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주민 정착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및 이해관계자 분석

        임정빈(任正彬) 경인행정학회 2012 한국정책연구 Vol.12 No.2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은 실질적인 사회공동체를 이루는 곳이 지역사회이므로 지방자치단체중심으로 정착해야하며, 이들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해서는 관련 주체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현재 정부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성공적인 지역사회 정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으나 정착지원제도 등의 미흡이나 지역사회 관련 주체들의 연계협력체계의 부족으로 지역사회에 정착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북한이탈주민들의 수도권 집중현상은 지속되고 있다. 그러므로 북한이탈주민이 지역사회에서 원활하게 정착 할 수 있는 협력체계 방안의 모색은 중요하다. 북한이탈주민이 지역사회에서 원활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지역정착을 위한 실태 및 제도 분석을 바탕으로 한 관련 주체들의 협력 거버넌스 구축방안의 제시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입국실태 및 지역사회 내 정착실태 및 지원체계를 파악하고 북한이탈주민들과 지역사회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관계를 협력적 거버넌스 관점에서 분석하여 북한이탈주민들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효율적인 정착협력 방안을 제시하였다. 북한이탈주민들의 정착은 주민 개인적인 관점에서도 중요하지만 향후 통일과정에서 남북통일을 준비하는 중요한 시금석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북한이탈주민들이 지역사회에서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정착지원 관련주체들의 유기적인 관계형성을 통한 실효성 있는 지원협력체계의 구축방안은 계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Since North Korean Defectors settle in local communities, local governments should play key roles in the settlement policies. In addition, their successful settlement in local communities requires other relevant actors’ attention and resources. Even though the current government has made efforts, their successful settlement still has a long way to go, and they tend to settl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ecause of the lack of institutional devices and cooperation system among the relevant actor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generate the cooperation systems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settle in the community smoothly.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immigration status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provides the network analysis of the relevant actors such as local public officials, volunteers, and private organizations (NGO, religious organizations, etc.), local welfare organizations, local councils, etc.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a way to cooperative governance system.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지역정착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정주신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1 공공정책연구 Vol.28 No.2

        현재 한국에는 2만5천명 정도의 북한이탈주민이 정착하고 있으며, 계속 숫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이 한국에 잘 정착하는 것은 정부의 기초 정착금을 기본으로 하기보다는 지자체의 실질적인 대응과 지원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정착의 의미는 크므로 이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지자체 역할이 증대할 수밖에 없다. 이 글의 관점은 국가의 정착금 지원과 달리 지자체(대전광역시)가 북한이탈주민을 지역에 잘 정착시키고자 하는 관심과 배려가 앞서야 한다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둔다. 다시 말해서 북한이탈주민이 지역정착을 함에 있어, 지자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하되 지역적응센터 기능과 지역민의 관심을 제고시키는 데서 이 논의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지자체-지역적응센터-지역민 관심 등 3자 관계를 효율적으로 어떻게 연관 짓느냐가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즉 지자체의 역할론은 북한이탈주민이 지역에 정착하는데 어느 정도 주도적인가에 달려 있으며, 또한 정부의 정착지원 이후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정착을 위해 도모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척도가 될 것이다. 결국 대전광역시는 그 산하의 자치구와 지역단체 및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을 잘 관리하는 것,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예산편성을 실제 수효에 맞게 편성하고 형식에 그치지 않아야 된다는 것, 북한이탈주민과 지역민과의 만남의 장을 상시 운영하고 지역민과의 유대감을 제고하는 것, 대전시와 하나센터 및 고용센터와의 연계체제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자리 창출을 하는 것, 북한이탈주민지원협의회의 역할과 기능강화로 낭비적인 것을 지양할 것 등에서 역할을 찾아야 할 것이다. Now, 25,000 North Korean defectors settled down in South Korea. With a continuously increasing number of such cases, their smooth settlement would require the local government's substantial response and support rather than the central government's basic resettlement funds. In this regard, the local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long as they are living in the region in which they want to live, its local government has no choice but to play a bigger role. The study suggests that the local government(Daejeon City) should be concerned and care about the smooth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region while the nation supports them with resettlement funds. In other words, the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focuses on a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in the local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at the same time, promotes the function of the centers for regional adaptation and arouses local residents' interest. In particular, what matters is to effectively connect the relationships between local government-centers for regional adaptation(Hana center)-local residents' interest. In other words, the role theory of the local government depends on how much it plays a leading role in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region.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would be the barometer of what should be done for the local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after the government's support for their settlement. In conclusion, Daejeon City will have to find its role in the following sense: a good manag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a network with its autonomous regions, regional groups and organizations; a budget compil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meeting their actual number and being more than just formality; a regular operation of the meeting place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local residents, and an improvement in fellowship with local residents; a job cre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the linkage system of Daejeon City, Hana center and job center; a mitigation of wastes by reinforc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council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 on.

      • KCI등재

        청년의 취업선호가 지역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엄창옥 ( Changok Um ),나주몽 ( Jumong Na ),백경호 ( Kyungho Baek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1 지역개발연구 Vol.53 No.2

        청년 일자리 부족과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문제는 지역에서 수도권으로의 청년 유출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청년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 지역에서는 한편으로는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청년 일ㆍ경험 지원 정책을 실시하며 노동시장의 미스매칭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청년유출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의 미스매칭으로 인한 청년유출문제를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서 찾고자 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 맞는 지역노동시장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역청년의 지역정착을 유도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청년의 취업선호를 조사하고, 이 취업선호의 어떤 요인이 청년들의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광주, 대구, 강원의 청년을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선호의 어떤 요소가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자신의 기능과 능력 활용’, ‘회사의 규모와 지명도’, ‘직무의 사회적 의미’, ‘능력중시 회사’, ‘전근이 없거나 한정된 지역 내에서의 전근’ 요인이 지역정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설명변수가 강원에 비해 대구와 광주에서 적극적 정착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적극정착에 영향을 더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사회ㆍ경제적 역할을 키우고,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할 경우 청년의 지역정착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youth and job mismatch are the main reasons for the problem of youth outflow from the region to the metropolitan area along with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In order to reduce the outflow of youth,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implementing policies to support youth work experience and trying to resolve the mismatch, but the achievements are not showing well.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work-experience」 policies based on youth job preferences and reduce mismatches successfully, the possibility of youth settling in the local area will increase. Based on these predic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youth job preferences on local settlement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OLR). The survey data of youth in Daegu, Gwangju, and Gangwon was used in this analysis process. As a result, factors such as ‘use of one's own skills and capabilities’, ‘the size and reputation of the company’, ‘social meaning’, ‘capacity-oriented companies’, and ‘areas with no commuting or limited commut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cal settlement of youth. There was a som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from region to region. the job preference factors of youth in Daegu and Gwangju had a greater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compared to youth in Gangwon. It is thought to reflect the geographical factor that Gangwon is close to the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the older group, the more males than females had an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This means that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various ways for youth to develop their social and economic roles and utilize their abilities within the region, the local settlement of young people can increase.

      • KCI우수등재

        로컬크리에이터의 지역정착 지원방안: 진입경로 유형별 특성을 중심으로

        송주연,이병민 인문콘텐츠학회 2022 인문콘텐츠 Vol.- No.67

        본 연구는 로컬크리에이터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질적 성장을 위해 지역정착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지역창업 및 지역정착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로컬크리에이터의 지역유입유형(지역내, 지역외)과 창업유형(예비창업자, 기창업자)으로 진입경로를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에 해당하는 로컬크리에이터 대상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지역정착에 필요한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로컬크리에이터의 지역정착은 사회문화적 관점의 심리적 안정, 경제적 관점의 사업 안정, 공간적 관점의 지역 정착환경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지역내 유형의 로컬크리에이터는 심리적 안정이 충분하였으나, 지역외 유형의 로컬크리에이터는 공동체문화 이해, 지역사회와 주민 존중, 지역사회 구성원이 되는 시간, 지역성을 통해 지역에 정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관점에서는 기업가정신이 지역정착 요소로 나타났으며, 이는 예비창업자 유형이 기창업자 유형에 비해 부족하게 인지하였다. 또한 진입경로와 무관하게 공통적으로 기업 생애주기별 지원이 지역정착 요소로 나타났다. 셋째, 공간적 관점에서는 지역 정착환경이 중요하여 공생 환경 조성, 전문 인력 지원이 지역정착 요소로 나타났다. 이를 반영하여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역할로 지방정부의 중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지역성 탐색 프로그램, 지역자원 아카이빙 및 공유 등의 지원방안이 요구된다.

      • 비수도권지역 청년 정착 정책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고예진 ( Ko Yejin ),전재식 ( Jeon Jaesik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3 No.1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를 사용하여 지역인재 비유출과 정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수도권 쏠림현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지방소멸에 대한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며 지방자치단체와 지방대학은 이 문제에 대해 매우 고심하고 있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진학한 대학졸업자들이 비수도권 지역에서 취업하고 정착한다면 지역경제성장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진학하고 비수도권 직장에서 일하며 정착한 인구를 비유출 지역인재로 설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비수도권 정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프로빗 모형으로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국립대일수록, 전문대일수록, 전공 중에선 교육과 의약을 전공할수록 비유출 지역인재일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복수전공을 했다면, 재학 중에 일자리 경험이 있다면, 높은 토익성적을 받았다면 비유출 지역인재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인적요인 중에서는 기혼일 경우, 부모님과 함께 살 경우 비유출 지역인재일 가능성이 높으며 여성일 경우, 부모님 중 한 분 이상의 학력이 초급대 이상일 경우, 등록금 조달 과정에서 학자금 대출이 7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비유출 인재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특화된 전공을 갖춘 대학 및 지방 국공립대학의 역량 강화, 지역 청년에 대한 혼인 장려, 지역의 노동환경 및 여건 강화 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책 방향성에 힘을 실어줄 수 있으며 다시 한번 국공립대학 강화와 혼인장려정책이 중요한 이유를 확인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 KCI등재

        대졸자 지역이동의 구조 : 연고, 기회, 거리의 상호작용

        정동일(Jung, Dong-Il),박영민(Park, Young-Min) 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학 Vol.22 No.1

        대졸 인재의 역외유출 문제가 그 심각성을 더해가면서, 이에 대한 학문적 연구도 누적되고 있다.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를 보면, 대체로 특정 지역을 중심으로 문제의 심각성을 규명하는 연구, 개인 수준의 변수들을 활용한 미시적 연구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지역이동의 방향과 규모 등에 관한 거시적 구조를 정밀하게 분석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이 논문은 로그선형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대졸자 지역이동의 거시적 양상과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지역이동의 거시적 구조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요소로 연고, 기회, 거리를 설정하고, 이에 관한 논의를 토대로 지역정착모형, 수도권집중모형, 근거리이동모형 등 세 가지 일반모형을 제시했다. 세 요소들 간의 좀 더 복잡한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각 모형별로 2~3가지 세부적인 하위모형을 설정했다. 로그선형분석 결과, 이들 하위모형 중 규모차등적 지역정착모형, 거리-규모차등적 수도권집중모형, 비대칭적 근거리이동모형의 적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졸자들은 대학 소재지에 정착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았으며, 정착효과는 수도권, 비수도권 광역시, 비수도권 도지역 순으로 낮아졌다. 또한 수도권에 가까운 지역일수록 수도권 흡인력에 취약했으며, 도지역 대졸자보다는 광역시 대졸자들의 수도권 이동 경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경제권 내에서 지역 간 이동도 비교적 활발한데, 특히 거점 광역시에서 인근 도지역으로의 이동이 그 반대 방향의 이동보다 2.5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거점 대도시들이 인근 지역으로부터 대졸자를 흡수하기보다는, 오히려 권역 내의 인재 공급지로 기능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수도권 출신과 비수도권 출신 간에 지역이동 양상이 매우 상이한 모습을 보인다. 수도권 출신의 비수도권 대졸자들은 수도권으로 회귀하는 경향이 매우 강했지만, 비수도권 출신의 경우 해당지역이나 인근지역에서 첫 경력을 시작할 가능성이 월등히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추가적으로 연구해야 할 점들을 토의한다. The brain drain issue in non-Capital regions has been widely recognized and studied as critical social problems of our society. Although past research, mainly focusing on the outward migration of college graduates in specific non-Capital regions, has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micro mechanisms affecting an individual graduate’s mobility decision,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macro patterns and structure of inter-regional mobility of college graduates. Using the log-linear models, the paper directly tackles this issue. On the basis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ree factors, social distance (yeon-go), opportunity distribution, and geographic distance, I introduce three generic models of regional mobility (retention model, unipolar model, and short-distance mobility model) and several sub-models, accordingly. Log-linear analyses reveal that the combination of size-differential retention model, distance-size-differential unipolar model, and asymmetric short-distance mobility model fits best to describe regional mobility structure of college graduates. Specifically, first, settlement effects are strongest in Capital regions and weakest in non-Capital and non-metropolitan regions. Second, Capital-neighboring regions are most vulnerable to Capital region’s pulling power and non-Capital metropolitan regions are the next, Third, while college graduates tend to move to near regions, mobility rates from metropolitan to non-metropolitan regions are 2.5 times stronger than the other way around, meaning that metropolitan regions function as an important talent distributor in broader economic zone. Finally, pre-college residence makes a big difference in mobility patterns; while college graduates originally from Capital region tend to return to Capital region, those originally from non-Capital regions are highly likely to settle down in the same non-Capital region or near aroun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ome potential research themes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괭이부리마을 재정착 주민과 쪽방 촌 주민의 지역애착에 관한 연구

        권정호 ( Kwon Jung Ho ),이진경 ( Lee Jin Gyeong ),박길순 ( Lee Jin Gyeong ),문성필 ( Moon Sung Pill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인천 괭이부리마을의 일부 지역개발에 따라 공공임대주택 100% 재정착한 주민과 미개발지역 쪽방 촌 주민의 지역애착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FGI면접을 통해 주제 분석을 채택하여 재정착주민, 쪽방 촌 주민 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애착은 개념 60개, 하위범주 7개,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괭이부리마을 애착으로는 주거환경의 이분화 현상의 변화에도 쪽방촌 주민과 공통적으로 동병상련을 보였다. 둘째, 재정착주민은 깨끗하고 번듯한 공공임대주택으로 전체 개발을 원했고 쪽방촌 주민은 관리비 없는 쪽방촌주거 재건축의 욕구로 개발에 대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괭이부리마을은 모두에게 떠날 수 없는 고마운 공간으로 안주하는 정서를 보이며 마지막 잎새 같은 지역애착 형성이 발견 되었다. 본 연구는 이분화 된 주거공간의 특성으로 지역주민 간 욕구 달랐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잎새와 같은 지역애착심이의 공존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mmunity attachment of the residents in Gwaengiburi village, Incheon who 100% resettled in the public rental housing due to regional developments and Chokbang village in the undeveloped region. For this, we adopted the subject analysis by conducting FGI(Focus Group Interview) and then,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from 10 resettling residents and residents in Chokbang village. The analysis resulted in 60 conceptions, 7 subcategories and 3 catagories. First, the attachment of residents in Gwaengiburi village and Chokbang village demonstrated the sympathy in common despite the changes in disdifferentiation. Second, while resettling residents wanted whole development for clean and decent public rental housing, the residents in Chokbang village wanted improvement in housing environment of Chokbang village without management fee and these indicate a difference in their needs. Third, all residents in Gwaengiburi village demonstrated emotion of satisfying the thankful place that can never be left and attachment formation such as “The Last Leaf”. This study confirmed that although the features of disdifferentiated place can distinguish needs among the residents, the spirit of community attachment coexists.

      • KCI등재

        경북지역청년의 지역 내 고용시장 진입 요인 분석

        신하영,이미나 재단법인 경북연구원 2022 대구경북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지역의 인구소멸 문제와 더불어 사회적인 문제로 떠오른 지역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 지역청년의 대도시 및 수도권 이주의 상황에 문제의식을 두고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지역 내 대학에서 지역인적자원개발 및 지역-대학 간 산학협력 등의 다양한 투자를 통해 배출된 대졸자가 지역 내 고용시장에 진입하도록 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이 조사 및 제공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의 2016년 졸업자에 대한 2018년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조사에 활용한 전체 코호트 규모는 18,199명 중 4년제 대학 졸업자면서 국내 가장 급격한 인구소멸을 경험하는 경북지역에 초점을 맞추어 해당 지역 소재 대학 졸업자 1,012명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청년이 졸업한 대학이 있는 지역의 고용시장으로 진입하도록 하는 선택속성은 ‘출생지역’, ‘의약계열 전공여부’, ‘사업체 규모’, ‘개인의 발전 가능성을 우선시 하는 정도’, ‘출퇴근 거리를 우선시 하는 정도’로 나타났으며, 임금수준이나 정규직 여부는 제외되었다. 그동안 청년의 구직 활동과 취업준비 행동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임금, 산업체 규모 등의 구조적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던 변수였던, 지역청년의 고용시장 선택속성 중 정의적 요소로 포함시켰던 취업처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우선순위를 중 ‘개인의 발전가능성’과 ‘출퇴근 거리’ 등이 경북지역청년의 지역 내 고용시장 진입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지역 대학 졸업자가 고용시장 진입 단계에 필요한 지원을 지역 내 고용시장 진입의 관점에서 재정비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을 추진하는 경북지역의 정책추진 주체 뿐 아니라 다양한 산학협력 및 대학-지역 간 협력을 추진해야 하는 지역 소재 대학에도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 사회안전망 구축이 시민 안전의식 및 안전문화 정착에 미치는 영향

        윤태관 ( Yoon Tae-kwan ),김찬선 ( Kim Chan-sun ) 한국융합과학회(구 한국시큐리티융합경영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 사회안전망 구축이 시민 안전의식 및 안전문화 정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및 규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서울특별시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유층집락 무선표집법을 중심으로 SPSSWIN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기법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안전망 구축은 시민 안전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거리 CCTV시설, 범죄예방설계, 지자체 안전교육, 민간경비서비스가 활성화 될수록 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진다. 거리 CCTV시설, 지역 자율방범활동, 지자체 안전교육이 활성화 될수록 공동체의식은 높아진다. 거리 CCTV시설, 지역 자율방범활동, 범죄예방설계, 지자체 안전교육이 활성화 될수록 안전규칙을 준수하고자 하는 의식은 높아진다. 거리 CCTV시설, 범죄예방설계, 지자체 안전교육, 민간경비서비스가 활성화 될수록 위험처리방식에 대한 의식은 높아진다. 둘째, 사회안전망 구축은 안전문화 정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범죄예방설계, 지자체 안전교육, 경찰치안서비스가 활성화 될수록 지역사회 관리자의 전문성은 높아진다. 거리 CCTV시설, 범죄예방설계, 지자체 안전교육, 민간경비서비스, 경찰치안서비스가 활성화 되려면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거리 CCTV시설, 범죄예방설계, 지자체 안전교육이 활성화 될수록 안전행동은 높아진다. 거리 CCTV시설, 지자체 안전교육, 민간경비서비스, 경찰치안서비스가 활성화 될수록 안전수칙절차를 준수하려는 행동은 증가한다. 셋째, 시민 안전의식은 안전문화 정착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안전교육, 안전규칙, 위험처리방식이 원활히 이루어질수록 지역사회 관리자의 전문성은 증가한다. 안전교육, 공동체의 식, 위험처리방식이 원활히 이루어질수록 의사소통 의사는 증가한다. 안전교육, 안전규칙, 위험처리방식이 원활히 이루어질수록 안전행동은 높아진다. 안전교육, 공동체의식, 위험처리방식이 원활히 이루어질수록 안전수칙절차를 준수하려는 행동은 증가한다. 넷째, 사회안전망 구축은 시민 안전의식 및 안전문화 정착 간에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매개변수인 시민 안전의식을 위한 지속적인 활동이 활발히 진행될 경우 종속변수인 안전문화 정착에 간접적으로 더욱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사회의 안전문화 정착에 있어서 무엇보다 시민의 안전의식이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Purpose: This study is primarily aimed at analyzing and identifying the impact of community safety net deployment on the establishment of civil safety awareness and stable safety culture. Method: Citizens residing in the Seoul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nalyzed using SPSSWIN 24.0 and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used. Conclusion: The conclusion is: First, the community safety net deployment has a static impact on civil safety awareness. In other words, the more street CCTV facilities, local autonomous crime prevention activities, crime prevention, safety education by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urity services, the higher awareness of the need for safety education, community awareness, safety rules, and risk handling methods increases. Second, the community safety net deployment has a static impact on the stable safety culture. In other words, as street CCTV facilities, crime prevention, safety education by local governemnts, private security services, and police security services are activated, community managers' expertise and behavior to communicate, be sure safe, and keep safety procedures increase. Third, it has been shown that civil safety awareness has a static impact on the stable safety culture. The better safety education, safety rules, community awareness, and risk management practices are performed, the more community managers’s expertise, willingness to communicate, safety actions, and behavior to keep safety procedures. Fourth, the community safety net deployment directly has an impact between civil safety awareness and stable safety culture, but if continuous activities for citizens' safety awareness, which is a parameter, are actively carried out, the deployment directl and indirectl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able safety culture. These results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civil safety awareness in stable safety culture of the local society.

      • KCI등재

        제주지역 정착이주민의 이주특성 및 이주적응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인성(Kim In-sung),황경수(Hwang Kyung-soo),오윤정(Oh Yun-jung) 제주학회 2017 濟州島硏究 Vol.47 No.-

        본 연구는 최근 제2의 인생설계,건강, 퇴직 둥 다양한 이유로 인해 본거 지에서 타지역으로 삶의 근거지를 옮기는 이주민들의 이주특성 및 이주적응도를 살펴보고, 이주민들이 이주대상지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몇 년간 지속적으로 이주민이 증가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제주지역에 이주한 도시민의 이주특성 및 이주적응도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제주특별자치도 정착이주민 실태조사 및 정착지원방안 연구」 (2014)의 귀농귀촌이주자와 문화이주자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93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이주특성에 따른 이주적응도에서는 정착기간에 따라 본인의 이주적응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2.887, p<.05)가 나타났고, 둘째, 이주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경우, 이주유형에 따라 교육환경 만족도(t=2.204, p<.05)와 지역주민과의 네트워크 만족도(t=-2.217, p<.05)가, 이주준비기간에 따라 경제활동환경 만족도(F=2.702, p<.05)가, 지자체 사업 수혜경험에 따라 보건복지환경 만족도다(t=2.055, p<.05)와 지원정책 만족도(t=5.484,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정착이주민의 전반적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일반적 특성, 이주특성, 이주적응도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 특성, 이주특성, 이주적응도 3개 변수를 모두 투입한 모델 II만 모형적합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독립변수의 영향력은 자녀 이주적응도(β= .334), 본인 이주적응도(β= .292), 이주전 거주지역(β= -183)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착이주민 정책 수립시 고려사항 및 지역민과 이주민들을 융합시킬 수 있는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looks into changes of local policy demand from the recent surge of immigration from urban areas and makes suggestions for harmonious local communities.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s on immigrants who moved to Jeju from other parts of Korea to be a farmer or settle down as an artist. Effects of features of immigrants from urban areas and adaptation to new environment on life satisfaction are analyzed. Immigration data from 「Survey on immigrants to Jeju and ways to help them settle down」 published b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nd 293 properly answered questionnaires were chosen and used for the analysi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immigration adaptation by immigration type significantly varied by the period of settlement(F=2.887, p<.05). Second, the satisfaction level of educational environment(t=2.204, p<.05)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relations with neighbors(t=-2.217, p<.05) significantly varied by the type of immigration. The satisfaction level of economic environment meaningfully varied by the immigration period(F=2.702, p<.05). The satisfaction level of health and welfare environment(t=2.055, p<.05)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supportive policies(t=5.484, p<.001) significantly varied according to whether an immigrant has experience of winning supportive aid from local governments. Third,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immigrants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inputting general features, immigration features and the level of immigration adaptation gradually.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model II that had all of the general features, immigration features and the level of immigration adaptation inserted was suitable. Independent variables affected the immigration adaptation most(β= .334). The immigration adaptation of himself or herself(β= .292) and the region where an immigrant had lived(β= -.183) followed. This study also proposes considerations needed when immigration policies are made and measures to harmonize area residents and immigrants based on th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