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변부에서 배후지로

        손숙경(Son Suk Kyu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이 연구는 기장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 방법과 내용을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문제 중심의 거시적인 구도 위에서 기장 지역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기장 지역은 조선시대 독립된 군현이었으나 한양에서 멀리 떨어진 연안지역으로 문과급제자를 한명도 배출하지 못한 주변적인 지역에 속한다. 그럼에도 이 지역에서 식민지기 이후 김약수나 김두봉, 이하영과 같은 역사적 인물이 배출되었다. 나아가 철마의 해주 오씨, 남평 문씨 등 오랜 역사를 가진 가문이 근대 이후 새롭게 변화하는 모습도 볼 수 있다. 이같이 조선시대 두드러진 주변성과 근대 격동기 이후 중요 인물의 배출과 같은 새로운 변화를 기장 역사 문화의 단절과 지속성의 관계에 대한 논의의 중요구도로 설정하였다. 기장 지역에 대한 연구는 고고학적 자료와 관찬 자료를 편찬하여 사실을 축적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국가제도와 지역 속에서 여기에 대응하여 생활하고 역사를 만들어간 지역사회와 지역민의 모습을 보는 것은 힘들 것이다. 오래전부터 기장을 비롯하여 부산 경남 일원에 대한 조사 연구를 수행해온 필자를 포함함 고문서 조사 연구팀은 이러한 동향을 문제 삼아 왔다. 자료 발굴도 단순히 자료 수합이 아닌 중앙 중심의 역사 나아가 엘리트 중심의 한국사의 문제점을 해결한다는 구도 위에서 접근하였다. 그리하여 기장과 같은 주변부 지역의 향반 가문들의 사회적 지위 유지는 외부와의 연망과 양반들의 조직, 통혼권과 같은 문화적 자산이 적지 않게 작용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기장 지역사회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한국사회의 동질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렇기 때문에 근현대 이 후 이 지역에서 중요 인물이 배출된 것은 전근대 이전과 크게 대조된다. 중앙에서 멀리 떨어진 주변부에 속하는 기장 지역에서 근현대 한국을 만든 다수의 인물들이 배출되었다. 이렇듯 근대 이후 진출하는 양상은 개항 이후 부산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기장이 그 배후지로서 급격한 변화를 겪은 것과 관련이 있다. 이는 근대 문물의 수용으로 더 넓은 곳으로의 진출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로 인해 근대 이후 중요한 인문들이 배출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바로 이점에서 기장의 역사는 전근대와 근현대를 아우르는 지평 위에서 그 실체를 재현할 수 있을 것이며 주변부에서 배후지로의 변화를 논의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This study is to discuss what is an issue and how do we study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Gijang area. I would like to propose the future direction of area study around Gijang be studied with the big picture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Due to it's location as coastal area far from the capital city, Hanyang, which was independent county(郡), Gijang is known as the peripheral area where no one had not passed Monkwa-Examination. Nevertheless,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the important people in Korean history such as Kim yaksu(金若水), Kim dubong(金枓奉), Yi hayoung(李夏榮) came out in the perpheral area, Gijang. Many lineages like Haeju Oh Family(海州 吳氏), Nam-Pyoung Mun(南平 文氏) Family who were old family of Gijang had been also changed newly in modern society. Therefore I use remarkable marginality and new changes as a tool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ation and discontinuation of historical culture of Gijang, which explains why many important people as politician appeared from this area throughout turbulent era, although Gijang had been paid little attention due to it's location during Choseon era. Researches on Gijang area so far have been limited on archeology and historiography of public records. They may make it invisible and trivial for the local community and its residents to cope with the government and find their own way. Therefore I think the approach for resolving some problems of korean history like stated-centered and elite-centered narratives is still required when discovering and using local data. On the other hand, the fact a few famous people in modern Korea came out from Gijang, known as the peripheral area, is connected to Busan's rapid growth and it's following change of Gijang from the periphery to the hinterland. It made local people go into the world through adoption of modern culture, and created the environment for the emergence of people who are historical important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this aspect, the history of Gijang needs to be discussed with a wider perspectives covering pre-modern and modern Korea. That's why we will reveal the process of change to hinterland, and furthermore make it reproduction of the reality of Gijang.

      • KCI우수등재

        항만배후지역의 거주성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 시나리오 도출 - 부산광역시 동구와 남구를 대상으로 -

        황선아,김종구,신은호 대한토목학회 201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7 No.6

        The harbor back area is not a planned space, but rather a space created by harbor space development. For this reason, the residentialenvironment in the area behind the port has been very poor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Recently, the redevelopment has been increasing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the port space. Howeve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port space is limited to the port space, and there is still little preparation for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 the port area. In this study, the degree of decline of the port area was diagnosed and analyzed for the purpose of deriving urban regeneration scenarios to improve the residentialenvironment of port - backed areas. The urban regeneration factor to improve the livability of the port - backed area, which has been declining since then, was derived, and the scenarios in which each factor was applied were constructed. 항만 배후지역은 역사적으로 계획된 공간이기 보다는 항만공간 개발에 의해 밀려나듯이 만들어진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항만배후지역의 거주환경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매우 열악한 실정이며, 최근 항만공간의 기능 변화에 따라 재개발 되는 사례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 항만공간 개발은 항만공간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여전히 항만 배후지역의 거주환경 개선에 대한 대비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항만배후지역의 거주환경 개선을 위한 도시재생 시나리오 도출을 위하여 항만 배후지역의 쇠퇴정도를 진단, 분석하였다. 이후 쇠퇴화가 진행되고 있는 항만 배후지역의 거주성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 요소를 도출하고, 각 요소가 적용된 시나리오를 구축하였다.

      • KCI등재

        The New Direction of the Port Environmental Management Policy Based on the Air Pollution Status in the Port Hinterland - Focusing on the Concentrations of Ambient Coarse Particulate Matter (PM10) in the Hinterland of Busan New Port (Changwon) -

        Hyojin Song,Jae Hyung Jung,Suhyun Jeong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21 Crisisonomy Vol.17 No.7

        본 연구는 항만의 개발과 운영으로 야기될 수 있는 대기 환경오염 및 배후지역의 피해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를 객관적⋅과학적 조사를 통해 살펴보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과 창원(경남)에 걸쳐 운영 중인 국내 최대 무역항인 부산항 신항(창원)의 배후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환경실태 조사는 부산항 신항 배후지역의 미세먼지(PM10) 농도에 대한 2차례에 걸쳐 2개 지점을 대상으로 한 현장실험과 미세먼지 영향 수준 조사로 이뤄졌다. 미세먼지의 측정 결과, 부산항 신항(창원) 배후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지점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항만구역 내 신항로 도로변 공업지역의 경우 대기 환경기준(PM10 100㎍/㎥)을 초과하고 있었으며, 주거지역 역시 대기 환경기준을 넘지는 않으나 녹산동이나 경화동과 같은 주변 지역들보다는 높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 었다. 항만 배후지역의 대기환경 질 개선 및 관리를 위해서는 환경 기술적 조치뿐만 아니라 해운⋅ 항만⋅물류업체 등 민간부문 및 지자체와의 협력이 요구된다. 또한, 이들의 참여와 실효성 있는 정책 이행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ir pollution and damage to the hinterland that may be caused by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port, and to examine it by using especially analysis and optimization methods. The Busan New Port which is the largest trading port in Korea operating across Busan and Changwon (Gyeongnam) have been undertaken. Two field experiments on the concentration of coarse particulate matter (PM10, Hereafter PM10) and the level of influence of PM10 were investigated at two sites in the industrial and residential areas behind Busan New Port (Changwon). As the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PM10 was different for each site. In particularly, the actual air quality was exceeded the standard set as PM10 100㎍/㎥ for the case of the industrial area within the port area. Beside that, the observated values at the residential area did not exceed the standard, but were higher than other areas’s such as Noksan-dong and Gyeonghwa-dong.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air pollution in the hinterland of ports, not only environmental and technical measures, but also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take into account.

      • KCI등재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비항만 지역과의 비교적 관점에서

        송효진,정수현 한국행정연구원 2022 韓國行政硏究 Vol.31 No.2

        항만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항만의 기능적 범위는 해상과 육상의 결절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 전체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 몇몇 연구는 항만의 건설과 운영으로 배후지역 주민에게 미치는 행위 제한이나 환경 피해 등에 주목하면서 항만이 도시발전에 긍정적인 영향만을 주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 연구는 항만 배후지역 삶의 질에 대한 주민의 인식을 비항만 지역과 비교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결정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냄으로써 항만 배후지역 환경 개선 및 주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한 자료는 부산항 신항이 위치한 경남 창원시 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 수집하였고, 통계 분석으로 항만 배후지역 삶의 질에 대한 주민의 인식과 주 결정요인인 정주 여건 만족도가 비항만 지역보다 낮은 수준임을 밝혔다. 특히, 항만 배후지역 주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주거나 교통 등의 여건에 대한 만족도가 비항만 지역보다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정책적 개선과 지원 노력이 필요하겠다.

      • KCI등재

        구체제의 읍치 동래와 식민도시 부산진으로의 분화와 통합 : 부산의 근현대와 새로운 지역연구 성과

        손숙경 ( Son Suk-kyung ) 대구사학회 2021 대구사학 Vol.143 No.-

        이 연구는 부산의 근현대의 특성에 주목하여 부산의 근현대 형성의 배경과 그 의미를 밝히고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의 역사상에 대한 새로운 경험적 연구 대신 이와 관련된 중요 연구 성과와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부산의 근현대는 1876년 개항 이후 부산진 일원이 식민도시 부산으로 변모하여 구체제의 중심지인 동래와 나누어진 후 해방 이후 양자가 부산으로 통합하여 한국 제 2의 도시로 성장하는 역사였다. 더욱 중요한 것은 단순히 제 2의 도시라는 위상을 넘어서서 부산이 해양 문명과 만나는 중요한 역사적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이다. 부산지역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면에서 많은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었다. 그럼에도 부산의 근현대 형성의 의미와 관련해서는 여전히 새로운 논의와 대화가 필요하다. 먼저 동래지역에 하나의 사회 집단을 형성한 무임들에 대한 연구 성과는 한국사에서 주변부 지역의 인간집단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였다. 그렇지만 이 지역에 설치된 군사기지인 水營에 속했던 무임과 이서집단들에 대한 연구 성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동래지역의 무임 및 이서집단과 수영, 釜山鎭 소속의 이들 집단은 상호 연동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조사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못한 수준이다. 이와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면 근대 이후 부산의 형성에 또 다른 배경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부산의 근현대 형성은 1876년 개항 이후 구읍치 동래로부터 주변부 지역인 부산진이 중심이었다. 부산진을 중심으로 초량 등지에 인구가 집중되고 상공업이 이루어지면서 식민도시가 형성되었다. 식민도시 부산의 형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부산지역에 최초로 근대병원이 세워진 사실과 이 지역 기독교와 상공업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이와 관련하여 지역의 관점에서 근현대의 형성을 논의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식민도시의 성장과 배후지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변화의 수준이 늦은 지역에 대해서 시선을 확장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끝으로 개항 이후 새로운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한 배후지 향반의 중요한 경제적 동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가 발굴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들이 계속 이루어지면 부산의 근현대의 모습을 한층 더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부산의 근현대의 형성과 특성을 몇 개의 주제에 집중하여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한 지역이 만들어가는 근현대가 무엇인가를 살펴보는데 지역의 시점을 강조하였다. This research reveals background of formation of modern-contemporary Busan and its meaning by focusing on a characteristic of modern-contemporary of Busan. For this research, instead of new experimental research about history of Busan, research discussed major research outcomes about Busan’ history and its problem. Busan’s modern-contemporary was differentiation of Busanjin from Dongnae, a center of old regime, as colonial city, and development of Busan to second city of Korea, after integration of both city following the independence of Korea.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Busan was not only second city of Korea, But also played an important historical role of meeting with marine civilization. Plenty of researches about Busan has been accumulated in various aspects. Nevertheless, We still need new discussion and conversation about the meaning of formation of Busan’s modern-contemporary era. First, research outcome about military, which formed a social group in Dongnae, shows new historical images about Busan and suggests a new point of view about human groups of suburb area in Korean history. But the research outcomes about military belongs to Sooyoung, which was navy base founded at Dongnae, and clerk groups is few. Military and clerk groups were mutually related with these groups in Sooyoung and Busanjin, but research about this fact are not quiet enough. If research about this fact are advanced, it can suggest another background of formation of Busan after modern times. Next, the center of modern-contemporary formation of Busan was Busanjin, which was suburb of anceint county seat, Dongnae. Centering around Busanjin, population was concentrated on and commerce and industry was started in Choryang and like places. Despite various research outcomes about formation of colonial city Busan, the researches about the fact that the first modern hospital was established in Busan and relation between local christianity and commerce are insufficient. So this research suggested the need of discussion about formation of modern contemporary in the view of local. Also, widening up views to areas, which had low level of development in spite of development of colonial city and extension of hinterland, will be needed. Finally, Because cases that show economical trend of local elites of hinterland who responded actively to changes after opening a port are being discovered, If these works are continuous, we will be able to identify the shape of modern-contemporary Busan in deeper level. This research centrally discussed about research outcomes about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contemporary Busan focusing on several subjects. By this research, a writer emphasized a view of local area on looking into a subject about what is modern-contemporary era made by one local area.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 skyungson@hanmail.net)

      • 항만 배후지역의 공간적 포용성 증진을 위한 도시설계적 방향성 제시에 관한 연구

        황선아(Sun Ah Hwang),김종구(Jong Gu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추계

        도시공간은 기회와 안락함을 보장하는 행복한 공간인 동시에 가난과 배제, 추방이 진행되는 불행한 공간이라는 양면적 사실도 가지고 있다. 즉, 도시 내에서는 성장과 쇠퇴가 동시에 이루어지며, 더욱 복잡해지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항만공간 역시 항만산업의 성장과 쇠퇴현상이 항만 배후지역에 직, 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항만배후지역은 성장보다는 노후화된 이미지가 강한 실정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는 항만공간에 대한 개발 및 계획에 대한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과거부터 현재까지 항만공간의 성장과 쇠퇴에 따라 밀려나듯이 만들어진 배후지역의 쇠퇴화 현상은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urban space has both aspects that the happy space that guarantees opportunity and comfort is an unfortunate space where poverty, exclusion and deportation proceed simultaneously. In other words, growth and decline are simultaneous within the city, and this phenomenon is more evident in modern society, which is getting more complicated. The harbor space is also affected by the growth and decline of the port industry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port area. However, since there is no systematic guideline for development and planning of port space in Korea, the phenomenon of the decline of the rear area, which is made up as if the harbor space has been growing and declining from past to present, is getting worse.

      • KCI등재

        인천신항 배후물류단지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연구

        마문식(Moon-Shik Ma),유홍성(Hong-Sung Yoo),김병일(Byung-Il Kim)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5 No.4

        본 연구는 인천신항 배후물류단지의 개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산출해보고, 향후 배후물류단지 활성화를 위해 집중적으로 유치해야 할 업종선택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보았다. 연구결과 인천신항 배후물류단지 개발사업은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 기준으로 연간 2조 5,789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1조 7,831억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용효과가 연간 3만 8,268명에 달해 전국단위 산업연관표를 이용할 때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여, 최근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인천항 주변의 고용안정에 긍정적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업종별로는 항만물류업이 다른 관련산업들에 비해 지역경제파급효과가 커, 향후 인천신항 배후물류단지에 이 업종에 속한 기업들을 집중적으로 유치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현재 인천신항 배후물류단지는 부두공사와 항로준설, 배후도로망 등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정부와 항만공사의 건설사업이 끝나는 2015년 이후 본격적으로 건설공사 착수가 예정되어 있다. 인천신항을 비롯한 인천항내 항만시설이 물류기능을 보다 강화하여 지역경제와 국제물류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개발시기를 앞당기고 적정한 시설규모를 갖도록 정부의 재정지원과 민자유치를 활성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estimated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by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complex in Incheon New Port, applying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Incheon. And thereby, we tried to find some strategic implications on the priority to induce more effective industries for activated operation of the logistics complex in ports. According to the results, development of Incheon New Port will generate 2,579 billion KRWs(2.2 billion USDs) of production and 1,783 KRWs(1.5 billion USDs) of value-added annually. And we expect it to induce 38.8 thousand jobs, which is over the national average on the input-output table. By the business type, port logistics industry will contribute to develop regional economy more than any other ones in Incheon. We suggest business firms in port logistics industry to be induced to the logistics complex in Incheon New Port strategically. Until now,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complex in Incheon New Port are planned to be postponed to 2015 when construction of the berth facilities, the access sea routes and the hinterland highways are completed. We suggest to invest more public fund, to induce the private capital, and then, to develop the logistics complex in Incheon New Port earlier in an appropriate scale.

      • KCI등재

        인천항 자유무역지역 추가지정을 위한 타당성 연구

        정태원 ( Chung Tea-won ) 한국해운물류학회 2021 해운물류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인천항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자유무역지역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통하여 글로벌 물류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경쟁력 있는 인천항 자유무역지역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인천항 항만배후물류단지 자유무역지역 추가 지정 지역을 도출한 결과 인천신항 1-1단계 1구역, 3구역, 1-2단계와 인천남항 아암물류 2단지 1-1단계 1구역이 추가적으로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유무역지역으로 인천신항이 지정될 때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정한 결과 전국의 총 생산유발효과는 8,220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2,920억 원, 수입유발효과는 1,492억 원, 취업유발효과는 5,681명으로 분석되었다. 인천남항이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경제적 파급효과의 경우 생산유발효과는 4,038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434억 원, 수입유발효과는 743억 원, 취업유발효과는 2,791명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global logistics environment and foster a competitive free trade zone in Incheon Container Port by examining the feasibility of additional designation of free trade zones to secure competitiveness of Incheon Container Port. As a result of deriving an additional designated free trade zone for the Incheon hinterland logistics complex, Incheon New Port Phase 1-1 Zone 1, Zone 3, Phase 1-2 and Incheon Nam Port, Aam Logistics Complex 2 Phase 1-1 Zone 1 need to be additionally designated as free trade zon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 if Incheon New Port is designated as a free trade zone, the total national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s 822 billion won, the national total value-added effect is 229 billion won. In case of Incheon South Port, total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is 403.8 billion won, total value-added effect in the country is 143.4 billion won,

      • KCI등재

        FBCs를 활용한 항만공간과 항만배후지의 연계성 강화에 관한 연구

        황선아(Sun Ah Hwang),김종구(Jong Gu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7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1 No.4

        최근 세계의 많은 항구도시들은 시대 흐름에 따른 산업구조의 변화 등으로 인해 기존의 항만공간에 대한 의의가 보다 복합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항만공간의 경우 이러한 시대흐름에 발빠르게 호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시행되고 있는 개발은 대규모 항만공간에만 집중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항만공간과 항만배후지역간의 공간적, 심리적 단절감이 강해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룬 항만공간의 계획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항만공간은 항만공간만의 고유한 장소성과 특이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배후지역과의 조화를 이룬 계획이 시행되는데 많은 한계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FBCs를 활용하여 항만배후지역과 항만지역의 이질적 공간 간 연계성을 강화하여 항만공간 전체가 조화를 이루는 도시계획적 접근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BCs란, 해당 공간만의 특성 즉, 장소성과 고유성을 반영하고, 보행자 중심의 공간 계획, 그에 따른 안전성 확보, 공공공간의 활용 등을 위해 미국에서 제시되고, 실행되고 있는 제도적 장치이며, 아직까지 국내에는 도입되어 있지 않다. Taking a look at recent trends of port cities, many port cities in the world have been shedding new light on the function being kept by existing port spaces, caused by changes of industri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tream of the times, developments of surrounding areas, and etc., and we can see that its meaning also has been changing. However, in case of domestic port spaces they are in the real situation not responding to those movements quickly. Therefore, unlike the existing zoning system dividing functionally urban spaces according to use simply, in this study FBCs getting the timelight recently as a system capable of reflecting spatial characteristics at the maximum have been utilized as a measure for solving current problems of urban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urban planning approach that harmonizes the whole harbor space by strengthening the interlinkage between heterogeneous spaces of port area and port area using FBCs. FBCs are institutional devices that are proposed and implemented in the United States to reflec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at is, the location and the uniqueness, and the pedestrian-oriented space planning.

      • KCI우수등재

        항만 배후 주거지역의 이미지 분석을 통한 경관성 제고

        강윤원(Kang, Youn Won),김종구(Kim, Jong Gu),금윤전(Keum, Yun Geon) 대한토목학회 202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1 No.5

        부산은 경사진 구릉지에 고밀화 된 불량 주거지가 여전히 많이 남아있으며, 특히 항만 배후지역에 주로 입지하고 있어 항만 시설과 관련된 계획들로 인해 경관적, 생활적, 환경적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부산 동구 일원의 주거지는 북항재개발 지역이 조망되며, 현재 주거환경개선사업이 계획되어 있는 곳으로 경관적 변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동구 구릉지의 불량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환경개선사업 전, 후 경관 이미지에 대한 분석 및 예측(SD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하여, 정비사업으로 인해 지역의 경관적 이미지가 정리, 정돈된 이미지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한편으로는, 지역이 가지고 있던 고유한 안락감이나, 생동감 등의 이미지는 다소 잃을 것으로 예상되어, 지역 고유의 이미지를 보존하되, 노후화로 인해 인접지역과의 경관적 괴리감은 줄일 수 있도록 물리적 시설의 올바른 계획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Busan still has a lot of densely populated poor residences on sloping hills, especially in the area behind the port, which is heavily affected by plans related to port facilities. In particular, the residential area of Dong-gu, Busan, is expected to see the Bukhang Redevelopment Area, and the landscape change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 whe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s currently planned. In this study, the landscape image analysis and prediction (SD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of the poor residential area of Dong-gu, Busan is expected to be able to organize, organize the image of th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