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영희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2 No.-
이 글은 성적(性的) 담론으로 기능하는 구전이야기 연행을 분석하여, 이와 같은 성적 담론의 연행이 성적 표상으로서의 섹슈얼리티를 규제하고 특정 젠더 경계를 자연화․규범화함으로써 특수하게 범주화된 젠더 규범과 질서에 부합하는 젠더화된(gendered) 주체를 생산해내는 효과를 발휘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성적(性的) 담론의 층위는 다양하지만 여기서 성적 담론으로 범주화한 구전이야기는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성(性, sex)으로 분류되는 대상 외에, 신체 내 부위를 포괄하는 성적 표상과 성적 행위 및 욕망을 포함하는 섹슈얼리티(sexuality), 그리고 사회적․담론적으로 구성되는 젠더(gender) 권력과 규범을 다루는 영역까지 포괄한다. 성적 담론으로 기능하는 구전이야기를 연행하는 ‘여성’ 주체는 담론의 효과로 구현되는 젠더화 전략에 자발적으로 순응하면서 동시에 이로부터 탈주하는 복종과 불복종의 운동을 반복한다. 따라서 성적 담론을 통해 구성되는 ‘여성’ 주체는 필연적으로 이중적이며 분열적일 수밖에 없다. ‘남성’ 주체의 우울이나 불안, 혹은 그것을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진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일정한 혐의를 자신의 것으로 그대로 답습하는 수행을 반복하면서, 이와 같은 반복을 통해 조금씩 ‘여성’ 주체 스스로의 상실을 애도하는 연행으로 옮겨가기 때문이다. 성적 담론의 연행이 ‘여성’ 섹슈얼리티의 부정과 혐오, 성적 욕망의 부인과 결핍에의 고착을 정체성의 내용으로 반복 수행할 때 젠더 주체는 우울증적 주체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여성’ 주체의 구전이야기 연행에서 성적 담론의 우울증적 효과를 벗어나는 애도의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여성’ 연행자들만으로 구성된 수평적 연행의 틀 내에서 성적 담론의 연행을 통해 ‘여성적 표상’과 ‘여성의 성적 욕망’, 그리고 ‘성적 욕망의 실현 의지’에 대한 긍정과 적극적 의미 부여가 시도되기 때문이다. 이는 ‘여성’ 주체의 ‘거세 콤플렉스’ 극복을 암시하는 동시에, 젠더화된 주체를 억압하는 젠더 경계와 젠더 규범의 동요를 징후적으로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dealing with the sexual imagination and desi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can ascertain facts that the performance effects producing the gendered subject by naturalizing gender category and gender norm, and regulating the gendered body and sexuality. In this study, the oral narratives categorized as sexual discourse will include not only the narratives dealing with biological sex generally, but also the narratives about the sexuality meaning sexual behaviour and desire, and the narratives covering the gender norms and power to be constructed on social discourse. Female subject who perform the oral-narratives is participating on her own initiative in the gendered strategy to be given body by effect of the discourse and is flighting from it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female subject constructed by the sexual discourse, necessarily, are characterized by duplicity. Because female subject accepting the suspicion of male subject's melancholy and anxiety, or female sexuality to be made for protecting the melancholy and the anxiety, repetitively performs the oral-narratives, and through this repetitiveness moves gradually to the performance of mourning for loss of female subject. The gendered subject can not escape from the subject suffering from the depression, so long as the performance of sexual discourse repeatedly is connected with the negation and the disgust of female sexuality, and denial of sexual desire. But it is possible to detect potential for mourning to escape from the depression in the performance.
남성 주체의 결핍과 상실을 대리 표상하는 '사그라진 신부(新婦)'
김영희(Kim Young hee)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3
어떤 '신랑'이 혼인을 한 첫날밤 자신의 '신부'가 간부(姦夫)와 정을 통하고 있다고 오해하고 '신부'를 버려둔 채 신방을 나온다.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신랑은 우연히 첫날밤을 보낸 집 옆을 지나다가 첫날밤 복색과 자세 그대로 신방에 앉아 있는 신부를 발견한다. 신랑이 발견한 순간 신부는 먼지와 재로 내려 앉아 사라져 버린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첫날밤에 소박맞은 신부>는 표면적으로 신부의 비극으로 읽히나 불안과 우울의 주체인 신랑이 사그라지는 신부의 발견을 통해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하게 된다는 점에서 신랑의 비극이기도 하다. 이때 신부는 완전하고 흠결 없는 대상을 갈망하는 신랑의 성적 욕망이 투사된 존재로 남성 주체의 불안과 결핍을 대리표상한다. 남성의 성적 욕망은 영원히 충족 불가능하며 성적 대상으로서 순결하고 완벽한 신부는 애초에 도달할 수 없는 성적 환상에 불과하다. 남성 주체로서 신랑은 성적 욕망의 억압과 이로 인한 죄의식, 남성성과 권력 욕망에 대한 집착 등으로 강박적 불안에 시달리는 존재며, '사그라진 신부'의 표상은 신랑으로 하여금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케 한다는 점에서 남성의 불안과 우울을 환기시키는 대상이다. 수십 년의 시간 동안 신방에서 자폐하는 가운데 신부는 오로지 침묵한다. 신부는 단순히 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미동조차 하지 않은 채 같은 자세로 앉아 '온몸으로' 침묵한다. 이 침묵은 첫날밤의 폭력적인 사건이 '말로 다 할 수 없는 사건'임을 표상한다. 신부는 온몸으로 침묵하면서 언어의 표상 한계를 넘어선 폭력성, 곧 사건의 잉여를 증언한다. 서사의 변화 지향을 통해 드러난 여성 주체의 해석적 지향은 오히려 신부의 상실을 강화하고 여성을 타자화하는 젠더 정치의 기획에 공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나 이야기 연행과 전승의 장은 새로운 애도의 가능성을 예고한다. 말할 수 없는 폭력적 사건의 기억이 전이되고 상처가 공유됨으로써 신부를 타자화의 전략으로부터 해방시켜 진정한 애도로 나아가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어떤 '신랑'이 혼인을 한 첫날밤 자신의 '신부'가 간부(姦夫)와 정을 통하고 있다고 오해하고 '신부'를 버려둔 채 신방을 나온다.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신랑은 우연히 첫날밤을 보낸 집 옆을 지나다가 첫날밤 복색과 자세 그대로 신방에 앉아 있는 신부를 발견한다. 신랑이 발견한 순간 신부는 먼지와 재로 내려 앉아 사라져 버린다. 이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된 <첫날밤에 소박맞은 신부>는 표면적으로 신부의 비극으로 읽히나 불안과 우울의 주체인 신랑이 사그라지는 신부의 발견을 통해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하게 된다는 점에서 신랑의 비극이기도 하다. 이때 신부는 완전하고 흠결 없는 대상을 갈망하는 신랑의 성적 욕망이 투사된 존재로 남성 주체의 불안과 결핍을 대리표상한다. 남성의 성적 욕망은 영원히 충족 불가능하며 성적 대상으로서 순결하고 완벽한 신부는 애초에 도달할 수 없는 성적 환상에 불과하다. 남성 주체로서 신랑은 성적 욕망의 억압과 이로 인한 죄의식, 남성성과 권력 욕망에 대한 집착 등으로 강박적 불안에 시달리는 존재며, '사그라진 신부'의 표상은 신랑으로 하여금 자기 내면의 결핍과 상실에 직면케 한다는 점에서 남성의 불안과 우울을 환기시키는 대상이다. 수십 년의 시간 동안 신방에서 자폐하는 가운데 신부는 오로지 침묵한다. 신부는 단순히 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미동조차 하지 않은 채 같은 자세로 앉아 '온몸으로' 침묵한다. 이 침묵은 첫날밤의 폭력적인 사건이 '말로 다 할 수 없는 사건'임을 표상한다. 신부는 온몸으로 침묵하면서 언어의 표상 한계를 넘어선 폭력성, 곧 사건의 잉여를 증언한다. 서사의 변화 지향을 통해 드러난 여성 주체의 해석적 지향은 오히려 신부의 상실을 강화하고 여성을 타자화하는 젠더 정치의 기획에 공모하는 방향으로 나아갔으나 이야기 연행과 전승의 장은 새로운 애도의 가능성을 예고한다. 말할 수 없는 폭력적 사건의 기억이 전이되고 상처가 공유됨으로써 신부를 타자화의 전략으로부터 해방시켜 진정한 애도로 나아가는 길이 열리는 것이다.
청소년의 성적 주체성 향상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 여자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 청소년의 성적 주체성 향상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최미정(Mi-Jung Choi),공미혜(Mee-Hae Kong)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07 젠더와 사회 Vol.18 No.-
이 연구는 성적 주체로서 청소년을 인정하자는 관점에 입각하여 여성청소년이 올바른 성의식과 바람직한 성가치관을 확립할 수 있도록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청소년의 성적 주체성의 개념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찰하였으며 최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성교육 프로그램의 주된 목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성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여성 청소년의 성적 주체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무분별한 성행동이나 타인의 강요에 의한 성행동을 예방하고 성적 유혹을 물리치는 능력을 함양하여 책임 있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둘째, 이 성교육 프로그램은 총 6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회기별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1회기의 주제는 ‘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 2회기의 주제는 ‘올바른 이성교제’, 3회기의 주제는 ‘성적 자기결정권’, 4회기의 주제는 ‘성과 매체’, 5회기의 주제는 ‘성폭력 제대로 알기’, 마지막으로 6회기의 주제는 ‘건강한 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셋째, 이 성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강의식 교육에서 벗어나 토론 및 검사지 사용, 시청각자료를 사용한 집단활동 학습으로 하였다. 진행방법은 청소년들이 직접 참여하여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탐구하고 바람직한 가치판단의 기준을 모색해 보며 자신의 성에 대한 입장과 태도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성매매와 성폭력의 주된 대상이 되는 중.후기 여성청소년에게는 성 가치관 확립과 성적 유혹을 물리칠 수 있는 성적 주체성의 향상이 시급하다. 따라서 우리 사회의 성적 개방화에 맞추어 청소년의 성에 관한 합의된 관점을 가지고 유해한 환경을 정비하여 여성청소년들이 양성평등적인 성역할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 성교육프로그램을 실제로 적용해서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도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ex education program in terms of providing desirable sexual value system and improving sexual subjectivity for female adolescents. This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sexual subjectivity and factors that have affected sexual subjectivity of female adolescents from the view point of recognizing the youth as sexual subjects. The goal and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this program is to help female adolescents take responsibility on their sexual behaviors in term of enhancing their sexual subjectivity and to prevent from sexual temptation and coercion regardless of their will. Second, this program consists of 6 sessions with specific topics. This program offers information on the following topics: understanding of sexuality, dating, sexual self-determination, sex and media, understanding of sexual violence, and healthy relationships and sexuality. Third, each session is designed for group activities such as discussing, using a personality test, and watching a video tape. Female adolescents need to enhance their sexual subjectivity in oder to establish their own sexual value system. Also they need to learn and practice equal gender roles by reconsidering problematic social environm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by applying to actual groups in a close future.
1990년대 중반 이후 성교육 담론에 나타난 십대여성의 섹슈얼리티
박혜림(Park Hye-Rim) 한국여성연구소 2007 페미니즘 연구 Vol.7 No.1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 사회에서는 금지의 언어만이 존재했던 기존의 성교육 담론장에 십대를 성적 존재로 인정하는 성교육 담론이 등장하였다. 십대의 성적욕구를 인정하고 성적 소통을 성교육의 주요 의제로 채택하는 성교육 담론의 등장은 십대의 성적 현실과 성교육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의 성교육 담론에 비해 진일보한 것이다. 그러나 이 담론에서 역시 성적 각본 상에서 여전히 고수되고 있는 남녀의 위치의 차이가 충분히 고려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가 드러나는데, 이는 성교육 담론 속에서 십대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어떻게 재현되는지를 고찰하여 알 수 있었다. 십대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관련한 분석에서 성적 존재로서 성적 탐험을 하는(의) 주체를 상정할 때에는 젠더 차이가 무화되고, 젠더 차이가 부각될 때에는 여성의 성적 위험이 강조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십대여성의 신체와 관련해서는 가부장적 의미망에 균열이 나고 있지만, 관계의 차원에서는 성폭력과의 연상 관계 속에서 십대여성이라는 젠더적 위치가 부각됨으로써 십대여성의 성적 욕망이 위치할 만한 공간은 여전히 부재하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다. 십대여성에게 주어지는 구체적 행동 강령으로는 성폭력을 당하지 않기 위해 “No”라고 당당하게 말하는 것 이외에 별다른 처방이 없었다. 십대여성이 주체의 위치에 자리매김될 수 없는 현재의 가부장적 섹슈얼리티 인식틀을 타개하기 위해서 성적 관계를 맺는 주체에 성별이 표기되어야 하며, 십대여성이 주체적으로 성평등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돕는 구체적 행동 강령이 요구된다. While sex education discourses had formerly provided only the term of prohibition, The sex education discourses in which teenagers are acknowledged as sexual beings have made their appearance in Korea since the mid-1990’s. The advent of sex education discourse and practice in which teenagers’ sexual drives are approved and sexual communication is adopted as the main agenda seems to be a progress in that they narrow the gap between teenagers’ sexual reality and the sex education offered to them. Although this must be a progress, the limit is also found out in these discourse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ositions of teenage males and of teenage females still maintained in sexual scripts is not taken into careful consideration. This limit was illuminated by examining how teenage females’ sexuality is represented in the sex education discourses. The analysis on the problems in connection with teenage females’ sexuality made it clear that on the one hand, gender difference is not considered when the sexual subjects who make sexual explorations are conceived; on the other hand, the sexual danger of women is stressed when the gender difference is regarded. It is observed that while generating cracks in the patriarchal network of meaning related to women’s bodies is successful, there is no room for the sexual desire of teenage females at the level of relationships as the gender position of teenage females is reminded when sexual violence is concerned. There is no other specific planks provided for teenage females than saying “No” in order not to suffer from sexual violence. The gender should be marked in the subjects who form a relationship to break through the present patriarchal framework of recognition in which teenage females cannot be situated in the position of the sexual subject. The specific planks to render them subjective in sexual relations are required.
국가 재건의 시대와 대도시를 배회하는 여성 산책자 ― 김승옥의 「야행」(1969)을 중심으로 ―
김미란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여성문학연구 Vol.12 No.-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study a method to construct a female subjectivity in Kim Seung-ok's novel, <streetwalking at night(야행)>. When this novel's woman character is constructed to a subject, a point to constitute woman's subjectivity confines only by the woman's sexuality. And the author gives the character of rational modern individual to this woman. At the same time, he mingles she and whores on the street in the metropolis, Seoul. It is to say that the sexual desire haves value when it is controled by the rational modern individualistic project. In this insistence, we can see that this woman belongs to the middle class. And in this thesis, to examine woman character, uses the term, flâneuse. This is very useful to explain the complex situation she becomes men's object to gaze and the subject to see. 이 논문에서는 김승옥의 문학에서 유일하게 여성의 성적 욕망을 적극적으로 승인한 야행(1969)을 여성의 주체화 방식을 중심으로 탐구한다. 야행의 여성 인물이 주체로 구성될 때, 남성 인물들과 달리 여성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항목은 성으로 제한된다. 그리고 작가는 이 인물에게 성적 욕망을 주체적으로 자각하고 인식하며 판단하는 근대적 개인의 면모를 부여하는 동시에, 거리의 여성들과 뒤섞어 놓은 뒤 그녀의 성적 욕망을 창녀와 대비시킨다. 이를 통해 욕망은 자아의 발견과 실현이라는 근대 개인주의적 기획에 의해 통어되었을 때 가치가 있다는 견해를 표명한다. 그런데 이것은 모든 여성이 갖출 수 있는 덕목이 아니므로 자기 인식과 자기 규제가 가능한 도시 중산층 여성을 향한 발언이다.이 논문에서는 중산층의 삶을 지향했으면서도 가두로 나와 자신의 성적 욕망을 실현할 기회를 찾는 야행의 여성 인물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여성산책자(flneuse) 개념을 동원한다. 여성 산책자 개념은 거리에 나선 여성 인물이 남성의 응시의 대상인 동시에 응시의 주체가 되는 복합적인 상황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이 여성이 응시의 주체가 될 때는 남성 산책자와 흡사한 냉정한 탐색의 눈을 지니지만, 응시의 대상이 될 때는 다른 매춘 여성들과 뒤섞여 자신을 선택할 남성을 기다린다. 그러나 그녀의 유혹의 전략은 개별 여성의 신분적 차이를 배제하지 않는다. 한편 이 여성은 길거리에서 젊은 남성의 앳된 얼굴을 응시하다가 이들에게 모성적 감정을 느낀다. 자본주의적 근대화에 희생될 존재로 표상되는 젊은 남성들에게 보내는 현주의 감정은 상실될 위험에 처한 것을 모성으로 감싸는, 관습적인 민족주의적 해결 방식의 차용이다. 요컨대 야행이 제안하는 근대적인 여성 개인 주체는 모성과 상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모성이라는 이질적인 자질로 자신의 결여를 보완하고 다른 한편으로 자신을 규제한다. 김승옥의 여성 인물은 자신의 분열된 이미지를 봉합할 수 있는 자질을 제공받고서 공적 영역에 등장하는 것이다.
남성 주체의 분열과 재건, 1980년대 에로영화에서의 남성성
노지승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30 No.-
The 1980s erotic films which have been remembered as an entry into the adult world, the liberation and escape from the suppression of adolescence by actual male audience, typically show the uniqueness of male identity and therefore can be evaluated as the discourses that reveal the masculinity of crisis. Generally, erotic films reveal disruptive male subjects associated with sexual desire and overcome these disruptive masculinity using narrative strategies for remasculinization as well. On the surface, the sestrategies for remasculinization create the illusion that the masculinity is stably maintained, but on the other hand, often make structural the imbalances of erotic films. The Disruptive figures of male subjects are usually portrayed through the apects of peeking, reversed gender relations and women's activeness which are accompanied by sexual frustration. The 1980's erotic films are developed through the eyes of the man excluded or marginalized from sex and mainstream rather than men with power. For this reason, the films often show the delusions and violence. However, the majority of these erotic films conclude to integrate the disruptive masculinities into the sound and reasonable masculinity admitted by the patriarchy. The specific aspects of those integrations have several patterns such as distinguishing 'bad' sex through social critic view, restoring a male role as protectors or saviors, finally,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ity, the undermined civilized world and home, the nature depicted as the space of healing and tradition. Eventually, the 1980s erotic films intermingle the pleasures of sex, abstinent patriarchal value, self-punishment by substituting a narmative male subject with a sexual subject. 1980년대 실제 남성 관객들에게 성인으로의 입사 체험, 해방과 탈출로서 기억되는, 1980년대 에로영화들은 위기의 남성성이라는 남성 정체성의 특수성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담론이다. 에로영화는 성적 욕망과 관련한 분열적 남성 주체를 드러내면서 동시에 이러한 분열성을 극복, 재건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표면적으로는 남성다움과 남성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환상을 만들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에로 영화의 구조적 비약과 불균형을 만들기도 한다. 분열적 남성주체의 모습은 대체로 성적 좌절을 수반하는 훔쳐보기, 역전된 남녀관계, 여성의 능동성 등을 통해 묘사된다. 에로영화는 섹스를 즐기는 남성보다는 섹스로부터 배제되거나 소외된 남성의 시각을 통해 내러티브를 전개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남성의 망상이나 폭력을 드러내기도 한다. 그러나 대다수의 에로영화는 이러한 남성성의 분열적 모습을 지우고 남성성을 재건하는 방향으로 결말을 짓는다. 남성성 재건의 양상은 몇 가지의 패턴으로 나눌 수 있다. 불법적, 폭력적인 섹스 즉 나쁜 섹스를 구별짓고 이를 사회비판이라는 시각을 통해 묘사하는 것 그리고 구원자, 보호자로서의 남성 역할을 회복하는 것 마지막으로는 도시과 문명 세계를 훼손의 공간으로 그리고 고향과 자연, 비문명의 세계를 치유의 공간으로 묘사한 뒤 고향과 전통을 회복시키는 주체로서 남성을 묘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전략은 영화 전반에 묘사되는 성적 쾌락을 처벌하면서 내러티브를 가부장제의 가치관으로 통합시키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1980년대 에로영화는 결국 과장된 성욕을 묘사하고 관객들로 하여금 이를 즐기게 하다가도 이러한 쾌락을 가부장제의 가치관 속으로 다시 밀어 넣고 쾌락을 만드는 섹스들을 어느 순간 나쁜 섹스로 만들어 버림으로써 가부장제에 의해 용인되는 건전한 남성성을 재건하게 된다. 1980년대 에로영화의 구조는 이렇게 성적 쾌락과 자기 처벌 그리고 비판 의식 사이를 모순적으로 오가면서 위기의 남성성을 형상화하고 있다.
황혜진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9 씨네포럼 Vol.0 No.34
The 1970s was the era when the public seemed to entirely conform themselves to the ideology led by the state. However, the social structure has meanings only when it is engaged by the public with subjective consciousness. The popular films, a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products serving as the mediums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portray the unconsciousness of the subjects who lived through the time. This study analyses Night Journey (directed by Kim Soo-yong, released in 1977) based on how the image of female flaneurs are depicted in the popular films in 1970s. This film presents a series of the events in which the sexually repressed female protagonist who was trapped in two separate lives was able to reconstruct herself by roaming around the city streets. In the process, she could shift herself from the subject to be observed to one to observe. Both the protagonist and the people observed by her in the film seemed not to get over the social oppression while they were leading their lives caught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They just wandered around the bustling street of Seoul, the symbolic center of modern Korea. But, the female lead experienced the escape from all the social pressures at the moment she was sexually liberated, which led her to be aware of her true identity 1970년대는 국가 중심의 지배이데올로기에 대중이 전적으로 순응한 것처럼 보이는 시기이다. 그러나 사회구조는 대중의 주관적 의식에 의해 매개될 때만 의미를 갖는다는 점에서 절대적으로 항존하는 객관적 실체라고 할 수 없다. 대중영화는 이러한 매개의 기능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문화생산물로서 지배이데올로기에 복무하기도 하지만특정한 시대를 살았던 대중과 개별 주체의 무의식을 재현한다. 이 글은 <별들의 고향>과 <영자의 전성시대>와 같은 1970년대대중영화에서 서사적 불균질을 생산하는 여성 산책자 이미지에 착안해 여성 산책자를 본격적으로 재현한 <야행>(김수용, 1977)을 분석했다. 이 영화는 근대의 분열적인 시공간 속에서 풍족한 중산층의 생활을 위해 연극적인 삶을 살고 있는 여성 주인공을 다루고 있다. 그녀는공적 공간에서의 억압은 물론 사적 공간에서도 성적으로 억압되어 있다. 분열적인 근대적 시공간과 자신의 이중적 삶, 그리고 성적 억압은여성 주인공을 거리의 산책자로 만든다. 특히 밤의 산책을 의미하는야행을 통해 현주는 자신의 성적 욕망을 각성하고 과거의 완전했던 성적 관계를 반복하고자 하는 욕망을 느낀다. 이렇듯 이 영화는 산책을 통해 여성 주인공이 자신을 재구성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산책의 과정에서 그녀는 보여지는 주체에서 보는 주체로 정체성을 이동한다. 보는 주체, 즉 관찰자의 시선으로 목격한 근대의 중심인 서울 거리와 그 거리를 채운 사람들은 여성 주인공과 다름없이 분열된 근대를 살아가면서도 구조의 억압을 넘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성 주인공은 현실과 단절되는 순간에 이루어진 성적경험을 통해 분열과 억압에서 벗어나는 경험을 하고 이것은 그녀의 주체성을 재구성하는 자원이 된다.
김혜영(Kim Hyeyoung) 한국여성학회 2010 한국여성학 Vol.26 No.4
최근의 사회 변화는 가족 안팎에서 새롭게 정의되는 친밀성과 섹슈얼리티의 변화와 무관하지 않을 만큼, 성의식과 성적 욕망이 대단히 빠르고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개방적인 성문화의 동조화를 초래하면서 성적 욕망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또한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젊은 세대에게 있어 개방적인 성문화는 더이상 생경한 것이 아니며, 십대 청소년 역시 자신들만의 성문화를 표출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대다수의 청소년들은 학업 압력에 시달리고 있으며, 자녀 교육을 위해 가족자원을 총동원하는 우리 현실에서 이들의 성적 욕망은 상당 부분 봉쇄당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고는 십대 청소년들의 임신 및 출산 과정을 통해 부분적이나마 이들의 성의식과 성행동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들이 성적 주체자로서 자신들의 욕망을 표출하는 주요 계기가 무엇인가를 살펴볼 것이다. 또한 십대 청소년들이 임신과 출산, 자녀양육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당면하는 사회적 규범과의 갈등, 즉 성ㆍ가족규범의 일탈자라는 사회적 편견과 배제의 과정을 살펴보고, 이들이 자녀양육의 경험을 통해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스스로 주체자로 성장해 가는 일련의 과정을 분석하고 있다. The changes Korean society has been facing recently are related to the changes in sexuality and intimacy. Especially, the fast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not only spread the culture more open to sexuality but also expand the social receptivity towards sexual desires. In fact, for younger generations, straightforward and active sexual expressions are rather common. Even teenagers show their own sexual culture. However, most teenagers still suffer from pressures related studies and their sexual desires are bound to be suppressed rather than expressed in a culture where an entire family concentrates on improving the offspring's education. With that in mind, this paper aims to see sexual awareness and behavior of teenagers through looking at their pregnancy and rearing while discussing what the main momentum for teenagers is in expressing their sexual desires as being a subjective. Also, looking at how teenagers conflict with social norms as they choose pregnancy, childbirth, and caring and grow into an agent of nurturing while facing social prejudices and exclusions that view them as a deviation from the social norms.
주유신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1
페미니즘과 성의 관계는 항상 복잡하고 양가적이었으며 다양한 이슈들을 둘러싸고 첨예한 논쟁들이 벌어짐으로써, 성 논의는 페미니즘 정치학에 있어서 가장 치열한 이론적․실천적 각축장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서구, 그 중에서도 특히 미국에서 전개된 페미니스트 성 정치학의 전개 과정과 그 정치적 의미를 ‘섹스/젠더’, ‘젠더/섹슈얼리티’, ‘섹스/섹슈얼리티’라는 세 가지 틀을 중심으로 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페미니즘의 두 번째 물결 초기에 페미니스트들은 여성 섹슈얼리티를 ‘젠더의 권력작용’과 ‘이성애 중심주의’의 관점에서만 파악함으로써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융합시켰다. 반포르노 페미니스트들은 이런 입장에서 포르노, 성매매, 동성애, 성교육, 낙태 등에 대한 반대 캠페인을 주도했다면, 반반포르노 페미니스트은 여성의 성행위에 대한 제약을 비판하고 성 해방을 주장하면서, 성교육, 성노동자와 동성애자의 조직화운동 등을 전개했다. 특히 성적 급진주의가 등장하면서 페미니스트 성 정치학은 성을 여성의 해방과 권력부여의 중요한 계기로서 사고하기 시작한다. 이 과정에서 욕망하는 성적 주체로서의 여성 그리고 여성들 간의 성애적 다양성 등이 논의되면서, ‘젠더 중심’의 성 논의는‘섹스와 섹슈얼리티 중심’의 성 논의로 전환된다. 그들은 섹스 내에 존재하는 권력이 쾌락의 원천일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성적 쾌락에 대한 페미니즘적 언어를 발전시켜 나가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성적 기호와 정향을 지닌 개인들의 자유와 자율성이 인정되고, 여성과 남성 모두를 아우르는 ‘정치적으로 지지받는 성적 실천’이 상상되고 이론화되어야 한다. The relationship of feminism to sexuality has always been complicated and ambivalent; a variety of issues around sexuality have shaped the arena of fierce contention in terms with both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discourses and political meanings of feminist sexual politics in the U.S. in three divisions of sex/gender, gender/sexuality and sex/sexuality in order to show what influences and effects the socio-cultural discourses around the notion of gender exert on the understandings and representations on female sexuality and how woman's autonomous sexual subjectivity, her own sexual pleasure and fantasy can be theorized. The Second Wave of Feminism in their early days made an attempt to bring sexuality theory into gender theory and converge both of them by grasping female sexuality only in terms of the ‘power operation of gender’ and‘heterosexism’. Anti-pornography feminists with the perspective especially led to build up the campaign against prostitution, homosexuality, sex education, abortion as well as pornography among people. On the contrary, anti-anti-pornography feminists criticized a sexual restriction on female, advocated a sexual liberation and organized the movements for sex-workers and homosexuals. Feminist sexual politics especially began to consider sexuality as a significant ground for female liberation and her empowerment, as sex radical feminists entered the field of sexual discourse and interrogated it. From the sex radical feminists' perspective, pleasure surpasses danger charged with female sexuality and women as sexual subjects are able to determine the rights on their own body. The provoking arguments of sex radical feminists distinguished biological ‘sex’, socio-cultural ‘gender’, and ‘sexuality’ as separate categories; subsequently, the centrality of gender got displaced into a wider spectrum of sexualities, in which women could recognize themselves as desiring sexual subjects and understand erotic diversities among them. With the works of sex radical feminists, the feminist sexual politics came to adopt a new axis of sexuality/gender and acknowledge that women’s desire and right in sexual acts and pleasure are crucial to the freedom and autonomy of individuals. Likewise, the concept of 'politically supported sexual practice' got redefined across diverse sexual practices and preferences. The conceptual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of sexuality has allowed women to address more effectively the repressive sexual regimes of their misogynist society and move more freely in sexual relations and practices.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여자 청소년의 몸과 남성적 시선, 그리고 몸의 주체성
선주원 청람어문교육학회 2019 청람어문교육 Vol.0 No.71
The article focused on the violence of a young woman's body being "seen" or "dirty" by her masculine gaze and discourse, and the body's perception of self-reliance through reflection of sexual objectivity and the body's perception of self-reliance through overcoming traumas of sexual violence, and looked at the problems of male eyes and body self-reliance in a young woman's body in a young adult novel. The body of a female teenager is imaged as a 'visible body' by masculine gaze and discourse, and its imprint is viewed through Kim Hye-jeong's 《Diet School. Through this process, we could see how young girls are striving to build and image slim bodies, how they are internalized and imaged their own bodies, and how they reflect on the ideal body image defined by others. Imaging a pregnant female teenager's body as 'dirty' was discussed through a discussion on catching Lim Tae-hee's mouse. Through this discussion, the suicide of a young woman who considers the fetus in her stomach a "rat" and perceives her body to be dirty showed that the body's ideal image was influenced by masculine discipline and the value system. The recognition of the body's original value through reflection on sexual objectification was discussed through Park Hyun-wook's 》unsympathetic world. This shows that the eyes of male teenagers who force their girlfriends to have sex are based on sexual targeting of women's bodies. However, the fact that a teenager is responsible for having sex with a girlfriend and reflect on the fact that her body is of inherent value rather than sexual object shows that the formation of sexuality was the foundation. As a young woman overcame her own sexual violence and trauma, she looked at who Lim Tae-hee's avatar was. This showed that the two young girls who were sexually assaulted by their cousins and their fathers gradually reflected her own will and attitude in recognizing the body's original value by her own eyes, not by her masculine gaze, as she moved away from anger or self-abuse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이 글은 여자 청소년의 몸이 남성적 시선과 담론에 의해 ‘보여지는’ 몸 혹은 ‘더렵혀진’ 몸으로 이미지화되는 것의 폭력성, 그리고 성적 대상화에 대한 성찰을 통한 몸의 본래적 가치 인식과 성폭력의 트라우마 극복을 통한 몸의 주체성 인식에 초점을 두어, 청소년소설에 나타난 여자 청소년의 몸에 대한 남성적 시선과 몸의 주체성 문제를 살펴보았다. 여자 청소년의 몸이 남성적 시선과 담론에 의해 ‘보여지는 몸’으로 이미지화되는 것과 그것의 각인은 김혜정의 《다이어트 학교》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여자 청소년들이 날씬한 몸만들기와 이미지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는지, 그 과정에서 남성적 가치체계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몸을 타자화하여 어떻게 이미지화하는지, 그리고 타자에 의해 규정된 이상적인 몸의 이미지에 대해 어떻게 성찰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신한 여자 청소년의 몸이 ‘더렵혀진’ 것으로 이미지화되는 것은 임태희의 《쥐를 잡자》를 통해 논의되었다. 이 논의를 통해 뱃속의 태아를 ‘쥐’라고 여기면서 자신의 몸이 더렵혀졌다고 인식하는 여자 청소년의 자살에는 남성적 규율과 가치체계에 따른 몸의 이상적 이미지화가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성적 대상화에 대한 성찰을 통한 몸의 본래적 가치 인식은 박현욱의 《동정 없는 세상》을 통해 논의되었다. 이를 통해 여자 친구에게 섹스를 강요하는 남자 청소년의 시선에는 여성의 몸을 성적으로 대상화하는 시선이 깔려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남자 청소년이 여자 친구와의 섹스에는 책임이 따르며, 여자 친구의 몸이 성적 대상이 아닌 본래적 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성찰하는 것에는 성주체성의 형성이 토대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여자 청소년이 친족의 성폭력과 그 트라우마를 극복하면서 몸의 주체성을 회복하는 양상은 임태희의 《나는 누구의 아바타일까》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사촌 오빠와 아버지에게 성폭력을 당한 두 여자 청소년이 상호 간의 소통을 통해 분노감이나 자기학대에서 벗어나 점차 자기 몸의 주체성을 성찰하는 것은 남성적 시선이 아닌, 자신의 시선에 의해 몸이 갖는 본래적 가치를 인식하는 그녀 자신의 의지와 태도가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