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업체 종사자들의 경찰신뢰도 연구 : 표현적 시각모형과 도구적 시각모형의 비교

        안희찬,장현석 대한범죄학회 2019 한국범죄학 Vol.13 No.1

        Studies o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have been conducted in many different dimensions. Various kinds of studies such as the comparative studies on confidence in the police among several different countries as well as immigrants’ confidence in the police have been done. However, it is hard to find confidence in the police study against people who work at the specific job. This study examined confidence in the police among commercial business owners who usually had higher level of crime victimizations. For this study, we used 2016 「Korean Crime Victim Survey(VI): Commercial Victimization Survey」 data. Using instrumental model and expressive model of confidence in the police,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which model explains better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among commercial business owner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overall expressive model explained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better than instrumental model among commercial business owners. Among the expressive model factors, community’s crime prevention level and community collaboration gave relatively greater influence on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Interestingly, fear of crime victimization was significant variable as an instrumental model facto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olicy implication was suggested. 경찰신뢰도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방면에서 진행되어 왔다. 국가비교연구 및 이민자들이 체감하는 경찰에 대한 신뢰도연구 등 다양한 수준의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현재까지 특정직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범죄피해노출이 잦은 사업체 종사자들(사업주)을 대상으로 경찰신뢰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6년 「전국 사업체 안전실태조사」데이터를사용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용한 도구적 시각모형과 표현적 시각모형을 바탕으로 사업체종사자(사업주)의 경찰신뢰도에 있어 어떠한 모형이 설명력이 높은지 알아보았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와 일관되게 표현적 시각모형이 도구적 시각모형보다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현적 시각모형 중에서 지역사회방범수준과 지역사회협력이 경찰신뢰도에 비교적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도구적 시각모형에 있어서는 범죄두려움이 경찰신뢰도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체종사자들의 경찰신뢰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표현적ㆍ도구적 요인 : 한국과 몽골 시민들 간의 비교연구

        황의갑,한성일 한국경찰연구학회 2016 한국경찰연구 Vol.15 No.4

        시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는 경찰활동의 원동력이자 핵심요소로 인식되어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면서 몇 가지 연구모형으로 발전하였다. 경찰은 치안활동의 도구로 인식되기에 경찰활동의 주요목적인 치안유지의 결과가 경찰신뢰도에 반영된다는 도구적인 설명과 지역사회의 가치 및 규범과 같은 전통적인 가치에 대한 인식이 경찰신뢰도로 표출된다는 표현적인 설명이 대표적인 연구모형이라 할 수 있다. 영국과 미국 등 서구국가들에서의 축적된 연구를 중심으로 형성된 이러한 연구모형에 대한 아시아적 접근과 국가 간 비교 연구는 많지 않다. 선행연구에서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는 유사한 문화권에 속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상이한 정치·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는 한국과 몽골 시민들의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경찰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론적인 견지에서 검증하였다. 경찰신뢰도 연구모형 검증에서 그동안 상대적으로 소홀했던 아시아 국가를 배경으로 하였다는 점과 한국과 몽골의 사회구조와 정치구조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고려한 비교연구를 진행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하겠다. 분석결과 한국시민들과 몽골시민들 간 경찰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두 나라 모두에서 표현적 연구모형이 도구적 연구모형보다 더 높은 설명력을 보였으며, 도구적 연구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몽골보다 한국에서 더 높았다. 한국시민들에게 있어서는 범죄추세에 대한 인식, 간접적인 범죄피해, 물리적 무질서 인식 등이 중요하였으며, 몽골시민들에게는 범죄두려움, 지역사회유대감 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비공식사회통제에 대한 인식은 두 나라 모두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요인이었다. 흥미롭게도 시민들의 연령은 반대의 효과를 보였는데 한국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그리고 몽골에서는 나이가 적을수록 경찰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책대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Many empirical studies have given attention to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as it is considered to be a driving force of the community based policing. Two conceptual models, instrumental and expressive, have been developed as the strongest research framework in this regard. The expressive model proposes that citizen’s perceptions of social norms, values, and community atmosphere are expressed to influence confidence in the police, while the instrumental perspective insists that public concerns about police performance in crime prevention are linked to their confidence in the police. Research based on these models has mostly been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and less attention has been given to Asian countries. To fill this void, this study designed a comparative research frame by using the sample of Koreans and Mongolians. It is the value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xpressive and instrumental factors of confidence in the police by using a relatively neglected sample of two Asian countries, with a similar but different culture and history. The results revealed that major factors are not evenly associated with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the two countries. Perceptions of crime trend, indirect victimization, physical disorder were important predictors among Koreans, while fear of crime, community cohe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mong Mongolians. Importantly, informal social control was the strongest factor of confidence in the police in both countries and it was the only common predictor. Interestingly, age showed a mixed effect. Older citizens in Korea and younger citizens in Mongolia expressed higher levels of confidence in the police.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 비교 연구 - 중국, 몽골, 베트남 출신 체류외국인을 중심으로 -

        황의갑,홍명기 한국경찰연구학회 2020 한국경찰연구 Vol.19 No.3

        This study intended to compare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general citizens and foreigners in South Korea where multiculturalism is a social phenomena. Based on instrumental and expressive models, differences in major factors between general citizens and foreigners were investigated.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and assimilation theory were applied to foreigners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fidence in the police. In addition to general citizens, Chinese, Mongolian, and Vietnamese living in Korea were included in the study subjects for comparative purposes. Findings revealed that compared to variables under instrumental models, those under expressive models showed stronger power to confidence in the police. Interestingly, informal social control had a positive and the strongest effect on confidence in the police in all groups of analyses. Except informal social control,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confidence in the police between general citizens(prior victimization, physical disorder, and social bond) and foreigners(fear of crime). There were factors unique to different groups of foreigners(prior victimization to Chinese, social disorder to Mongolian, and fear of crime to Vietnamese). Overall, compared to general citizens, foreigners showed higher confidence in the police, and compared to Chinese, Mongolian and Vietnamese expressed higher confidence in the police. These results supported dual frames of reference theory. As well, Korean language ability of Chinese and length of stay of Mongolian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fidence in the police, supporting assimilation theory.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본 연구는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성큼 들어선 상황에서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을 대상으로 경찰에 대한 신뢰도를 비교하였다. 도구적 모형과 표현적 모형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두 모형에 포함된 요인들이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 사이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중 참조기준 이론과 동화이론을 체류 외국인들에게 적용함으로써, 경찰 신뢰도를 설명하는 모형들에 대한 통합적인 논의가 가능한 분석의 틀을 제시하였다. 중국권, 중앙아시아권, 동남아시아권을 대표하는 중국, 몽골, 베트남 3개국의 체류외국인과 일반시민을 비교함으로써 체류외국인들의 권역별 차이까지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일반시민과 체류외국인 모두에게 있어서 표현적 모형이 도구적 모형보다 경찰 신뢰도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 비공식 사회통제가 모든 분석대상의 경찰 신뢰도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전 변수들을 통틀어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보였다는 것이다. 비공식 사회통제를 제외한 분석대상별 영향요인의 차이에 있어서는 범죄피해경험, 물리적 무질서, 지역사회 유대는 일반시민의 경찰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반면에, 범죄두려움은 체류외국인의 경찰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출신국가별로는 중국출신의 경우 범죄피해경험, 몽골출신은 사회적 무질서, 베트남출신은 범죄두려움이 경찰 신뢰도 형성에 유의미한 변수들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체류외국인이 일반시민들에 비해 더 높은 경찰 신뢰도를 보이고, 중국 출신에 비해 몽골과 베트남 출신 외국인들의 경찰 신뢰도가 더 높게 형성되어 이중 참조기준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중국출신 외국인의 한국어 능력 및 몽골출신 외국인의 체류기간과 경찰 신뢰도가 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동화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대안과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예술’로서 유아교육과정의 의미와 가능성 탐색: 아이즈너의 교육과정 모형을 중심으로

        이화도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0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9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Eisner's artistic curriculum model currently leading discussions on the artistic value of teaching and investigate its possibility as an alternative discourse for postmodern early childhood curriculum. Discussions on teaching as art originated from the criticism of the modern scientist view of teaching as a science. It is being developed actively in the trend of reconceptualization of the curriculum, with the emergence of postmodern discourse and constructionism as background. Eisner proposed a new curriculum model that views teaching on the basis of the attributes of art by criticizing Tyler's scientific curriculum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goals are not set in advance but revealed upon completion of teaching. In this way, Eisner criticizes the scientific curriculum model as a unilinear goal-means model, proposing instead a circular mode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creativity. In addition, he proposes educational evaluation in a new assessment format that reflects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experiences. Accordingly, Eisner's artistic model implies the possibility of a new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of teaching an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as well as of the role of teacher. Moreover, Eisner's artistic curriculum model appears to be a viable alternative discourse on the postmodern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ed on play-centered and interest-centered activities. 본 연구는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의 주요개념을 유아교육의 관점에서 그 함의를 살펴보고, 예술로서의 유아교육과정의 의미와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표현적 결과, 교육적 감식안과 비평, 우연한 조우로서의 교육적 경험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이끈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을 살펴보고, 유아교육의 관점에서 그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표현적 결과를 유아교육과정 안에 끌어들이기’와 ‘교육적 감식안과 상상력을 갖춘 유아교사 되기’를 제안하였다. 이처럼 예술의 속성에 비추어 교육과정을 바라본 아이즈너의 모형은 단순히 교육목표 설정방식이나 수업방법에서의 기술적 변화가 아니라, 교육활동구성 및 평가, 교사의 역할 등 수업의 본질이나 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무엇보다 놀이중심, 흥미중심의 활동이 주요원리로 포함되어 있고, 이미 계획화된 수업 계획안만을 고수하기 보다는 유아의 흥미중심에 근거한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을 강조하는 유아교육과정의 특성에 비추어 볼 때, 아이즈너의 예술적 교육과정 모형은 놀이중심 유아교육과정과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과정의 대안적 담론으로의 가능성이 분명하다 할 것이다.

      • KCI등재

        민주주의 요인이 경찰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요 법체계국가 간 비교연구

        심수진,최선옥,황의갑 한국테러학회 2018 한국테러학회보 Vol.11 No.2

        The public confidence in the police is an important aspect of citizen perceptions toward the police in this complex and diversified 21st century society, which is related to the public support of the police and the public obedience of the law enforcement by the police. The research topic on confidence in the police has been investigated often. Some research projects reported the statistical link between the level of democracy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but the effects of details of the democracy index have not been studied much. This study assesses the effects of perceived respect of human right, perceived intrusion of individual privacy, and perceptions of the racial discrimination on confidence in the police. Additional variables were included based on the instrumental and expressive models of confidence in the police. The context of research is comparative by including South Korea, China, Germany, and USA. These countries represent the hybrid legal system, socialist legal system, civil law system, common law system, respectively. Suggestions for the policy and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21세기 선진사회에서 ‘경찰에 대한 신뢰’는 사회구성원간의 법과 규칙에 대한 높은 수준의 합의를 이루어 내고 이를 통하여 경찰업무나 경찰활동에 정당성을 부여해 주기 때문에 경찰학 분야에서 오랜 기간 동안 내실 있게 연구되어 왔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민주주의 발전정도’나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 변인이 경찰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지만 구체적인 측면의 ‘민주주의 지표의 영향력을 제시한 연구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법체계적으로 각기 다른 네 나라(한국, 중국, 미국, 독일)를 비교하며 인권존중, 공권력의 사생활침해, 인종차별 등의 구체적인 민주화지표가 경찰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세계가치관조사 자료를 활용한 분석하여 민주화의 구체적인 지표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경찰신뢰도 향상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울시민들과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대도시권 한인들 간의 비교연구

        황의갑 한국경찰연구학회 2013 한국경찰연구 Vol.12 No.4

        경찰신뢰도에 대한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도구적·표현적 인식모형의 이론적 틀 속에서 진행된 연구는 많지 않고 우리 시민들과 재미한인들을 비교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 연구는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구적 인식모형과 표현적 인식모형으로 분류하여 분석의 틀을 구축하고 654명의 서울시민들과 209명의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대도시권 한인들에 대한 설문자료를 토대로 비교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민 또는 디트로이트 한인으로 구분된 시민들의 소속도시가 경찰신뢰도에 대한 16%의 설명력을 보였다. 가설의 방향과 반대로 한 사회의 소수인종인 디트로이트 한인들보다 서울시민들의 경찰에 대한 신뢰도가 매우 유의미하게 낮은 수준이었다. 표현적 인식모형의 설명력이 도구적 인식모형에 비해 괄목할만하게 높았으며, 동네 주민들 간 응집력에 대한 인식이 서울시민과 디트로이트 대도시권 한인들 모두에게 있어서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다. 도구적 인식모형 중에서는 범죄두려움이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는데 흥미롭게도 서울시민들과 디트로이트 한인들 간 그 영향의 방향은 반대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찰이 범죄와 관련된 직접적인 현안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지역사회의 전통적인 가치와 질서의 보존 등 보다 근원적인 주민들의 삶의 질 관리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줌과 더불어 우리시민들과 외국계 한인들 간 비교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위계적선형모형을 활용한 국민의 경찰신뢰도 영향요인 분석

        송영남 ( Young Nam Song ),최재용 ( Jae Yong Choi ),이윤호 ( Yoon Ho Lee ) 대한범죄학회 2015 한국범죄학 Vol.9 No.1

        Every city within a country has different cultures, because of these differences in society public confidence in police enforcement varies from place to place. To analyze, individual level variables and macro levelvariables were generated. This study uses macro index provided in the approachable web site, Statistics Korea retain several statistics information of the 16 cities and provinces. Korea General Social Survey(KGSS) in 2012 was used to organize aset of individual level variables. Assuming that there various social standards within a city this affects the confidence in the law enforcement., This study distinguishes between variance of state level and individual level. For this purpose, hierarchial Linear Regression Model(HLM) should be applied in order to verify the two level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ata ver.12 is used. As a result, this model observed individual variables, marital status, the extent of trust, and the general evaluation as factors that affects the way public confidence in police enforcement . Above all, this model only input macro index, the 18th turnout and arrest rate impact on police confidence in public The remarkable finding is the fact that while individual variables are controlled, only arrest rate maintai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among macro indices. It follows that the conventional police role in arrest, crime prevention is still indispensible value in raising police confidence at least within a country.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police confidence in citizens, because effective and efficient performance of police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