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행정질서벌의 체계에 관한 소고

        박종준 한국공법학회 2018 공법연구 Vol.46 No.3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s one of the means for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on, and it imposes penalties on minor administrative violations. Before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was enacted in 2008,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was mainly focused on clarifying the boundary between criminal 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However, the system of the administrative order has been transformed from the establishment of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This law clarifies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quirements for the violation of the law and the disposition of fines, and unifies the process of charging and collecting penalties that were scattered in individual laws. In addition to improving and supplementing the punishment trial and enforcement procedures, by establishing the general rules on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t has brought about a change in the existing administrative order system which had been depended on dogma in administrative law. However,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contains systematic problems due to the fact that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s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criminal punishment. In addition, the external environment surrounding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is also changing. A large amount of fine, exceeding fines, has been introduced to threaten the people's right to adequate remedy, and the appeal process for disposing of fine is treated as an area of ​​non-arbitration cases mainly proceeding with abbreviated trial, excluding the administrative organs. In addition, due to the collection procedures in the tax law, it is also urgent to establish a collecting system that is applied exclusively to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should consider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new system of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First, active theoretical and legislative responses to the punitive provisions of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should be made. Second, the penalties collection procedure should be improved by utilizing 「Act on Collection of Local Taxes Outside Deposits, etc.」. Finally, in order to guarantee the basic rights of the people and to develop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system,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should be made for the high fine. In the future, the establishment of a new system of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should be conducted through discussions and researches between legislative, judicial, and administrative as well as legal theory. 행정질서벌은 행정작용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수단의 하나로서 행정법상의 경미한 의무위반행위에 대하여 과태료를 부과하는 행정벌이다. 2008년에 과태료에 관한 일반법인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이 시행되기 전, 행정질서벌에 관한 이론적 논의는 주로 형사벌과 행정질서벌 간의 경계를 명확히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러한 행정질서벌의 체계는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의 제정을 기점으로 큰 전환을 맞게 되었다. 동 법률은 과태료 부과의 요건이 되는 질서위반행위의 성립과 과태료 처분에 관한 법률관계를 명확하게 하고, 개별 법령상 산재되었던 과태료의 부과ㆍ징수 절차를 일원화하는 한편, 과태료 재판과 집행절차를 개선ㆍ보완하였을 뿐 아니라 행정질서벌에 대한 총칙상의 규율을 대거 도입함으로써 행정법상 도그마틱에 의존해 왔던 기존의 행정질서벌 체계에 일대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은 행정질서벌을 형사벌과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체계상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을 둘러싼 외부적인 환경도 변화하여 벌금을 능가하는 고액 과태료가 도입되어 국민의 충분한 권리구제 보장을 위협하고 있으며, 과태료처분에 대한 불복절차는 행정청이 당사자에서 배제된 주로 약식재판으로 진행되는 비송사건의 영역으로 취급되고 있어 일정한 한계를 노정하고 있다. 또한 세법상 체납절차를 준용하고 있어 행정질서벌인 과태료에 독자적으로 적용되는 징수체계의 마련도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행정질서벌의 새로운 체계정립방향으로서 첫째 행정질서벌의 형벌화(刑罰化) 규정에 대한 적극적인 이론적ㆍ입법적 대응을 제안한다. 특히 행정질서벌의 위상과 맞지 않는 고의ㆍ과실 및 위법성의 착오에 관한 조항의 정비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행정질서벌인 과태료의 징수 절차의 개선과 관련하여 「지방세외수입금의 징수 등에 관한 법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방행정실무 차원에서의 제도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일부 고액 과태료를 대상으로 행정소송의 제기가 가능하도록 불복절차를 개선하여 국민의 기본권 보장은 물론 행정질서벌 체계의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향후 행정질서벌에 관한 새로운 체계의 정립은 입법ㆍ사법ㆍ행정은 물론 법이론 간의 유기적이고도 종합적인 논의와 연구를 통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行政法에 있어서의 罪刑法定主義 -‘法律上의 利益’ 槪念과 明確性의 原則을 中心으로 -

        이상천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경희법학 Vol.45 No.3

        행정벌에는 行政刑罰과 行政秩序罰이 있다. 형벌의 부과에는 죄형법정주의가 엄격히 적용되어야 하므로 행정형벌의 부과에도 罪刑法定主義의 정신이 충분히 관철되어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행정질서벌의 경우 행정형벌을 과할 것이냐 행정질서벌을 과할 것이냐가 입법재량의 문제이고 보면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을 준별하여 행정형벌에는 죄형법정주의, 행정질서벌에는 법률유보론이 적용된다고 엄격하게 구분할 것인지는 문제이다. 사실 죄형법정주의와 법률유보론의 異同이 명백하지는 않지만 바로 행정질서벌과 같은 영역에서 서로 교차하면서 同化的으로 統合되어가는 논리의 연장선에 있다고 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국회의 통제라는 본질면에서 같아 더욱 그 엄격한 구별의 실익은 줄어들 것이다. 그런데 行政罰을 부과함에 있어서 그 구성요건으로 그 주체성에 관하여 ‘이해관계가 있는 자’ 등으로 표현되어 있는 경우 이해관계가 있다는 것의 기준에 관하여서는 아무런 규정이 없다. 판례는 그 이해관계는 순수히 행정법적 논구의 결과인 법률상 이익론에 의존하여 법률상 이익 유무로 이해관계성을 판단하고 있는 상황인데 죄형법정주의와 관련하여 의문이 제기된다. 죄형법정주의의 현대적 취지는 결국은 자유권 보장의 실질적 실현이 그 중핵일텐데, 그러기 위해서는 구성요건해당성은 일반시민과의 공유개념이지 않으면 안된다. 아무리 법률해석은 법관의 소관이라 하더라도 애당초 일반시민의 소박한 인식적 공유를 확보할 수 없는 개념이라면 그것은 결과적 책임을 묻는, 이른바 行爲反價値를 고려하지 않는 結果刑法的 思考라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法律上 利益 개념은 철저히 行政法的 思考物이다. 행정법 자체가 행정이 공행정을 폄에 있어 사익과의 조화를 도모하는 학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행정법 전반에 흐르는 것이 公益과 私益의 조화인데, 법률상 이익 개념은 행정법 諸理論 중에서도 공익과 사익의 조화 그 자체를 중핵으로 하는 개념이다. 당연히 그 내용은 개별적ㆍ구체적 사건에서의 공익과 사익 등 諸利益 사이의 利益衡量의 기준인 것이다. 이익형량이라는 것은 언제나 당해 법관이 최종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그 모습을 드러낸다고 할 것이어서 객관성, 외관성 등 한 마디로 명확성원칙을 중핵으로 하는 죄형법정주의적 사고기준으로는 부합할 수가 없는 것이다. 법률상 이익의 판단에 헌법규범은 물론 條理까지 동원되고 있는 상황이므로 명확성의 원칙에 합당하다고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곧 행정벌의 근거규정의 수범자의 범위와 관련하여, 소위 ‘이해관계 있는 자’ 등으로 표현되는 의미의 해석을 ‘법률상 이익’ 개념과 연관지어 논하고 있는 판례의 논리는 죄형법정주의의 明確性原則에 결코 합당할 수 없는 논리구조를 가진 개념이어서 문제인 것이다. 법률상 이익은 이른바 형사법의 해석에 있어서 개념의 핵으로 삼기에는 너무나 부정확하고 불명확하여 도저히 일반시민의식과의 인식공유가 불가능한 개념이다. 법의 해석에 있어서 제한해석, 확장해석, 목적론적 축소해석, 유추해석 등의 기준으로 삼는 ‘개념의 핵’ 그리고 ‘개념의 뜰’ 등의 도구개념이 들어지는데, 법률상 이익은 일반시민의식과의 인식공유가 불가능한 개념이므로 죄형법정주의와 관련하여서는 개념의 핵으로 될 적격이 없는 이론인 것이다. 그것은 개념 ... In case of breach of public duty, the administrative punishment should be levied on the private individual concerned who has breached his public duty. There are two kinds of punishment in administrative punishment, They are administrative criminal punishment and administrative punishment against public disorder.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should be strictly adapted to the case in levying criminal punishment on someone, so should the spirit of the above principle be adapted to the case of levying administrative criminal punishment on. The spirit of it could be adapted by analogy to the case of levying administrative punishment against public disorder, and the disciplinary punishment or the punishment for duty performance would have a little distance from the above spririt. But it is a matter of legistlative discretion whether to levy administrative criminal punishment or administrative punishment against public disorder, thus it is unresonable that we should distinguish administrative criminal punishment from administrative punishment against public disorder and come to the conclusion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in administrative punishment, the principle of legal reservation in administrative punishment against public disorder. The comparison of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and the principle of legal reservation is not studied fully, but the two goes together in some aspects and goes cross in other ones as in the area of administrative punishment against public disorder, thus the two are in a process of logical and reasonable amalgamation. The essence of the two is the control by the National Parliament. It is unnecessary to distinguish one from the other. By the way, what is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 ‘one who has interests in’ in levying administrative punishment? There are no rules which illustrates the boundary of it. The Supreme Court has sentenced the case concerned with the above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logic of ‘interests in law’ in Administrative Law. As prescribed before, the modern meaning of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 is still the realization of ‘substantial justice’. the hard core of its realization is the guaranteeing the right of freedom, by that reason the conception of the hard core of its realization should be shared with the general citizens. Eventhough the area of interpretation of law belongs to the judge, it is the way of thinking only the result of applying the law and not thinking the process of doing it that the law concerned uses the conception which the citizens in general couldn’t understand its meaning. The conception of ‘interests in law’ is thoroughly the object of thought in Administrative Law. Administrative Law itself is to harmonize public interests and private ones. The harmony of public interests and private ones goes through all Administrative Law from beginning to end. The hard core of harmony of public interests and private ones is just the conception ‘interests in law.’The contents of ‘interests in law’ is only the criteria of scaling of interests among the interests concerned. The scaling of interests reveals itself finally through the judge’s sentence, thus it doesn’t go with the thinking criteria of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Thus the logic of the Supreme Court’s case which interpretes the regulation ‘one who has interests in’ in relation with the theory of interests in law is not in harmony with the principle of clarity in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This is the typical case of combining theory of criminal law and Administrative Law, the conception ‘interests in law’ doesn’t suit to the above principle of clarity. For it is too inaccurate and subtle to be regarded as the core of some conception and cann’t be shared each other between the judge and the citizens in general. We use several instrumental conce...

      • KCI등재

        행정제재와 형벌의 관계에 관한 소고

        최봉석 한국법제연구원 2011 법제연구 Vol.- No.40

        Administrative sanction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administrative criminal penalty 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The two are distinct in sanction but in fact indistinct which case charged administrative penalty or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lso there is indistinct in administrative criminal penalty 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for example penalty. Administrative penalty is so criminal penalty that applied criminal general principles. On the other h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charged a fine on violating the administrative order that is not criminal penalty. It make “Act on the Violations of Public order” to administrative sanction so gain identity in legal system in germany. “Act on the Violations of Public order” included an substantive law and an adjective law so applied criminal general principles as it is regardless of legal sanctions. There is Act on the Violations of Public order to common law in administrative penalty in germany. But there is not common law in administrative penalty in korea so take place in many troubles. Both sides are quite distinct to degree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but they do not always equal in many cases. and It is complicated content and system in administrative criminal penalty so make many problem in equal treatment. To overcoming problem in administrative penalty, administrative criminal penalty convert to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nd simplify the kind and meaning of sanction. hereunder, we can distinct in administrative criminal penalty 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nd we must accept wholeheartedly to administrative criminal penalty when restrictions are strict. We must review a administrative criminal penalty and make the decriminalization and balance between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nd administrative criminal penalty, imprisonment and fine penalty. Recently, in this connection,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is established and forced. For the basic solution, we must make legislation containing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nd administrative criminal penalty. 행정벌은 크게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로 구분된다. 양자는 제재의 내용으로는 명확하게 구분되지만 실제 어떠한 경우에 행정질서벌이 부과되고 행정형벌이 부과되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또한 범칙금과 같이 행정질서벌인지 행정형벌인지 불명확한 경우도 있다. 행정벌 특히 행정형벌 역시 형벌이기 때문에 형법의 일반 원칙이 그대로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이와 달리 행정질서를 위반한 경우에 부과되는 행정질서벌은 형벌이 아닌 과태료가 과해지는 처분이다. 독일의 경우 행정제재에 대해 질서위반법을 규정하여 법체계에서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있다. 독일의 질서위반법은 독자적인 실체법적 규정과 절차법적 규정을 모두 가지고 있고 법적 제재수단의 종류와 무관하게 형사법적 원칙은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우리의 경우 행정제재에 대해 질서위반법이라는 행정형벌의 일반법이 존재하는 독일과는 달리 아직 이러한 일반법이 규정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현재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은 법익 침해의 정도에 따라 구분되지만 법익 침해에 있어서 양자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불필요하게 많은 경우에 행정형법을 의무 이행확보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부과되는 자유형과 재산형의 경우 형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다. 행정형벌의 경우 내용은 물론 그 부과체계도 복잡하여 평등한 제재부과에 대해서도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행정벌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선 행정형벌의 상당수를 행정질서벌로 전환하고 현재 행정법상 부과되는 제재의 종류와 내용을 단순화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을 보다 명확하게 구분하고 보다 각각의 제재에 대해 그 제재의 정도가 강한 경우에는 행정형벌로 수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기존의 행정형벌의 대상을 재검토하여 과감한 비범죄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 자유형과 벌금형간의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관련하여 최근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보다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서는 행정질서벌과 행정형벌을 모두 포괄하는 새로운 법률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중국 경찰의 행정처벌권과 위반사례 연구

        오창식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8 경찰학논총 Vol.13 No.2

        경찰행정처벌권은 경찰권의 중요한 내용 중의 하나로 형사대상이 되지 않은 위법적 상황이나 작은 행정처벌 위반 사례에 활용되는 경찰권으로 과도한 형사처벌로 인한 전과자를 양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일정 이상의 경고효과로 범죄적 상황을 미연에 예방하는 장점이 있으나 과도한 경찰행정처벌권은 국민들의 생활에 무작위적으로 적용되어 국가발전과 사회안정에 해악이 되기도 하였다. 특히 중국 경찰의 활동은 형사법적 입안·수사·송치과정을 제외한 행정권이 발동되어 사전에 법원의 영장 없이도 경찰의 자체적 판단과 절차로 거지, 부랑자, 성매매, 상습도박자 등 사회의 범죄취약 계층에 대해서 보다 용이하다. 다만 적법적 견제장치 없이 자행되어 인권침해 가능성이 지속적으로 지적되었으며, 특히 2013년 폐지되었던 “노동교양”은 공안에 의해 무분별적으로 악용되어 국민의 신체자유를 통제하여 형사처벌과 유사한 고통과 불편을 야기하였다. 경찰은 국가의 공권력의 상징으로 국가의 기본체제, 사회안녕질서, 국민의 신체와 재산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사회 제반 문제에 대해 다수의 경찰인력을 활용하여 우선적으로 접촉하며 문제 해결을 도모한다. 이 때 국가로부터 부여받은 공권력은 국민의 총의가 국가에 전달되어 국가를 위해서, 공권력을 허락한 국민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나, 통제받지 않던 권력의 사각지역에 자생한 중국 경찰의 행정처벌권은 수많은 인권침해 사건을 야기하였다. 중국의 경찰행정처벌권의 현황을 근거로 외사, 변방, 사이버, 소방, 교통, 치안 등 관리영역의 경찰행정처벌권은 일반적 경찰행정처벌권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며, 수용교육이나 국민들의 인권침해와 정치적 박해 수단으로 공안들에 의해 무비판적으로 사용되어진 노동교양 같은 제도는 특수한 경찰행정처벌권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특수한 경찰행정처벌권 관련, 노동교육이라는 미명 하에 수십 년간 인권탄압과 공안기관의 무차별적인 집행으로 악명이 높았던 노동교양이 2013년 기히 폐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비슷한 형식을 띄며 수개월 이상의 장기간 인신의 자유를 제한하여 법률교육과 노동 등을 행하는 수용교육은 많은 반대 의견이 제기되어 왔음에도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The right of police administrative punishment belongs to one of those important police right. It can not only prevent people who made minor errors from becoming criminal through administrative punishment, but also control occurrence of crimes with warning effectiveness. But excessive right of police administrative punishment sometimes was likely to be applied to life of ordinary people and became the burden of national growth and social stability. As far as the action of the police is concerned, When the public administration was put in action without criminal procedures such as indictment, investigation and sending cases, The police based on his own judgement could arrest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that included beggar, vagrant, prostitution and gambler without restraint devices, therefore they raised possibility about human rights violation. Above all, The reeducation through labor that was abolished in 2013 was abused by the police and cause pains and problems to people just like criminal punishment did. As the symbol of governmental authority, Police carry out missions that protect social security, safety and wealth of the people, and seek to solve social problems in advance through the force of police. The governmental authority must be activated just for country that represent people’s collective opinion and people who admit the use of governmental authority. But the right of chinese police administrative punishment that grow the outside of the control caused lots of human rights violation cases. Based on the right of chinese police administrative punishment, we can assume that the category that includes the problems of foreign affairs, frontier defence, cyber, fire department, traffic and public security belongs to ordinary the right of police administrative punishment, and the category which includes reeducation through labour and penitentiary education belongs to special he right of police administrative punishment. In other words, the penalty that is close to the life of the people belongs to ordinary right of police administrative punishment, and the penalty that restrain people for special objective and subject belongs to special right of police administrative punishment. As far as special right of police administrative punishment is concerned, the notorious reeducation through labour that caused human rights suppression and undiscriminating execution for decades was abolished in 2013, But penitentiary education that is similar to reeducation through labour still exists despite the opposing opinion. For decades, the reeducation through labour that carried out by the chinese police did not receive the judgment of the court, And it caused the violation of human rights and freedom. In the end, the system of the reeducation through labour ended in 2013 after receiving the opinions of the people and scholars. But the problem is that the penitentiary education still exists and charges the man and woman that have prostitution problem with compulsory labor and reeducation.

      • KCI등재

        行政罰의 法理 : 行政刑罰과 行政秩序罰의 병과를 중심으로

        김명길(Kim Myung-Gil)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법학연구 Vol.49 No.2

        행정법은 과거의 의무위반에 대한 제재로서, 장래에 향하여 의무의 실현을 도모하는 강제집행과는 본질을 달리한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행정상 의무의 실현을 간접적으로 강제하여 그 확보를 도모하려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기능적 측면에서 보면, 행정상의 강제집행을 보완하는 수단이 된다. 이러한 연유로 행정의 효율성 내지 법집행의 효율성의 확보라는 측면을 강조하여 행정법상의 의무위반에 대한 제재로서의 행정벌이 지나치게 많이 도입되고, 특히 행정벌 중에서 형벌이 아니라는 이유로 행정질서벌인 과태료가 비범죄화 작업의 일환으로 별다른 문제인식이 없이 과도하게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행정벌이 그 대상범위를 확대하고 있는 경향은 국민의 권익보장이라는 점에서 보면 이중처벌 내지 과잉처벌 또는 과잉규제의 문제점도 안고 있다. 국민의 권익을 보장하기 위한 헌법 제13조 제1항이 정한 "이중처벌금지(二重處罰禁止)의 원칙”에서의 처벌은 원칙으로 범죄에 대한 국가의 형벌권 실행으로서의 과벌을 의미하는 것이고, 국가가 행하는 일체의 제재나 불이익처분을 모두 그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처벌의 목적 내용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재수단의 병과가능성은 열려 있다. 그러나 행정법규 위반행위에 대하여 행정질서벌인 과태료를 과할 것인가 행정형벌을 과할 것인가는 법적 판단을 그르친 것이 아닌 한 그 처벌내용은 기본적으로 입법권자가 제반사정을 고려하여 결정할 입법재량에 속하므로 양자의 병과는 이중처벌금지의 원칙에 위반된다. 바꾸어 말하면, 행정형벌(형사벌)과 행정질서벌은 제재수단의 종류만 다를 뿐이지 제재수단으로서의 목적과 기능, 성질 등을 달리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질에 있어서 과태료는 형벌의 일종인 벌금 내지 과료와 마찬가지로 최소한 광범하게 파악된 형사제재의 하나로는 취급되고 있다는 점에서 어떤 위반행위에 대하여 행정형벌(형사벌)을 과할 것인가 아니면 행정질서벌을 과할 것인가는 선택의 문제이지 병과의 문제가 아니므로 병과는 허용되어서는 아니된다. 만약 처벌의 대상인 위반행위가 달라 이중처벌이 아니라 하더라도 위반행위가 상당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면, 행정질서별로서의 과태료는 행정상 의무의 위반에 대하여 국가가 일반통치권에 기하여 과하는 제재로서 형벌(특히 행정형벌)과 목적 · 기능이 중복되는 면이 없지 않으므로, 이에 대하여 형벌을 부과하면서 아울러 행정질서벌로서의 과태료까지 부과한다면 그것은 국가 입법권의 남용으로 헌법 제37조제2항에 위반하는 과잉규제에 해당할 수 있다는 점을 깊이 인식할 필요가 있다. 1. The person who violated the provisions of positive law shall be imposed by various kinds of discipline. such as punishment, fine for negligence, forced performance charges, surcharge, disciplinary disposition etc. While, no citizen shall be placed in double jeopardy. So this thesis discusses double jeopardy of various kinds of discipline. Especially, punishment and fine for negligence shall be imposed from double jeopardy. 2. The framework this thesis is as follows. 2-1. Introduction 2-2. The legal theory of administrative punishment 2-3. The legal theory of double jeopardy 2-4. Conclusion 3. In conclusion, a. Imposed by punishment and fine for negligence for an act infringe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double jeopardy. b. If the person who violated the provisions of positive law shall be imposed by various kinds of discipline, no essential aspect of the freedom or right shall be violated.

      • KCI등재

        행정형벌의 행정질서벌로의 전환에 관한 고찰

        고헌환(Ko Heon Hwa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6 土地公法硏究 Vol.76 No.-

        행정청은 행정질서 의무위반자에 대하여 그 의무이행을 간접적으로 강제하여 행정행위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재수단으로써 행정벌을 부과하고 있다. 행정벌은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로 나누어진다. 오늘날 사회변화와 시대적 흐름에 따라 행정법상의 행정질서 의무위반행위에 대한 제재가 비범죄화․탈범죄화적 측면이 강조됨에 따라 행정벌의 중심이었던 행정형벌이 행정질서벌로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행정질서벌을 부과함에 있어서 부과의 대상, 기준, 금액을 정함에 많은 문제점과 혼란을 야기 시키고 있다. 특히 행정질서벌의 과잉, 행정질서벌의 과중한 액수의 산정, 제재의 중복성 등에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더군다나 행정형벌의 행정질서벌로의 전환은 행정질서벌의 범람, 또는 형벌의 행정질서벌에로의 도피현상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행정행위의 실효성 확보보다는 국민의 기본권보호와 제재의 효율성 을 위하여 행정형벌의 행정질서벌로의 전환의 정립을 위한 방안을 검토하는 것도 중요하며, 연구해볼만한 과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행정형벌의 행정질서벌로의 전환에 있어 문제점을 제기하고 전환의 정립방안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The administrative agency has imposed sanction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action by indirectly forcing the line of duty with respect to administrative duties in order violators. administrative punishment is drawn to divide administrative penalty 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Today, social change and decriminalize sanctions for administrative offenses on administrative law and order dutie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times. According to decriminalization emphasized the cultural aspect was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the administrative punishment has been converted into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But there was cause many problems and confusion fondness targets, criteria and the amount of the administrative charge levied in as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n particular, administration of excess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the heavy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there is the problem of sanctions, redundancy, etc. Paper. Moreover, the administrative transition to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of administrative penalties in this situation, there is a growing risk that could lead to the phenomenon of escape to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of flooding, or punishment In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review the plans for the establishment of a government of transition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of administrative penalties to the effectiveness of the fundamental rights of citizens protection and ensuring effective than sanctions in administrative action, and is worth studying challenge. Therefore, in the transition to the administration of administrative punishments of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n this context, he raised the issue and was discussed about the establishment of a transition plan.

      • KCI등재

        행정형벌의 행정질서벌화 경향에 대한 소고

        이기세(Lee Ki Se),신형석(Shin Hyeong Seok) 한국범죄심리학회 2015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1 No.3

        행정상 의무이행확보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는 행정벌(行政罰)은 행정법규 위반에 대한 전형적인 제재수단으로서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로 구분되고 있다. 행정형벌(行政刑罰)은 국가의 형벌권작용으로서 현행「형법」제41조에 규정되어 있는 형벌을 말하며, 우리나라의 개별 행정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행정형벌의 대다수가 바로 이에 해당한다. 반면, 행정질서벌(行政秩序罰)은 개별 행정법규에서 통상 과태료(過怠料)라는 명칭으로 특정의 행정목적을 위해 부과되는 행정벌이며, 처벌의 법적 근거를 '法令'을 포함하여 지방자치단체의 '條例'에서도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행정형벌과는 그 법적 성격을 달리한다. 최근 현대행정의 복잡화ㆍ다양화 등을 이유로 개별행정법규 정립에 행정형벌이 지나치게 활용됨으로써 이로 인한 여러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행정형벌의 과잉입법을 지양하고, 행정질서벌(과태료)을 통한 수범자(受範者)의 의무이행확보수단 활용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국가형벌권행사 및 행정상 의무이행확보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행정벌은 특히, 행정형벌의 비범죄화ㆍ비형벌화라는 형사정책의 변화와 시대적 사조에 발맞추어 변화된 행정상 의무이행확보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요구받고 있다. An administrative punishment, which conducts the function of means to secure the executions of administrative obligations, is the typical sanction and classified into an administrative penalty and an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The administrative penalty means a criminal penalty which is the operation of a state punishment power, as provided in the current Criminal Law article 41, to which a lot of administrative penalties as provided in any individual administrative regulations in Korea would be applied. On the other hand,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s an administrative punishment imposed for a specific administrative purpose in the name of fine for default in any individual administrative regulations, and its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the administrative penalty in that the legal basis of the punishment can be founded even on the statute and the ordinance of a local government. While the administrative penalty is excessively exploited for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administrative regulations because of the complexificationㆍdiversification of modern public administration recently, its several problems have been shown. As an alternative against it, the excessive legislations of the administrative penalty shall be sublated and a claim, in which the exploitation of the means to secure the executions of obligation against a convicted person through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fine for default) is more effective, has been raised. Such administrative punishment, which is exploited as the means to exercise a state punishment power and to secure the executions of obligations, has been required as the role of the means to secure the executions of administrative obligations as altered in step with the change of a criminal policy and the trend of the times, specially such as the decriminalizationㆍdepunishment of administrative penalty.

      • KCI등재

        행정질서벌의 효율성을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

        고헌환(Ko, Heon-Hwan)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論叢 Vol.48 No.-

        행정청은 행정행위의 실효성확보수단으로 직접적 수단인 행정강제와 간접적 수단인 행정벌을 부과하고 있다. 의무이행 확보수단의 효율성을 고려해 볼 때 행정기능이 복잡하고 행정수요가 다양화됨에 따라 종래의 직접적 실효성 확보수단인 행정강제보다 간접적 실효성 확보수단인 행정벌의 기능이 강화되고 있다. 행정벌은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로 나누어진다. 행정질서벌은 행정질서의무 위반자에 대하여 금전적인 제재로 과태료를 부과하는 행위이다 그 근거 법률은 행정질서벌에 대한 새로운 인식하에 제정된 질서위반행위 규제법이다. 오늘날 사회변화와 시대적 흐름에 따라 행정법상의 행정질서 의무위반행위에 대한 제재가 비범죄화 · 탈범죄화적 측면이 강조됨에 따라 행정벌의 중심이었던 행정형벌이 행정질서벌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행정질서벌의 과잉, 또는 형벌의 행정질서벌에로의 도피현상을 야기할 수 있는 위험성이 커지고 있음에 따라 행정질서벌의 제재수단으로서의 적정성과 효율성이 요구되고 있다. 법률상으로는 행정질서벌을 부과함에 있어서 형법상 법리의 적용문제, 과태료의 산정기준, 부과의 대상, 시효, 구제수단 등 많은 문제점과 혼란을 야기 시키고 있다. 특히 제도적 측면에서 제재수단의 단일화, 행정질서벌의 과잉, 행정질서벌의 과중한 액수의 산정, 제재의 중복성, 행정질서벌의 징수 등에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행정질서벌의 적적성과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질서위반 행위규제법상의 쟁점과 행정형벌의 행정질서벌로의 전환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방안에 관하여 법제도적으로 고찰하였다. The administrative agency is imposing administrative coercion, which is a direct means, and administrative punishment, which is an indirect means, as a guarantee of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actions. Considering the efficiency of the means of securing mandatory execution, the function of administrative punishment, which is an indirect means of securing effectiveness, is being strengthened than the existing direct means of securing effectiveness, as administrative functions are complicated and diverse. Administrative punishment is divided into administrative punishment 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s the act of imposing fines on violators of administrative order with financial sanctions. The Act on the Basis for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enacted under a new recognition of administrative order. Today, the administrative punishment, which used to be the center of administrative punishment, is being transformed into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s the non-criminalization and de-criminalization aspects of administrative law are emphasized in accordance with social changes and the times. This phenomenon requires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s a means of sanctioning it as the risk of causing excessive administrative order or escape to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of punishment is increasing. By law, imposing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causes many problems and confusion, such as the application of the law under criminal law, the standard for calculating fines, subject of imposition, prescription, and means of relief. In particular, problems such as the unification of sanctions, the excess of administrative order, the calculation of excessive amounts of administrative order, the redundancy of sanctions, and the collection of administrative order bees are being raised in terms of institutions. the aptitude of administrative order in this context In order to promote the appropriateness and efficiency of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n the context of the law,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issue of the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and the conversion of administrative punishment into administrative order were presented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were considered in a legal and institutional manner.

      • KCI우수등재

        세법상 행정질서벌과 조세형벌의 중복적용 여부와 그 위헌성 - 부당과소신고 및 세금계산서 관련 제재를 중심으로 -

        權炯基 ( Kwon Hyungki ),朴薰 ( Park Hun ) 법조협회 2019 法曹 Vol.68 No.5

        국민은 세금과 관련하여 납세의무만을 지는 것이 아니라 조세행정상 각종 협력의무를 부여받고 있다. 조세행정상의 의무를 위반하는 경우에는 각종 행정질서벌이 부과되며, 더 나아가 일정한 행위를 하는 경우 형사적으로 처벌받기도 한다. 일정한 행위에 대해 행정질서벌 또는 행정형벌로 처벌하는 것은 입법재량의 문제로도 볼 수 있으나, 이를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 모두로 처벌하는 것은 문제될 수 있다. 헌법재판소는 행정질서벌로서의 과태료와 행정형벌이 동일한 행위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헌법상 이중처벌금지원칙에 위반된다고 하며, 이 때의 동일한 행위의 해당 여부는 보호법익 등 규범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형식상의 세금은, 일반적인 의미의 세금과 행정질서벌 성격의 세금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때 가산세 및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의 매입세액 불공제의 본질적 성격은 세법상 의무위반에 대한 행정질서벌 성격의 과태료로 보아야 한다. 그런데 부당과소신고 가산세와 조세포탈범 그리고 세금계산서 관련 행정질서벌과 거래질서 문란행위 형사처벌은 동일한 행위를 대상으로 이중적인 제재를 하는 것처럼 보이기에 위헌 여부가 문제될 수 있다. 부당과소신고 가산세와 조세포탈범은 중복 적용되는 부분이 있지만 규범적 요소를 고려해볼 때 각기 보호법익이 다르기에 이를 이중처벌 금지원칙 위반으로 보기는 어려운 반면, 과잉금지원칙 위반이 문제될 소지가 있다. 반면, 세금계산서 관련 행정질서벌과 거래질서문란행위 형사처벌은 동일하게 세금계산서 수수질서의 정상화를 위한 것으로서 보호법익이 동일하며, 동일 행위에 대한 이중적 제재이므로 이중처벌금지 원칙에 반하며 과잉금지원칙의 위반도 문제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위헌 여부가 문제되는 규정들은 입법적으로 재정비되어야 한다. Citizens are not only obliged to pay tax, but also are obliged to cooperate with the tax authorities in relation to various taxes. In case of violating tax administration duties, various administrative orders are imposed, and there may be a criminal punishment to certain actions. Administrative punishment or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on certain actions can be viewed as a legislative discretion. However, it may be problematic to apply both administrative penalty 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it is violation of prohibition against double jeopardy in case of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nd the administrative penalty are subject to the same action,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rmative factors such as protection of legal interests. When classifying general meaning of tax the 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tax, essential nature of both penalty and non-deduction of input Value Added Tax on the misrepresented tax invoices ar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type fine on the violation of tax obligation. However, there may be issue on the constitutionality on the unlawful under-reporting penalty, the tax evader and the tax invoice relate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nd the breach of transaction order criminal penalty, as they are subject to same action and duplicated sanctions may be established. There are some overlaps between tax evader and unlawful under-reporting penalty. Considering the normative factors, the protection interests are different, so it is difficult to violate the principle of double punishment. But, there may be an issue on application of anti-overrestriction principle. On the other hand, since both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n relation to tax invoice and breach of transaction order are for the normalization of tax invoice receipt order and have same protection of legal interests, it is violation of prohibition against double jeopardy principle. In addition, there may be an issue on application of anti-overrestriction principle. As a result, since the unconstitutionality of administrative penalty in relation to tax invoice and sanction provisions of breach of transaction order, legislative improvement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행정질서벌의 체계 및 법정책적 개선방안

        박효근 한국법정책학회 2019 법과 정책연구 Vol.19 No.1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s a kind of administrative penalties imposed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 of the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for violations of minor obligations, such as breaches of reporting, registration and parking duties in Individual Laws. The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mposed as an administrative fine imposition under the present law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administrative punishment imposing penalties and is also distinguished from penalties on the 「Traffic Law」 and Penalty surcharge in terms of personality, and is also distinguished from the Enforcement fine, an administrative fine as a disciplinary punishment and an administrative fine as a legal procedure laws.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 a general law of the imposition of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t stated legalism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which means no act shall be imposed a penalty for violation of order without law in order to secure the administration of the rule of law. However, the Act clearly requires subjective liability elements such as intention・negligence in cases of violation of order and requires the consciousness of illegality providing no an administrative fine be imposed in cases where there is a legitimate reason to misjudge the conduct of the person as legal. In addition, for the sake of responsibility, the reason for the exemption is provided for mental and physical reasons. In this context, the system of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phase is required in a situation wher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administrative penalties and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is relatively obscure. As a comparative law, we should refer to foreign legislative cases related to administrative order punishment and seek to the improvement plans on the law and institutional system in Korea. Specifically, it is necessary to rationalize the administrative fine imposition system above all so that an administrative fine imposition criterion according to the equality can be established by giving shape by type of the an administrative fine imposition acts and by appropriating the imposition criter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ationalize the collection system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ministrative fine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administrative fine imposition when referring to the relatively poor payment record of the administrative fine in comparison with the penalty. Lastly, for the purpose of guarant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people, the contents of the 「Act on the Regulation of Violations of Public Order」 should be amended to apply the administrative litigation procedure to the imposition of the administrative fine by administrative authority so as to recognize the status of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which imposed the administrative fine as a party to the administrative trial. It is also required to promote substantive legalism by actively utilizing the appeal litigation and the remedy of the party litigation accordind to the choice of the party. 행정질서벌은 개별법상의 행정상 보고・신고 및 등록의무위반 또는 주정차위반과 같은 경미한 의무위반행위에 대해 「질서위반행위규제법」 상의 절차에 따라 부과되는 행정벌의 일종이다. 현행법상 과태료처분으로 부과되는 행정질서벌은 형벌을 부과하는 행정형벌과 본질적으로 다르고, 「도로교통법」 상의 범칙금이나 과징금과도 성격상 구별되며, 이행강제금이나 징계벌로서의 과태료, 소송법상의 과태료와도 구별된다. 행정질서벌의 부과에 관한 일반법인 「질서위반행위규제법」 의 내용을 분석하면 법률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어떤 행위도 질서위반행위로 과태료를 부과하지 않는다는 질서위반행위 법정주의를 규정하여 행정질서벌에도 죄형법정주의가 적용됨을 천명함으로써 법치행정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동법에는 질서위반행위에도 고의・과실과 같은 주관적 책임요소를 명백히 요구하고 있으며, 자신의 행위를 적법으로 오인한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과태료를 부과할 수 없다고 하여 위법성의 인식을 요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한 책임성에 있어서도 심신상의 이유로 한 감면사유를 규정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의 구분이 상대적으로 모호해지는 상황에서 행정질서벌의 체계와 새로운 위상정립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비교법적으로는 행정질서벌과 관련한 외국의 입법례들을 참고하여 우리나라 행정질서벌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모색해야 하겠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우선 과태료 부과대상행위를 법률에서 유형별로 구체화하고 부과기준을 적정화함으로써 형평성에 맞는 과태료 부과기준이 정립될 수 있도록 과태료 부과체계를 합리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범칙금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과태료 납부실적을 참고할 때 과태료부과처분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과태료 특성에 맞는 징수제도를 합리화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국민의 기본권보장차원에서 「질서위반행위규제법」 의 내용을 개정하여 행정청의 과태료부과처분에 대하여 행정쟁송절차를 적용함으로써 과태료부과처분청도 행정쟁송의 당사자로서의 지위를 인정하고 당사자의 선택에 따라 항고소송 및 당사자소송의 구제수단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질적인 법치주의를 도모할 것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