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제 ‘은화관식’의 형상과 정치적 성격 검증

        오은석 동아시아고대학회 2014 동아시아고대학 Vol.0 No.35

        ‘銀花冠飾’은 흔히 백제에서 率系 관료의 관모에 착장하는 장신구이자 일종의 정치적 표지인 銀花로 일컬어지 고 있다. 그런데 ‘은화관식’으로 지칭되는 대상물이 백제 당시의 銀花인지는 확언할 수는 없다. 이는 유물인 ‘은 화관식’을 기록의 銀花라고 구체적으로 명시한 증거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은화관식’이 기록의 銀 花에, 형상과 정치적 성격이 부합하는지 검증해보았다. 이 검증에는 3가지 의문점으로 이루어졌다. 첫째는 기록의 金花로 지칭하는 무령왕의 금제관식과 기록의 銀花 로 지칭하는 ‘은화관식’은 그 출현시기와 형식학적인 면에서 차이가 크다는 점이다. 둘째, 기록을 통해 보았을 때 비교적 많은 관료가 銀花를 착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은화관식’은 1938년 첫 발견 이후 70여년 넘게 불 과 13점만 발견된 현상이다. 셋째는 ‘은화관식’이 관등을 드러내는 표지이며 정치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면 미륵사지 석탑 심초석 사리공에서 발견된 ‘은화관식’과 같이, 공양품으로 처분이 가능했을까하는 점이다. 이 3가지 의문을 중심으로 ‘은화관식’의 형상과 내재된 성격을 재검토해본 결과, ‘은화관식’은 꽃의 형상이 아 닌 나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외형상 ‘은화관식’은 기록의 銀花로 볼 수 없었다. 그리고 ‘은화관식’은 정치적 성격이 내재되어 있기 보다는 무덤 부장품의 성격이 짙고 私的으로 제작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7세기 에 들어서는 私的인 기원의 상징물로도 부장되었다. 검증 결과 ‘은화관식’은 형상으로나 내재된 성격으로나 기록의 銀花로 볼 수 없었다. 銀花는 아직까지 발견되 지 않았으며 ‘은화관식’은 그 소재와 형태적 특징에 부합하는 명칭인 銀製 樹形 冠飾으로 부르고자 제안한다.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was an accessory that decorated the official hat of a bureaucrat in a Sol-group position in Baekje. It is also known as the Silver Flower, which is seen in political signs. However, these terms may not be interchangeable as no definite evidence could prove the relation between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and the Silver Flower. Therefore, this study will attempt to verify whether the shape and role in politics of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coincide with those of the Silver Flower by examining available historical records. Three doubtful points have been noted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ilver Flower and 'the Silver Flower- Shaped Hat Ornament'. The first is related to the differences between King Muryeong's Gold Diadem Ornament and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These two items bea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iod of appearance and form. Second, according to the records, most bureaucrats wore the Silver Flower in the past, but only 13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pieces have been found since the first of its kind was discovered in 1938. Third, if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indicated an official rank and had a political character, it could be treated as one of the goods offered to Buddha, such as the one discovered in the sarira hole for enshrinement in the foundation stone at the stone pagoda of Mireuksa Temple. After considering the three issues stated above,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has an appearance that is more similar to a tree than a flower, which indicates that its shape is contradictory to that of the Silver Flower described in historical records. Second,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was treated as a type of grave goods rather than an object with political purposes.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was made personally, and it was also treated as a type of grave goods to wish someone luck in the 7th century. in sum,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hardly refers to the Silver Flower because they are different in various ways. They were created ofr different purposes, and even their shapes are dissimilar. The study concludes that a Silver Flower specimen has never been found. Further, in consideration of its material and shape, 'the Silver Flower-Shaped Hat Ornament' may be renamed as Silver Tree-Shaped Hat Ornament.

      • KCI등재후보

        銀花冠飾으로 본 백제의 지방통치

        서정석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09 동국사학 Vol.47 No.-

        그 동안 백제의 지방통치체제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 결과 백제의 지방통치체제가 部制와 ?魯制를 거쳐 5方制로 변천해 간 것에 대해서는 대체로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 다만 그 시기와 내용에 있어서 의견차가 있을 뿐이다. 백제에서는 l관등 중 제 6관등인 奈率이상의 官人에게 은회관식올 수여하였다. 그런 점에서 흔히 은제관식으로 부르는 백제의 관식은 銀花冠細으로 부르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아울러 이러한 은화관식은 기본 형태는 비슷하지만 줍기 에서 갈라져 나온 가지 수가 하나냐 둘이냐에 따라 몇 종류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그러한 차이는 관식 이 제작된 시기차를 반영하는 측면도 있지만 그것을 착용한 官人의 관등 차이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이러한 은화관식은 백제의 지방에서 발견되고 있어 지방통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그 시기가 6세기 중엽 이후라는 점에서 백제의 5方制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백제의 郡이 ?魯에서 전환되었을 것이라는 지적은 일찍부터 있어 왔는데 , 黑觸常之의 예에서 보듯이 일부는 方으로 편제되기도 하고 일부는 郡으로 편제되기도 하였다. 그런 점에서 백체의 那에 那將이 3인이 있다고 한 기록은 각 那마다 군장이 3명씩 있었다기보다는 1개의 方에 소속된 6~7 개,혹은 10개의 군那 중에서 군장이 파견된 那이 3개 군이었다는 뜻으로 이해된다.

      • KCI등재

        조선과 일본의 銀유통 교섭(1697~1711)

        鄭成一(Sung-il Chung) 한일관계사학회 2012 한일관계사연구 Vol.42 No.-

        17세기에서 18세기로 넘어가는 시기에 동아시아의 銀 유통은 커다란 변화를 보였다. 더구나 울릉도-당시 일본에서는 竹島라 불렀음-의 귀속 문제를 놓고 조선과 일본이 갈등을 빚고 있을 때 발생한 일본의 은화 改鑄는 두 나라의 무역관계를 더욱 긴장시키고 있었다. 일본의 德川幕府는 1695년에 새로운 銀貨를 발행하였다. 이것은 도쿠가와 막부 출현 이후 약 100년 동안 유통되고 있던 순도 80%의 慶長銀을 대신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新銀인 元祿銀의 순도는 64%였다. 이는 은화 1개에 은이 64% 함유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다른 물질이 섞여 있었음을 뜻한다. 일본은 그 뒤로도 은화의 순도를 변화시키는 개주를 되풀이하였다. 그럴 때마다 對馬 藩은 그런 사실을 조선에 알렸다. 대마번이 조선과 무역을 전개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것이 전제조건이기도 했다. 조선정부는 일본의 은화 개주에 대하여 어떻게 대응하였을까? 이 문제에 대하여 분명하게 밝힌 연구는 아직 많지 않다. 이 문제의 해명은 동아시아의 銀 유통 역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이다. 조선은 일본에서 유입한 은화를 중국과 무역을 위한 결제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조선정부로서도 일본 은화의 순도 문제는 커다란 관심사였다. 요컨대 조선정부가 도쿠가와 막부의 거듭된 은화 개주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해 나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조선과 일본, 중국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은 유통망의 실체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The circulation of East Asian silver exhibited important changes in the late seventeenth and early eighteenth centuries. In particular, a revaluation of Japanese silver occurred at a time of friction between Choson Korea and Japan over the Korean island of Ullung (then called Takeshima in Japan) caused tension in the trade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Edo bakufu in Japan introduced a new silver currency in 1695. This new currency replaced the Keicho silver, which was 80% silver and had been in circulation for nearly 100years. The new Genroku silver currency was of 64% purity. That is, one piece was 64% silver and 36% other materials. Thereafter, the Japanese government frequently revalued its silver currency, and the Tsushima domain informed the Choson government each time this happened. This announcement was a condition of Tsushima’s trade relationship with Choson. Clarification of the Korean state’s response to the devaluation of Japanese silver will greatly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circulation of silver in East Asia. Because the Choson government used silver imported from Japan as a means for purchasing goods in Qing China, the revaluation of silver in Japan was an issue of great importance for the Korean government. By understanding how the Choson government dealt with the Edo bakufu’s several revaluations of silver, we will better grasp the silver trade between Choson Korea and Japan, and silver’s usage in the wider East Asian area where it circulated as a means of payment.

      • KCI등재

        백제 金花 冠飾: 가시화된 세계수

        이송란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9 美術史學 Vol.- No.38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the gold flowershaped icon decorated on a hat by the king and the silver flower-shaped icon applied to the government seal of an official higher than the 6th rank. It has been hard to associate the gold flower-shaped diadem ornaments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in Gongju with the silver flower-shaped diadem ornaments mainly excavated from the Sabi’s horizontally-buried stone chamber tombs because the time of the first appearance differ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s and perceptions of the Baekje people’s embodiment of diadem ornaments with flowers from the perspective of King and Queen Muryeong’s gold flower-shaped diadem ornaments and silver flower-shaped diadem ornaments as gold flower-shaped and silver flower-shaped ones in the literature. As for King Muryeong’s composition of gold flower-shaped patterns consisting of lotus flower, palmette, and grape, the route of acceptance to Goguryeo and Northern Dynasties via West Asia and Central Asia was found out, unlike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at as an influence of Southern Dynasties of China. The queen’s gold flower was made up of a motif of Yeonhwa-hwasaeng (Self-born on the lotus leaf) in which lotus flower and palmette are born in the vase, and through this it was noted that palmette and lotus flower were accepted as symbols of light and life as in West Asia. This study discussed gold flower and silver flower, combining them with the shape of a mountain as a way of seeing them newly. Combined with the mountain, gold flower and silver flower did not mean simple flowers but were understood as a tree, that is, a world tree. In Baekje, the wood-worship religion that worships trees had been the Three Han States period. The world tree is the central axis of space, defined as a path on which life force ascends, and the deity of the sky descends. The gold flower and silver flower symbolizing the world tree are understood as the visualization of the central class of Baekje, who can communicate with the sky and can enjoy abundance by putting on them.In the field of art history, “originality” has long been an important issue.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the creativity of art has been taken mainly in aesthetics rather than in art history. 이 글에서는 왕이 모자에 장식한 금화와 6 품 이상의 관인에 적용된 은화의 도상의의미와 성격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공주 무령왕릉의 금화관식과 사비의 횡혈식 석실묘에서 주로 출토되는 은화 관식을 연동하여 보기 어려웠던 점은 처음 등장하는 시점이달라서이다. 무령왕과 왕비의 금화관식과 은화관식이 문헌의 금화와 은화이라고 보는관점에서 백제인들이 관식을 꽃으로 형상화한 의미와 인식을 살펴보았다. 무령왕의 연화와 팔메트, 그리고 포도로 구성된 금화의 문양구성은 그간 단순히 중국 남조의 영향으로 이해되었던 것과는 달리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를 경유하여 고구려와 북조에 수용되었던 경로가 파악되었다. 왕비의 금화는 현병에서 연화와 팔메트가탄생하는 연화화생의 모티브로 구성되었는데, 이를 통하여 팔메트와 연화가 서아시아에서와 같이 광명과 생명의 상징으로 수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금화와 은화를 새롭게 보는 방법으로 산이라는 조형과 결합하여 고찰하였다. 산과결합하여 볼 때 금화와 은화가 의미하는 것은 단순한 꽃이 아니라 나무, 즉 세계수의 개념으로 파악하였다. 백제에서 나무를 숭배하는 수목신앙은 삼한시대부터 구축되어 있었다. 세계수는 우주의 중심축으로서 생명력이 위로 상승하고 하늘의 신령함이 하강하는 통로로 규정된다. 세계수를 상징하는 금화와 은화는 하늘과 소통할 수 있고 이를 착용한 사람은 풍요를 누릴 수 있는 백제의 중심 계층임을 시각적으로 가시화한 것으로이해된다.

      • 백제(百濟) 의관제(衣冠制)의 정비시기 검토 -은화관식(銀花冠飾)과 금동관모(金銅冠帽)를 중심으로-

        나용재 ( Na Yong-jae ) 단국사학회 2016 史學志 Vol.53 No.-

        백제 의관제의 정비시기를 추정함에 있어 은화관식과 금동관모는 각각 하한과 상한 시점을 알려주는 유용한 자료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은화관식은 모두 축조연대가 6세기 중반 이후로 편년되는 유구에서 출토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은화관식은 매납용으로 제작된 것이 아닌, 실제 사용되었던 것으로서 유구의 추정연대와 일정한 차이가 발생하는 성격의 자료임이 확인된다. 이를 착용할 수 있는 率系 관등 관인들의 기대수명 및 동시에 규정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는 국왕의 금화관식이 무령왕릉 출토 금제관식과 관련됨을 고려하면, 은화관식 규정이 포함된 백제의관제의 정비시기 하한은 적어도 6세기 초반으로 이해된다. 반면 백제의 금동관모는 지금까지 확인된 자료들의 추정 연대가 5세기 후반을 넘지 않으며, 출토지 역시 한성과는 거리가 있는 지방임을 알 수 있다. 금동관모는 5세기 후반까지 백제 중앙에 의해 재지수장층에게 사여된 것으로서 관등제에 의거하였던 백제 의관제에 선행하는 용품인 것으로 이해된다. 즉 금동관모의 제작과 사여가 중단되는 5세기 후반은 지방에 대한 지배력이 강화되었음과 동시에 관등제의 정비가 이루어져 이에 기반한 일원화된 의관제가 정비된 시기의 상한으로 볼 수 있다. In estimating the period of final institutionalization of Baekje attire system, silver flower-shaped diadem ornaments and gilt-bronze crown are useful materials as they can inform us the upper limit and lower limit of their timing. Judging from the date of their discovery, all of the silver flower-shaped diadem ornaments discovered so far were unearthed from artifacts that have been manufactured after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However, the one unearthed from the stone pagoda of Mireuksa-ji site, trace of repairing was ascertained. This suggests that the unearthed silver flower-shaped diadem ornaments were manufactured not for the purpose of burying but for actual use, hinting that there is a certain time difference in-between these ornaments and other artifacts unearthed in terms of estimated date. When judging from expected life span of Sol-group rank officials who could have used these ornaments in Baekje together with the fact that gold flower-shaped diadem ornaments of a king that is considered as having been regulated at the same time with silver flower-shaped diadem ornaments is related with gold flowershaped diadem ornaments that have been unearthed from the tomb of King Mureong, the lower time limit of final institutionalization of Baekje attire system, which included regulations on silver flower shaped diadem ornaments, can be drawn around the early part of the 6th century at the latest. Estimated date of Gilt-bronze crowns of Baekje so far ascertained do not go beyond the second half of the 5th century, and the places of their unearthing were all at some distance from Hanseong, the center of Baekje.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these facts, gilt bronze crowns are ascertained that they had nothing to do with the central government organization of Baekje or direct local control system thereof as the feudal lords, chieftains or heads of Damno. Gilt bronze crowns of Baekje were the one that were bestowed to local chiefs until the second half of the 5th century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Baekje, which preceded attire system of Baekje that relied on official rank system. In this regard,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when manufacture and bestowing of gilt-bronze crowns seem to have been suspended was a time when control over local areas was reinforced and the rank system was introduced in earnest, can be regarded as the upper time limit of final institutionalization of a systematic attire system that backed it.

      • KCI등재후보

        은화로 본 티베트 문화

        이정환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6 대학교양교육연구 Vol.2 No.2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some patterns in Tibetan coins. Tibetan coins are made of bronze and silver, and some gold coins are issued. In general, the pattern used for money is symbolic of the country. The same goes for Tibet. Tibetan coins are very unique in their overall design, arrangement, and notation using letters, and thus have value in themselves. The contents of the coins appear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coins, but most of them contain similar contents. Because these contents represent the essence of Tibetan culture, the study of symbols emblazoned on coins is an important subject for understanding Tibetan culture. The study of patterns of coin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Second, we examine the kinds of silver coins. Third, analyze symbols of coins. 본 연구는 티베트 동전에 나타나는 몇 가지 문양에 대한 분석이다. 티베트 동전의 종류 에는 동화와 은화가 있으며 일부 금화가 발행되었다. 일반적으로 화폐에 사용된 문양은 한 나라를 대표하는 상징성을 띤다. 티베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티베트 동전은 전체적인 도안이나 배치, 문자를 이용한 표기법 등이 매우 독특하여 그 자체로서 가치를 지닌다. 동전에 새겨진 내용은 동전의 종류에 따라 문양과 문자가 다르게 나타나지만 대부분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내용들은 티베트만의 문화적 정수를 대변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전에 새겨진 상징물에 대한 연구는 티베트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대상이 된다. 동전의 문양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첫째, 돈의 단위와 연대표기법 및 문자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동전의 종류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동전의 상징기호를 분석한다.

      • KCI등재후보

        남원 척문리 출토 은화관식 보존처리와 외형적 특징 연구

        이영범,양은희,범대건 국립중앙박물관 2009 박물관보존과학 Vol.10 No.-

        남원 척문리 출토 은화관식의 보존처리 과정과 부식화합물의 종류를 소개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까지 출토된 백제시대 은화관식 12점의 4가지 기존 형식 분류를 구체화하고, 각각의 은화관식을 비교한 결과 제작기법은 동일하나 크기나 두께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것으로 볼 때 은화관식을 제작할 당시 많은 수량을 한번에 만든 것이 아니고 필요할 때마다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This paper introduces a conservation treatment for silver diadem ornaments with flower design and the types of corrosive chemical compounds. Twelve silver diadem ornaments with flower design from the Baekje period excavated thus far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This classification is made more specific in this paper. Each of the silver diadem ornaments was compared with one another. The comparison showed that the same production technique had been used for all of them, but they differed in size and thickness. This suggests that only a few pieces were produced whenever needed, rather than many pieces being produced at the same time.

      • KCI등재

        부여 상황리 일대 백제 고분군의 분포와 위상

        이솔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21 한국전통문화연구 Vol.28 No.-

        부여 장암면 상황리 일대에는 이전부터 문헌기록과 묘단비의 내용 등을 근거로 백제 때 왕릉이 있었다고 전해오고 있다. 상황리에는 傳 백제왕릉 외에도 왕림마을과 그 동쪽의 화림마을 일대, 그리고 은화관식이 수습된 舊 하황리 수습유물 등 4개소에서 고분군이 분포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상황리 일대 백제 고분군의 분포 와 그 위상을 파악해보았다. 상황리 傳 백제왕릉은 3기의 고분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중 1호분의 봉분은 직경 10~12m 정도이다. 고분은 횡혈식석실묘로 내부에서는 금(금동)으로 만든 유물과 옻칠을 한 등잔 등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傳 백제왕릉 1호분은 봉분의 규모와 석실묘의 구조 등에서 둔산리 석실분과 비슷하여, 적어도 귀족이나 지방 수장급 정도의 위계는 가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傳 백제왕릉은 능선 말단부의 독립된 구역에 입지하고 있으며, 세부 가지능선에 따라 고분이 배치되는 양상도 능산리고분군과 견줄 만하다. 이는 비슷한 위계에 있는 고분군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입지상 특수성을 갖고 있다. 傳 상황리 수습유물(舊 하황리수습유물)이 출토된 고분은 판석으로 축조된 횡혈식석실묘로, 평사천장의 구조로 보인다. 그중 은화관식은 고분이 사비기 중요 고분이었음을 보여주며, 이외에도 금제 귀걸이와 금사, 금도 등도 출토되었다고 전하고 있어 비교적 위계가 높은 고분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점에서 상황리 일대 백제 고분군은 사비도성 외곽(남쪽)의 고분군이지만, 왕족급이나 이에 버금가는 위계의 고분이 존재하고, 인근에도 은화관식이 부장될만큼 위계 있는 고분들도 있었다. 이는 사비도성 외곽고분군은 물론이고 지방 고분군에서도 전혀 볼 수 없었던 양상으로, 상황리 일대가 차지하는 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It has been transmitted that there are royal tombs from the Baekje period in Sanghwang-ri, Jangam-myeon, Buyeo based on records in literature and the content of tombstones. There are four clusters of ancient tombs including alleged royal tombs of Baekje. This study thus set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distribution and status of Baekje tombs around Sanghwang-ri. Alleged royal tombs of Baekje is arranged so that the three tombs form a triangle, and No. 1 of them is estimated that the burial mound was 12m in diameter. It was a stone chamber tomb. Artifacts made of gold were excavated in the tomb along with lac- quered oil lamps. Alleged No. 1 Royal Tomb of Baekje seems to have been built for a nobleman or local chief based on its similarities in tombs of Dunsan-ri. Also Alleged royal tombs of Baekje are situated in an independent section unlike other tombs of Baekje, which means that they have a unique location in that it is not found in ancient tombs of similar hierarchy. The tombs where alleged Sanghwang-ri artifacts (former Hahwang-ri artifacts) were collected were stone chamber tombs made of plate stones in stack and in the structure of hexagonal type ceiling. Flower-shaped silver hat ornaments collected from the tombs are major artifacts from the Sabi period of Baekje. In addition, it is said that golden ear- rings, yarn, and swords were also excavated in the tomb. These artifacts indicate that the tombs had relatively high hierarchy. In this sense, the tombs of Baekje around Sanghwang-ri are located south of the Sabi capital city and include tombs of high hierarchy equal to the royal family. Other tombs were built around them including tombs of high hierarchy with flower-shaped silver hat ornaments buried in them. This pattern has not been found in local tombs as well as tombs outside the Sabi capital city.

      • KCI등재

        영산강유역권 백제 금속위세품의 변천과 토착세력의 동향

        오동선 호남고고학회 2022 湖南考古學報 Vol.72 No.-

        한성기 후반에서 사비기까지 백제 중앙과 영산강유역권 토착세력의 동향을 살피기 위해 금동신발, 금동관, 은화관식을 대상으로 변천과정을 검토했다. 제작지와 지배방식에 대한 해석보다는 백제 교섭 대상지역의 변화가 갖는 의미에 초점을 맞추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금동신발, 금동관, 은화관식의 형식별 시공특성과 영산강유역권 전통사회를 표상하는 Ⅲ식 옹관의 분포 변화를 대응시켜 보았다. 분석결과 한성기 후반부터 백제의 영산강유역권 장악을 위한 교두보는 영암 시종면 일대였다. 한편 영암 내동리 쌍무덤을 중심으로 한 토착세력은 내부 분화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나주 반남면이 새로운 옹관고분 중심지로 급부상하고, 영암 시종면 일대는 옹관 사용이 중단되는 등 고분문화 자체가 쇠락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고학적 변화상으로 보아 영암 시종면의 일부 토착세력이 나주 반남면 일대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후 시종면 일대에는 영암 태간리 자라봉 고분과 같은 장고분이 조영되지만 지속되지는 않는다. 반면 나주 다시면의 복암리 일대는 새로운 외래 고분문화의 중심지로 부상한다. 외부 교섭 방식으로서 교통로상에 중대한 변화가 있었기 때문으로 해석했다. 사비기에는 은화관식과 능산리형 석실의 조영 상황, 복암리 출토 목간의 주요 내용으로 보아 나주 복암리 일대의 토착세력이 영산강유역권을 아우르는 백제 지방관료로서의 지위를 확보한 것으로 판단했다.

      • KCI등재

        은화연교탕(銀花連翹湯)을 투여한 기침 환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

        백현정,이범준,정승기,정희재,Baek, Hyun-jung,Lee, Beom-joon,Jung, Sung-ki,Jung, Hee-jae 대한한방내과학회 2016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37 No.6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treatment effects of Eunhwayeongyo-tang through retrospective chart reviews. We also check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pair of variables of the symptoms and curative rates of patients with cough. Methods: Thirty-three patients with cough who had satisfied the selection criteria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rough their basic medical records, nasal endoscopy, and questionnaires about cough on their first and second visits. The questionnaires used were "The questionnaire on clinical symptoms of cough & sputum", Leicester Cough Questionnaire Korean Version (LCQ-K), Total Nasal Symptom Scores (TNSS), Visual Analog Scale (VAS), and "Cold-heat patterns". The improvement rate, calculated by "The questionnaire on clinical symptoms of cough & sputum" was considered to be clinically effective if reduction of symptoms scored more than 30%. The state of nasopharyngeal mucosa was assessed to categorize the cold-heat patterns of the upper respiratory tract and for diagnosis.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cough and sputum improved by $57.22{\pm}37.76%$. Most patients (76%)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12.18{\pm}6.59days$ of taking Eunhwayeongyo-tang. The cure rates of 26 patients among the 33 patients were judged as effective. All the mean scores of the questionnaires and the anterior nasal cavity stat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on the patients' second visits. After $18.39{\pm}15.68days$, 30 patients were completely cured and ended treatment. The nasopharyngeal mucosa states of all patients were categorized as heat patterns. Conclusions: The conditions of the patients with nasopharyngiti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aking Eunhwayeongyo-tang. All of the patients had pharyngitis or rhinitis. The cold-heat pattern of nasopharyngeal mucosa was a significant indicator of upper respiratory inflammation diagno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