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 지역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영향 요인

        안영혜,서순림 한국장기요양학회 2018 한국장기요양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Vol.2018 No.-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 요양병원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종간호수행, 공감역량, 임종간호장애요인, 연명의료태도의 정도와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향상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의료기관평가인증원으로 부터 인증평가를 획득한 200병상 이상의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일반간호사로 210명을 편의 표집한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24.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공감역량은 5점 만점에 3.73(±.43)점이였으며, 임종간호장애요인은 5점 만점에 3.00(±.49)점, 임종간호수행은 4점 만점에 2.70(±.42)점, 연명의료 태도는 5점 만점에 3.37(±.39)점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과 임종간호수행 정도는 연령(F=8.42 ρ=.000), 결혼(t=-3.234, ρ=.001), 종교(t=-3.239, ρ=.001), 총 임상경력(F=3.703, ρ=.026),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종간호수행과 공감역량(r=.654, ρ<.001)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1단계 위계에서는 일반적 특성을, 2단계 위계에서는 독립변수를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단계 모형에서 근무형태가 3교대 인 간호사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1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2단계 모형에서는 공감능력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52% 설명력으로 나타났다. 결론: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 요인으로 공감역량이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근무형태에서 3교대근무 간호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를 토대로 요양병원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을 높이기 위하여 공감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문정 ( Ko Mun Jung ),문소현 ( Moon So-hyun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16 정신간호학회지 Vol.25 No.4

        Purpose: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o assess the level of and the relationship of related factors in the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by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238 ICU nurses from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2.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between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and end-of-life care attitudes. Performance end-of-life car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nd-of-life care stress and obstacles.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d ICU nurses` performance of end-of-life were end-of-life care stress, medical team in obstacles related to end-of-life care, and end-of-life care attitudes, which explained about 53% of the variance in the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hospital organizations should carry out stress management and counseling programs in order to lower ICU nurses` end-of-life care stress, and to enhance end-of-life care attitudes. In addition, concern needs to be given to the medical team which was one of the obstacles to end-of-life care. It is also necessary to decrease the heavy workload and increase the communication with medical wor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