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학적 추론과 연결성의 교수 · 학습을 위한 소재 연구 - 도형수, 파스칼 삼각형, 피보나치 수열을 중심으로-

        손홍찬 대한수학교육학회 2010 학교수학 Vol.12 No.4

        In this paper, we listed and reviewed some properties on polygonal numbers, pyramidal numbers and Pascal's triangle, and Fibonacci sequence. We discussed that the properties of gnomonic numbers, polygonal num- bers and pyramidal numbers are explained integratively by introducing the generalized k-dimensional pyra-midal numbers. And we also discussed that the properties of those numbers and relationships among generalized k-dimensional pyramidal numbers, Pas- cal's triangle and Fibonacci sequence are suitable for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al reasoning and connections. 본 고에서는 평면이나 공간에서 정의된 도형수가 일반적으로 유한 차원에서 일반화될 때 저차원의 도형수인 그노몬수, 다각수 그리고 다각뿔수의 성질을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을 논하고, 도형수와 파스칼 삼각형, 피보나치 수열의 성질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이들에 대한 성질 탐구가 수학적 추론과 연결성을 지도하기 적합한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논한다.

      • KCI등재

        유추 조건에 따른 수학적 문제 해결 효과

        반은섭,신재홍 한국학교수학회 2012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5 No.3

        본 연구는 유추 조건에 따른 수학적 문제 해결 양상을 분석하여 유추적 사고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시각적 표상을 통한 유추의 효과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러 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인 C고등학교 3학년 학생 8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유추 상황에 따라 설정된 표상 대응 조건, 개념 대응 조건, 탐색 조건과 비 유추조건인 단순조건에 각각 20명씩 배정되었으며, 1차 실 험과 2차 실험에서 각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학습 자극을 받은 후에 복소수 수열과 관련된 동일한 문제를 풀었다. SPSS 12.0을 이용한 X2 분석을 토대로 유추 조건에 따른 문제 해결 률을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수학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유추적 사고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 우에 이미 알고 있는 바탕 지식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으며, 시각적 표상을 통하여 바탕 개 념과 표적 개념을 대응시켜 보는 것이 유추 전이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와 같은 결과는 문제 해결 과정에서 유추적 사고의 필요성을 함의하고 있으며, 시각적 표상 을 통하여 바탕 개념과 표적 개념의 관계적 유사성을 인식하는 것이 수학적 문제 해결과 밀 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경험적인 근거가 된다.

      • KCI등재

        팔방금강좌의 황금비율

        김효율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11 新羅文化 Vol.38 No.-

        The Eight Direction Diamond Thrones together with the lower base consist of the ground plan of "Seokgatap", the three story pagoda of the Bulguksa temple built in the 8th century. This study tried to find golden ratios in the Thrones and the way to apply the ratios. The study has been done by two steps; firstly the structure of the Thrones and secondly the design on its surface. The structure of the Thrones is a kind of geometrical diagram consisted of squares and circles. The study tried to reconstruct the diagram with the average figures of the surveyed value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it arrived at the following results by comparing the related parts; 1) the width of the square formed by the inter-center segments bewteen the Thrones equals that of the lower base square multiplied by φ(≒1.618). 2) the diameter of a Throne multiplied by φ equals the space between the two squares. 3) the width of a belt stone between near Thrones equals the radius of a Throne divided by φ. As these three values of the results are all that needed to draw the diagram, we can safely conclude that the Thrones are designed under the principle of golden ratio. The subject of the surface design on a Throne is an eight-petal lotus which has five concentric circles of inner ovary, outer ovary, inner petal, outer petal and outskirts. The study traced the spaces between near concentric circles by checking various golden ratios found on the elevation of the Seokgatap. And concluded that the eight Thrones have a same pattern of the concentric circles and every two near segments of the radius produced by the circles revealed one of the golden ratios. A Throne may have a single or double petal design on the surface. And there may be many alternatives to setup them on the eight Thrones. The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existing setup and argued that it means the golden section expressed by natural numbers. That is the same meaning as the Fibonacci number 8 equals 2+1+2+3. One may safely conclude from the above findings that the ground plan of the Seokgatap, just like the elevation, is designed under the principle of golden ratios.

      • KCI등재

        한국어 수사구의 언어유형론적 고찰

        정해권 ( Jeong Haegwon ) 대한언어학회 2017 언어학 Vol.25 No.1

        In a linguistic typological perspective, Korean has fluently developed classifiers which represent limits of abstracting the objects and an early stage of categorizing them.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 numeral phrases with repeaters or classifiers are older than the forms without a classifier. Old Korean poems first represent the number and noun interpreted as a form of the number and repeater construction. On the other hand, the basic number of Korean did not appear at the same time but developed sequentially. Number five and others in many languages have the etymological association with `hands`, but Korean numbers are probably not. The Korean number system uses the reconstructed number ten un as a base. In addition, the variation of number twenty and forty may be traces of the vigesimal numeral system.

      • KCI등재

        Modification of Unit-Segmenting Schemes for Division Problems Involving Fractional Quantities

        신재홍,이수진 대한수학교육학회 2012 학교수학 Vol.14 No.2

        In the field of arithmetic in mathematics education, there has been lack of fine-grained investigations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onstruction of division knowledge with fractional quantities and their whole number division knowledge.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part of collected data from a year-long teaching experiment, presents a possible constructive itinerary as to how a student could modify her unit-segmenting scheme to deal with various fraction measurement division situations: 1) unit-segmenting scheme with a remainder, 2) fractional unit-segmenting scheme. Thus, this study provides a clue for curing a fragmentary approach to teaching whole number division and fraction division and preventing students’ fragmentary understanding of the same arithmetical operation in different number systems.

      • KCI등재후보

        도서지역 고등학생을 위한 흥미로운 수학지도 방안

        박형빈,이헌수 한국학교수학회 2005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8 No.4

        본 연구는 대학에서 연구와 교육을 통하여 축적된 수학교육에 대한 노하우를 상대적으로 소외된 도서지역 고등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급지식 및 이론의 확산에 힘쓰고자 한다. 연구는 삶의 지혜를 얻기 위한 수학, 실용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실용수학, 자신의 품격을 높이기 위한 교양 수학으로 나누어 진행하며 수학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 수학문제 해결력을 증진시키는 방안, 수학 기기를 이용한 수학학습, 암호이론 및 게임이론 소개, GPS를 이용한 도형학습, 수학과 스포츠, 수학과 예술 등을 포함하여 교재를 개발하고 개발된 교재를 통하여 대학원생을 훈련하고 수업계획안에 따라 수업을 하게 하는 도서지역 고등학생을 위한 흥미롭고 효과적인 수학지도 방안을 연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