을 실시하여 각 역할별로 중요도 평균값과 실행수준 평균값의 차이를 확인하고 Borich 요구도 및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업훈련 담임교사 역할 중에서 최우선 역할은 5개로 차우선 역할은 10개로 나타났다. 특히, 훈련생이 인식하는 담임교사의 최우선 역할은 “수료생 사후관리(취업지원 및 사후상담)하기”, “수료예정자 및 수료생에게 취업알선하기”의 취업과 관련된 역할과 “동기부여를 위해 수강생과 주기적으로 상담하기”, “고충사항을 듣고 해결해주기 위해 수강생과 상담하기”, “진로설계를 위해 수강생과 주기적으로 상담하기”의 상담과 관련된 역할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Given that class teachers have become important in privat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oles of class teachers of vocational training and examine primary roles perceived by trainees with high needs. The purpose of this study, brain writing was implemented to identify relevant roles of class teachers of vocational training with 34 training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training program for vocational training instructors. As a result, a total of 38 roles from 3 areas were identified. These roles were utilized to construct a survey for this study and then the survey was performed and collected from 305 trainees in privat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es.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primary roles that trainees perceived with high needs by using t-test, Borich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primary roles of class teachers that trainees perceived with high needs were as follows: 5 roles of class teachers with the first priority and 10 roles with the second priority. The discussion and implica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수료와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정선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status and completion of trainees participating in vocational training the unemployed. The training materials 230,139 people without a missing value for the analysis of the end of 2014 trained the unemployed training courses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ile the more women, the higher the age and the more new unemployed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job trainees was the more high completion probability, the more men, the lower the age, the more locals, the former unemployed was contrary the more high employment probability. Second, while the larger the size of the class nature, the more the National Infrastructure and Strategy Industries training than the general training of unemployed account was the more high both completion and employment probability, and the longer the training period was the lower completion probability, conversely, the higher employment probability. Third, the more higher the grade of training organization characteristic was the more high both completion and employment probability. Fourth, the more high personal burden of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trainee was the more high both completion and employment probability. Fifth, the more highly aware of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supported employment among quality of training service was lower probability of completing the training in both training programs. Sixth, the more high awareness awar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employability among awareness of training performance was the higher employment probability. 이 연구의 목적은 실업자 직업훈련에 참여한 훈련생의 수료와 취업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구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14년 훈련이 종료된 실업자 훈련과정 중 분석을 위해 결측값이 없는 230,139명의 훈련자료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실업자 직업훈련생의 개인특성 중 여자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신규실업자일수록 수료확률이 높은 반면, 취업확률은 이와 반대로 남자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전직실업자일수록 높게 나타났고, 학력은 고졸에 비해 전문대졸이 공통적으로 수료와 취업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전체 실업자 직업훈련의 프로그램 특성 중 학급크기가 클수록, 실업자 내일배움카드제(이하 ‘내일배움카드’)에 비해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훈련(이하 ‘기간전략’)일수록 수료와 취업확률이 높은 반면, 훈련기간이 길수록 수료확률은 낮지만, 취업확률은 반대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전체 훈련기관 특성 중 A등급일수록 수료 및 취업확률이 높고, 기관유형은 훈련사업의 특성에 따라 참여하는 기관유형이 조금씩 다르므로 기관 유형별로 수료와 취업에 일관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훈련생의 참여도 중 개인의 자부담율이 높을수록 수료확률과 취업확률이 모두 높고, 최근 3년 훈련 수료횟수가 많을수록 두 훈련사업 모두에서 취업확률이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훈련서비스 품질 중 시설장비와 취업지원을 높게 인식할수록 두 훈련사업에서 수료확률이 낮고, 취업확률은 두 훈련사업의 기간과 직종 등이 서로 다르므로 영향을 미치는 훈련서비스 품질이 다르게 나타났다. 여섯째, 훈련성과 인식도 중 기간전략에서 학업성취도와 고용가능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수료확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취업확률은 높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