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다문화 상담이론에서의 방법론적 토대로서 현상학

        홍성하(Seongha Hong)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5

        이 논문의 목표는 현상학이 최근에 주목을 받고 있는 다문화 상담이론에 방법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는가를 탐구하는 데 있다. 이는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다문화 상담이론이 이런 현실에서 내담자의 문화적 경험이나 사회 병리적 현상을 밝히는 데 효율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정신분석, 인지행동주의 그리고 실존주의와 같은 기존의 상담이론들은 기본적으로 합리성과 주체성을 강조하는 서구의 개인주의적 전통과 과학적 분석태도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이 이론들은 다문화 사회에서 주류 문화에 속하지 않는 소수 집단의 내담자의 특수한 경험과 삶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내담자의 심리적 고통이나 행동을 이해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내담자 경험의 통일적인 의미토대라 할 수 있는 생활세계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하고 이 세계와 깊은 연관이 있는 문화 현상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태동한 이론 중 하나가 다문화 상담이론이다. 다문화 상담이론의 특성상 상담자가 다른 문화에 대한 일체의 가치 판단을 중지하고 내담자의 경험세계를 있는 그대로 드러낼 수 있도록 태도 변화를 시도함으로써 상담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다문화 상담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내담자의 근원적인 경험세계는 현상학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현상이며 사태이고, 경험현상을 밝히고자 하는 방법론적 특성은 현상학적이다. 내담자의 경험세계로 되돌아감으로써 상담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다문화 상담이론에 현상학은 매우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다.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the country has exceeded one million. With the ever-increasing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foreign workers and foreign students, the Korean society has been rapidly becoming multicultural.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methodologically applying phenomenology to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Phenomenology can secure a certain place for itself in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because of its potential to provide methods effective at revealing a client’s life experience and her/his attitude toward the culture in which she/he has lived. Contemporary counse ling has been dominated by three schools of psychoanalysis, cognitive-behaviorism, and humanistic- existentialism. These three schools have been basically influenced by the Western individualistic tradition emphasizing the subjectivity and the rationality. Despite their grip on contemporary theories of counseling, they have limitations in helping understand a particular experience of minority in the society.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criticizes contemporary theories of counseling for giving short shrift to ethnic or racial minor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counseling, counseling means understanding of client’s individual life,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cultural background. For the sake of an effective counseling counselors have to remove their prejudices about other cultures. To remove prejudices about other cultures, counselors need to practice the method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Here emerges a meeting point between the theory of multicultural counseling and phenomenology. A phenomenological method is very helpful in leading multicultural counselors to go beyond learning other cultures toward exploring a client’s world of experience just as it is. According to the phenomenological method for returning to everyday experience, counselors should graduate from the temptation to pass judgments on culture, something common in the natural attitude, and should graduate immediately into world of experience in order to reveal the world as it is.

      • KCI등재

        국립고궁박물관 문화상품 현황 및 디자인 제안에 관한 연구

        서진환(Jin Hwan Suh),한귀자(Gwi Ja Ha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1

        박물관은 문화유산의 보존과 계승, 국가 이미지 향상 등 그 나라의 역사, 생활상, 문화 수준 등을 국내 외 관람객에게 잘 전달 할 수 있는 대표성을 지닌 공공장소 이다. 최근에는 단순히 유물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기능을 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문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립고궁박물관(國立古宮博物館,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은 조선의 황실 박물관을 계승하여 1945년 해방과 함께 현재의 명칭으로 개명하였으며, 조선왕실의 문화재 및 궁중 유물을 전시·관리하고 궁중유물의 홍보 및 사회교육, 학술도서와 자료의 수집, 출판, 관리 업무도 담당하는 공공기관이다. 국립고궁박물관은 조선의 왕실문화를 상징하며 궁중생활의 모습을 볼 수 있는 박물관 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상징적인 문화상품의 개발 성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궁박물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협조를 받아 고궁박물관의 대표유물을 중심으로 문화상품을 개발, 제안함으로써 다양한 상품개발 및 대량생산의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자 하였다. 문화상품 개발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 문화상품에 대한 현황 조사 및 현재고궁박물관에서 판매되는 문화상품의 정량적인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대표유물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 고궁박물관의 대표유물로 인장(Seals), 장신구, 의복, 어차 등의 주요상징물을 기준으로 하여 총 5개 아이템을 개발하였다. 위의 문화상품을 개발, 제시함으로써 대중들에게 문화상품을 통한 전통적 가치 함양과 박물관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갖게 함은 물론 마케팅 측면에서 지역 경제에 기여하는 측면도 가능 할 것이다.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NMK) endeavors to preserve, exhibit, and interpret Korean cultural heritage in a manner that befits its international scale. It also strives to grow into a world-class institution that serves the Korean people through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s. It is dedicated to providing extensive visitor services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envisioning a cultural multiplex of great accessibility and comfort. Upon liberation, Korea took over the Joseon Government-General Museum and renamed it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in December 1945. Nevertheless, the importance of the museum lies in that it tried to restore the damaged nation`s cultural pride and to correct the false historical images of Korea.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ill be at the forefront in delivering cultural benefit to a broader and more diverse audience, and it is responsible for cultural leadership in this day. Through a variety of exchange programs with other leading museums of the world, the NMK will foster its sense of internationalism. The NMK will be proactive in promotion of Korean culture abroad as well as in attracting world audience by presenting quality exhibitions and a broad spectrum of world shows. Using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ies, the NMK will not only disseminate knowledge about our cultural heritage but also maximize the usage of the information by the museum visitors. The NMK will reinforce its public relation function to make it more accessible to the mass. It devotes itself to promotion of cultural development by preserving, researching and displaying invaluable cultural properties left by people in the past. Furthermore, we make every effort to permanently preserve cultural assets and the symbol to the Royal lifestyle of Chosun Dynast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extensive museum in Korea. However, existing symbolic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is inadequate to deal with representing the Royal palace culture shown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Supporting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NMK) and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we focused on the typical relic as the developing and suggesting cultural product, so it enhances the genuine values of cultural assets through various product development and the possibility of the mass production. From the processing of the cultural product development, we investigate the existing survey and sale items by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as the typical relic. The typical relic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s the seals, accessory, clothing, and vehicle of Empress etc. can be the standard 5 items can be developed concerning to the item and price, Developing and suggesting cultural product is the mass production to the marketing field which helps to the regional economy related to research of the possibility of the various product development.

      • KCI등재

        Hofstede 문화차원 이론에 기초한 미디어 신뢰도 영향요인 분석 - 아시아 10개 지역의 혼합 연구를 중심으로 -

        전진 ( Qian Jin ),이창욱 ( Lee Chang-wook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2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72 No.-

        미디어 신뢰도는 한 나라의 국민이 얼마나 자국 언론을 신뢰하는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미디어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양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인에 대해 다양한 정도로 논의했지만 지역 문화 차이와 미디어 신뢰 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유럽과 미국의 연구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아시아 지역에 대한 문화 및 미디어 신뢰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어떤 단일 문화 차원 또는 여러 문화 차원의 조합이 해당 지역의 미디어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도출하고자 한다. 본문은 아시아 주요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Hofstede 문화 차원이론의 연구 프레임워크 및 조사 보고서와 로이터 뉴스 연구소에서 발행한 미디어 신뢰도 조사 보고서를 기반으로 질적비교분석(QCA)이라는 연구 방법을 채택하여 '어떤 단일 문화 차원 또는 다양화 차원의 조합이 지역의 미디어 신뢰도에 인과관계를 일으킬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단일 문화적 차원은 해당 지역의 미디어 신뢰도와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지만 다양한 문화적 차원의 조합과 해당 지역의 미디어 신뢰도는 필연적인 인과 관계가 있다. 이 연구는 미디어의 신뢰도에 대한 연구 관점을 넓히고 문화 차원 이론의 확장 및 교차 연구 결과를 풍부하게 한다. Media trust reflects the people's trust in the media in a region. Many factors affect media trust. Existing studies have discussed the influencing factors to different degrees,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cultural differences and media trust. This study tries to break away from the research paradigm of Europe and America, and studies the correlation between culture and media trust in Asia, and finally finds out which single cultural dimension or combination of multiple cultural dimensions can impact media trust in this region. Based on the research framework and survey report of Hofstede's cultural dimension theory and the survey report of media trust published by Reuters Institute of Journalism, this paper adopts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QCA). This paper analyzes the question of “which single cultural dimension or combination of multicultural dimensions can have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media trust in a region”. The results show that no single cultural dimension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media trust degree of the region, but the combination of multiple cultural dimensions has a certain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media trust degree of the region. This study broadens the research perspective of media trust and enriches the cultural dimension theory's expansion and cross-research results.

      • 수학교과의 다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박보영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를 맞이하여 수학시간에 학생들이 다문화적 인식과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 문화의 다양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그들 문화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계층과 민족의 문화를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반영하여 중학교 수학교과의 다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사들이 수학시간에 실질적으로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문헌 연구를 실시한 뒤, ○○중학교 수학과 8명 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2학년 수학의 내용 중에 다문화 교육내용을 포함시킬 수학의 단원을 선정하였다. 중학교 2학년 수학의 내용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의 다양성, 정체성, 사회정의의 내용을 포함시켜 6차시의 수학교과의 다문화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2학년 3개반 학생 121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학교 수학교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다문화에 대한 편견과 수학시간의 인식변화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한 후 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2.0 패키지를 이용하여 t-test 를 실시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다문화 인식이 유의수준 99%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랩은 다문화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다문화에 대한 편견이 유의수준 99%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게 나타냈으며,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에 대한 편견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중학교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자연스럽게 포함시켰으며 중학생들이 소수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다문화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하려는 태도를 육성하게 만들었으므로 매우 의미가 있으며 현장의 수학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In celebration of the era of multi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to substantially carry 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foster students' cross-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s, maintain their cultural unique identity, and help them to understand various classes and ethnic cultures. To accomplish this, after conducting literature study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 lesson of mathematics to include educational content of multicultures is selected, targeting at eight mathematics teachers in Pung-Mu middle school. In the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2nd grade mathematic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hich develops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6th period's middle school mathematics is written by including the contents about multicultural diversity, identity, and social justice. And targeting at 121 2nd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from 3 classes, before and after apply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awareness about and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and a change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math classes were respectively surveyed by questionnaire. To statistically prov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 t-test using SPSS 12.0 package was carri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multicultural awareness has been indicated significantly high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99% confidence interval. It has been proven that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multicultural perception. Secondly, after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 classes, th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99% confidence interval. And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have been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th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This study naturally includes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minority cultures and foster the attitude which realizes social justice and overcom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Therefore, this study is very significant and gives effective aid to mathematics teachers in the field.

      • KCI등재

        일반논문 : 2014교사 협력사업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적 연구

        김창아 ( Changah Kim ),김미순 ( Misoon Kim ),아이고자에바아이게림 ( Aigozhayeva Aiger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I문화예술지원센터에서 추진한 2014교사 협력사업에 참여한 초등교사의 문화예술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사업에 참여한 초등교사 3인의 경험을 통하여 이들이 2014교사 협력사업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경험은 문화예술교육의 학교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탐색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7월부터 2015년 1월까지이며,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초등교사들은 자발적 참여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을 확대하고 실천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경험 과정을 통해 그 의미를 나타내었다. 참여자들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경험은 ``문화예술교육 시작하기``, ``문화예술교육 지원 받기``,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 하기``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에게 문화예술교육은 실존적 인간으로서의 공감을 바탕으로 하는 ``나도 사람이니까``하는 행위였다. I문화예술지원센터의 사업 참여는 ``부담스럽지만 해보고 싶은 일``이었다. 그러나 학교 안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하는 것은 ``시간과의 싸움``일 수밖에 없었다. 본 연구는 이들의 경험에 대해 다시 이야기하기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 I문화예술지원센터의 안정적인 계획과 지원, 학교문화 개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is a narrative study on culture and art education experi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2014 teacher cooperation project.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3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ring 2014 teacher cooperation project and also examine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n terms of school vitalization of cultur and art education. The research period is from July 2014 to January 2015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deavored to expand and practice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school threw voluntary participation. The study shows meaning by the experience process of participants. The experienc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y participants is shown in start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receiving the support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doing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school. Culture and art education to participants is an act of recognizing ``I am also a human being`` based on a sympathy as an existential human. The project participation of Incheon culture and art support center was ``a burdensome but desirable one.`` But it was ``a battle with time`` when they practiced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t schools. By retelling experiences, this study proposed changing teachers` awaren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stable plans and supports of Incheon culture and art support center and improvement of school culture to vitalize culture and art education at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활용한 도시정책 사례 연구 : 성남시를 중심으로

        박지연 한국문화교육학회 2015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0 No.4

        문화예술교육은 도시속의 삶의 질과 도시의 경쟁력을 함께 추구하는 도시정책과 밀접하게 연결된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시민문화‧조직문화의 생성과 문화역량에 기반을 둔 시민‧전문가의 성장 및 육성은 성공적인 도시의 조건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개인의 미적발달이라는 축소된 의미로 여겨지고 있어 도시와 공동체로까지 확대되어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도시와 학습도시, 창조도시 등과 같은 도시담론들의 핵심가치를 관통하여 전략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은 수 있는 것은 문화예술교육임을 강조하면서 도시관점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을 ‘도시문화예술교육’이라 명명하며 그 의미를 살펴보고, 짐멜(G. Simmel)의 ‘문화’와 ‘교육’, ‘친교’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 근거를 제시하려고 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활용하여 도시정책을 펼치고 있는 도시로 성남시를 선정하고 성남시가 추구하는 비전과 정책목표, 핵심가치, 주제와 영역들의 규명을 통해 정책현장에서 문화도시․학습도시․창조도시 정책의 연계유형 모형도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성남시의 도시정책에서 문화예술교육이 어떠한 전략과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밝혀내고자 한다. Until now, studies on urban policy has been consistent in individual observation of key words, learning city‧cultural city‧creative city, rather than focused on how learning, culture and creativity should be related under the fundamental frame of city. In consideration of realities, planning and practice of policy, integrative perspective or multidisciplinary approach which is positively necessary is lacking considerably, so it's currently more important to investigate interconnections and joint core value of learning city‧cultural city‧creative city. In this context,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mphasize that cultural artistic education can play important roles strategically in consideration of core values of the discourse about cultural city, learning city and creative city and suggest the grounds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culture', 'education' and 'friendship' of G. Simmel. This research will select Seongnam-si as a city which displays urban policy with values of cultural artistic education and suggest the connection type diagram of cultural city․learning city․creative city policy at the scene of polic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visions, politic goals, core values, subjects and fields of Seongnam-si. In addition, it intends to investigate the strategies and roles cultural artistic education is playing in urban policy of Seongnam-si.

      • KCI등재

        다문화정책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다문화 법제- 한국과 서구의 정책·법 사례 비교를 중심으로 -

        유의정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4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0

        Our society recently strives to contribute to human rights protection and social integration, by preparing newly enacted law and support policy regarding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and multicultural families as population from various ethnicity and culture has been increased. However, such legal system is still lack of realizing multicultural society. First of all, limitation of legally applicable object of laws which objects are foreigners who are qualified for legitimate stay and multicultural families having one spouse become a Korean nationality by birth, absence of central department of multicultural policy, issues of role allocation between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municipality, necessity of multicultural perspective expansion are still legal improvements in order to become multicultrual society. Looking at the cases of the countries having experienced multicultural society earlier than ours, there were a number of changes in multicultural policy and have become multicultural society like today’s through trial and error. Current trends of such countries’ multicultural policy guarantee children’s rights to study and basic welfare with limits even if they are illegal immigrants, while legislation regarding immigration is enforced. This literature intends to mention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of legislation regarding multiculturalism, by drawing implications through comparing historical process of transition in our multiculturalism policy and by reviewing representative legislation regarding multiculturalism.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본 논문에서는 서구에서의 다문화정책과 법 사례들의 변화 과정과 우리나라 다문화정책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비교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현재의 대표적인 다문화 관련법에 대한 내용을 검토하여 그 한계와 개정방향에 대해 언급하고자 하였다. 우리보다 앞서 다문화사회를 경험한 서구의 경우, 다문화정책에 있어 여러차례 변화를 겪으면서 점차 소수의 문화를 인정하고 함께 공존하는 사회통합 프로그램에 중점을 두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개하여 왔다. 최근들어 다른 특정문화권과의 갈등이 가시화된 경우, 이민정책과 법 적용이 강화되는 성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문화정책의 집행부서도 일원화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불법체류자라 할지라도 그 자녀의 학습권과 기본적인 복지는 제한적으로나마 보장하고 있다. 이민자 사회통합정책은 우리나라에 정주하려는 이민자를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육성하는 정책이기에 국가적인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설계되고, 전략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개별 부처중심의 분산형 사회통합정책 추진은 고비용ㆍ저효율이라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미래사회를 대비한 적극적인 이민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하는데 장애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추진체계, 지원방식의 재정비와 함께 문화다양성과 사회통합에 대한 국민의 인식도 높여나가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본 논문에서 지적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이 자기조절능력, 학업성취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의 학력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차동혁 ( Cha Donghyuk ),옥선화 ( Ok Sun Wh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1

        주5일 근무제의 전면 시행 및 여가문화의 확산과 함께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의 중요 성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지원이 가족뿐만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 정부의 정책 단위 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이 청소년의 교양을 함양하고 균형 있는 성장을 도모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화자본으로 인식하고, 여가문화활동이 실제로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2년에 실시한 3차 한국아 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중학교 3학년 1,673명을 대상으로, 여가문화활동이 자기 조절능력과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고, 이 관 계가 부의 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은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에 모두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를 가졌으며,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정적인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이러한 청소년 여가문화활동의 영향력에 대한 부의 학력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부모의 문화자본에 관계 없이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이 체화된 문화자본으로 기능하여 청소년의 학업 성취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지된다는 의미이며,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하여 사회 계층에 관계없이 청소년이 여가문화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five-day work week,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recognized so important that families,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are trying to provide support for these activities. In this research, we regarded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s a kind of embodied cultural capital which have the intention to educate them as a person of culture with balanced human development. With this regard, we examined whether or not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d an effect on their balanced growth. We chose 1,673 middle school seniors from the third wave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in 2012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n, we analyzed the effects of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s embodied cultural capital on their self-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s, and self-esteem.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d not merely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s on all the three latent variables but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self-esteem mediated by the self-regulation. The fathers` educational level did not moderate these influences of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se influences can be maintained equally, irrespective of parents` cultural capital. It also suggests that families,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all should highly encourage adolescents to participate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regardless of their social classes.

      • 문화예술에서 문화산업콘텐츠 융합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

        지상범(Jee, Sang-Baum)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2 교양논총 Vol.- No.6

        현대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의 급속적인 발전은 국가 간 문화 및 산업경계를 허물고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시켜 나가고 있고 문화 창의성 관련 산업이 결합되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문화 예술 산업이 바로 지식과 정보문화의 시대를 이끌어 갈 미래형 산업일 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 있어서도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또한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산업이 급속하게 확대되어 나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에 따라 콘텐츠의 수요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의 콘텐츠산업 부문에서 공급의 현실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다. 창의성을 핵심역량으로 하는 문화예술 산업에서 그러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문화예술 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그러한 인프라를 활용할 콘텐츠의 수급과 콘텐츠의 개발에 있다. 이 논문의 문제의식은 여기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차세대 국가 고부가가치 산업을 이끌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 융합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그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융합형 콘텐츠 신시장 개발인데, 그 가운데에서도 CG산업 시장의 개발육성이다. CG 산업은 활용도와 경제적 부가가치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으로 확산이 용이하며,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등 주요 콘텐츠 분야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방송, 광고 등으로 그 영역이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그 다음으로는 가상현실 분야 시장의 개척이다. 즉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문화부문 및 제조업, 서비스업 등과 연계하여 융합형 콘텐츠를 개발하여 이를 현실화시키는 일이다. 또한 융합형 콘텐츠 산업인프라 조성을 통해 무엇보다 문화콘텐츠 전반에 대한 기술연구를 지원하고 창작이나 감성 문화예술 등 문화콘텐츠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대학문화콘텐츠 기술연구소를 설치/운영 및 융합 환경에 맞는 콘텐츠 산업관련 제도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경쟁력 우위의 글로벌 콘텐츠 육성을 통해 콘텐츠의 경쟁력을 키우는 일이다. 말하자면 국내·외적으로 경쟁력과 품질의 우수성을 겸비한 콘텐츠의 육성이다. 그리고 국가적 차원의 해외시장 진출 활로를 지원하여 콘텐츠의 세계화를 유도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아시아지역은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있으며 문화적 유사성과 더불어 최근 한류로 인한 성장성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교역 비중이 높은 특성을 지닌다. 이에 따라 중국시장은 진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며 중국시장의 원활한 진출을 위해 제도적 장벽을 완화하고 저작권보호 및 무역장벽을 해소하여 실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안정된 성장을 위한 국내 지원체계를 마련하여 해외로 진출하는 기업들의 안정된 성장을 돕는 일이다. 즉 협력 사업을 위한 지원기구를 설치하여 해외진출을 돕고 법률이나 세무, 금융 등 기업의 민원을 해결할 수 있는 전담기구를 설치하는 것은 물론 분야별 전문가와 연계한 기술 지원체계 기반을 마련해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양방향 문화예술 교류의 확산을 통해 반 한류 등의 장벽을 해소하여 미래지향적인 교두보를 확보하는 일이다. 현재 문화예술 교류가 아시아 진출이 대부분이지만 아시아지역은 단기적으로는 진출대상인 동시에 중장기적으로 아시아 시장을 함께 상생하는 통합의 시장으로 보아야 하며 시장통합을 위한 교류협력 기반을 마련해야만 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in the modern society breaks down the cultural and industrial boundaries between nations and integrates the world into one market. Culture/arts industry that is combined with cultural creativity to generate high added value is a future-oriented industry that will lead the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culture and the key ele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lso, the information industry providing cultural services is quickly growing and the demands for contents are also increasing explosively. However, Korea"s contents industry seriously lacks the supply of quality contents. As Korea has extensive capacities in culture/arts industry that is based on creativity, its culture/arts industry has infinite potentials to gain leadership in the world market. In order to gain leadership in the world market, Korea needs to develop and supply contents that will utilize its infrastructure. This is the topic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convergence of culture/arts and contents industries to lead the new-generation high value added industries of Korea and to discuss their problems and solu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important to develop a new market for the convergence of contents, especially the CG industry. The CG industry can not only be applied to various areas with very high value added, but it can easily be spread to other industries. It is taking an important part in the major contents industries, such as films, games, and animation, and spreading its scope of application to broadcasting and advertising. Next is the exploration of a market in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can be combined with culture, manufacture, and services to develop convergence contents. Also, it is required to establish infrastructure for convergence contents industry to support technical research in cultural contents, develop key technologies for cultural contents, establish/ operate technical research centers for college cultural contents, and improve the systems for the convergence of contents industry. Also, competitive global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In other words, it is important to nurture contents with internal and external competitiveness and quality excellence. Also,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local businesses in the overseas market for the globalization of contents. The Asian market, in particular, is geographically adjacent, shares cultural similarity with Korea, and offers markets with great potentials, proven by the Korean Wave, and active trading. As the Chinese market is expected to expand, it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restrictions for business in the Chinese market and provide support to protect copyrights and remove trading barriers for actual profitability. Also, a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Korea for stable growth of companies that are doing business abroa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upportive organization for collaborative business abroad, an exclusive organization to resolve complaints pertaining to legal issues, tax issues, and financial issues, and lay the foundation for a technical support system that is linked to a pool of experts. Finally, it is important to bridge the divide in the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by spreading two-way exchange of culture and arts. Korea"s exchange in culture/arts is mostly limited to Asia, but Asia is a short-term destination that will be integrated in the mid- to long-term perspective and that needs a foundation for exchange and collaboration for market integration.

      • KCI등재

        기사 구성과 특징으로 본 ‘문화 저널리즘’의 변화상과 함의

        김경희(Kyung-Hee Kim),이기형(Keehyeung Lee),김세은(Sae-Eun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4 No.6

        ‘문화 저널리즘’은 광의의 저널리즘의 한 분파이자 확립된 유형으로 존재해왔지만, 학술영역에서 문화저널리즘의 특징과 현황을 분석하는 작업은 매우 희소하다. 이 연구는 제도언론 영역에서 추구되는 문화 저널리즘의 위상과 현황 그리고 실천이 과거와 비교해서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주요 일간지 문화면에 관한 내용분석을 실시했으며, 관련 학술자료와 기사들을 통한 질적인 해석을 함께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10년 전(2003∼2004년)과 비교하여 현재(2013∼2014년)의 신문 지면은 늘어난 데 반해, 문화 관련 기사의 전체 게재량은 감소했으며, 문화면 이외의 종합면 등 타 지면에 게재된 기사의 비율 또한 줄어들었다. 한편, 문화 콘텐츠에 중심을 두고 보도된 기사와 ‘지식·교양’ 또는 ‘여가·오락’으로서 문화에 접근하는 관점의 기사들은 줄어든 반면, 문화현상을 ‘상품(광고)’과 ‘생활’로서 접근하는 기사들이 늘어났다. 이와 함께 ‘비평·리뷰·해설’을 담아내는 기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 저널리즘의 중요한 기반으로 간주할 수 있는 ‘학술’과 ‘공연·전시·미술·음악’ 같은 주제를 다루는 기사들은 줄어들었으며, 대중문화와 여행, 패션, 미용 등의 광의의 라이프스타일을 다루는 연성적인 주제들이 상당히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독자와 관객을 포함하는 수용자들의 기고가 일부 늘어났다는 점 외에 기고자의 선정이나 직업적인 특성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독자를 직접 인용원으로 삼는 기사가 부분적으로 증가했다는 점 외에 직접 인용 취재원의 활용에서도 별다른 변화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문화콘텐츠의 역할이 크게 주목받는 사회문화적인 상황과는 달리 종합일간지 지면에서 이루어지는 문화 관련 보도와 기사의 생산은 양식적인 다양성과 구성적인 차별화 그리고 광의의 비평적인 관점의 제시라는 측면에서 상당한 한계를 드러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Despite the great significance we attach on culture, only a handful of researches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actices of cultural journalism. This study has aimed to unravel the changes in the trajectory of cultural journalism of Korean major newspapers,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contents they report. The results show that the number of cultual items have decreased compared to that of 10 years ago, although the entire number of pages has meanwhile increased. News items focused on ‘products(advertisement)’ and ‘life(style)’ have increased, whereas those on ‘knowledge·refined’ and ‘leisure·entertainment’ have decreased. ‘Critique·review·commentary’, ‘academics’ and ‘performance·exhibition·art·music’ items turn out to have decreased significantly; soft contents such as mass culture, tourism, fashion and beauty, on the other hand, have increased considerably. Moreove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news contributors remain almost the same, except that the proportion of ordinary readers/audience has slightly increased. Similarly, although there were no difference regarding the sources of direct quotation, the frequency of quotes from ordinary readers has increased. Consequently, these results imply how the cultural journalism of Korean newspapers are limited in encompassing diverse types of content, differentiating constitution, and presenting critical viewpoi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