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황희 정승 납거미 유언’ 설화 고찰

        황인덕 ( In-deok Hw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1

        알려져 있듯 황희는 정승을 지낸 조선 초기 명인의 한 사람이다. 다수일반인들에게 그는 주로 ‘황희 황정승’으로 이름과 직위가 병칭되어 불리어오곤 했는데, 이는 그의 이름이 오래 전에 이미 애칭화되어 후대까지 널리 불려왔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역대 정승을 거친 수많은 훌륭한 인물가운데, 그 직위에 요구되는 역할을 가장 충실하게 실현함으로써 그 존재가 거의 ‘정승’의 대명사처럼 기억되어온 결과라 하겠다. 황정승이 조선조전 시대를 대표하는 명 정승으로 알려져온 것에 부합하여, 그에 대하여 구전되어온 설화 또한 그 폭과 깊이가 넓고 깊게 실현되고 있다. 한 인물이 남긴 설화가 대략 주인공이 지닌 인품, 생애, 시대, 업적 등의 조건에 비례한다면, 황정승이 남긴 설화의 다양성도 대략 그러한 조건들이 예사인물과는 다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위 인물에 대하여 <공작이도 납거미를 먹고 살랴>라는 하나의 유형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 설화의 유형은 크게는 하나, 작게는 세개의 유형으로 나뉘고 있다. 둘째, 위 설화가 형성된 화소의 원천은 ‘고려장 설화’와 ‘공작이도 납거미를 먹고 살랴’라는 전래 속담이며, 이 두 가지 요소가 하필 황정승을 대상 인물로 하여 새로운 설화를 이룬 것은 나말여초 중국과 조선의 국제관계와 그 속에서 황정승이 수행한 역할과 위상이 반영된 결과이다. 셋째, 설화를 통한 인물 형상의 특징은 청렴상을 통한 민담성의 강화에 있으며, 특히 비범한 능력을 발휘하여 청렴을 실천하는 인물상의 구현은 황정승의 투철한 애민정신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넷째, 황정승 설화는 여말 선초를 지나 조선 초기 국운 상승기의 인물담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며, 그로 인하여 설화 속의 인물상이 한결같이 긍정적인 모습으로만 나타난다. As we all know, Hwang Hee was a renowned minister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fact that he has been mainly called both by name and position as ‘the minister Hwang’ means he was already given a nickname a long time ago. He has been remembered as a representative of ministers existed in the history as he carried out his duties the most faithfully among the numbers of past outstanding ministers in the country. In accordance with his reputation as a devoted minister throughout the whole dynasty of Joseon, his fictional image was embodied with great wide and depth. If the tales Hwang Hee left behind depended on the conditions such as his personality, his life, the period and his achievement, a variety of his tales would seem to approximately result from those different conditions from those of others. This paper concentrates on his tale < Apeacocklivesonflatspiders > only. The contents are as below. First, the above-mentioned tale might be broadly divided into a type, or into three types in detail. Second, a subject matter of this tale is derived from folk tales about ‘Goryeojang’ and ‘A peacock lives on flat spiders’. A new tale about Hwang Hee which has been invented reflects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of Joseon with China, and the role and position he played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ird, a characteristic of the hero in the tale depends on the strengthening his integrity, which displays Hwang Hee’s strong love for the people by showing his exceptional ability to perform for them. Fourth, the tale of Hwang Hee represents a tale of the great man in the history when the country was in the ascendan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from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Therefore, he was displayed as a positive character in the t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