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일본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의 연구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

        홍명진(Myungjin Hong)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6

        일본 역사지역의 경관 형성과 변천을 주된 연구과제로 하는 역사지리학 분야에서는, 당시의 지역 공간 복원의 방법으로 고지도와 고문헌 등의 역사적 자료를 사용해 왔다. 점차 지적도, 대축척 지도의 제작과정이 기술과 더불어 발달하였고, 기술 향상으로 항공사진 등의 자료를 이용하게 되었다. 특히 1990년 이후 등장한 고도의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과 보급으로 지역 공간을 복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동향을 맞이하게 된다. 지리정보시스템은 지역에 대한 위치정보의 정확성과 방대한 지역의 정보로 더욱 세밀한 지역 공간의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일본의 역사지리학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 동향으로 거론되는 있는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 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을 이용하여, 일본 도쿄도 다이토쿠 우에노(日本東京都台東区上野) 지역을 사례로 근세 시대에 간행된 문헌 자료의 조합을 통한 복원도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과거 지역의 공간 복원 시도는 궁극적으로 지역의 사회 문화적 이해를 높임은 물론, 향후 지리정보시스템을 교육환경에 반영함과 동시에 토지 행정 정책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Historical Geography has made an important role to examine the restoration and changes of Japanese historical regions using historical old maps and documents. Increasingly with advances in technological map-making procedure, cadaster, large-scale maps and aerial photographs have been used in researches. Especially in the 1990s, the introduction of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rought current trends. Accurate information of regional location as well as data on vast regions from GIS help to analyze regional space in detail. This study restored the map of Ueno area in Tokyo Taitoku through 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iscussed as a new tool in Historical Geography. Also historical materials in Edo era were researched and based in conjunction with 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GIS) data when map- restoring. The practice of regional space restoration helps enhance social and cultural understanding of a local area. Lastly the study predicts that the restoration of an area in the past is useful to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dministrative policies.

      • KCI우수등재

        지리정보 기반의 배너광고 시스템 개발

        권재혁(Jae Hyuk Kwon),김동수(Dongsoo Kim) 한국전자거래학회 2009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4 No.2

        최근 실세계의 지리정보를 웹에 표현하여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이 많아지고 있으며, GPS 기능이 내장되어 개인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는 장치의 보급이 점차 늘고 있다. 인터넷 비즈니스 기업은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지역에 근거한 보다 유용한 서비스를 인터넷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현재 성공하고 있는 인터넷 기업은 대부분 Web 2.0 기술을 반영하고 있다. Web 2.0 기술은 사용자의 참여를 유발하고 있으며, 개방성과 공유를 강조한다. 특히 공개 API의 이용은 응용프로그램의 개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개 API를 활용하여 지리정보 기반의 배너광고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지리정보를 활용한 지리정보 기반 배너광고 비즈니스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반영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현하여 제안한 비즈니스 모델의 운영 방식을 예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비즈니스 모델의 가치 발생요인을 설명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한 시스템의 장점을 기술하였다. 지리정보가 많이 활용되는 여행, 부동산 등의 분야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비즈니스 모델을 적용한 배너광고 시스템이 실제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Lots of applications that represent and utilize geographic information on the Web have emerged on the Web. In addition, personal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GPS function, which can record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are being increasingly adopted by people. Such geographic information enables Internet business companies to provide users more useful services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st successful Internet business companies have adopted and utilized Web 2.0 technologies, which promote users’ participation and emphasize openness and information sharing. Especially, using open API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can reduce the costs of a program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design and develop a banner advertisement syste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using open APIs. We propose a business model using the advertisement system, and a prototype system has been illustrated in order to explain the proposed business model. Finally, we summarize the benefits of our system by describing factors generating values of the proposed business model. Hopefully, main idea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applied to real industry sectors that use geographic information widely such as travel, real estate and so on.

      • u-GIS 환경에서 플랫폼 독립을 지원하는 플렉스 기반 모바일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조숙경,김성희,김종훈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1

        In u-GIS environments, a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s consumer(user) oriented service system based on existing GIS and LBS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mobile phone. In the past, development of a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dependent on various hardware specification of mobile phones and mobile operators. From now o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ndependents on hardware specification of mobile phones and mobile operators. Also, it changes from service oriented GIS provider(specialist) to service oriented consumer. For the satisfaction of this requirement, we propose a design of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using FLEX for creates standard execution file. The standard execution file is able to apply various mobile phone. And we propose a management method of picture contents combination of location information that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ystem for mobile phone is provided it firstly. In this system, it provides facilities that display map, manage location, manage contents, manage mash-up, manage map data. And then it provide facility of swf generation for display result map on mobile phone. In this paper, we are implemented the proposed system and seen same results in various mobile phone. The created *.swf file provides same result at any time, anywhere, anyone in spite of different zoom level and different display screen. u-GIS 환경에서의 모바일 단말기를 위한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은 기존의 GIS, LBS 기반의 모바일 단말 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시스템이다. 모바일 단말의 다양한 기종과 통신사에 따른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의 다양한 버전 개발과 GIS 전문가 중심의 서비스 시스템 개발에서 단말기와 통신사에 종속되지 않는 일반 사용자 중심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 요구 사항이 변경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논문은 다양한 모바일 단말에 모두 적용 가능한 표준적인 실행 파일을 생성할 수 있는 플렉스 기반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며, 사용자 중심의 지리 정보 서비스 시스템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하는 위치 정보와 연계한 사진 컨텐츠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지도 표출에 관련된 기능, 위치 관리 기능, 컨텐츠 관리 기능, 매시업 관리 기능, 데이터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결과물을 모바일 단말기에서 표출하기 위해 swf 파일을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구현을 통해 각각 다른 모바일 단말기에서 동일한 결과를 표출함을 증명하였다. 생성된 실행 파일은 다른 사양을 가진 모바일 단말기에서 확대 배율과 디스플레이 화면에 따른 동일한 이미지 지도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는 장점을 가진다.

      • KCI등재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를 활용한 조선시대 교통로 복원 방법론 연구

        김현종(Hyun Jong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7 문화 역사 지리 Vol.29 No.3

        본 연구는 조선시대 교통로를 역사지리정보시스템(HGIS)을 활용하여 복원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복원 지역은 조선시대 후기에서 일제 강점기 초기까지의 京畿道 廣州府를 대상으로 한다. 古地圖와 地理志 및 程里考의 통정보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교통로 복원은 총 7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는 고지도, 지리지, 정리고의 지명DB 구축 및 위치 비정이다. 2단계는 지명 외에 고지도 상의 교차점에 대한 별도의 DB를 구축하고 복원한다. 3단계는 정밀 경로 복원을 위한 근대 지형도의 도로망을 추출한다. 4단계는 일제강점기 도로망을 기반으로 구한말 도로망을 복원한다. 5단계는 조선시대 간선도로를 복원하고, 6단계는 군현지도에서 광주 내의 교통로를 복원했으며, 7단계는 전국지도에서 군현 간 연결망을 복원했다. 본 논문의 교통로 복원과정은 고지도와 근대지도, 지리지, 정리고의 교통 정보를 종합적으로 정리, DB구축, 관리함으로써 현 위치 비정의 근거를 높이며, 자료간의 연계를 통해 오류를 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the traffic routes around Gwangju, Gyeonggi province in Joseon Dynasty period using the Historic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HGIS) accordingly. For this, a variety of relevant literatures, including old maps, gazetteers(地理志) and road guidebooks(程里考) have been analyz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attributes of traffic information. The restoration of traffic routes has been conducted through seven different stages. Stage 1 has conducted building a place-names database and identified the locations in old maps, gazetteers, and road guidebooks. Stage 2 has built a separate database for intersections on the old maps in addition to the names of places. Stage 3 has extracted the road network of a contemporary topographical map for a precise restoration of roads. Stage 4 has restored the road network in late Joseon period. Stage 5 has restored the arterial roads in Joseon Dynasty period, Stage 6 has restored the traffic routes in Gwangju district in a county map and the stage 7 has restored connections among counties nationwide.

      • GOTHIC을 위한 SDTS 데이타 변환 시스템의 개발

        장염승,김준종,한기준,Zhang, Yan-Sheng,Kim, Jun-Jong,Han, Ki-Joon,Yun, Jae-Kwan 한국공간정보학회 2000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2 No.2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독립적인 저장구조를 가지고 많은 양의 지리 정보 데이타를 다루고 있다. 이런 이유로 상호 호환적이지 못한 지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지리 정보 시스템들간의 지리 데이타 교환은 일반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게다가, 지리 데이타를 저장하는 것은 많은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고, 그들을 입력하는데도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존하는 지리 정보 시스템인 GOTHIC을 위한 SDTS 데이타 변환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데이타의 손실없는 변환을 위해서 먼저 SDTS 데이타와 GOTHIC 데이타간의 매핑을 설계하였다. 특히, SDTS 데이타가 ISO8211 형태이므로 엑세스를 위해 FIPS123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고, 또한 GOTHIC의 내부적인 포맷은 공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GOTHIC 데이타를 엑세스하기 위해 GOTHIC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SDTS 데이타 변환 시스템은 효과적인 지리 정보 데이타의 변환을 위해 중간 화일을 이용하였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UIL을 이용하였다.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generally has a great deal of geographic data and has a singular storage structure individually. It is very hard to exchange geographic data betwee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which store their geographic data with incompatible formats. Moreover, since it needs large amount of storage space to store geographic data and expensive cost to input them.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a SDTS (Spatial Data Transfer Standard) Data Conversion System for Gothic which is an exis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order to convert geographic data without loss of information, we first carefully define a mapping between SDTS data and Gothic data. Especially, since SDTS data are in the format of ISO8211, the FIPS123 library is used to access them. Because the internal data format of Gothic is not open to the public, we also use the Gothic library to access Gothic data. The SDTS data conversion system developed in this paper uses an intermediate file to convert geographic data efficiently. In addition, we use UIL (User Interface Language) to implement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of our system.

      • KCI등재

        고용량 지리정보 및 재난 정보 기반 3차원 재난 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신속한 재난 대응 체계 방안 제시

        강수명 ( Su Myung Gang ),김도령 ( Do Ryeong Kim ),정윤재 ( Yun Jae Choung ),박주성 ( Ju Sung Park ),김진만 ( Jin Man Kim ),조명희 ( Myung Hee Jo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9 No.1

        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예방, 대비, 대응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관리 하고 있다. 예방과 대비가 잘 되어있더라도, 자연재해와 같은 불가항력의 재난에 대해서는 예상과는 다른 피해가 생길 수도 있다. 따라서 통합적 재난 관리를 위해서 신속한 재난 관리 및 예측을 기반으로 동일한 재난정보 공유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 개발하여야 한다. 특히, 신속한 재난 대응을 위해서는 유관기관 및 현장공무원과 같은 직접적인 방재 투입 인력 간의 동일한 정보공유가 필요하다. 최근에 활용되는 재난 관리 시스템의 경우 고용량의 지리정보를 사용하거나, 정확한 재난 예측을 위해 다양한 인자들을 활용하여 구축된다. 그뿐만 아니라, 최근 구축 및 연구되고 있는 3D GIS를 활용할 경우 하드웨어 등의 문제로 인해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따라서 예측 시뮬레이션을 하여 대응 정보를 확보한다고 해도, 상황에 따라 시스템을 활용 불가한 경우 혹은 해당 정보의 확장자를 읽을 수 없는 환경일 경우에 본질적으로 공통된 정보를 공유하기는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 대응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를 기반으로 공유된 정보가 공통된 정보에 준할 수 있도록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기존 재해 대응 시간을 앞당기고, 신속한 대응을 통해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인적·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To minimize the damage from disasters, various aspects of prevention, preparation, and response, etc. are being managed. Even though prevention and preparation are well conducted, irresistible calamities such as natural disasters may cause unexpected damage. Therefore, a system that can share the identical disaster information based on prompt disaster management and prediction must be developed and constructed for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Especially, for a prompt disaster response, the same information needs to be shared between the related organization and the disaster prevention personnel such as on-site officials. Recent disaster management systems use high- capacity geographic information or other various factors for accurate disaster predictions. In case of using a recently constructed or researched 3D GIS, the system may not be used in some cases due to conflicts with hardware, etc. Thus, even though response information is secured using prediction simulation in advance, it is essentially difficult in some cases to share the common information when the system cannot be utilized or the extension of the corresponding data cannot be rea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a system for dealing with disasters that shares the same prompt and accurate information in compliance with common data formats. The system is expected to reduce the existing disaster response time and minimize human and physical damage by assisting decision making through prompt responses.

      • KCI등재

        지리정보시스템과 통합된 분포형 강우-유출 모의 시스템 개발

        최윤석 ( Yun Seok Choi ),김경탁 ( Kyung Tak Kim ),심명필 ( Myung Pil Sh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0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2 No.3

        지금까지 대부분의 분포형 모형에서는 수문해석을 위한 모형과 지리정보시스템이 파일을 기반으로 자료 호환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왔다. 또한 모형 구동상의 편의성 향상을 위해서 두 시스템을 연계하여 운영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시스템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파일 혹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모형의 연계가 아닌 모형과 지리정보시스템이 통합된 모의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과 HyGIS(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된 HyGIS-GRM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서 입력자료의 구축과 적용의 전 과정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며, 분포형 모형의 구동 및 결과의 분석에 대한 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과 분포형 모형의 통합 운영을 위한 절차를 수립함으로써 객관적인 모의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으며, 수자원 모형과 지리정보시스템의 통합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반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 Most distributed models have been developed for data interchange between model for hydrological analysis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some interface systems between them have been developed to operate the model conveniently. This study is about developing integrated system between model and GIS not coupled system based on file interchange or interface system. In this study, HyGIS-GRM which is integrated system between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which is physically based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and HyGIS(Hydr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have been developed. HyGIS-GRM can carry out all the processes from preparing input data to appling them to model in the same system, and this operation environmen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running the model and analyzing modeling results. HyGIS-GRM can provide objective modeling environment through establishing the process of integrated operation of GIS and distributed model, and we can obtain fundamental technologies for developing integrated system between GIS and water resources model.

      • 대규모 웹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메모리 상주 공간 데이터베이스 클러스터

        이재동,Lee, Jae-D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04 개방형지리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Open Geogr Vol.6 No.1

        웹을 통해 위치기반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지리정보 서비스를 사용하려는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웹 지리정보시스템도 많은 다른 인터넷 정보시스템들과 같이 클러스터 기반 아키텍쳐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즉, 사용자의 수에 상관없이 양질의 지리정보 서비스를 지속적이며 빠르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비용대비 효율, 가용성과 확장성이 높은 클러스터 기반의 웹 지리정보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용성과 확장성이 높은 클러스터 기반의 웹 지리정보시스템을 설계한다. 이를 위해 메모리 상주 공간 데이터베이스들을 클러스터의 각 노드로 구성하고 전체 데이터 영역 중 일부만을 복제 처리함으로써, 각 노드가 공간 질의에 대해 공간적 근접성을 이용한 캐시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은 단순 영역 질의외에 연산 비용이 큰 공간 조인 연산을 효율적으로 처리한다. 본 논문에서는 성능평가를 통해 제안된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데이터 양이 많고, 클러스터의 노드 수가 증가할수록 각각 약 23%, 30%의 향상된 성능을 갖음을 보인다. With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through the WWW such as a location-based service and so on. Web GIS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have also come to be a cluster-based architecture like most other information systems. That is, in order to guarntee high quality of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without regard to the rapid growth of the number of users, web GISs need cluster-based architecture that will be cost-effective and have high availability and scalability. This paper proposes the design of the cluster-based web GIS with high availability and scalability. For this, each node within a cluster-based web GIS consists of main memory spatial databases which accomplish role of caching by using data declustering and the locality of spatial query. Not only simple region queries but also the proposed system processed spatial join queries effectively. Compare to the existing method. Parallel R-tree spatial join for a shared-Nothing architecture, the result of simulation experiments represents that the proposed spatial join method achieves improvement of performance respectively 23% and 30% as data quantity and nodes of cluster become large.

      • KCI등재후보

        Application of a Hydroinformatic System for Calibration of a Catchment Modelling System

        최경숙 한국지리정보학회 200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6 No.3

        공간적 변수들의 추정에 필요한 유역의 지리수문학적 정보의 효율적인 사용과 모델매개변수들의 보다 정확한 추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개발된 수문정보시스템은 지리정보시스템, SWMM, 및 L_BFGS_B 등으로 구축되었다. 여기서, 지리정보시스템은 모델의 검정에 필요한 유역의 지리지형 특성인자들의 자동추출을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수문학적인 모의를 위해서는 SWMM을, 그리고 모델의 매개변수 추정에 필요한 decision support system(DSS)으로 비선형 최적화 기법의 L_BFGS_B 알고리즘이 각각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또한 토지이용을 주 인자로 하여 개발된 추론 모델들을 토하여 공간변수추정의 정확성을 최대화하는 한편, 공간특성변수들의 추정에 드는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함으로서 기존의 모델검정방법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들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모델 예측치의 신뢰성 향상 및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모델 변수추정을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수문정보시스템의 매개변수추정에 대한 적용성을 입증 하였다. A new methodology for selecting spatially variable model control parameter values through consideration of inference models within a Hydroinformatic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overcome problems associated with determination of spatially variable control parameter values for both ungauged and gauged catchment. The adopted Hydroinformatic tools for determination of control parameter values were a GIS(Arc/Info) to handle spatial and non-spatial attribute information, the SWMM(stormwater management model) to simulate catchment response to hydrologic events, and lastly, L-BFGS_B(a limited memory quasi-Newton algorithm) to assist in the calibration process. As a result, high accuracy of control parameter estimation was obtained by considering the spatial variations of the control parameters based on landuse characteristics. Also, considerable time and effort necessary for estimating a large number of control parameters were reduced from the new calibration approach.

      • KCI등재후보

        대도시 지방정부의 GIS 구축, 활용과 문제점에 관한 연구

        박욱성(Park Wook-sung) 한국공공관리학회 200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19 No.2

        이 논문은 서울시와 경기도 도시정부의 지리정보시스템의 구축, 활용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논문의 주요내용은 도시정부 지리정보시스템의 이론적 고찰, 서울시와 경기도 도시 정부 지리정보시스템의 전담조직, 기본계획, 전산화 추진현황을 설명하고, GIS구축ㆍ활용에서의 문제점 분석, GIS의 효율적 구축ㆍ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GIS는 정보화 및 지방화시대에서 도시정부의 다양한 업무영역에 점차 활용도가 증대되고 있다. 한국은 1995년 국가 GIS 기본계획을 수립한 이후에 극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GIS사업영역을 확장 추진하여 왔다. GIS구축ㆍ활용의 기대성과로 들 수 있는 것은 시정업무의 신속성, 효율성, 정확성의 향상기대, 의사결정을 위한 주요한 기초자료로 이용기대, 각종 사고 및 유사시의 초기 대처가능기대, 시민 행정서비스의 향상기대이다. 경기도 도시정부들의 GIS구축의 문제점은 지자체 공간정보 기반구축 미흡, 지자체 GIS정보화 추진체계 구축부재, GIS정보화추진 전문 인력 부족, GIS데이터베이스 체계적 유지관리 미흡, 지자체 공간정보의 갱신전략미흡을 들 수 있다. 활용에서의 문제점은 지자체GIS와 지하시설물 관련 GIS주체가 다른 데에서 오는 시스템 통합 부재, 법, 제도의 미비, 공공참여가 활성화 되어있지 못한 점을 들 수 있다. 도시정부의 GIS를 도시정보시스템(UIS)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도시정부 정책결정자의 관심증대와 적극적인 빙안 마련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is study on the construction, application and problem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Seoul city government and municipal local governments of Kyunggi-do, Korea. The main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composed of (1)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municipal local governments GIS, (2) GIS exclusive charge organization, basic plan, promoting present situation of administrative computerizing of Seoul city government and municipal local governments of Kyunggi-do. (3) Problem analysis of GIS construction, application. (4) improvement plan for the GIS's efficient construction, application. GIS application in various services of municipal government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age of information and localization. Since 1995, Korean central government has established 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GIS) basic plan, thereafter Korean central government is extending GIS program to municipal local governments. The expecting outcomes of GIS construction application cite a case such as. (1) Speediness, efficiency, accuracy betterment of municipal government affairs, (2) using as important basic materials in decision-making, (3) prompt disposal expectedness on the accidents of various kinds and in time of emergency. The problems of GIS construction in Kyunggi-do city governments are (1) the lack of foundation construction on space information, (2) the construction absence of GIS information propulsion system, (3) the insufficiency of GIS information prompting special working manpower. (4) The lack of GIS's data base's systematic maintenance administration (5) the discontent of space information renewal strategy. The problem of GIS application in Kyunggi-do city governments are (1) system integration absence deriving from difference of the managing mainbody between municipal local government GIS and underground facilities GIS, (2) insufficiency of law and institution promoting GIS application. It is needed that municipal local government policy-makers take a increasing interest in city government GIS and prepare the active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