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멸종위기 야생식물 이미지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패턴 개발 연구

        장윤영 ( Chang¸ Yoon Young ),박현주 ( Park¸ Hyun Joo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지속해서 논의되는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식물 이미지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패턴 개발을 진행하는 것으로, 21세기 화두이자 키워드인 지속가능성과 환경문제 안에서 연구해 볼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고찰하고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한국에 자생하는 멸종 위기에 처한 식물들이 267여 종에 달하고 있기에, 연구를 통해 자생식물의 중요성 인지와 함께 보존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멸종위기 식물 이미지를 이용해 모티브로 개발하고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텍스타일 패턴으로 개발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개념과 멸종위기종의 고찰을 통해 환경부에서 지정한 국내의 멸종위기 야생 생물과 멸종위기 야생식물의 개념과 지정 현황을 살펴보았다. 텍스타일에 적용된 디자인을 바탕으로 멸종위기종 이미지를 이용한 국내 브랜드의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고, 사례에 대한 분석도 진행하였다. 또한, 조사된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멸종위기 식물 I · II급 총 88종을 45개의 과로 분류한 뒤, 그중 가장 많은 식물이 속해있는 난초과, 미나리아재비과, 붓꽃과 그리고 백합과를 중심으로 각 과 두 종류씩 모티브 개발로 전개할 식물 8종을 선정하였다. 이 분류를 기반으로 핸드 드로잉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16개의 패턴디자인으로 제작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전사 날염 등 각각의 섬유 소재에 맞는 프린팅 공정을 통해 실생활에서 활용되는 텍스타일 프로덕트로 개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그 목적에 맞는 활용성 면에서 모티브가 차지하는 비중과 쓰임이 크다. 그렇기에 멸종위기종을 모티브로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은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감과 함께 환경적 보존가치가 포함되어 생물 다양성 보전 및 환경 보호 증진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본다. Environmental issues are currently topical in our society, and there is an ongoing debate regarding the issue of sustainability and endangered species. Habitats of flora native to Korea are damaged by indiscriminate development and threatened for a variety of reasons, resulting in 267 endangered plant species. As the endangered plant species are at the risk of extinction without conservation measures, they need to be protected and the awareness of the species needs to be raise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ustainable textile patterns with images of endangered plants to increase awareness of social values. To fulfill these objectives, first, a theoretical review of sustainable textile design and endangered flora was conducted. Second, the study included an examination of brand design case studies that utilized images of endangered species using a marketing approach to determine the value and content of the designs.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suggested that designs are often used as part of campaigns and for the marketing of specific causes. Third, 88 species of Class I and II endangered plants were classified into 45 families, and the most common four families were selected, namely, Orchidaceae, Ranunculaceae, Iridaceae, and Liliaceae. Textile patterns were designed for two species in each family. Fourth, the finished designs were printed us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designs and made into textile products that are commonly used in everyday life, such as bags. The Textile pattern designs that incorporated images of endangered flora were developed in the current study. As a motif is important in textile patterns, designs with endangered flora as a motif are likely to be meaningful and value-laden, thus helping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promoting environmental protection.

      • KCI등재

        달마산과 그 인근지역의 식물상 연구

        이유미 ( You Mi Lee ),박수현 ( Su Hyun Park ),최형선 ( Hyeong Seon Choi ),양종철 ( Jong Cheol Yang ),남기흠 ( Gi Heum Nam ),정규영 ( Gyu Young Chung ),최혁재 ( Hyeok Jae Choi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3 No.1

        전라남도 해남군에 위치한 달마산 및 인근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5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한 결과 달마산 일대의 관속식물은 112과 322속 473속 3아종 60변종 9품종의 총 54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그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2분류군이었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 4분류군이 분포하였다. 또한 환경부 지정 특정식물종으로는 IV등급 5분류군, Ⅲ등급 17분류군 등 총 8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반도 미기록 식물로 `초록별꽃(신칭)`이 관찰되었고, 차꼬리고사리, 수수고사리, 금억새, 처진물봉선, 서울민바랭이 5분류군은 이번 연구를 통해 한반도 내 자생지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본 조사지역의 귀화식물은 29분류군으로 전제분류군의 5.3%를 차지하여 전남지역의 평균 귀화식물분포 수와 비슷한 수치로 조사되었다. The vascular flora of Dalmasan and its adjacent regions, located in Haenam-gun, Jellanam-do, is surveyed from Mar. to Oct. 2005. The number of the vascular plant taxa based on voucher specimens is 545 total which belongs to 112 families, 322 genera, 473 species, 3 subspecies, 60 varieties and 9 forms respectively. Among them, 12 taxa of Korean endemics and 4 taxa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to 86 taxa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 unrecorded taxon, Stellaria neglecta Weihe, is also collected in this area. Furthermore, The habitat of 5 taxa such as Asplenium trichomanes L., Asplenium wilfordii Mett. ex Kuhn, Miscanthus sinensis var. chejuensis Y.N.Lee, Impatiens kojeensisi Y.N.Lee and Digitaria violascens var. intersita Ohwi were newly added to the flora of korea, and 29 taxa of induced and naturalized plants were observed in this area.

      • KCI등재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이혜정 ( Hye Jeong Lee ),한준수 ( Jun Soo Han ),이우철 ( Woo Tchul Lee ),유기억 ( Ki Oug Yoo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8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2 No.4

        춘천 남서부지역의 식물상과 식생을 2006년 3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11과 448속 766종 2아종 119변종 27품종으로 총 914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914분류군 중 특산식물은 33분류군이며, 희귀식물과 멸종위기 식물은 각각 26분류군과 4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152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46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집계되었으며, 생활형 조성은 H-R5-D1-e type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914종류의 용도는 식용이 308종류(33.7%)로 가장 높았고 약용 276종류(30.2%), 목초용 148종류(16.2%), 관상용 127종류(13.9%), 목재용 36종류(3.9%), 섬유용 25종류(2.7%), 그리고 공업용이 4종류(0.4%)로 나타났다. 식생분석결과 춘천 남서부 지역의 식생은 5개의 군집, 즉 거제수나무-고로쇠나무 군집, 신갈나무 군집, 신갈나무-굴참나무 군집, 신갈나무-떡갈나무 군집, 그리고 소나무 군집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flora and vegatation of the Southwest Chuncheon area were investigated from March, 2006 to September, 2007.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914 taxa; 111 families, 448 genera, 766 species, 2 subspecies, 119 varieties, and 27 forma. Among the investigated 914 taxa, 33 Korean endemic, four endangered, and 26 rare plants were included. Based on the list of the species of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152 taxa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6 taxa, and life form spectra was H-R5-D1-e type. 914 taxa listed consists of 308 taxa(33.7%) of edible plants, 276 taxa(30.2%) of medicinal plants, 148 taxa(16.2%) of pasture plants, 127 taxa(13.9%) of ornamental plants, 36 taxa(3.9%) of timber plants, 25 taxa(2.7%) of fiber plants and 4 taxa(0.4%) of industrial plants. The vegetation of Southwest Chuncheon area were classified five communities as Betula costata-Acer mono, Quercus mongolica, Quercus mongolica-Quercus variabilis, Quercus mongolica-Quercus dentata, and Pinus densiflora.

      • KCI등재

        한국의 희귀 및 특산식물에 대한 국내 · 외 연구동향

        채현희 ( Hyun-hee Chae ),김영철 ( Young-chul Kim ),손성원 ( Sung-won S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6 No.3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의 보전연구는 국가적 수준에서 식물다양성 유지를 위해 우선되어야 한다. 식물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에 따라 이들 분류군이 대상이 되는 다양한 연구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비교하고 평가할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부터 국내 희귀식물과 특산식물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 필요한 연구항목과 연구의 방향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이 연구의 대상이 되는 전 세계적인 연구동향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특별히 한국에서의 연구동향을 수집하였다. 희귀 및 특산식물에 대한 연구 분야를 6개의 분야로 구분하였고 그 중 보전생태학의 분야는 ‘종 특성연구’, ‘개체군 연구’ 및 ‘생물학적 상호작용’의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다. 수집된 연구를 종합해 볼 때 보전생태학적 연구는 권역별 그리고 국가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보전생태학 연구는 권역별로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국가별로는 일본과 미국에서 비율이 높았다. 반면에 한국은 기초생태학 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보전유전학, 복원생태학 순이었다. 한국에서 보전생태학 연구비율은 세계적인 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희귀식물과 특산식물 중에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과 같은 특정 분류군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보전유전학 및 복원생태학 연구의 비율이 높았다. 세계적인 연구동향, 특히 보전생태학적 연구를 선도하는 유럽 및 북아메리카와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에서 희귀 및 특산식물의 효과적인 보전을 위해서는 종 특성에 대한 정보 확보, 개체군 구조와 동태 그리고 식물과 식물, 동물과 식물과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보전생태학적인 연구의 비율을 높이는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Studies on rare and endemic plant conservation should be performed nationally to conserve plant diversity. Studies targeting a specific taxon have been reported based on the necessity of conserving plant divers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re is an increasing necessity to compare and evaluate the studies for conserv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review the direction for study subjects and items required for effective conservation of rare and endemic plants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collected data. We analyzed trends of studies on rare and endemic plants worldwide. In particular,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study trend in Korea. Study fields of the rare and endemic plants were divided into six classifications, of which the conservation ecology classification was sub-divided into the species traits, population study, and biological interaction. We have collected conservation ecology studi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gions and countries. They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Europe and North America by region and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by country. On the contrary, studies on basic ecology accounted for the most, followed by conservation genetics and restoration ecology in Korea. It was revealed that the portion of conservation ecology conducted in Korea was lower than that of the world. Moreover, studies mainly focused on a specific taxon of rare and endemic plants, such as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Particularly in Korea, conservation genetics and restoration ecology studies accounted for high percentages. Considering the worldwide study trends, particularly those in Europe and North America that lead the study of conservation ecology, we suggest approaches to increase the percentages of conservation ecology, including securing the information on species traits, popul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and interaction between animals and plants are necessary for effective conservation of rare and endemic plants in Korea.

      • KCI등재

        최북단 백두대간(향로봉~구룡령) 능선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오현경,유주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9 환경영향평가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the ecosystem of Baekdudaegan Mountains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from Hyangrobong area to Guryongryeong a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in the whole survey areas were summarized as 633 taxa including 95 families, 321 genera, 549 species, 4 subspecies, 70 varieties, and 10 forms. There were 285 taxa in Hyangrobong area, 256 taxa in Masanbong area, 318 taxa in Mt. Seoraksan area, 281 taxa in Mt. Jeombongsan area, 173 taxa in Bukamryeong and Ohsaekcheon valley area, 197 taxa in Soenadeuri area, 203 taxa in Yeongarigol area, and 168 taxa in Guryongryeong area. The endangered species were 2 taxa including Leontice microrrhyncha and Smilacina bicolor. The rare plants were 39 taxa including Pinus pumila, Halenia corniculata,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and so forth. In IUCN Red List categories, there were 2 taxa of CR, 7 taxa of EN, 10 taxa of VU, 18 taxa of LC, and 2 taxa of D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23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Anemone koraiensis, Lespedeza maritima, Cirsium setidens, Saussurea seoulensis, Carex okamotoi, and so forth. The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48 taxa including 17 taxa of endemic plants, 1taxon of southern plant, and 30 taxa of northern plant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2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Cerastium glomeratum, Papaver rhoeas, Bidens frondosa, Lolium perenne, and so forth.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mbrosia trifida. 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대간의 향로봉에서부터 구룡령까지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백두대간의 산림생태계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체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은 95과 321속 549종 4아종 70변종 10품종 등 633분류군이며, 향로봉 일원은 285분류군, 마산봉 일원은 256분류군, 설악산 일월은 318분류군, 점봉산 일원은 281분류군, 북암령과 오색천 계곡 일원은 173분류군, 쇠나드리 일원은 197분류군, 연가리골 일원은 203분류군, 구룡령 일원은 16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은 한계령풀과 자주솜대 2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의 경우 눈잣나무, 닻꽃, 눈향나무 등 39분류군이며, 멸종위기종(CR)은 2분류군, 위기종(EN)은 7분류군, 취약종(VU)은 10분류군, 약관심종 (LC)은 18분류군, 자료부족종(DD)은 2분류군이다.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홀아비바람꽃, 해변싸리, 고려엉겅퀴, 분취, 지리대사초 등 23분류군이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48분류군이며, 특산식물은 17분류군, 남방계식물은 1분류군, 북방계 식물은 30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유럽점나도나물, 개양귀비, 미국가막사리, 호밀풀 등 32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3분류군이다.

      • 부안 닭이봉, 봉화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유형별 분류

        오현경(Hyun-Kyung Oh),한윤희(Yun-Hee Han),소민석(Min-Seok Soh),이지희(Ji-Hee Lee)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3

        부안 닭이봉과 봉화봉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80과 192속 244종 36변종 8품종으로 총 288종류가 확인되었다. 이중 닭이봉 일대는 190종류, 봉화봉 일대는 206종류가 출현하였으며, 목본식물은 110종류(38.2%), 초본식물은 178종류(61.8%)로 확인되었다.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으로 노랑붓꽃(Iris koreana)이,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은 노랑붓꽃, 왕벚나무(식) 등 2종류가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옥녀꽃대, 소사나무, 민땅비싸리, 병꽃나무, 붉노랑상사화, 흰각시붓꽃, 노랑붓꽃 등 13종류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에 왕벚나무(식), IV등급에 등(식), III등급에 노랑붓꽃, 이나무, 팥꽃나무, 새비나무 등 8종류, II등급에 해당되는 식물종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I등급에는 붉노랑상사화, 옥녀꽃대, 굴참나무, 폭나무, 갯장구채, 큰꽃으아리, 개구리발톱, 후박나무, 왜현호색, 실거리나무, 예덕나무, 대팻집나무, 사철나무,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사스레피나무, 송악, 보리밥나무, 정금나무, 자금우, 반디지치, 개질경이 등 24종류로 총 34종류(전체 288종류의 관속식물 중 11.8%에 해당)가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좀명아주, 개비름,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갓, 토끼풀, 종지나물, 달맞이꽃, 선개불알풀, 서양금혼초, 능수참새그령 등 12과 13속 24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288종류의 관속식물 중 8.3%로 분석되었다. The vascular plants in the Dakibong and Bonghwabong were listed 288 taxa; 80 families, 192 genera, 244 species, 36 varieties and 8 forms. The in the Dakibong were listed 190 taxa and Bonghwabong were listed 206 taxa. Divided into 288 taxa; woody plants were 110 taxa (38.2%) and herbaceous plants were 178 taxa (61.8%). Based on the legal protection species, endangered wild plants II were recorded; Iris koreana and rare plants (IUCN)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 taxa were recorded; Iris koreana, Prunus yedoensis (Planted plant).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13 taxa were recorded; Chloranthus fortunei var. koreanus, Carpinus turczainovii for. coreana, Indigofera koreana, Weigela subsessilis, Lycoris flavescens, Iris rossii for. alba, Iris koreana, etc.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34 taxa (11.8% of all 288 taxa of vascular plants); Prunus yedoensis (Planted plant) in class V, Wistaria floribunda (Planted plant) in class IV, 8 taxa (Idesia polycarpa, Daphne genkwa, Callicarpa mollis, Iris koreana, etc.) in class III, 24 taxa (Chloranthus fortunei var. koreanus, Quercus variabilis, Celtis bindii var. heterophylla, Melandryum oldhamianum for. roseum, Clematis patens, Semiaquilegia adoxoides, Machilus thunbergii, Corydalis ambigua, Caesalpinia japonica, Mallotus japonicus, Ilex macropoda, Euonymus japonica, Meliosma myriantha, Meliosma oldhamii, Eurya japonica, Elaeagnus macrophylla, Hedera rhombea, Vaccinium oldhami, Ardisia japonica, Lithospermum zollingeri, Plantago camtschatica, Lycoris flavescens,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surveyed sites were 12 families, 13 genera, 24 taxa (Rumex crispus, Chenopodium ficifloium, Amaranthus lividus, Phytolacca americana, Cerastium glomeratum, 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Trifolium repens, Viola pailionacea, Oenothera odorata, Veronica arvensis, Hypochaeris radicata, Eragrostis curvula,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8.3% of all 288 taxa of vascular plants.

      • 전라북도의 특정식물과 귀화식물

        임동옥 호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13 녹색산업연구 Vol.19 No.2

        Vascular plant of Chollabuk-do was confirmed total 1,533 taxon, such as 141 family, 761 genus 1,320 species, 7 subspecies, 176 variants and 309 forma. Endangered Species help protect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ppear 9 species such as Cypripedium japonicum Thunb., Acanthopanax senticosus (Rupr. & Maxim.) Harms, Paeonia obovata Maxim. etc.. In these Endangered Species, Muju-gun region appear much 4 species as Cypripedium japonicum Thunb., Acanthopanax senticosus (Rupr. & Maxim.) Harms, Paeonia obovata Maxim., Cypripedium macranthum Sw. etc., and the following Namwon city and Gochang-gun are 2 species and Imsil-gun, Jeongeup city and Buan-gun show by each 1 species. Species of a close ecological examination in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were recorded to a total of 211 taxa; that is, class Ⅲ species were containing 152 taxa, class Ⅳ species were 27 taxa and class Ⅴ species were 32 taxa. Especially, these Species of a close ecological examination appeared extremely much as total 28 taxa in Wanju-gun region; such as class Ⅲ species are 23 taxa, class Ⅳ species are 2 taxa and class Ⅴ species were 3 taxa. Endemic species of korea were identified 53 taxa; such as Pteridophytes was 3 species, Gymnosperm was 1 species and in Angiosperms, Dicots and Monocots were 42 species and 7 species especially. Specify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the Forest Service check out total 30 taxa; such as Crypsinus hastatus (Thunb.)C1pel., Japannese Eurya, Carpinus tsh1n1skii Maxim., Is1pyrum manshuricum (K1m.) K1m etc..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108 taxa; that is Fallopia dentatoalata (F.Schmidt) Holub, Rumex acetosella L. and Phytolacca americana L. etc.. Among them the ecosystem disturbance wild plants were 9 species, as Rumex acetosella L., Sicyos angulatus L., Solanum carolinense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mbrosia trifida L., Aster pilosus Willd., Hypochaeris radicata L., Lactuca scariola L. 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전라북도의 관속식물상은 141과 761속 1,320종 7아종 176변종 309품종 총 1,53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종은 광릉요강꽃, 가시오갈피, 산작약, 복주머니난 등 9종이 나타났다. 무주군에 광릉요강꽃, 가시오갈피, 산작약, 복주머니난으로 4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남원시와 고창군은 2종 그리고 다른 임실군, 정읍시 및 부안군은 각 1종씩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가운데 정밀 생태조사 종에 해당하는 Ⅲ등급종은 152분류군, Ⅳ등급종 27분류군 및 Ⅴ등급종 32분류군으로 총 2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히 각 시군 가운데 완주군은 Ⅲ등급종 23분류군, Ⅳ등급종 2분류군 및 Ⅴ등급종 3분류군으로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어 가장 많이 확인되었다. 한국고유종은 총 53분류군으로 양치류 3종, 나자식물은 구상나무로 1종, 피자식물로는 쌍자엽식물은 42종과 단자엽식물 7종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희귀종으로는 고란초, 사스레피나무, 개서어나무, 만주바람꽃, 쥐방울덩굴, 백작약 등으로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큰닭의덩굴, 애기수영, 소리쟁이 및 미국자리공 등 10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가운데 생태교란 야생식물은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털물참새피 등 9종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평창, 영월(강원도)의 석회암 지역 식물상

        남기흠 ( Gi Heum Nam ),김중현 ( Jung Hyun Kim ),김영철 ( Young Chul Kim ),김진석 ( Jin Seok Kim ),이병윤 ( Byoung Yoon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2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6 No.1

        한국의 중부에 위치한 평창, 영월 지역은 석회암 지역이며 생물지리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의 조사로 평창, 영월 지역의 식물상을 밝혀 석회암 지역 식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 지역의 식물상은 134과 503속 1,010종 11아종 110변종 10품종 4잡종의 1,14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환경부 법적보호인 멸종위기야생식물은 7분류군이며, 한국고유종은 50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238분류군으로 5등급 24분 류군, 4등급 30분류군, 3등급 60분류군, 2등급 45분류군, 1등급 79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82분류군이었으며, 본 조사지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특이하게 분포하는 식물은 5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석회암 지역에서만 분포가 확인되는 식물은 35분류군이며, 격리되어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은 15분류군, 해안성 식물은 3분류군이었다.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Pyeong-chang and Yeong-wol (Gangwon-do) areas are limestone regions that are important biogeographically showing the peculiar flora. In order to manage efficiently endangered and rare plant species, we have investigated flora of these above regions from March to October, 2010.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showed a total of vascular plants of 1,145 taxa; 134 families, 503 genera, and 1,010 species, 11 subspecies, 110 varieties, 10 forms and four hybrids. Among taxa investigated, endangered species designated by the law called ``Protection Law for Endangered wild fauna and flora`` were seven taxa, and 50 taxa were considered to be endemic to Korea. Based on the floristic degrees categorized by the specific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24 taxa revealed the floristic degree (FD) V, 30 for FD IV, and 60 for FD III, 45 for FD II and 79 taxa for FD I. The 82 taxa were identified to be naturalized. Of those species investigated in this survey, 53 taxa were identified as specific ones biogeographically as compared to flora of other terrestrial regions; 35 of calcicolous plants, 15 with distribution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ree with coastal habitats.

      • KCI등재후보

        부안 닭이봉, 봉화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유형별 분류

        이지희(Ji-Hee Lee),소민석(Min-Seok Soh),오현경(Hyun-Kyung Oh),한윤희(Yun-Hee Han) 국립공원연구원 2010 국립공원연구지 Vol.1 No.4

        부안 닭이봉과 봉화봉 일대의 관속식물상은 80과 192속 244종 36변종 8품종으로 총 288종류가 확인되었다. 이중 닭이봉 일대는 190종류, 봉화봉 일대는 206종류가 출현하였으며, 목본식물은 110종류(38.2%), 초본식물은 178종 류(61.8%)로 확인되었다.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으로 노랑붓꽃(Iris koreana)이,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은 노랑붓꽃, 왕벚나무(식) 등 2종류가 확인되었다. 특산식물은 옥녀꽃대, 소사나무, 민땅비싸리, 병꽃나무, 붉 노랑상사화, 흰각시붓꽃, 노랑붓꽃 등 13종류가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등급에 왕벚나무(식), IV등급 에 등(식), III등급에 노랑붓꽃, 이나무, 팥꽃나무, 새비나무 등 8종류, II등급에 해당되는 식물종은 확인되지 않았으 며, I등급에는 붉노랑상사화, 옥녀꽃대, 굴참나무, 폭나무, 갯장구채, 큰꽃으아리, 개구리발톱, 후박나무, 왜현호색, 실 거리나무, 예덕나무, 대팻집나무, 사철나무,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사스레피나무, 송악, 보리밥나무, 정금나무, 자금 우, 반디지치, 개질경이 등 24종류로 총 34종류(전체 288종류의 관속식물 중 11.8%에 해당)가 확인되었다. 귀화식 물은 소리쟁이, 좀명아주, 개비름, 미국자리공, 유럽점나도나물, 갓, 토끼풀, 종지나물, 달맞이꽃, 선개불알풀, 서양금 혼초, 능수참새그령 등 12과 13속 24종류가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전체 288종류의 관속식물 중 8.3%로 분석되었다. The vascular plants in the Dakibong and Bonghwabong were listed 288 taxa; 80 families, 192 genera, 244 species, 36 varieties and 8 forms. The in the Dakibong were listed 190 taxa and Bonghwabong were listed 206 taxa. Divided into 288 taxa; woody plants were 110 taxa (38.2%) and herbaceous plants were 178 taxa (61.8%). Based on the legal protection species, endangered wild plants II were recorded; Iris koreana and rare plants (IUCN)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 taxa were recorded; Iris koreana, Prunus yedoensis (Planted plant). Based on the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13 taxa were recorded; Chloranthus fortunei var. koreanus, Carpinus turczainovii for. coreana, Indigofera koreana, Weigela subsessilis, Lycoris flavescens, Iris rossii for. alba, Iris koreana, etc.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34 taxa (11.8% of all 288 taxa of vascular plants); Prunus  yedoensis (Planted plant) in class V, Wistaria floribunda (Planted plant) in class IV, 8 taxa (Idesia polycarpa, Daphne genkwa, Callicarpa mollis, Iris koreana, etc.) in class III, 24 taxa (Chloranthus fortunei var. koreanus, Quercus variabilis, Celtis bindii var. heterophylla, Melandryum oldhamianum for. roseum, Clematis patens, Semiaquilegia adoxoides, Machilus thunbergii, Corydalis ambigua, Caesalpinia japonica, Mallotus japonicus, Ilex macropoda, Euonymus japonica, Meliosma myriantha, Meliosma oldhamii, Eurya japonica, Elaeagnus macrophylla, Hedera rhombea, Vaccinium oldhami, Ardisia japonica, Lithospermum zollingeri, Plantago camtschatica, Lycoris flavescens,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in the surveyed sites were 12 families, 13 genera, 24 taxa (Rumex crispus, Chenopodium ficifloium, Amaranthus lividus, Phytolacca americana, Cerastium glomeratum, Brassica juncea var. integrifolia, Trifolium repens, Viola pailionacea, Oenothera odorata, Veronica arvensis, Hypochaeris radicata, Eragrostis curvula, etc.) and naturalization rate was 8.3% of all 288 taxa of vascular plants.

      • KCI등재

        속리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최혁재,오병운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4

        The flora in the region of Songnisan National Park (N36˚28´05´´~36˚46´38´´, E 127˚47´06´´~127˚57´50´´) was surveyed from April 2000 to July 2006. Vascular plants in 26 collections included a total of 723 taxa: 115 families, 392 genera, 629 species, 4 subspecies, 72 varieties and 18 forms. Ninety-three of these taxa were first records for the region. In the flora of Songnisan National Park, 27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19 taxa were rare and endangered plants a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Forty-five of the taxa were with the levels III, IV, V in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which was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nd 29 taxa were alien plants now naturalized in Korea. Owing to their unusual phytogeography and low number of populations, the taxa 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S.Moore,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Phacellanthus tubiflorus Siebold & Zucc., Lilium cernuum Kom., Gastrodia elata Blume and Cephalanthera erecta var. subaphylla (Miyabe & Kud ) Ohwi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lear that appropriate plans to conserve the natural habitat of Songnisan National Park must be made immediately. 속리산 국립공원 지역(북위 36˚28´05´´~36˚46´38´´, 동경 127˚47´06´´~127˚57´50´´)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0년 4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총 26회에 걸친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속리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은 115과 392속 629종 4아종 72변종 18품종의 총 723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에서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93분류군이었다. 속리산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서 한국 특산식물 27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19분류군,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에서 등급III 이상에 해당하는 45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으며, 29분류군의 한국 귀화식물이 밝혀졌다. 속리산 국립공원에서 자생하는 특기할만한 식물들 중에서 특히, 고란초, 백작약, 깽깽이풀, 등대시호, 가지더부살이, 솔나리, 천마, 꼬마은난초는 개체수가 적거나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식물로서, 자생지보전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