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韓國 數詞成語의 外部 結合方式 硏究

        김진호 한국교통대학교 2017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2 No.-

        成語是經過長期習用加工而成的定型性詞租. 其中數詞成語是成語的重要組成部分之一, 韓語中帶數詞的成語相當多, 有的是帶一個數詞的數詞成語, 有的是帶兩個數詞的數詞成語, 有的是帶三個數詞的數詞成語, 甚至有些成語全部由數 詞組合而成. 成語中數詞組合結構方式多種多樣. 首先按照成語中數詞的出現位置, 可分爲十四種. 比如說, 由一個數詞 構成的有 「數XXX」·「X數XX」·「XX數X」·「XXX數」, 由兩個數詞構成的有「數X數X」·「X數X數」·「數數XX」·「XX數數」· 「數XX數」·「X數數X」, 由三個數詞構成的有「數數數X」·「數X數數」·「數數X數」, 由四個數詞構成的有「數數數數」. 再次 按照數詞的撘配狀況可分爲如下. 以數詞「一」例如, 「一XXX」·「X一XX」·「X一XX」·「XXX一」, 「一X一X」·「一X二X」· 「一X三X」·「一X十X」·「一X百X」·「一X千X」·「一X萬X」·「一X兩X」, 「X一X一」·「X一X二」·「X一X十」, 「一XX千」」. 其他 數詞的撘配狀況跟數詞「一」有所不同. 本文以《엣센스국어사전》和《한국사자성어대사전》中的數詞成語爲對象, 對於數詞成語各組成分子之間撘配和排 列構造進行硏究了.

      • KCI등재

        한국어 수사구의 언어유형론적 고찰

        정해권 ( Jeong Haegwon ) 대한언어학회 2017 언어학 Vol.25 No.1

        In a linguistic typological perspective, Korean has fluently developed classifiers which represent limits of abstracting the objects and an early stage of categorizing them. Therefore, it appears that the numeral phrases with repeaters or classifiers are older than the forms without a classifier. Old Korean poems first represent the number and noun interpreted as a form of the number and repeater construction. On the other hand, the basic number of Korean did not appear at the same time but developed sequentially. Number five and others in many languages have the etymological association with `hands`, but Korean numbers are probably not. The Korean number system uses the reconstructed number ten un as a base. In addition, the variation of number twenty and forty may be traces of the vigesimal numeral system.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수량사구 연구: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윤희수 ( Yun Hui-su ),이선웅 ( Yi Seon-ung ) 한민족문화학회 2018 한민족문화연구 Vol.62 No.-

        한국어에서 수량사구는 수사, 단위명사, 수량화 대상 명사 등의 다양한 요소가 관여하여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된다. 동일한 의미의 수량 표현이 다양한 유형으로 실현되는 것은 각 유형의 기능과 그것이 사용되는 환경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국어 교수· 학습 상황에서 각각 유형과 그것을 사용할 수 있는 상황 및 변별된 의미를 함께 제시해야 한다. 선행 연구에서 분류된 수량사구 유형은 실제 사용하는 결합 가능한 모든 수량사구를 반영하기에는 부족하므로 새로운 수량사구 유형 분류를 제시하였다. 선행 연구의 유형 분류에 ‘묶음 수량사’라는 새로운 유형을 추가하여, 수량사구 유형을 모두 일곱 가지로 분류한 뒤, 이를 말뭉치 분석 기준으로 삼았다. 수량화 대상 명사가 수량사구 안에 실현되느냐에 따라 ‘단일 구성’과 ‘복합 구성’으로 나누었고, ‘복합 구성’은 다시 수량화 대상 명사의 성격과 위치에 따라 ‘묶음 수량사’, ‘후행 구성’, ‘선행 구성’으로 나누었다. 말뭉치 분석을 통해 쓰임이 제한적인 수량사구를 제외하고, 수량사구 유형을 총 6가지로 설정하였다. 실제 언어생활에서 나타난 수량 표현의 모습을 바탕으로 수량사구의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고, 객관적인 수치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는 효율적인 수량사구 교수를 위한 교육 문법으로서 의의가 있다. In Korean, the numeral phrase consists of multiple elements such as number words, unit nouns, and quantification target nouns. Various numeral phrases differ in meaning, function, and environment in which they are used in the sentence.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proper context for using the numeral phrases in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Previous works did not reflect all the possible combinations for numeral phrases. In this work, we aim to rebuild the classification of the numeral phrases and describe the features and meanings for each category focusing on corpus analysis. we classified the numeral phrases in six classes and developed a new class based on bundled quantity; mainly we divided into two main categories that we named single and complex composition respectively. The previous categories composed the first level of hierarchical structure that evaluated if the numeral phrases include quantification target noun. We derived complex composition, into bundled quantity, pre-composition, and postcomposition categories by the nature and location of the quantification target nouns in the sentence. As a result of our study, the proposed classification expanded the study of numeral phrases by analyzing corpus data and emphasized its significance as a primary work for the pedagogical grammar for the numeral phr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