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하느님의 백성’ 신학에 관한 연구

        서명옥(Seo, Myeong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7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두고 라너(K. Rahner)는 “교회에 관한 교회의 공의회”라 말한다. 이는 교회 역사상 어떤 공의회도 제2차 바티칸 공의회처럼 교회를 전체적 주제로 삼지 않았고, 교회의 개념을 그 구성원의 상호결합으로 부터 시작하여 인류 전체로 발전시키지 않았으며, 엄격한 의미에서 사목적 행위를 교의적 진술의 원리로 삼지 않았다는 말과 부합한다. 이러한 교회에 관한 총체적 숙고를 거쳐 이 공의회가 새롭게 인식한 교회상이 바로 ‘하느님의 백성’이다. 이 ‘하느님의 백성’ 개념은 무엇보다 교회의 모든 구성원, 교계제도와 평신도가 각각 고유한 은사와 임무를 지니고 진정한 평등성 속에 전체로서의 하나의 교회를 이루고 있다고 이해한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코페르니쿠스적 혁명”(L.-J. Suenens)이라 칭할만큼 획기적인 교회상인 이 ‘하느님의 백성’은 종전까지 교회가 얼마나 엄격한 신분구조와 제도적 개념에 묶여있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교회 구성원의 평등성은 교회가 지향하는 목표의 시발점이어야지 결코 종착점이어서는 안 된다. 하느님의 백성의 본질을 이루는 것은 이 백성이 새로운 메시아의 백성이라는 것이다. 곧 그리스도로부터 불리어 그리스도에 의해 세워지고 그리스도로부터 파견되어 그리스도를 좇으며 그리스도를 살아가는 무리이다. 그런 까닭에 이 공동체의 생성과 발전과 실존의 원리는 그리스도의 직무이며, 그리스도의 직무(왕직, 사제직, 예언직)에의 참여와 실행이 ‘하느님의 백성’ 개념의 본질이며 핵심이다. 본고는 ‘교회는 하느님의 백성’이라는 말의 본질을 오늘날 제대로 이해하며 살고 있는지를 반성하며, ‘하느님의 백성’에서 참 교회와 인간 실존의 구상과 전망을 발견하고, 그 실현이 구체적으로 하느님, 인간, 세상에 봉사하는 그리스도의 직무 실행에 있음을 밝힌다. 아울러 이 직무의 실행에서 교회의 교의와 사목이 상호침투 되어야 하는 것도 중요하게 살핀다. 결국 교회가 지향하는 ‘하느님과의 깊은 결합과 모든 인간의 일치’ 안에 하느님의 백성은 구원의 성사로서 존재하고, 그 안에 인간의 진정한 인간화의 길 또한 들어있다. “The People of God” is the kernel concep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ecclesiology and the broadest idea concerning the church. It means this council that is called “the Council of the Church about the Church”(K. Rahner), has a new understanding of the origin and the meaning of the church, the identity and the existence of the church and the mission and the aim of the church through the general consideration for the church. Thus the People of God is a newly conceived image of the church in this Council. Primarily, this Council regards all the members in the church as parts of the whole, each having his own gifts and duties and being equal to one another under this concept, “the People of God.” The church is the community of the People of God, namely one church as the whole that is comprised of the hierarchy and the laity in true equality. That “the People of God” was an epoch-making image of the church that was called “the copernican revolut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L.-J. Suenens) shows clearly the church was tied to the strict constitutions of ranks and institutional notions. However, this equality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should be the starting-point of the aim of the church, never the aim itself. In the essence of the People of God, there is the concept that this people are the new Messianic people. That is, a group of people that is called by Christ, is founded by Christ, is sent from Christ, follows Christ and lives for Christ. Therefore the principle of the formation, the development and the existence of this community is the Offices of Christ. The Offices of Christ are the duties of this people and the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of the three Offices of Christ i.e. Prophet, Priest and King are the quintessence and kernel concept of the People of God. This treatise reflects on whether people correctly understand and perform the word, the “Church is the People of God” that is so well known today that it almost sounds banal, and then finds the concept and the prospect of the true existence of the church and of the human being in the People of God, and lastly clarifies that the realization of them depends on execution of the Offices of Christ which serve God, human beings and the world. This paper also examines that the mutual penetration of Dogma and Pastoral of the church is very important in the performance of these Offices. Finally, the People of God exist as the sacrament of salvation in “a very closely knit union with God and of the unity of the whole human race”, namely, the aim of the church, and the way of the true humanization of the human being is also to be found in it.

      • KCI등재

        예수의 하느님나라 선포를 통해 본 평등의 비전

        김경희(Kim Kyung-He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0 신학사상 Vol.0 No.150

        우리가 예수의 하느님나라 말씀들을 연구하고자 할 때 하느님나라의 시간적인 차원―미래적이냐 현재적이냐 하는―보다는 그 말씀들이 표현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주목하면 우리는 예수의 하느님나라 말씀들이 영적인, 종교적인 지평 보다는 자주 사회적인, 물질적인, 사회경제적인 현실에 관여하고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회적인, 물질적인, 사회경제적인 현실에 관여하는 하느님나라 선포가 예수의 평등의 비전에 의해 관통되고 있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첫째로 두드러지는 것은 사회적 평등의 비전인바, 하느님의 나라는 모든 사람이 인간적 존엄성을 부여받는 사회적 평등의 실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뜻한다. 이는 가장 작은 자가 가장 큰 인물인 세례자 요한보다 하느님의 나라에서는 더 큼을 선언하는 마 11:7-11/눅 7:24-28. 세리와 창기들이 명망 있는 상류층의 인사들보다 먼저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감을 선언하는 마 21:31c, 하느님의 나라가 어린아이와 같은 사람들의 것임을 선언하는 막 10:13-16 평행에서 드러난다. 둘째로 두드러지는 것은 경제적, 정치적 평등의 비전인바, 하느님의 나라는 모든 사람에게 생존권과 권력에의 참여가 보장되는 경제적, 정치적 평등의 실현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하느님의 나라가 가난한 사람들의 것임을 선언하는 눅 6:20-21 Q, 부자가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가는 것은 불가능함을 선언하는 막 10:25 평행, 늦게 온 일꾼들에게 동일한 임금을 나눠주는 포도원주인의 처사를 묘사하는 선한 포도원 주인의 비유(마 20:1-15)에서 드러난다.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words of Jesus regarding the kingdom of God, especially to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words rather than to the question of time of the kingdom of God ― whether it is future or present ―, we come to recognize that the words of Jesus concerning the kingdom of God are involved more often with the social, material, and socio-economic reality than with the spiritual and religious horizons. This thesis attempts to show that Jesus' proclamation of the kingdom of God engaged in the social, material, and socio-economic reality is closely connected with Jesus' vision of equality. The first prominent aspect in such words of the kingdom of God is the vision of social equality: the kingdom of God signifies the conditions where social equality endows all people with human dignity. This becomes evident in the following texts: Mt 11:7-11/Lk 7:24-28, which declares that the least is in the kingdom of God greater than John the Baptist, the greatest man in the world; Mt 21:31c, which proclaims that the tax collectors and the harlots go into the kingdom of God ahead of the high class members in society; and Mk 10:13-16 Parr., which announces that 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the people like children. The second prominent aspect is the vision of economic and political equality: the kingdom of God signifies the conditions where the realization of economic and political equality secures the right to live and guarantees the participation in power for all people. This becomes evident in the following texts: Lk 6:20-21 Q, which declares that the kingdom of God belongs to the poor; Mk 10:25 Parr., which asserts that the rich are unable to enter into the kingdom of God; Mt 20:1-15, which describes the management of the good vineyard lord who pays the same wages to the workers who come late.

      • 하느님과의 합일을 향한 일치의 여정 안에서 향주삼덕의 역할 : 십자가 성 요한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채명성 인천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10 누리와 말씀 Vol.- No.28

        A study on the role of the theological virtues in the spiritual journey for the divine union with God. - Based on the Teaching of St. John of the Cross - Today, the structure of the soul is not treated any more in the modern spirituality. There are more investigations into the overall personality of the human being who has a relationship with God of his own free will. Many people recognize that faculties of the human being's soul, such as ‘understanding’, ‘memory’ and ‘will’, take charge of an absolute role on the spiritual way to God.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se faculties have a major role in the spiritual itinerary, especially in the beginning, purification and some parts of illumin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is would not be enough when we want to reach to the union with God which is the goal of the whole spiritual journey. It is clear that the ‘knowledge about the God’ is certainly different with the ‘union with God’. All we are called supernaturally to the union of divine love and to the transformation of the soul with God. In order to go over such divine union with God, we must have a ‘faith’ only to God, ‘hope’ and ‘charity’. And it is possible as a result of the spiritual purification of understanding, memory and will through the dark night of the soul. St. John of the Cross constantly emphasizes that ‘three theological virtues’ are fundamental necessities and unique way to lead the union with God. This Saint's viewpoint is consistent theme which flow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in his major writings. And this is a mystical heritage that the church has held as a counterplan for the modern spiritual thirst. The thoughts of Scholasticism affected Saint's basic concept of human being, so there are three faculties of the soul : understanding, memory and will. The reason that these faculties must be purified is because they have no capacity for being enlightened and possessed by the pure and simple light of God. For this reason, in order to attain to Divine union with God, they must pass through the dark night of mortification of the desires and denials of pleasures in all creatures, and ‘the theological virtues’ play a most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When these three faculties of the soul are perfectly annihilated and calmed, along with the passions, desires and affections of our soul, we can go forth from our own human dealings and operations to the that of God. That is to say, our understanding goes forth from itself, turning from the human and original nature to the Divine, when it is united with God by means of the purgation through ‘faith’. Consequently, its understanding no longer comes through its natural light and vigour, but through the divine wisdom. And our will goes forth from itself, becoming Divine, being united Divine love, it no longer loves with its natural strength, but with strength and purity from the Holy Spirit, and thus the will, which is now near to God by means of ‘charity’. And similarly the memory becomes transformed into eternal apprehensions of glory by means of ‘hope’. Finally, by means of this night and purgation of three theological virtues, all the energies and affections of the soul are wholly renewed into a Divine temper and Divine delight. The divine union and communion with God is not only permitted to people who dedicate their all lifetime to the contemplative life. St. John of the Cross shows all people the safest and fastest way of the spiritual journey toward the union with God. The way is just to practice the theological virtues, which is a continual negation about oneself and the world, to live as God's will instead of our own will, that's to say, a true positive way. 오늘날 현대 영성 안에서 영혼의 구조에 대한 언급은 더 이상 없다. 오히려 하느님께 응답하는 자유를 지닌 존재인 인간의 인격 자체를 더 고찰함으로써 인간에 대한 총체적 이해에 더욱 많은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총체적 인간 이해 안에서 인간 영혼의 능력인 지성과 기억과 의지는 하느님을 찾아가는 영적 여정(el camino espiritual)에서 절대적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다. 물론 하느님과의 일치를 위한 영적 여정 안에서 영혼의 능력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이러한 영혼의 능력들이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단계는 영적 여정에서의 시작 단계, 즉 정화와 조명의 단계 일부에서이다. 분명 하느님에 ‘대해’ 아는 것과 하느님 그분을 온전히 만나 일치하는 것은 다른 것이다. 우리 모두는 하느님과의 사랑의 합일, 즉 일치의 단계로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이다. 그리고 그러한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우리의 지성과 기억과 의지는 어둠 속에 머물며 정화되어 하느님만을 믿고 희망하며 사랑해야 하는 과정을 겪어야 한다. 교회의 전통 안에서 십자가의 성 요한만큼 향주삼덕(向主三德, tres virtudes teologales)을 하느님과의 합일에로 이끄는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수단으로 가르치고 또 강조한 분은 없을 것이다. 십자가의 성 요한의 인간에 대한 기본적 이해는 스콜라 학문의 체계에 그 기초를 두고 있는데, 성인에 따르면 인간의 영혼은 지성(이성)(el entendimiento)과 기억(la memoria)과 의지(la voluntad)라는 세 가지 능력을 가지고 있다. 영혼은 이 세 능력을 가지고 신적 은총의 도움을 받아 하느님과 일치할 수 있지만, 이 능력들은 본성상 자연적인 대상에로 향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어서 초자연적인 하느님을 그 대상으로 갖지 못한다. 그러므로 이 세 능력을 비우고 벗어버려 결국 이것들로부터 캄캄해져야 비로소 하느님을 소유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일을 하는 것이 바로 믿음(la fe), 희망(la esperanza), 사랑(la caridad), 곧 향주삼덕의 역할이다. 지성이 거룩한 일치를 위해 준비되기 위해서는 감각에 들어올 수 있는 모든 것에서 비워지고 깨끗해져야 하며, 지성 안으로 들어올 수 있는 모든 것을 분명하게 벗어던지고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그래서 지성은 아주 고요하고 잔잔해져야 하며, 영혼이 하느님과 일치되기 위해 유일하게 적합하고 적절한 방법인 믿음에 의지해야 한다. 하느님께서 우리 지성에게 암흑이신 것처럼 믿음 역시 우리 지성의 눈을 멀게 하고 지성의 눈을 부시게 한다. 그래서 하느님께서는 지성이 가지고 있지 않은 거룩한 빛 속에서 오직 믿음을 통해서만 당신을 영혼에게 드러내신다. 영혼이 믿음을 많이 가지면 가질수록 하느님과 더욱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성인은 기억과 향주덕 가운데 하나인 희망을 관계지어서 소유하려는 기억과 이를 비우려는 희망의 도식으로 설명을 전개한다. 하느님과 일치를 이루려는 영혼은 기억 속에 있는 모든 형상들을 조금이라도 남길 수 없고 모두 없애야 한다. 즉 영혼이 하느님이 아닌 모든 것에 대한 기억을 비워감에 따라 하느님 자신이 영혼 안에 채워지고 영혼은 하느님을 소유하게 된다는 것이다. 사랑의 덕은 본질적으로 의지를 어둡게 한다. 의지가 현세적 재화, 자연적ㆍ감각적ㆍ윤리적ㆍ초자연적ㆍ영적 재화들에 애착할 때 영혼은 이것들을 바라고 기뻐하고 슬퍼하고 무서워하느라고 온 마음으로 하느님을 사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하느님 사랑과 인간의 무질서한 사랑은 본질적으로 공존할 수 없는 것이기에 의지의 정화는 필요하다. 여기에서 하느님의 자기 양도에 대해 인간의 의지를 변형시키고 새롭게 함으로써 응답을 하도록 이끌어주는 것이 바로 사랑이다. 일치를 위해 기본 수단이 되는 향주삼덕은 ‘어둔밤’이라는 인간 정화의 과정과 근본적인 관련을 맺고 있다. 즉, 이성 안에서 믿음은 하느님을 있는 그대로 인식하게 하고, 기억 안에서 희망은 하느님만을 원하게 하며, 의지 안에서 사랑은 하느님을 완전히 사랑하게 한다. 정화의 어둔 밤에서 영혼이 겪게 되는 이성의 어둠과 기억의 비움과 의지의 박탈이라는 고통스런 체험의 원인은 향주삼덕이다. 영적 여정 안에서 기도의 체험은 전적으로 하느님의 은총으로 지탱되는 것이지만, 동시에 열성을 다하는 영적 노력을 요구하는 것이며, 또한 고통스러운 정화(어둔밤)의 과정을 필연적으로 요구받는다. 그렇다고 하느님과의 합일과 그분과의 친교가 전적으로 자신의 삶을 관상적 삶에로 봉헌한 이들에게만 허락된 것은 아니며 더욱이 성인의 가르침인 향주삼덕의 실천 또한 어떤 특정한 신분에게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십자가의 성 요한의 가르침은 하느님 자녀로서의 소명에 몸과 마음을 다 바쳐 응답하는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리고 언제나 모든 것에서 하느님께 절대적 우위성을 드리려는 이들에게 주어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하느님은 세계 내에서 어떻게 행동하는가?

        조현철(Cho, Hyun-Chul)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신학과 철학 Vol.- No.21

        세계 내에서 하느님이 활동한다는 믿음은 유대-그리스도교 전통에서 당연히 전제되어 온 신앙의 핵심 내용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끊임없이 논란을 일으켜 온 문제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하여, 일찍부터 하느님의 정의와 세상의 악이라는 신정론의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또한, 근대의 자연과학적 세계상은 이 관념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으로 작용했거나 긴장 관계를 형성했다. 인과율로 빈틈없이 닫혀있는 거대한 기계로 간주되는 고전물리학의 기계론적 세계상에서 하느님의 행동은 인과율을 위반하거나 정지시키는 개입의 형태로 생각될 수밖에 없었다. 결국, 개입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느님의 객관적인 특별 행동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하는 양자택일만이 존재했다. 하지만 오늘날의 과학적 세계상은 이전의 기계론적 세계상과는 달리 예측불가능성, 개방성, 유연성, 경향성 등의 특징들을 보여주며, 이로써 세계 내 하느님의 행동을 새롭게 생각할 가능성이 생겨났다. 이런 가능성을 바탕으로, 오늘날 이 주제에 대한 논의가 신학과 철학과 자연과학의 학제 간 연구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 글은 세계 내 하느님의 행동을 역사적, 주제별로 개괄한 후, 아퀴나스(Thomas Aquinas)와 피콕(Arthur Peacocke)이 제안한 “제1원인-제2원인”과 “전체-부분 제어”를 검토한다. 이들은 모두 하느님의 행동 담론의 근본 원리와 전제가 되어야 할 신적 초월성, 내재성, 신실성을 보존하면서, 자신에게 가용한 세계상 속에서 하느님의 행동 방식을 고려 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런 점에서 이들의 제안은 앞으로 하느님의 행동 담론에 일종의 지침을 제공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현대의 자연과학적 세계상 속에서 하느님의 행동을 제시하려는 이러한 노력은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이 신앙의 핵심 내용을 더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While the belief that God acts in the world is a core element of faith in the Judeo-Christian tradition, it has also been an issue which ceaselessly arouses controversy. The ideas of theodicy about divine justice and evil in the world have been proposed in earlier times, and scientific worldviews of modern times have usually ben set against these ideas or formed a tension with them. In the mechanistic worldview of the Newtonian physics, understood as a giant machine closed by causal relations, the way God acts in the world cannot but be conceived as a form of intervention. Today’s scientific worldview, however, unlike the mechanistic worldview of the past, bears features of unpredictability, openness, flexibility, and propensity that open it to the possibility of conceiving divine action in a new way. This possibility has been actively discussed today i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 of theology, philosophy and natural sciences. This essay gives a historical and a thematic overview of ideas of the divine action in the world and then reviews “the primary cause – secondary causes” and “the whole-part constraint” as presented by Thomas Aquinas and Arthur Peacoke respectively. Both of these men have one point in common in that they considered the way God acts in the world within the worldviews available to each of them, while seeking to preserve the divine transcendence, immanence, and faithfulness which I think must be fundamental principles and presuppositions of any discourse on divine action in the world. One may find in their propositions of any discourse on divine action in the world. One may find in their propositions a guideline to future discourse on such divine action. Such a guideline for investigating the divine action in the world in the context of today’s scientific worldview can help contemporary Christians more seriously consider and accept a core element of their faith.

      • 모세오경 안에 나타나는 “하느님의 영광”에 관한 신학적 의미

        홍승모(Hong Seungmo)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7 누리와 말씀 Vol.- No.41

        모세오경 안에는 “하느님의 영광”(탈출 24,16)이란 표현을 직접 사용하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하느님의 영광을 나타내는 구절이 모두 18회에 걸쳐서 언급되고 있다. 탈출기에 9회(탈출 16,7.10; 24,16.17; 29,43; 33,18.22; 40,34.35), 레위기에 2회(레위 9,6.23), 민수기에 6회(민수 14,10.21.22; 16,19; 17,7; 20,6), 그리고 신명기에 1회(신명 5,24) 나타난다. 하느님의 영광이 18차례 열거되고 있는 각 구절들을 분석하면 하느님의 영광과 연관되어 세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1.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첫째 범주 ・ 탈출기(탈출 16,7.10) ・ 민수기(민수 14,10.21.22; 16,19; 17,7; 20,6) 2.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둘째 범주 ・ 탈출기(탈출 24,16.17) ・ 신명기(신명 5,24) 3.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셋째 범주 ・ 탈출기(탈출 29,43; 33,18.22; 40,34.35) ・ 레위기(레위 9,6.23)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첫째 범주에서는 반-출애굽이라는 하느님의 구원과 역행하는 저항과 반역에 대해 하느님의 거룩한 분노와 정의로운 심판을 매개로 결국 당신 백성을 구원하시어 출애굽의 구원 역사를 성취하시는 하느님의 본질적인 구원의 의미가 하느님의 영광에 내재되어 있다.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둘째 범주에서는 율법이라는 하느님의 말씀을 통해 출애굽 여정 속에서 당신 백성들과의 계약이 지속되고 모세를 통해 당신 백성들과 머무시며 통교하시기를 바라는 하느님의 자비로운 현존의 의미가 함축되어 있다. 하느님의 말씀은 그 말씀을 듣고 지켜야 하는 생명의 원천이며 출애굽이라는 구원 역사 안에서 계약이 지속되는 근본 원리이기 때문이다. 하느님의 영광이 드러나는 셋째 범주에서는 만남의 천막과 관련되어, 당신의 백성들을 특별한 방법으로 보호하시고 인도하시는 하느님의 은총과 자비가 드러나고 있다. 만남의 천막은 경신례의 중심부로서 하느님께서 약속하신 축복과 평화를 향유하기 위해 본질적으로 전제되어야 할 관계가 경신례라는 사실을 나타낸다. 여기서 하느님의 영광은 당신 백성들 가운데 함께 하신다는 당신의 거룩한 현존의 명백한 표지를 나타내는 증거이며, 만남의 천막 앞에서 드리는 경신례를 통해 현재화 된다는 사실을 함축하고 있다. In the Pentateuch, the expression of The Glory of YHWH(Ex 24:16) , phrase of expressing the glory of God, are mentioned 18 times, directly and indirectly. 9 times in the Book of Exodus(Ex 16:7. 10; 24:16. 17; 29:43; 33:18. 22; 40:34. 35), 2 times in the Book of Leviticus(Lv 9:6. 23), 6 times in the Book of Numbers(Nm 14:10. 21. 22; 16:19; 17:7; 20:6), and 1 time in the Book of Deuteronomy(Dt 5:24). Those 18 phrases, which are related “The Glory of YHWH”, can be divided into 3 categories. 1. The first category shown “The Glory of YHWH” The Book of Exodus(Ex 16:7. 10) The Book of Numbers(Nm 14:10. 21. 22; 16:19; 17:7; 20:6) 2. The second category shown “The Glory of YHWH” The Book of Exodus(Ex 24:16. 17) The Book of Deuteronomy(Dt 5:24) 3. The third category shown “The Glory of YHWH” The Book of Exodus(Ex 29:43; 33:18. 22; 40:34. 35) The Book of Leviticus(Lv 9:6. 23) In the first category; lies the fundamental (essential) meaning of God’s salvation God who eventually saves His people and achieves His salvation of Exodus by a medium of His holy wrath and righteous judgment against Anti-Exodus done by recalcitrance and rebellion. In the second category; implies the meaning of God’s merciful presence God wanted to last His covenant with His people through the Laws, God’s Word, during Exodus journey. God wanted to be and communicate with His people through Moses. The Word of God is the spring of life, which should be kept by listening and doing, those are the essential principals to be maintained in the salvation history of Exodus. In the third category; showing God’s grace and mercy relating Tabernacle or Tent of Meeting God protects and leads His people in his special ways, and his grace and mercy has been revealed. Tent of Meeting is the core of cultic ritual; it is shown that Tabernacle is the essential prerequisite relationship to enjoy God’s promised blessing and peace. Here, “The Glory of YHWH” is the hard proof to show Theopany, which God is with His people, and it implies that it is made to be the present through cultic rituals held in front of Tabernacle.

      • KCI등재

        하느님의 육화와 인간의 인간화: 그리스도인의 성탄절 이해와 실존에 관한 연구

        서명옥(Seo, Myeong 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09

        하느님의 육화는 그리스도교의 중심 교의이다. 그것은 그리스도교 신앙의 전제이자 그리스도교 신학의 기초인 계시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기도 하다. 사람이 되신 하느님의 말씀, 예수 그리스도가 바로 그 계시의 내용이며 중개자이고 완성이기 때문이다. 이 예수 그리스도, 사람이 되신 하느님의 탄생을 축하하고 기리는 축제가 바로 성탄절이다. 이 축제의 중심에는 인간을 구원하기 위하여, 하느님이 인간이 되셨다는 신앙이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육화의 축제에 우리가 그리스도인으로 살아가는, 곧 우리가 신앙하는 현실의 중심이 있다. 왜냐하면 이 육화의 축제에서만 하느님의 신비가 인간에게 열리고, 인간이 신적인 본성에 참여하는 구원의 신비가 인간에게 약속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2000년 전, 베들레헴에서 태어난 그 가난한 아기가 (인간이 되신) 하느님이며 우리를 구원할 구세주라는 성탄 메시지를 오늘의 그리스도인이 순전히 교리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체험하는가이다. 본고는 이에 따라 특별히 현대 일반 사회에서도 주목할 만한 중요한 축제인 성탄(절)의 신비와 의미는 본래 무엇인지, 그것이 복음서와 교회의 교의와 의식 속에 어떻게 나타나고, 그것을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이해하고 인식하여 자신의 삶 속에서 실제로 구현할 수 있는지 탐구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결국 성탄절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결정적 의미는 인간의 인간됨의 축제인 것에 있음을 밝힌다. 곧 성탄 축제의 중심에 있는 하느님의 인간됨이 인간의 인간화의 원형(原形)이 되는 것이다. 바로 성탄절에 그리스도인은 하느님이 인간이 되신 그 삶을 기뻐하고 축하하며, 그리스도인 자신도 기꺼이 그 삶을 살아갈 것을 메시지로 듣는다. 하느님이 인간이 되신 것을 우리가 축하하는 이유는 하느님이 인간이 되심으로써 참되고 완전한 인간 모습의 원형을 알게 됨과 동시에, 그렇게 하느님이 실제로 살고 보여 주신 바로 그 인간에 이를 때 비로소 우리가 구원에 이르게됨을 깨닫고, 삶의 방향을 바로 찾게 되는 것에 있다. 결국 하느님의 육화는 동시에 인간의 참인간화의 표상이다. 그런 점에서 오로지 그것, ‘인간의 인간화’가 성탄절에 하느님의 육화 안에서 그 원천에서부터 인식되고 실행되어야 할, 그리스도인의 지상(至上) 과제이자 목표일 것이다. The Incarnation of God is the central dogma of Christianity. It is also the basis of the revelation which is the premise of Christian faith and the foundation of Christian theology. This is because the Word of God who became a human being, Jesus Christ, is the content, the intermediary and the completion of revelation. Christmas is the feast that celebrates and honors the birth of Jesus Christ, God who became human. At the heart of this feast is the belief that God became human in order to save humanity. Therefore, in this feast of the Incarnation, there is the center of the reality in which we live as Christians. Only on the feast of the Incarnation God’s mystery is opened to human, and the mystery of salvation, in which man participates in the divine nature, is promised to human. The question is whether today’s Christians who know the doctrine about the Incarnation but do they actually experience the Christmas message that the poor baby who was born in Bethlehem 2,000 years ago, is God (who has become human) and the savior who will save u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what the original meaning and the mystery of Christmas, which is an important festival that is especially noteworthy in modern general society. We look at how it appears in the Gospels, dogmas and rituals of the church, and how Christians can understand and recognize it and actually realize it in their own lives. And through this process, it finally clarifies that the most decisive meaning that Christmas gives us is that it is a feast of the humanization of the human being. In other words, the Incarnation of God is at the center of the Christmas Feast and it becomes the original form of humanization of the human being. On Christmas Day, Christians rejoice and celebrate God becoming human and they hear the message they themselves are willing to live that life. The reason why we celebrate the Incarnation is that we become aware of the true and complete archetype of the human being and at the same time, we realize that we will be saved, when we reach the very human being who God actually lived and showed us, and to find the right direction of our life. Finally, the Incarnation of God is at the same time a symbol of the true humanization of the human being. In that respect, the ‘humanization of the human being’ will be the supreme task and goal of the Christian, which should be recognized and implemented from the source of the Incarnation of God, which the christians celebrate at Christmas.

      • KCI등재후보

        욥 42,7-8의 ‘하느님의 평결’에 대한 고찰

        이명기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09 神學展望 Vol.- No.164

        본고는 욥기 맺음말(42,7-17)이 대부분 해설로 이루어진 가운데 유일하게 하느님의 직접 화법을 전하는 42,7-8에 주의를 기울인다. 맺음말에서는 욥의 기도가 받아들여지고 보상을 받게 됐다는 결말이 부각된다(42,9-17). 그러나 하느님이 욥 친구들을 직접 심판하시는 42,7-8의 평결 말씀은 하느님에 관한 욥기의 결론적 성찰이기도 하다. 곧 평결에서 하느님은 욥 친구들이 당신께 옳게 말하지 않은 데 대해 크게 분노하신다. 그러면서 욥이 그들을 위해 중재기도를 하면 그들을 어리석게 다루지 않겠다고 말씀하신다. 하느님의 분노란 심판 행위와 관련되는데, 여기서 하느님이 그들을 “어리석게 다루지 않겠다”는 말씀은 의문을 불러낸다. 이에 본고는 이 말의 히브리어 표현을 통해 ‘어리석음’이란 곧 ‘난폭함’을 뜻한다는 사실을 밝힌다. 다른 한편, 하느님이 인간에게 중재기도를 위임(또는 요청)하시는 것은 인간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자 하시는 표지이다. 달리 말해 인간 죄에 대한 하느님의 분노와 그에 맞갖은 행동으로서 어리석게(난폭하게) 행동하심은 그분의 정의로운 심판을 나타내는 표지이지만, 하느님이 인간에게 중재기도를 위임(또는 요청)하시는 것은 인간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자 하시는 표지가 된다. 따라서 본고는 42,7-8에 묘사된 하느님의 불붙는 듯한 분노, 하느님이 인간을 어리석게(난폭하게) 다루실 수도 있는 위기, 그러나 이를 저지하도록 하느님이 이끄시는 인간 중재 등의 생생한 표현은 하느님이 인간에게 가까이 계시는 분이라는 욥기의 계시 체험을 보여준다는 사실로 결론 맺는다.

      • KCI등재

        구약 성경의 여성들이 보여 주는 하느님의 모상성

        강은희(Kang, EunHee)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神學展望 Vol.- No.207

        본고는 여성의 천성이 성경에서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를 탐구한다. ‘여성의 천성’이란 교황의 사도적 서한에서 여성의 존엄과 소명의 근간이 되는 개념으로 제시한 것이다. 서한은 한편으로는 여성의 윤리적, 영적 힘을 높이 평가하면서, 또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여성의 천성을 모성과 연결한다. 그런데 그 적용 과정에서 여성이 모성 자체와 동일시 되어 버리면 여성성의 축소라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이 문제에 관하여 성경에서 어떤 답을 얻을 수 있을까? 인간이 하느님의 모상대로 창조되었다면 여성의 천성 역시 하느님의 모상성에 근거한다. 인간에게 보인 적은 없으나 인간이 체험해 온 하느님은 우주만물의 창조주이자 인간 삶의 동반자며 종말적 구원자시다. 여성들은 이러한 하느님의 모상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 구약 성경에서 공적으로 칭송의 대상이 되고 있는 여성들은 비단 모성의 영역에서만 기여한 것이 아니라 창조주이자 동반자며 구원자신 하느님의 모상을 모두 반영하고 있다. 여성들은 그들의 삶을 통하여 하느님의 모상을 각자의 방식대로 반영하고 있다. 구약 성경의 타마르(창세 38장 참조)와 룻, 그리고 유딧은 그들이 속했던 세상의 규범에 충실하면서도 그 한계를 뛰어 넘은 여성들이다. 이들의 삶은 저마다 하느님의 모상을 반영하는 동시에 여성성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타마르는 스스로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죽은 남편의 가계를 이음으로써 유다 가문의 여시조(女始祖)가 된다.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웠던 한 집안을 생명으로 채워 준 타마르의 삶은 창조주 하느님의 모상을 반영한다. 룻은 남편이 세상을 떠난 후에도 시모(媤母) 나오미를 충실히 동반함으로써 이스라엘과 함께 거니시는 하느님의 모상을 반영한다. 유딧은 이민족이 동족 이스라엘을 위협하자 적진으로 들어가 적장의 목을 베어 옴으로써 민족을 구원하며 이스라엘은 유딧을 통하여 구원자 하느님을 보게 된다. 이 세 여성들의 삶은 개별적 중요성을 띠며, 모든 여성의 삶을 모성의 실현으로 단순화시킬 수 없음을 보여 준다. 여성의 천성이 모성으로만 규정되는 한, 하느님의 모상성을 실현시키려는 여성의 무한한 가능성을 오히려 제한하게 될 수도 있다. 여성의 천성을 결정론적, 남녀 양성 이분법적 시스템에 의해 규정지으려 하기 보다는, 하느님의 백성으로 살아가는 여성들이 그들의 삶을 통하여 창조적으로 하느님의 모상성을 실현시키며 여성성을 확장시키고 있는 것에서 찾는 것이 더욱 건설적일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Ingenium mulieris” is portrayed in the Bible. Ingenius Mulieris is the concept from the apostolic letter, providing the basis of the dignity and vocation especially for women. The letter praises the ethical and spiritual ability of women on the one hand, and highlights motherhood as the inherent characteristic of women on the other. In its application to the real world and real human person however, women tend to be identified with maternity, which brings about the reduction of the femininity. What does the Bible teach us regarding this problem? That human being is created after the image of God also means that the image of God is the source for the nature of being woman. Never seen though, God has been experienced throughout the human history as the Creator, Companion, and Saviour. Those women praised in the Scripture not only contribute to the realm of motherhood, but also reflect the image of God, the Creator, Companion, and Saviour. These Biblical women, Tamar(Gen 38), Ruth, and Judith, have been faithful to the way of life of their own times, and at the same time, they transcend the limits imposed on them by their times and society. Each of their lives reflects the image of God, and thus broadens the horizon of the femininity. Tamar risks her own life to give birth to her deceased husband’s house and marks her position as the matriarch of the house of Judah. She reflects the image of God, the Creator. Ruth, even after her husband’s death, faithfully accompanies Naomi, her mother-in-law. Leaving every human condition behind, Ruth forms an indissoluble bond with Naomi. Ruth reflects the image of God who walks with the people of God. Judith, when her people’s fate is at stake, bravely infiltrates into the enemy’s camp and beheads the enemy commander, which no man in Israel dared to do. She is the personification of God, the Saviour. Each of these women’s lives carries individual significance, and makes it clear that it is impossible to simplify all women’s life journeys into the realization of motherhood only. As long as woman’s ingenuity is defined by only in terms of motherhood, we cannot expect from women the boundless possibility of the realization of the image of God. Woman’s ingenuity cannot be determined by the binary system on the basis of sexuality. Rather, it would be more constructive to figure out how creatively women have been realizing God’s image in this world, ever redefining femininity.

      • KCI등재

        『사람의 아들』에서 제기된 하느님의 정의와 인간의 정의 관계 문제에 대한 신학적 고찰 :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임민균(Im, Min Ky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9

        이 연구에서는 『사람의 아들』에서 제기하고 있는 그리스도교 신앙과 관련한 비판과 의문에 『가톨릭 교회 교리서』를 기초로 신학적 답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하여 인간 고통과 사회 부정의 문제에 그리스도교적 전망을 긍정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통해 종교와 문학 간의 대화를 통해 교제간 융합과 발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사람의 아들』은 우선 하느님의 말씀이 인간 고통과 사회 부정의 문제에 아무런 실제적인 도움을 주지 못 한다고 지적한다. 또한 전능하신 하느님이 자신의 섭리대로 다스리는 세상에 인간에게 자유의지는 존재하지 않고, 고통을 죄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으로 받아들일 것을 강요한다고 비판한다. 이러한 비판에 대하여 그리스도교 신앙은 우선 악의 존재와 관련하여 하느님에게 자신의 섭리로 악에서 선을 이끌어낼 충분한 능력이 있음을 확인한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 신비는 함께 아파하는 신적 사랑으로 고통을 직면하고,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따라서 하느님 사랑에 기초하고 있는 하느님의 전능은 인간의 자유를 보장하는 전능이라 고백한다. 결론적으로 ‘하느님의 정의’는 인간의 행복을 추구하는 ‘인간의 정의’를 포함하고, 이를 넘어 하느님 나라 완성이라는 초월적 목표를 갖고 있기에, 교회는 자신의 삶에서 ‘하느님의 정의’를 구체적으로 실천하여 살아있는 하느님을 증거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at presenting theological answers to the criticisms and questions related to the Christian faith raised in the novel, Son of Man, based on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This study also aspires to positively present the Christian prospect regarding the problems of human suffering and social injustice, ultimately facilitating th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nd development through dialogue between religion and literature. Son of Man points out that the Word of God does not provide any practical help to the problems of human suffering and social injustice. It also criticizes stating that in a world where Almighty God rules with His Providence, humans do not have free will and are compelled to accept suffering as God’s judgment for sins. In response to this critique, the Christian faith, first regarding the existence of evil, affirms that God is capable of drawing good out of evil by his Providence. It confesses that the Mystery of the Cross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offer concrete assistance to confront and overcome suffering through the Compassionate Divine Love. The Christian faith continues to confess that God’s omnipotence, based on the Love of God, guarantees human freedom. In conclusion, the “Justice of God” includes “human justice” that pursues human happiness and has a transcendent goal of completing the Kingdom of God. Therefore, the Church must testify for the living God by concretely practicing the “Justice of God” in its own life.

      • 탈출3,14의하느님 이름(Ego sum qui sum)에대한삼위일체론적 해석

        정승익(Jung Sengik)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5 누리와 말씀 Vol.- No.37

        이름을 알려 준다는 사실은 그이름이지칭하는정보를알려주는,일종의‘계시사건’이다. 비록그이름을통해제한적인정보를얻는다해도, 초월의사건을이해하도록단초를제공해주는매우유용한열쇠가아닐수없다.탈출3,14의 ‘하느님 이름(Ego sum qui sum)’에 대한 계시는 주로 성부하느님의 속성에 대한설명을중심으로 해설되었다. 그러나신앙의대상이되는하느님은 언제나삼위일체로존재하는하느님이시기에, 그계시사건역시세위격의하느님을드러내는삼중적인계시사건으로해석되어야한다. 따라서탈출기의이구절은 성부하느님 뿐만 아니라, 성자와 성령하느님에 관련해서도 그 위격적인 고유성을 드러내어 주고있다. 즉 성부는 ‘존재자체’로서, 성자는 하느님의 ‘로고스’로서,성령은하느님의‘사랑’으로서계시되고있다. 이를 보다 명확하게 논증하기 위해서 성경의 다른 구절 안에 담긴 삼위일체론을대조해보면, 우선지혜11,20의구절에서, 탈출3,14의삼위일체하느님의세위격의구별되는각각의흔적들을피조물안에서발견할수있다(‘존재-수-무게’). 이는 창조주 하느님의 작용에 의한 고유한 흔적들로서, 세 위격의 하느님의 특성을 성사적인 방식으로 드러낸다. 또한 로마 11,36에서는 하느님과 그 피조물의 관계에 대해 삼중적인 관점으로 접근한다. 성경구절 안에 사용된 세 전치사는(‘ex, per, in’), 모든 만물이 ‘성부하느님으로부터’ 생겨났고, ‘성자를 통하여’ 개개의 본질을 부여 받았으며, ‘성령으로말미암아’ 그 본질을 완성하여 창조주 하느님과 하나로 일치하게 됨을 지칭한다. 또한‘주님의기도’ 역시삼위일체하느님과의대화이기에, 그전개나내용도 삼중적인 차원으로 구성되어, 성부 성자 성령에게 구별되는 방식으로 기도의 내용이 전개된다. 탈출 3,14에서 하느님의 이름으로 계시된 ‘Ego sum qui sum’의 문장구조는, 요한복음에서‘evgw, eivmi ...’라는동일한형식으로표현되며, 이구절들은탈출기보다구체적인하느님사랑에대해더욱세밀하게알려준다. 그런데이대목은교회의일곱가지성사의내용과비유적으로연결되며, ‘하느님의이름은사랑’이라는것을육화된성자의가르침을통해극명하게드러낸다. The meaning of giving a name is a part of the revelation event to manifest the informations about the ‘name-holder’ through which the name indicate. The knowledge through the name is so useful key to understand the transcendental dimension of God, even though we get the very limited informations. The interpretations on the revelation of God's name presented in Ex. 3,14 is usually studied to explain the attribution of the Holy Father. But the revelation exposed in Exodus needs to be interpretated by the view of the trinitarian theology, because God who we believe is always ‘Deus Trinitas’ and reveal Himself in the three distinguished ways as three Persons. Therefore, Ex. 3,14 express the properties of the Holy Father, the Holy Son and Holy Spirit at the same time; the Holy Father as ‘Esse ipsum’, the Holy Son as ‘God's Logos’ and the Holy Spirit as ‘God’s Love’. It is also useful that we analyze the others texts of the Bible (Sap. 11,20 and Rom. 11,36), in order to demonstrate the thoughts of Ex.3,14 related to the theory of the Trinity: firstly, the verse of sap. 11,20 say that the three ‘vestigium’ (esse-numerus-pondus) left by the works of the creation of three Persons of Deus Trinitas as the Creator, and reveal the three different properties of God Trinity in the sacramental way. And Rom. 11,36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d Trinity and His creatures. Three prepositions used in Rom. 11,36 (‘ex, per, in’) indicate that all the creatures came ‘from God (Father)’, received the own essences ‘through God (Son)’, accomplish the own ‘quodditas’ and will be united to God (Deus Trinitas) ‘By God (Holy Spirit)’. And the contents of the pray ‘pater noster’ has the three aspects tied to three Persons, because it is also the dialogue between God Trinity and human being created ‘ad imaginem Dei Trinitatis’. The literal structure of ‘evgw, eivmi ...’ in Gospel according to John has the same style of Ex. 3,14 ‘Ego sum qui sum’, and indicate the love of God in the more concrete way than the Exodus. And ‘evgw, eivmi ...’ is related analogically to the seven sacraments of the Church that manifest very clearly through the teaching of Christ that ‘God’s name is l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