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육과 종교의 관계에서 본 에니어그램

        박범석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05 에니어그램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교육과 종교에 관련된 에니어그램의 통합적이고 초월적인 차원에 대한 논의로서, 교육과 종교의 근원적 관계에 대해 설명하고, 그와 관련된 에니어그램의 자아통합과 자아초월의 인간관을 종교적 교육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한다. 에니어그램은 교육과 종교가 공통적으로 추구하는 인간성의 통합과 초월의 지평에서 만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상호관련성을 탐구하는 것은 보다 더 심층적인 차원에서의 인간본성의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에니어그램의 목적은 단순한 심리검사나 심리유형의 척도를 넘어서 보편교육의 전망과 가치를 내포하고 있다. 즉, 성격유형에 대한 파악을 넘어서 전인적인 인격(人格) 의 완성을 지향하며, 이는 자기 ‘관찰(observation)’에서 ‘이해(understarnding)’, 변용(transformation)'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통합적인 인격의 방향을 처방하고 있다. 즉, 정확한 진단을 통해 분명한 처방을 내리는 점에서 에니어그램의 교육은 그 어떠한 교육과정이나 교육프로그램 보다도 명확한 보편교육의 과정을 제시하고 있다. 에니어그램의 교육은 특정한 종교의 틀에 구애받지 않고 자아탐색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진정한 종교적 교육을 실현한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내면의 이해를 통해 자아의 성장과 통합을 모색하기 때문에 기존의 공교육적 가치도 포함한다. 이것은 종교계나 교육계 모두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현대에도 여전히 종교의 도그마적(dogmatic) 교리 주입이 성행하고 있고, 교육은 인성교육과 지식교육의 양립할 수 없는 딜레마(dilemma)로 혼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에니어그램은 종교적 도그마와 교육적 딜레마를 극복하는 영적 · 통합적 성숙을 위한 하나의 교육적 모델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에니어그램 프로그램 관련 연구동향 분석

        이미련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5 에니어그램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에니어그램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인 ‘에니어그램연구’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을 적용한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 석하고 향후 보다 발전된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2004년 창간호에서 2015년까지 ‘에니어그램연구’에 게재된 논문 172편 가운데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을 실제 적용한 논문 30편을 대상으로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핵심어, 프로그램의 특성, 프로그램 진행방법, 프로 그램의 내용, 프로그램의 유형, 사례연구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자는 초등학생, 중년여성, 자녀를 둔 부모가 가 장 많았고, 연구의 핵심어는 ‘에니어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자기효능감’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프로그램의 특성에서, 프로그램의 회기는 7-8회기, 회기별 시간은 120분, 프로그램 총 적용시간 은 13-16시간, 총 기간은 4-8주가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진행방법은 강의, 시청각교육, 확장학 습, 의사소통, 경험나누기, 활동 및 면담으로 구분하여 분류하였는데 이론강의가 가장 많이 사용 되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대상자별로 회기별 시간과 프로그램의 진행방법 등 다양하였으며 프 로그램의 유형은 인간관계향상, 부모교육, 진로, 가족치료, 미술치료 및 독서지도 프로그램으로 구 분할 수 있었고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을 적용한 사례연구는 2편으로 미술치료를 활용한 단일 사례 연구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에니어그램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프로그램의 반복 적용 은 물론, 다양한 대상자를 대상으로 대상자와 관련변수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양적연구는 물론 질적연구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nneagram program research paper in Journal of Enneagram Studies from 2004 to 2015 and to suggest the trend of future enneagram program research. The 30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focusing on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 key words, characteristics of program, proceeding method of program, contents of program, type of program and case study. The prevailing research method was quantitative research. Most of the subject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aged women and parents. The prevailing key words were ‘enneagram’ and ‘self-efficacy’ in order. In the characteristics of program, session of the program was 7-8 sessions, each session time was 120 minutes, total application time was 13-16 hours, total period of 4-8 weeks was the highest. In the proceeding method of program, lecture, audiovisual education, extended learning, communication, experience sharing, activity and interview were classified. The lecture was used most frequently. The contents of program were diverse. The types of program were improvement relationships, parental education, career, family therapy, art therapy and reading guidance. Case studies applying the enneagram program were single case study using art therapy. As a result on the research above, following recommendation can be made. Repeated application of existing enneagram program and various enneagram program should be developed. It will also be expanded qualitative as well as quantitative research studies.

      • AURA 컬러와 에니어그램 9가지 성격유형과의 유사성 연구

        이영좌(Yeong Joa Lee) 한국자연치유교육학회 2017 자연치유교육학회지 Vol.1 No.1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에니어그램 9가지 성격유형과 AURA 컬러와의 유사성을 연구하여 성격분석의 다양성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있다. 에니어그램과 컬러와의 접목은 기존에도 이미 시도되어져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 20년간의 AURA 연구를 하면서 누적된 수만 명의 컬러에 대한 성격분석 데이터들을 토대로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과 보다 더 유사한 컬러를 찾고자 하였다. 에니어그램에 대한 저서 Don Richard Riso와 Russ Hudson의「The Wisdom of the Enneagram」의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 기술을 토대로 유사성 연구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파랑- 에니어그램 1유형, 분홍 또는 연두- 에니어그램 2유형, 골드-에니어그램 3유형, 보라-에니어그램 4유형, 남색-에니어그램 5유형, 그린- 에니어그램 6유형, 주황-에니어그램 7유형, 빨강-에니어그램 8유형, 블루그린-에니어그램 9유형이 서로 매유 유사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고대의 여러 전통에서 전해져온 지혜와 현대 심리학이 결합한 에니어그램에 생체에너지 AURA가 나타내는 빛과 컬러의 임상이 더해져서 심신의 건강과 더불어 의식 성장을 바라는 많은 사람들에게 보다 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similarities between 9 types of enneargram and AURA colors to promote variety in character analysis. Combination of enneargram and colors has already been tried. But this study seeks to find more similar colors to the enneargram characters based on character analysis data on millions of colors accumulated by AURA studies for the past 2 decades. This study seeks psychological similarities to AURA colors based on the description on enneargram character types in「The Wisdom of the Enneagram」by Don Rochard Riso & Russ Hudson. The result shows that blue-Type 1 enneargram, light green-Type 2 enneargram, gold-Type 3 enneargram, purple-Type 4 enneargram, indigo-Type 5 enneargram, green-Type 6 enneargram, orange-Type 7 enneargram, red-Type 8 enneargram and blue green-Type 9 enneargram have the most similarities. Combination of wisdom from ancient tradition and modern psychology leads to enneargram, which meets clinical science of lights and colors by bioenergy of AURA; hopefully this study can be helpful to those who seek wiser mind as well as healthy body and mind.

      • 에니어그램연구 게재 논문 분석을 통한 에니어그램 연구동향: 창간호에서 2013년도까지

        이미련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4 에니어그램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한국에니어그램학회에서 발행하는 학회지인 에니어그램연구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에니어그램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미래에 보다 발전된 에니어그램분야의 연구방향을 제시 하고자 시도되었다. 2004년 창간호에서 2013년까지 에니어그램연구에 게재된 논문 115편을 대상으 로 연구설계, 연구대상자, 측정도구, 통계분석방법, 핵심어, 주요변수 및 개발된 에니어그램 프로그 램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설계는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구대상자는 대학생, 일반성인이 가장 많았고 측정도구 는 외국도구를 수정보완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통계분석방법에서는 t-검정이 가장 많았으며 ANOVA, chi-square test순이었다. 핵심어는 ‘에니어그램’이 가장 많았으며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자기효능감’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에니어그램 관련 주요변수에서는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부 모양육태도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에니어그램연구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프로그램개발 연구는 10편이었으며 인간관계향상, 리더십, 부부관계향상, 자기성장, 진로지도, 가족 치료, 힐링 및 코칭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에니어그램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구설계가 진행되어야 하겠고 질적연구에 대한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대상자에 있어서 소외계층에 대한 연구 가 증가되어야 하며 개발된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의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에니어그램 중재연구 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고전문학 『심청전』에 나타난 에니어그램 심리역동분석

        이순영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7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에니어그램을 통해 한국의 고전문학을 분석하고, 한국적인 에니어그램 역동심리를 이해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적인 인성들을 반영한 작품인 고전문학 『심청전』속에 드러난 주요 인물들의 에니어그램 역동심리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심청전』완판본의 텍스트에 드러난 인물들의 성격을 나타내는 사고, 감정, 행동별 형용사를 추출하여 에니어그램 핵심욕구별로 분류하고, 빈도분석을 통해 등장 인물의 에니어그램 심리역동을 규명하였다. 또한 등장인물 간의 대사, 감정, 행동의 흐름을 파악하여 에니 어그램 관계역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심청전』속 등장인물들에 대하여 에니어그램 심리역동으로 설 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에니어그램을 통한 한국적인 에니어그램 심리역동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개인이나 집단상담, 에니어그램 교육현장에서 에니어그램 역동심리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에니어그램과 정보인식체계를 활용한 강점개발에 관한 연구

        정용구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4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1 No.1

        에니어그램은 세상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9가지 인식체계의 패턴이다. 우리가 그 세계관을 이해하고 자신이 가진 강점을 인식할 때까지, 에니어그램은 우리 자신과 세상에 대한 핵심 신념에 의해 생성된 행동, 느낌, 생각의 반복적인 것들을 개인에게 발생시킨다. 이러한 반복은 인식적 의식의 외부에서 크게 작용하는 습관적인 태도를 형성한다. 습관적 태도를 이해하고 그 유형만이 지닐 수 있는 강점을 연구하는 것은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마다 자신에게 필요한 건강한 발달에 유용한 도움을 제공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이 지닌 힘의 중심과 에너지의 흐름(분출, 조절, 몰두)을 활용한다. 또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마다 외부의 정보를 인식할 때, 오감(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으로 인식하는 정보인식체계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인간을 통합적으로 이해함으로 내부의 에너지가 외부의 감각 체계를 만나 서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행동의 양식, 감정의 표상, 행동패턴의 경로를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 또한 에니어그램을 이해하는 강점워크샵 참가자 467명을 대상으로 자신유형의 강점과 우세한 정보인식체계(시각, 청각, 감각, 내부언어)를 확인하였다. 1차, 2차에 걸쳐 에니어그램심리상담전문가, 진로, 직업코칭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강점요소 27요인을 개발하였다. 향후 강점요소를 활용하여 강점워크샵, 치유하기, 상담전략 등에 가이드로 제공될 수 있다.

      •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연구

        오현수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05 에니어그램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자기자신과 자기성장을 이해하는 한 방법을 예시하고 있는 에니어그램에 대한 이론을 탐색하고, 이를 간호분야의 미래를 책임질 간호대학생들에게 이를 적용해 보고자 2004년도 간호대학 신입생 77명과 2005년도 신입생의 246명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비교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에니어그램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성격유형 검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호대학생의 약 50%는 장중심에 속하며, 약 40%는 9번 유형에 속한다. 약 54%는 통합보다는 분열에 속해 있으며 발달수준에서 건강수준은 보통범위(6수준에 진입)에 해당한다. 2. 에니어그램은 성격의 유형을 설명하고 성격을 분류하는데 멈추지 않고, 구체적인 처치와 성장 방향을 제시하며 정신병리적 억압의 방향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성격유형과는 다른 도구이며 지침이다. 3. 에니어그램은 개인의 현재 심리적 건강 상태를 밝혀줄 뿐만 아니라 발달수준의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각 개인은 자신의 성격적 분열 상태를 막기 위해 통합의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며 각 유형이 갖는 행동의 숨은 동기를 이해하고 각 유형이 갖는 본질적 두려움이 무엇인지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에게 우세하게 나타나는 성격적 특성의 장. 단점을 이해하고 내면에 잠재되어있는 다른 유형과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함으로써 발달 수준을 높여야 한다. 이상과 같은 결론에 따라 간호교육과 관련지어 다음의 제안을 하고자 한다. 1. 에니어그램은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성격유형의 본질 발견과 잠재력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2. 에니어그램은 영적 간호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에니어그램은 건강을 준비하는 정신병리적 처치상황에 적용할 수 있으며 개개인의 내적 성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4. 간호대학생과 간호사 또는 간호대상자를 포함한 다른 모든 이들의 자기이해와 자기수용, 그리고 자기성장을 돕기 위한 에니어그램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에니어그램 키워드 중심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지미선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8 에니어그램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키워드 중심 국내 학술지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으로 의미연결망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단어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에니어 그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는 “성격유형”, “연구”, “활용”, “분석”, “프로그램”, “효과”, “개발” 순 으로 빈도가 높았다. 둘째, 핵심 키워드 네트워크 중심성을 살펴보았을 때 연결중심성, 매개중심성, 위 세중심성의 상위에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연구”, “활용”, “프로그램” 등의 단어가 나타났다. 이는 관련 연구에서 추출된 키워드 중 상위 빈도 단어의 순서와 비슷하다. 의미네트워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8가지 하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1)‘에니어그램‘ 키워드와 함께 ‘한국형에니어그램’이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 되었고, 2) 성격 특성 및 차이에 대한 연구 3) 측정 주요 변수에 대한 연구 4) 사례연구 5) 캐릭터 분석, 6) ‘타당화 및 상관성’, 7) ‘에니어그램심리역동’, 8) ‘중심’ 등이 각각의 유사 그룹에 포함 되었다. 세부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2가지 사례를 제시했는 데 힘의 중심(머리, 가슴, 장)에서 가슴중심이, 부모(어머니, 아버지)에서 어머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에니어그램에 대한 다양한 사례 및 질적 연구가 필요하며, 각 유형별 세부접근과 다양한 계층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방 법의 하나인 의미연결망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을 사용하여 에니어그램 관련된 국내 연구에서 다룬 주요개념과 개념들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관련 국내의 연구동향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uses semantic network analys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enneagram keyword –focused Korean journal article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keyword frequency, “enneagram”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personality type,” “research,” “use,” “analysis,” “program,” “effectiveness,” and “development,” in that order. Second, with regard to the network centrality of the keywords, words such as “enneagram,” “personality type,” “research,” “use,” and “program” appeared in the upper ranks of degree centrality, 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This order is similar to that of high-frequency words among keywords extracted in related studies. A CONCOR analysis,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mantic network, identified eight lower-level groups: 1) the “enneagram” keyword and “Korean enneagram”; 2) research o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3) research on important variables measured; 4) case studies; 5) character analysis; 6) “validation and relationship”; and two groups, 7) and 8), comprising enneagram dynamic psychology and centrality. Two cases were presented to examine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the centers of intelligence (heart, head, and gu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heart, and with regard to parents (mother and father),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mothers. The findings indicate that case studies and qualitative research are needed on enneagram and on specific approaches to each type and the various classe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uses semantic network analysis, a big data approach,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Korea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oncepts covered in domestic studies and concepts related to enneagram.

      •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에 따른 기질별 컬러에 관한 연구 -핵심욕구 중심으로-

        윤혜란(Yoon Hye Ran) 한국에니어그램역동심리학회 2018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에 따른 기질별 컬러에 대해 고찰하였다. 심리적이고 기질적인 모습을 이 해하게 해주는 에니어그램심리역동과 표면에서부터 심층적인 모습까지 연관된 컬러를 가지고 에니어그램 기질별 컬러를 알아보고자 한다. 컬러가 주는 에너지와 역동이 각 사람의 몸과 마음에 까지 영향을 준다. 그 컬러는 내부적 차원과 외부적 차원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에니어그램심리역동과 내 적에너지컬러로 생명에너지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에니어그램 기질과 외적인 컬러와의 연관성을 긍정 적, 부정적 키워드로 분류하여 고찰하였다. 셋째, 에니어그램과 의식적 수준에너지 컬러와 각 유형별 원형 적가치의 컬러의 관련성을 찾아보며, 에니어그램 유형에 따른 기질별 컬러를 제시해보았다. 앞으로의 연구 에서는 상담으로만 국한되지 않고 치유될 수 있는 방법으로 각 개인의 스트레스을 예방하고 치유하는 기질 별 컬러회복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에니어그램심리역동에 따른 기질별 에센셜오 일을 연구하여 기질별 힐링 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전인적인 치유 프로그램의 모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This research examined the typal colors of Enneagram Psychological Dynamics (EPD).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looked through EPD which helps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and temperamental self and explored temperamental colors of each Enneagram type using the related colors of outer and inner self. Each different color and its energy and dynamics affects the whole body and mind of an individual. In this research, the color was divided into inner and outer dimension and it was explored as follows: (1) EPD and inner energy color was explored focusing on vital energy; (2) the interrelation between Enneagram temperament and outer colors were classifi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keywords and examined; (3) the relevance to Enneagram, conscious level energy color and the archetypal value of each Enneagram type was analyzed and temperamental colors for each Enneagram type were suggested. In the future studies, it is required to move further than counseling and to develop temperamental color recovery program that prevents and heal each individual’s stress. As well, the typal healing research on developing Enneagram tyapl essential oil and holistic healing program model is needed.

      • 성인학습에서의 전환학습과 에니어그램 관련성 연구

        지미선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6 에니어그램연구 Vol.13 No.2

        이 연구는 성인학습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전환학습이 에니어그램과 어떻게 관련성이 있으며, 전환학습으로서의 연구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전 환학습이론에 대하여 기본적인 이해의 장을 마련하고 에니어그램과의 관련성을 탐구하면서 차 후 에니어그램을 통한 성인들의 전환학습 경험연구를 하는데 있어 단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전환학습의 “관점 전환”에서 중요한 준거의 틀을 심리학적인 관점으로 살펴보았을 때 에니어그램이 가지고 있는 무의식적 패턴이 성인들의 경험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중요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환학습의 결과로 성인들이 자신의 비판적 성찰을 통해 더 포괄적이고, 개방적이며, 확장된 시각을 갖추는 것이라면, 에니어그램 또한 자신의 성찰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개발하여 더 나은 성장과 행복을 추구한다라는 면에서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환학습 핵심개념인 경험, 비판적 성찰, 개인 발달은 에니어그램의 자기관찰, 자기이해, 자기 변형으로 설명 할 수 있었으며, 넷째, 에니어그램을 통해 전환학습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성인교육자들이 어떠한 부분에 관심을 가지고 교육프로그램 구성과 지도자 역할을 해야 하는지 에 대해 고민을 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성인 교육자는 학습자가 자신의 삶을 깊이 있게 성찰 할 수 있도록 환경과 공간의 마련이 중요하며, 궁극적으로 영성의 회복, 관계, 감성들을 포 함한 학습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관련 문헌연구를 통해 에니어그램이 전환학습에 많은 부분에 기여할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다양한 관점 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was to see how transformative learning attracting significant attraction in adult learning was associated with enneagram and to determine if it had any research value as transformative learning. It aimed to give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theory of transformative learning, explore its association with enneagram, and give the ground for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on adults'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enneagram. First, from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the important framework of "perspective taking" in transformative learning, the unconscious pattern of enneagram played a crucial role in interpreting the meanings of experience for adults. Second, as transformative learning causes adults to get a more comprehensive, open, and expanded viewpoint through their own critical reflection, so enneagram allows them to understand and develop themselves through self-reflection and pursue better growth and happiness. Third, the key concepts of transformative learning, such as experience, critical reflection, and personal development,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self-observation, self-understanding, and self-transformation in enneagram. Fourth, in order to facilitate transformative learning through enneagram, it is necessary to suggest what adult educators should be concerned about in making an education program and serving as a leader. In particular, adult educators need to create an environment and space in which learners can reflect deeply on their life and, ultimately, to compose learning, including recovery of spirituality, relationships, and emotions. Literature review confirmed that enneagram could make lots of contributions to transformative learning and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will be conducted from diverse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