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멸종위기 야생식물 이미지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패턴 개발 연구
장윤영,박현주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6
Environmental issues are currently topical in our society, and there is an ongoing debate regarding the issue of sustainability and endangered species. Habitats of flora native to Korea are damaged by indiscriminate development and threatened for a variety of reasons, resulting in 267 endangered plant species. As the endangered plant species are at the risk of extinction without conservation measures, they need to be protected and the awareness of the species needs to be raised.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ustainable textile patterns with images of endangered plants to increase awareness of social values. To fulfill these objectives, first, a theoretical review of sustainable textile design and endangered flora was conducted. Second, the study included an examination of brand design case studies that utilized images of endangered species using a marketing approach to determine the value and content of the designs. The results of prior research suggested that designs are often used as part of campaigns and for the marketing of specific causes. Third, 88 species of Class I and II endangered plants were classified into 45 families, and the most common four families were selected, namely, Orchidaceae, Ranunculaceae, Iridaceae, and Liliaceae. Textile patterns were designed for two species in each family. Fourth, the finished designs were printed using materials suitable for the designs and made into textile products that are commonly used in everyday life, such as bags. The Textile pattern designs that incorporated images of endangered flora were developed in the current study. As a motif is important in textile patterns, designs with endangered flora as a motif are likely to be meaningful and value-laden, thus helping the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and promoting environmental prote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으로 지속해서 논의되는 한국의 멸종위기 야생식물 이미지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패턴 개발을 진행하는 것으로, 21세기 화두이자 키워드인 지속가능성과 환경문제 안에서 연구해 볼 수 있는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을 고찰하고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한국에 자생하는 멸종위기에 처한 식물들이 267여 종에 달하고 있기에, 연구를 통해 자생식물의 중요성 인지와 함께 보존의 필요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멸종위기 식물 이미지를 이용해 모티브로 개발하고 다양한제품에 적용될 수 있도록 텍스타일 패턴으로 개발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지속가능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개념과 멸종위기종의 고찰을 통해 환경부에서 지정한 국내의 멸종위기 야생생물과 멸종위기 야생식물의 개념과 지정 현황을 살펴보았다. 텍스타일에 적용된 디자인을 바탕으로멸종위기종 이미지를 이용한 국내 브랜드의 다양한 디자인 사례를 조사하고, 사례에 대한 분석도 진행하였다. 또한, 조사된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멸종위기 식물 I · II급 총 88종을 45개의과로 분류한 뒤, 그중 가장 많은 식물이 속해있는 난초과, 미나리아재비과, 붓꽃과 그리고 백합과를 중심으로 각 과 두 종류씩 모티브 개발로 전개할 식물 8종을 선정하였다. 이 분류를 기반으로 핸드 드로잉을 통해 텍스타일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16개의 패턴디자인으로 제작하여 디지털 텍스타일 프린팅, 전사 날염 등 각각의 섬유 소재에 맞는 프린팅 공정을 통해 실생활에서 활용되는 텍스타일 프로덕트로 개발하였다. 텍스타일 디자인은 그 목적에 맞는 활용성 면에서 모티브가 차지하는 비중과 쓰임이 크다. 그렇기에 멸종위기종을 모티브로 개발한 텍스타일 디자인은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감과 함께 환경적 보존가치가 포함되어 생물 다양성 보전 및 환경 보호 증진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높을 것으로 본다.
임동옥 호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13 녹색산업연구 Vol.19 No.2
Vascular plant of Chollabuk-do was confirmed total 1,533 taxon, such as 141 family, 761 genus 1,320 species, 7 subspecies, 176 variants and 309 forma. Endangered Species help protect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ppear 9 species such as Cypripedium japonicum Thunb., Acanthopanax senticosus (Rupr. & Maxim.) Harms, Paeonia obovata Maxim. etc.. In these Endangered Species, Muju-gun region appear much 4 species as Cypripedium japonicum Thunb., Acanthopanax senticosus (Rupr. & Maxim.) Harms, Paeonia obovata Maxim., Cypripedium macranthum Sw. etc., and the following Namwon city and Gochang-gun are 2 species and Imsil-gun, Jeongeup city and Buan-gun show by each 1 species. Species of a close ecological examination in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were recorded to a total of 211 taxa; that is, class Ⅲ species were containing 152 taxa, class Ⅳ species were 27 taxa and class Ⅴ species were 32 taxa. Especially, these Species of a close ecological examination appeared extremely much as total 28 taxa in Wanju-gun region; such as class Ⅲ species are 23 taxa, class Ⅳ species are 2 taxa and class Ⅴ species were 3 taxa. Endemic species of korea were identified 53 taxa; such as Pteridophytes was 3 species, Gymnosperm was 1 species and in Angiosperms, Dicots and Monocots were 42 species and 7 species especially. Specify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the Forest Service check out total 30 taxa; such as Crypsinus hastatus (Thunb.)C1pel., Japannese Eurya, Carpinus tsh1n1skii Maxim., Is1pyrum manshuricum (K1m.) K1m etc..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108 taxa; that is Fallopia dentatoalata (F.Schmidt) Holub, Rumex acetosella L. and Phytolacca americana L. etc.. Among them the ecosystem disturbance wild plants were 9 species, as Rumex acetosella L., Sicyos angulatus L., Solanum carolinense L., Ambrosia artemisiifolia L., Ambrosia trifida L., Aster pilosus Willd., Hypochaeris radicata L., Lactuca scariola L. and 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Shinners. 전라북도의 관속식물상은 141과 761속 1,320종 7아종 176변종 309품종 총 1,53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종은 광릉요강꽃, 가시오갈피, 산작약, 복주머니난 등 9종이 나타났다. 무주군에 광릉요강꽃, 가시오갈피, 산작약, 복주머니난으로 4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남원시와 고창군은 2종 그리고 다른 임실군, 정읍시 및 부안군은 각 1종씩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가운데 정밀 생태조사 종에 해당하는 Ⅲ등급종은 152분류군, Ⅳ등급종 27분류군 및 Ⅴ등급종 32분류군으로 총 2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히 각 시군 가운데 완주군은 Ⅲ등급종 23분류군, Ⅳ등급종 2분류군 및 Ⅴ등급종 3분류군으로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어 가장 많이 확인되었다. 한국고유종은 총 53분류군으로 양치류 3종, 나자식물은 구상나무로 1종, 피자식물로는 쌍자엽식물은 42종과 단자엽식물 7종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희귀종으로는 고란초, 사스레피나무, 개서어나무, 만주바람꽃, 쥐방울덩굴, 백작약 등으로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큰닭의덩굴, 애기수영, 소리쟁이 및 미국자리공 등 10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가운데 생태교란 야생식물은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털물참새피 등 9종이 확인되었다.
함안(자양산, 401.6m)과 의령(방어산, 530m) 일원의 관속식물 분포특성
채현희,김영철,한상욱,박유철,최승세 한국환경생태학회 2025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9 No.3
식물은 고유한 생태적지위를 가지고 있고 생태적지위는 물리적인 환경요인 만으로 설명할 수 없고 공간적인 개념을 포함하여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양한 생육지를 포함하여 조사하고 생육지의 질적인 측면을 평가에 고려하는 것은 중요하다. 함안, 의령 및 질날늪 일원에서 총 21회(22일)에 걸쳐 출현식물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로 139과 447속 826종 13아종 53변종 2품종 894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함안 지역에서는 127과 385속 642종 11아종 45변종 1품종 699분류군, 의령 지역에서는 130과 384속 657종 10아종 43변종 2품종 71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남강의 지류 습지인 질날늪 일원에 대한 조사로는 102과 289속 455종 9아종 24변종 1품종 48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은 세뿔투구꽃과 가시연이 조사되었고 고유종으로는 1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 Ⅴ등급 4분류군, Ⅳ등급 1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을 포함한 주요 식물은 대부분 소규모 분포지를 점유하였고 개체수도 적었다. 조사지역의 습지에서 핵심적인 식물은 가시연으로 평가되는데 최근 종자의 공급원이 훼손되었기 때문으로 평가되었다. 외래식물은 총 9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귀화율은 10.96, 도시화지수는 15.88이었다. 생태계교란 식물은 환삼덩굴,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가시박, 도깨비가지, 가시상추, 양미역취, 물참새피 9 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단풍잎돼지풀은 비교적 최근에 확산한 것으로 평가되었고 가시박은 남강 주변에 걸쳐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조사지역에서 환삼덩굴, 칡 및 외래식물의 확산에 따라 식물다양성이 높다고 평가되는 가장자리 공간이 축소되 는 추세였다. 따라서 향후 지역적으로 식물다양성의 감소가 예상되었다. Plants have a unique ecological status, and ecological status cannot be explained only by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It needs to be explained including spatial concepts. It is important to survey a variety of habitats and to consider qualitative aspects of habitats in the evaluation. We surveyed plants in Haman-gun, Uiryeong-gun, and Jilnal Swamp areas for a total of 21 times (22 days). As a result, 139 families, 447 genera, 826 species, 13 subspecies, 53 varieties, 2 varieties, and 894 taxa were identified. In the Haman area, 127 families, 385 genera, 642 species, 11 subspecies, 45 varieties, 1 variety, and 699 taxa were surveyed, and in the Uiryeong area, 130 families, 384 genera, 657 species, 10 subspecies, 43 varieties, 2 varieties, and 712 taxa were surveyed. In the Jilnalneup area, a tributary wetland of the Namgang River, 102 families, 289 genera, 455 species, 9 subspecies, 24 varieties, 1 variety, and 489 taxa were surveyed. Among the Endangered wildlife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conitum austrokoreense Koidz. and Euryale ferox Salisb. were investigated, and 19 taxa were investigated as endemic species. Floristic target species (FT species), 4 taxa of Grade V and 12 taxa of Grade IV were investigated. Most of the major plants, including endangered wild plants, occupied small distribution areas and had small populations. The most important plant in the wetlands of the study area was evaluated as the Euryale ferox Salisb, which was evaluated as being due to the recent destruction of the seed source. A total of 98 taxa of naturalized plants were investigated, and the naturalization rate was 10.96 and the urbanization index was 15.88. Nine taxa of invasive alien species, were investigated, including Korean Humulus japonicus Siebold & Zucc., Ambrosia artemisiifolia L., Ambrosia trifida L., Aster pilosus Willd., Sicyos angulatus L., Solanum carolinense L., Lactuca scariola L., Solidago altissima L., and Paspalum distichum L. Ambrosia trifida was evaluated as having spread relatively recently, and Sicyos angulatus was forming a colony around the Namgang River. In the survey area, the edge space where plant diversity was evaluated to be high tended to shrink due to the spread of Humulus japonicus, Pueraria lobata (Willd.) Ohwi and naturalized plants. Therefore, a decrease in plant diversity regionally was expected in the future.
최북단 백두대간(향로봉~구룡령) 능선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오현경,유주한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9 환경영향평가 Vol.2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the ecosystem of Baekdudaegan Mountains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from Hyangrobong area to Guryongryeong a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in the whole survey areas were summarized as 633 taxa including 95 families, 321 genera, 549 species, 4 subspecies, 70 varieties, and 10 forms. There were 285 taxa in Hyangrobong area, 256 taxa in Masanbong area, 318 taxa in Mt. Seoraksan area, 281 taxa in Mt. Jeombongsan area, 173 taxa in Bukamryeong and Ohsaekcheon valley area, 197 taxa in Soenadeuri area, 203 taxa in Yeongarigol area, and 168 taxa in Guryongryeong area. The endangered species were 2 taxa including Leontice microrrhyncha and Smilacina bicolor. The rare plants were 39 taxa including Pinus pumila, Halenia corniculata,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and so forth. In IUCN Red List categories, there were 2 taxa of CR, 7 taxa of EN, 10 taxa of VU, 18 taxa of LC, and 2 taxa of D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23 taxa including Salix koriyanagi, Anemone koraiensis, Lespedeza maritima, Cirsium setidens, Saussurea seoulensis, Carex okamotoi, and so forth. The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48 taxa including 17 taxa of endemic plants, 1taxon of southern plant, and 30 taxa of northern plant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2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Cerastium glomeratum, Papaver rhoeas, Bidens frondosa, Lolium perenne, and so forth.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mbrosia trifida. 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대간의 향로봉에서부터 구룡령까지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백두대간의 산림생태계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전체 조사지역의 관속식물상은 95과 321속 549종 4아종 70변종 10품종 등 633분류군이며, 향로봉 일원은 285분류군, 마산봉 일원은 256분류군, 설악산 일월은 318분류군, 점봉산 일원은 281분류군, 북암령과 오색천 계곡 일원은 173분류군, 쇠나드리 일원은 197분류군, 연가리골 일원은 203분류군, 구룡령 일원은 168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은 한계령풀과 자주솜대 2분류군이다. 희귀식물의 경우 눈잣나무, 닻꽃, 눈향나무 등 39분류군이며, 멸종위기종(CR)은 2분류군, 위기종(EN)은 7분류군, 취약종(VU)은 10분류군, 약관심종 (LC)은 18분류군, 자료부족종(DD)은 2분류군이다.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홀아비바람꽃, 해변싸리, 고려엉겅퀴, 분취, 지리대사초 등 23분류군이다.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48분류군이며, 특산식물은 17분류군, 남방계식물은 1분류군, 북방계 식물은 30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유럽점나도나물, 개양귀비, 미국가막사리, 호밀풀 등 32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3분류군이다.
최혁재,오병운 한국식물분류학회 2009 식물 분류학회지 Vol.39 No.4
The flora in the region of Songnisan National Park (N36˚28´05´´~36˚46´38´´, E 127˚47´06´´~127˚57´50´´) was surveyed from April 2000 to July 2006. Vascular plants in 26 collections included a total of 723 taxa: 115 families, 392 genera, 629 species, 4 subspecies, 72 varieties and 18 forms. Ninety-three of these taxa were first records for the region. In the flora of Songnisan National Park, 27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19 taxa were rare and endangered plants a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Forty-five of the taxa were with the levels III, IV, V in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which was design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and 29 taxa were alien plants now naturalized in Korea. Owing to their unusual phytogeography and low number of populations, the taxa 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 Hook.f. ex Baker & S.Moore, Bupleurum euphorbioides Nakai, Phacellanthus tubiflorus Siebold & Zucc., Lilium cernuum Kom., Gastrodia elata Blume and Cephalanthera erecta var. subaphylla (Miyabe & Kud ) Ohwi we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clear that appropriate plans to conserve the natural habitat of Songnisan National Park must be made immediately. 속리산 국립공원 지역(북위 36˚28´05´´~36˚46´38´´, 동경 127˚47´06´´~127˚57´50´´)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0년 4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총 26회에 걸친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속리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은 115과 392속 629종 4아종 72변종 18품종의 총 723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에서 기존의 조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에서 최초로 밝혀진 분류군은 93분류군이었다. 속리산 국립공원에 자생하는 식물들 중에서 한국 특산식물 27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19분류군,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에서 등급III 이상에 해당하는 45분류군 등이 생육하고 있었으며, 29분류군의 한국 귀화식물이 밝혀졌다. 속리산 국립공원에서 자생하는 특기할만한 식물들 중에서 특히, 고란초, 백작약, 깽깽이풀, 등대시호, 가지더부살이, 솔나리, 천마, 꼬마은난초는 개체수가 적거나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한 식물로서, 자생지보전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성진,양종철,정수영,장진,장정원,박명순,정규영 한국식물분류학회 2011 식물 분류학회지 Vol.41 No.4
The vascular flora in the Mt. Cheongtae area, located Pyeongchang-gun in Gangwon-do, were surveyed 14 times from April of 2008 to October of 2011. The result of this survey revealed 663 taxa in total, comprising 89 families, 342 genera, 577 species, 6 subspecies, 73 varieties and 7 forms. In the flora of this area, 19 taxa were Korean endemic plants and 24 taxa were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Kore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136 taxa comprising 4 taxa of grade V, 16 taxa of grade IV, 31 taxa of grade III, 41 taxa of grade II and 44 taxa of grade I. Naturalized plants in Korea numbered37 taxa. In addition, 485 taxa were categorized by usage into 8 groups, as follows: 240 edible, 8 fiber, 177 medical, 60 ornamental,245 pasturing, 2 industrial, 12 dyeing and 16 timer plants. 강원도 평창군의 청태산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 조사를 2008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청태산 지역의 관속식물은 89과 342속 577종 6아종 73변종 7품종 총 663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19분류군이 한반도 특산식물이었고, 24분류군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5등급 4분류군, 4등급 16분류군, 3등급 31분류군, 2등급 41분류군 그리고 1등급 44분류군 등 136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37분류군이었으며, 또한 조사된 식물들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240분류군, 섬유용식물 8분류군, 약용식물 177분류군, 관상용식물 60분류군, 목초용식물 245분류군, 공업용식물 2분류군, 염료용식물 12분류군, 용재용식물 16분류군 등 485분류군이 자원식물로 나타났다.
임효선,한세희,장현도,Yoon-Young KIM,소순구 한국식물분류학회 2020 식물 분류학회지 Vol.50 No.4
This study of vascular plants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33 days from March to October of 2018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South Korea. Based on voucher specimens and photographs, 829 taxa in total were recorded, including 141 families, 458 genera, 748 species, 16 subspecies, 59 varieties, and 6 forma. Two endangered taxa were identified, Iris koreana Nakai and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Five rare taxa were found, including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nd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Tagawa) Ohwi. A total of 17 Korean endemic plants were investigated. Examples include 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Eranthis byunsanensis B. Y. Sun, and Lycoris flavescens M. Kim & S. T. Lee. Of floristic regional indicators (third to fifth degree), 52 taxa were identified.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which included 79 taxa, and 7 species of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L., Lactuca serriola L., and Solidago altissima L. were found. We recorded 39 taxa of the plant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변산반도국립공원을 대상으로 2018년도 3월부터 10월까지 총 33일에 걸쳐 조사를 수행하였다. 증거 표본과 사진을 바탕으로 작성한 관속식물은 141과 458속 748종 16아종 59변종 6품종의 총 829분류군으로 기록되었다. 이 중 멸종위기식물은 노랑붓꽃, 삼백초(식재)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희귀식물은 미선나무, 금털고사리 등 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붉노랑상사화, 변산향유, 변산바람꽃 등 17분류군 이 조사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III–V등급에 해당하는 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총 79 분류군으로 생태계교란종은 돼지풀, 가시상추, 양미역취 등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기후변화 취약종은 총 39 분류군이 분포하였고, 북방계 2분류군, 남방계 10분류군, 관심식물은 27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조사에 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분류군은 186분류군이었다.
고성철,최두섭,손동찬,박범균,김태훈 한국식물분류학회 2013 식물 분류학회지 Vol.43 No.2
경상남도 밀양시의 천황산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총 16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천황산 지역의 관속식물은 90과 252속 387종 3아종 43변종 9품종의 총 44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 중 14분류군은 한국특산식물이었고, 11분류군은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이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종은 5등급 2분류군, 4등급 5분류군, 3등급 15분류군, 2등급 16분류군 그리고 1등급 21분류군 등 59분류군이 발견되었다. 귀화식물은 21분류군이었다. 또한, 조사된 식물들을 용도별로 구분하면 식용식물 163분류군, 섬유용식물 6분류군, 약용식물 125분류군, 관상용식물 76분류군, 목초용식물 163분류군, 공업용식물 4분류군, 염료용식물 9분류군, 목재용식물 21분류군 등이 자원식물로 나타났다.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the Mt. Cheonhwang, located at Miryang-si, Gyeongsangnam-do Province, was surveyed 16 times from March, 2009 to September, 2011. The result of this survey revealed 442 taxa in total, comprising 90 families, 252 genera, 387 species, 3 subspecies, 43 varieties, and 9 forms. Among the flora of this area, 14 taxa were plants endemic to Korea and 11 taxa were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Kore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59 taxa: 2 taxa of grade V, 5 taxa of grade IV, 15 taxa of grade III, 16 taxa of grade II and 21 taxa of grade I. Alien plants in Korea numbered 21 taxa. In addition, 442 taxa were categorized by usage into 8 groups, as follows: 163 edible, 6 fiber, 125 medical, 76 ornamental, 163 pasturing, 4 industrial, 9 dyeing and 21 timber pl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