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마한과 백제의 관계: 이명동체(異名同體) 융합 s

        박동 바른역사학술원 2021 역사와융합 Vol.- No.8

        이 연구는 마한과 백제가 이름만 다를 뿐 동일한 실체라는 사실을 밝히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삼국사기』에서는 마한이 서기 9년에 백제(百濟) 온조왕에게 멸망당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중국의 『삼국지』나 『후한서』 등에는 3세기에동이(東夷)의 나라 중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한 마한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등장한다. 백제(伯濟)는 마한의 55개국 중 한 나라로 등장한다. 『양직공도』에는 백제(百 濟)가 래이마한에 속한 나라였다고 했다. 그러나 서진이 멸망하고 동진이 성립한 이후 마한 관련 기록은 중원의 기록에서도 일체 등장하지 않는다.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에도 마한에 대해서는 아무런 기록이 없다. 그 결과 한반도의 서남부 지역은 역사의 기록에서 공백으로 남게 되고 기원 369년 백제 근초고왕의 마한병합설, 일본의 임나일본부설 등 식민사학의 허구적 주장들이 제기되기에 이르른다. 그러나 지난 20여년 간 호남지역 고고학의 성과에 힘입어 옹관묘 세력으로 대표되는 마한세력이 최소한 6세기초·중반까지는 존립했다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그런데 필자가 중원의 사서의 기록과 한반도의 지명, 씨족, 백제 멸망 시기의각종 기록 등을 종합해서 살펴본 결과 백제는 마한의 다른 이름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마한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백제로 이름을 바꾸어 대외활동을 하였던 것이다. 마한과 백제는 국경을 맞대고 있으면서도 460여년 간 커다란 갈등없이 평화적으로 상호 공존한 것으로 나타난다. 더욱이 중원의 사서들은 백제를 건국한 사람이 부여왕 구태라면서 마한의 후원하에 대방고지 또는 마한고지에서 마한의 속국으로 성립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중국 사서들의 기록을 정밀하게 살펴보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진(晉)나라가 남쪽으로 내려가기 이전까지의 서진 시기에는 백제가 전혀 등장하지않고 마한만이 외교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오고, 동진 시기 이후에는 백제만이외교활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온다. 이것은 단층과 같이 구분되는 것이어서 우연한 현상으로 보기 어렵다. 당나라에서는 백제를 정벌할 때 동맹군 총사령관인김춘추를 우이도행군총관으로 임명했다. 소정방의 직책에도 우이, 마한이라는호칭이 등장한다. 우이(嵎夷)는 월지(月支)로서 영산강 유역을 중심으로 존립하고 있던 마한 세력을 가리킨다. 왜 백제를 정벌하러 가면서 영산강 세력들을 호칭했을까? 이러한 모든 사실들은 마한과 백제가 이명동체였다는 사실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 KCI등재

        馬韓墳墓와 그 墓制의 認識

        이남석(Lee, Nam-Seok)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3 馬韓, 百濟文化 Vol.22 No.-

        본고는 마한의 시·공간적 범위를 설정한 후 구체적 개념을 정의하여 그들의 분묘 정황을 살펴 보았다. 이후 그에 따른 묘제의 특성을 검출하고, 나아가 그것이 백제사회에 이르면서 어떻게 변천되었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최근 마한에 대한 역사인식이 비교적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간적으로 기원전후 3세 기 어간의 마한은 원초적 자료인『三國志』魏志東夷傳에 근거할 경우 종족·지역·문화의 개념으로 인식할 수 있다고 결론할 수 있다. 나아가 정치적 의미로서는 54개의 소국을 아우르는 총 합적 개념이었을 뿐이고, 오히려 후대의 마한을 역사체로서 인식의 진전에 따라 왕국 등으로 인지되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마한의 기본개념은 정치체가 아닌 지역·시대·문화 혹은 종족적 개념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고, 구체적 정치체로서의 실상은 馬韓小國혹은 馬韓諸國의 용어가 합당할 것으로 정리하였다. 마한을 시·공간적으로 규정하고 그 범위에서 인지되는 분묘자료는 매우 빈약하다. 다만 최근에 발견된 미룡동 고분군을 비롯하여 화순의 용강리 유적의 분묘, 세종시 나성동 유적 등이 있어 동시기 묘제의 대략적 환경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기왕에 알려진 광주 신창동 옹관묘의 경우도 마한의 분묘로 봄에 문제가 없을 것이다. 이들 분묘자료를 토대로 마한분묘의 묘제는 일 단 封土·封石墓로 정리된다. 묘제는 목관이나 옹관의 사용이 전제되나 이를 지면상을 대강 정지 하여 안치하고, 다시 흙이나 돌을 대강 덮는 방식으로 복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묘제환경은 동시기 분묘자료의 전반적 유실을 가져왔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매장시설의 빈약상은 아무래도 마한사회 특유의 상장례와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한의 묘제는 소국의 하나였던 伯濟國이 고대국가 백제로 발돋움하면서 전반적 변화를 가져와 백제묘제로 정립된다. 더불어 백제묘제는 이전의 마한묘제와는 커다란 차이를 드러내는데 다양한 묘제가 지역적으로 고유의 분포권을 가지면서 정립되었음이 그것이다. 물론 백제 초기 도읍의 범 위인 한강 중·상류지역에는 마한 고유의 봉토묘나 봉석묘가 일정기간 유지되나, 이외의 대부분 의 마한지역은 신유형의 묘제 유입과 함께 상호 관련을 통해 다양한 묘제 변화가 연출된다. 특히 분묘는 대체로 고총고분으로 구축되어 이전의 마한묘제와 대비되는데 그러한 변화상은 3세기 후 반경에 새롭게 유입된 주구토광묘의 영향으로 마한지역에 폭넓게 분포되어 있는 墳丘墓즉 분구 토광묘나 분구옹관묘를 통해 알 수 있다. In this thesis, I have set the spatio-temporal scope of Mahan and defined specific concepts to survey the region s tombs. Then, based on the data, I have figure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rial system involved and gone from there to see how it transformed in Baekje. Recently, Mahan has been put in relatively diverse historical perspectives, but the possible conclusion is that the state, which existed in the time slot that splits three centuries between CE and BCE, can be perceived as an ethnic, regional, and cultural entity, according to Dongijeon, Wiji, of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the original historical record. And politically, it was merely a total concept that comprised fiftyfour statelets, and we should rather suppose that the later Mahan as a historical entity was viewed as a kingdom in accordance with progress made in the understanding. Therefore, for the basic concept of Mahan, a higher priority should be placed on region, period, culture, or ethnicity than politics, while to specify its true picture as a body politic, the Statelet of Mahan (Mahan smallnations) or the Statelets of Mahan should be appropriate. When Mahan is defined temporally and spatially, data on its tombs as recognized in the scope is very meager. Yet, a rough configuration of the contemporary burial system is possible based on the artifacts including the recently discovered tombs in Mirong-dong, the tombs in th relic of Yonggan-ri, Hwasun-gun, and the relic of Naseong-dong, Sejong City. Further, it wouldn t be too much to include amongMahan tombs the already-disclosed bronze earthenware coffin in Sinchang-dong, Gwangju. Based on the data on the tombs, the burial system for Mahan tombs is understood as earth-capped and stone-capped tomb . A burial system presupposes the use of wooden or earthenware coffin, which is placed after land surface is roughly excavated and then recovered by covering it with earth or stones. While such a burial practice is presumed to have caused a general loss of the elements of the contemporary tombs, the meagerness of the burial facilities is presumably related to the unique funeral ceremony of Mahan. The burial system of Mahan came to be established as that of Baekje, which brought general changes with its growth into an ancient state. With that, the burial system of Baekje revealed a big difference from the earlier burial system of Mahan, which consists in the establishment of various burial systems demonstrating proper distribution in different regions. Certainly, in the upstream and midstream of Han River, which constituted the boundary of Baekje capital in the early period, Mahan s unique earth-capped or stone-capped tombs were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most of the other parts of Mahan, however, the introduction of new types of burial system brought various changes to the burial system. Especially the tombs were generally built as old tombs that are contrasted with the earlier burial system of Mahan, which change can be verified through mounded tombs such as pit-burial mounded tombs and earthenware-coffin mounded tombs, which are extensively distributed in Mahan reg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guttered-around pit-burial tomb, a new arrival around late 3rd century CE.

      • KCI등재

        馬韓 - 硏究現況과 課題

        최몽룡(Choi, Mong-Lyong)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3 馬韓, 百濟文化 Vol.22 No.-

        마한의 始原은 한반도에서 기원전 1500년부터 토착사회를 이루던 지석묘사회가 해체되기 시작하는 철기시대 전기(기원전 400년-기원전 1년) 기원전 3세기-기원전 2세기까지 올라가지만 한국선사고고학의 입장보다는 시간적으로 삼국시대 전기(철기시대 후기: 서기 1년-서기 300년)에 그 중심을 두고 역사 고고학적인 측면에서 연구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마한의 연구는 백제와의 역사적 관계 속에서 중심지의 변천 및 54국과의 관계 등을 항시 고려하면서 진행되어야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백제의 역사와 문화가 영역의 확장 및 도읍의 변천에 따라 漢城→熊津(公州)→泗 (扶餘)의 세 시기로 구분되듯이 마한의 경우도 백제의 영향 하에 이루어진 중심지의 이동 및 변천에 따라 天安→益山→羅州의 세 시기로 구분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百濟國은 기원전 3세기-기원전 2세기에 성립된 馬韓의 바탕 위에 기원전 18년에 성립되었다. 이는 물론『三國史記』초기의 백제 기록을 믿고 또 최근 조사된 적석총의 연대가 기원전 2세기-기원전1세기로 올라간다는 것을 인정한다는 전제에 따른 것이다. 마한으로부터 臨津江과 漢江유역의 영역을 할양받으면서 점차 정치적 국가체로 발전할 수 있었던 백제는 초기의 문화적 양상이 마한의 것과 거의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흔적은 백제시대의 무덤과 유구에서 찾을 수있는데 積石塚, 土壙墓, 甕棺墓, 馬韓土室의 변형인 福주머니 형태의 지하저장고 등이 해당된다. 이 가운데 積石塚은 高句麗이주 세력의 분묘로 백제 초기의 지배세력에 의해 축조되었으며, 당시 백제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적석총이 축조되던 시기는 기원전 2세기-기원전 1세기경으로 韓國考古學編年上鐵器時代前期(기원전 400년-기원전 1년) 末이며 이를 통해 百濟의 建國이 형성되고 三國時代前期(서기 1년-서기 300년)에로 進入하게된다. 그리고 마한 54국으로 표출된 크고 작은 여러 족장사회(族長社會, chiefdom society)로 시작된 마한은 백제가 그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그 영역이 축소 개편되었다. 그 과정에서 각각의 족장사회는 通商圈(Interaction Sphere)을 형성하면서 복합족장사회(complex chiefdoms)로 발전되었고,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目支國이라는 국가 체제(state)로 성장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三國史記』에 보이는 마한의 신라 및 백제와의 관계기사를 고려해 볼 때, 늦어도 기원전 1세기경에는 馬韓이 국가사회로 성장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물론 이 과정이 고고학적으로 밝혀져야 한다. 그리고 마한과 백제는 그들의 국가형성과 성장에는 주위의 孫吳/東吳(서기 222년-서기 280년), 晋(서기 265-서기 316년), 南朝중 梁(서기 502년-서기 557년), 衛滿朝鮮(기원전 194년-기원전108년), 高句麗(기원전 37년-서기 668년) 뿐만 아니라 沃沮, 東沃沮, 濊/東濊, 弁辰, 北沃沮(團結), 婁와 같은 족장사회와의 국제 관계도 고려해야 한다. Mahan(馬韓), which was established in the Gyeonggi-do, Chungcheong-do and Jeolla-do provinces around 3 cen. B.C. - 2 cen. B.C. about 1-2 centuries earlier than the Baekje state formation in 18 B.C on the territory of Mahan, has been annihilated and annexed by the Baekje dynasty later between the late of 5 cen. A.D. and the early of 6 cen. A.D.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erritory and the transfer of the final capital to Buyeo(538 A,D.- 660 A,D.) from Gongju of Baekje dynasty(475 A.D.-538 A.D.) in 538 A.D. We can say that the chronology of Mahan is based mainly upon between the period of the Iron Age(400 B.C. - 1 B.C.)/Former Three Kingdoms period(1 A.D.- 300 A.D) and Later Three Kingdoms Period(300 A.D.- 660/668 A.D.) according to the Korean Archaeological Chronology, and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o the movement of its socio-political center(capital). They are as follows: Cheonan(天安)/稷山(Jiksan)/成歡(Seonghwan), Iksan(益山) and Naju(羅州) Period. The transfer of Mahan s socio-political center is closely related to the military power and territorial expansion of the Baekje dynasty(18 B.C. - 660 A.D.). Mahan and Baekje had coexisted for a about 5-600 years long, and the recent increase of archaeological evidence made it possible for both Korean archaeologists and ancient historians together to begin Mahan study with full-scale. Mahan culture is characterized such archaeological traits as deep subterranean pit house named Tosil (土室), whose bottom can be reached by ladder from the moundshaped ceiling with entrance similar to the flat roofed building of Çatal Hüyük of Anatolia, Turkey in addition to the Jugumyo(周溝墓) burial site with moat around it, wooden building with post holes stuck into the ground(堀立柱, 四柱式建物), sawteethed wheel designs on the surface of pottery(鋸齒文) and bird s footprint designs(鳥足文). Chinese Historical books(『後漢書』, 『三國志』魏志東夷傳韓傳) tell us the religious aspect of the Mahan society in which Sodo(蘇塗) with its apex of Cheongun(天君) religious leader, was the ancient asylum as a culmination of Mahan people s shamanism and ancestor worship religions indicating separating between state and religious center of Sodo forming a theocracy during the Iron Age(400 B.C. - 1 B.C.). Their secular leaders as chiefs of Samhan(三韓) chiefdom society based upon clan and hierarchy are Geosu(渠帥), Sinji(臣智), Geomcheuk(險側), Beonye(樊濊), Salgye(殺奚), and finally Eupcha(邑借) as orders in terms of each status and territory controlled. We believe that all the names of Samno(三老) of Okjeo(沃沮), Jangsu (將帥) of Dongokjeo (東沃沮), Hu(侯), Eupgun(邑君), Samno(三老) of Ye(濊)/東濊(Dongye), Daein(大人) of Eupnu( 婁), and Gunjang(君長) of Suksin(肅愼) did as same status of chief in their chiefdoms as in Samhan(三韓). Korean academic circles came to realize that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ahan(馬韓) society, one of the Three Han(三韓: 馬韓, 弁韓, 辰韓) Society was to be more than essential in the study of Baekje.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data, Mahan Society represented by Mokjiguk(目支國) ruled by King Jin(辰王) has been located in the middle and southwest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3 cen. B.C. or 2 cen. B.C. to the end of the 5 cen. A.D. or early 6 cen. A.D. Mahan had already occupied central por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the Han River Valley when King Onjo(溫祚) first set up the capital of Baekje Kingdom at Wiryeseong(慰禮城), considered to be the Pungnap-dong toseong(風納土城, historical site no.11) near Han River Valley.

      • KCI등재

        전북지역 마한의 역사문화권과 향후 과제

        이문형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22 馬韓, 百濟文化 Vol.39 No.-

        최근 지역에서는 「역사문화권정비법」의 ‘마한역사문화권’에 도내 지역의 포함 여부가 큰 관심사의 하나 였다. 다행스럽게도 개정 법률안이 국회를 통과하여 6월 법의 시행을 앞두고 있다. 최근 전북지역의 만경강유역을 중심으로 점토대토기와 한국식동검이 출토되는 토광묘 계통의 분묘가 집중 조사되어 초기철기시대 혹은 마한의 성립기 분묘 유적의 최대 중심지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일련 의 성과를 바탕으로 익산 미륵산에서 전주 모악산에 이르는 분지형 공간을 ‘만경강유역 문화권’으로 설정 하기도 한다. 또한 완주 상운리 유적으로 대표되는 분구묘(墳丘墓) 유적이 전북지역 전역에서 확인되고 있 다. 본 논고는 전북지역의 마한 관련 분묘유적을 정리하고 수계에 따른 문화권의 설정과 그 특징을 검토하 여 마한시기에 전북지역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살펴본 글이다. Ⅱ장에서는 「역사문화권정비법」의 발의와 제정 과정을 포함하여 ‘마한역사문화권’에 대한 내용을 검토 하고 법안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전북지역 마한의 문화권과 그 특징을 현재까지 조사된 분묘유적을 토대로 수계(水系)에 따 른 문화권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만경강유역권-동진강유역권-고창천유역권으로 크게 세분되었다. Ⅳ장의 각 유역권의 특징으로는 만경강유역권이 마한의 형성기 혹은 성립기에 해당하는 비교적 이른 시기 의 분묘유적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진강유역권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고학 자료가 영세한 편 이지만 중국 진나라의 허리띠가 출토된 정읍 운학리고분군을 주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창천유역권은 3 세기 이후의 마한 분구묘 밀집 분포지역으로 그 최고의 정점에 고창 봉덕리고분군이 있다. 결국 전북지역의 수계권별 마한 시기의 분묘유적을 통해 마한의 형성기부터 분구묘 전통의 다장(多葬) 고(高)분구묘까지 모두 확인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마한이라는 역사적 무대에서 전북지역이 차지 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북지역의 마한 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서는 광 역의 측면에서 도내 마한 문화의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행정력과 타 지역과의 유기적인 협 력체계, 이를 위한 관련 전문가의 육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Lately, the inclusion of certain provincial regions in the ‘Mahan Historical and Cultural Spher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 Reorganization Act」 has been a great concern of local people. Fortunately, the revised bill of the act has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and is about to go into effect in coming June. In recent years, an intensive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pit tombs from which potteries with ring rims and Korean style bronze daggers have been excavated mostly around the Mangyeong River Basin in Jeollabuk-do, which has thus emerged as the largest center of tomb remains of the early Iron Age or the founding period of Mahan. Based on a series of achievements like this, the basin-shaped space from Mireuksan in Iksan to Moaksan in Jeonju occasionally comes to be set as the ‘Mangyeong River Basin Cultural Zone’. Besides, the remains of mounded burials (墳丘墓)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remains of Sangun-ri, Wanju have been identified throughout the Jeonbuk region. The present paper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the Jeonbuk region in the Mahan period by organizing the remains of tombs related to Mahan in the Jeollabuk-do region and examining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spheres according to the water system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Chapter II, the contents of the ‘Mahan Historical and Cultural Sphere’, including the process of initiation and enactment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 Reorganization Act」, were reviewed and the problems of the bill were examined. In Chapter Ⅲ, the cultural sphere of Mahan in Jeollabuk-do and its characteristics wereclassified into the cultural spheres according to the water system based on the remains of the tombs investigated so far. As a result, the cultural sphere of Mahan in Jeollabuk-do was subdivided largely into the Mangyeong River Basin - Dongjin River Basin - Gochang Stream Basin. In Chapter Ⅳ,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ed river basin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omb remains from a relatively early period coincident with the formation or establishment time of Mahan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In case of the Dongjin River Basin, the amounts of archaeological data are relatively small, but notable was the Unhak-ri tomb cluster in Jeongeup, where a belt of the Chinese Qin Dynasty was discovered. Lastly, in the Gochang Stream Basin, Mahan’s mounded burials since the 3rd century are densely distribu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m, the ancient tombs cluster of Bongdeok-ri, Gochang are at its zenith. In the end, it turned out that all the tombs from the formation period of Mahan to the multiple and high mounded ancient tombs of the Mahan tradition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tombs remains of the Mahan period in each water system of the Jeonbuk region. Consequently, it could be summed up that the proportion of Jeonbuk region on the historical stage of Mahan is heavily large. It seems therefore necessary to study Mahan culture in Jeonbuk reg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with a view to advertise the excellence of Mahan culture in broader scope of Jeollabuk-do. In addition, it is further requested to mobilize active administrative power and to introduce an organic cooperative system with other regions. For this purpose, the nurturing of related experts should be accompanied, as well.

      • KCI등재

        호남지역 유적조사 성과를 통해 본 마한·백제 - 2016년을 중심으로 -

        이동희 ( Lee Dong-hee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0

        이 글은 2016년도에 호남지역에서 발굴조사된 마한·백제 관련 주요 유적의 성과 외에도, 2016년도에 발간된 발굴조사 보고서와 논문을 살펴보고 호남지역의 마한·백제를 재조명해 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2016년도에 발굴조사된 유적조사 현황을 바탕으로 호남지역 마한·백제의 주요 논점을 검토하였다. 그 주요 내용은, 마한 기원과 관련한 분묘, 화천이 다량으로 출토된 광주 복룡동 토광묘의 성격, 경질무문토기의 하한과 타날문토기의 상한, 호남 동부권에 주로 분포하는 백제 산성의 의의와 백제의 지배형태 등이다. Ⅲ장에서는 2016년 발간 주요 보고서 및 논문으로 본 호남지역의 마한·백제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2016년에 발간된 호남지역 발굴조사보고서 가운데 마한·백제 관련 주요 유적은 마한 초현기의 분묘, 호남 최초의 빈(殯) 관련 의례유적, 철기 제작과 관련된 대규모 취락, 백제 오방성 가운데 하나인 정읍 고사부리성, 6세기대 전남동부지역의 백제 영역화를 보여주는 고분 등이 있다. 한편, 2016년에 발간된 논문 가운데 호남지역 마한·백제와 관련 연구 경향은 다음과 같다. 즉, 전북지역에서는 마한 성립기의 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 전북지역 마한·백제 묘제의 양상과 의미, 익산과 마한·백제 등이 논의되었고, 전남지역에서는 영산강유역의 마한·백제 고분과 출토유물에 대한 글이 주를 이룬다. 즉, 묘제·토기·금동신발로 본 복암리 세력과 주변지역의 동향, 복암리 출토 목간으로 본 나주의 위상, 영산강유역의 왜계 고분과 마한·백제·왜와의 관계, 서남해안 해상교통로와 백제·왜 관계, 영산강유역의 백제 지방도시, 마한토기의 정체성과 동북아시아적 의미 등이 거론되었다. 호남지역에서 마한의 상한, 마한·백제의 전환기, 5~6세기 고총의 피장자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이지만, 쉽게 결말이 나지 않고 있다. 다른 지역에 비해 문헌이 빈약한 호남지역에서는 여전히 새로운 고고자료가 필요 하고, 지속적인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intended to shed new light on Mahan and Baekje in Honam region of Korea by examining major remains related with Mahan and Baekje excavated and examined in Honam region in 2016 as well as the excavation reports and essays published in 2016. Chapter Ⅱ examined major issues about Mahan and Baekje in Honam region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excavation of remains in 2016. Major contents of this chapter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ombs related with the origin of Mahan and the wooden coffin tombs of Bokryong-dong, Gwangju where ancient coins of China were found in a great quantity and the significance of Baekje fortresses mainly located in the eastern area of the Honam region and the form of governance of Baekje. Chapter Ⅲ examined the research results on Mahan Baekje in Honam region through major reports and essays published in 2016. The trends of essays on Mahan and Baekje of Honam region published in 2016 are as follows; Studies conducted in Jeollabuk-do region mainly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the clay-stripe pottery culture during the establishment of Mahan and the meaning of Mahan-Baekje burial system in Jeollabuk-do, while studies conducted in Jeollanam-do mainly discussed Mahan-Baekje tombs on the side of Yeongsangang River and artifacts excavated from them and the sea lanes in the Southwest coast.

      • KCI등재

        『진서(晉書)』에 보이는 마한(馬韓)의 대외 교류와 백제(百濟)의 성장

        전진국 ( Jeon Jin-kook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0

        이 글은 『진서』에 보이는 마한의 대외 교류 기사를 살펴, 3세기 후반 마한의 사정과 교류의 실상을 알아보았다. 논의의 핵심은 마한의 실체 내지 교류의 주체를 백제로 볼 수 있는가 하는 점인데, 그 과정에서 백제가 마한을 대체하는 시점에 대해서도 언급되었다. 『진서』 무제기에는 마한을 포함한 동이의 많은 나라가 빈번하게 교류한 기록이 있는데, 기술 방식이 상투적이며 반복적이다. 중국 중심의 역사관에 입각한 당 태종의 과장된 서술로 판단된다. 비리등십국전에서 290년에 요동의 동이교위로 교류해 온 나라들은 그 국명이 「광개토왕릉비」에 등장하는 한반도 중부 지역의 지명, 『삼국지』에 수록된 마한 국명과 유사하다. 수장의 칭호 또한 마한의 신지와 발음이 같으므로 마한 소국에 관한 기록으로 생각된다. 장화전의 신미제국은 마한으로 분류된 나라들이며, 그에 대한 정황은 낙랑·대방군에서 파악된 것이다. 교류의 실상 또한 낙랑·대방군으로 나아간 것이었고, 처음 교류를 해 왔기 때문에 특별히 기록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 사료를 근거로 당시 신미국이 우월한 세력이었다고 할 수는 없다. 신미의 위치는 영산강 유역으로 판단되고 이후 옹관묘 문화를 향유한 집단으로 비정한다. 마한전 말미에 수록되어 있는 교류 기사에서는 교류의 주체가 `其主`로 되어 있다. 마한전에 나타나는 마한의 개념은 50여국으로 이루어진 지역적 명칭이며, 마한 전체에 해당하는 우월한 수장은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기주는 마한 나라들 각각의 수장을 말한 것으로 판단한다. 낙랑·대방군이 축출되고 서진에서 동진으로 넘어가는 시기에 백제는 마한의 나라들을 복속하고 마한의 대표 국가로 성장하였다. 『진서』에서 4세기부터 마한이 나타나지 않고 백제로 대체되는 양상이 그와 같은 역사적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through the records about Mahan(馬韓)`s international relations in Jinshu(晉書), shows its situation and actual connections with others in the late 3rd century. The point is what the entity of Mahan was and whether the subject leading international relations with others was Baekje(百濟). And it is mentioned about the time when Baekje replaced Mahan In the Wutigi(武帝紀) of Jinshu, there are records of frequent exchanges between kingdoms called Dong-Yi(東夷) including Mahan. Their narrative style is both cliche and repetitive, which was an exaggerated narrative of the Emperor Taizong(太宗) of Tang(唐) based on historical views centering on China, I think. In the Birijeon(裨離傳), the kingdoms, which had been contacted with as The Commandant of Eastern Barbarians in Liaodong(遼東 東夷校尉) in 290, were similar to the place names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King Gwanggaeto`s tombstone(廣開土王陵碑), the names of Mahan Communities in Sanguozhi(三國志). The title of chief is also is pronounced like Mahan`s Sinje(臣智). So, I consider that there is plenty of room to see them Mahan`s Communities. The countries of Sinmi(新彌諸國) of the Janghwajeon(張華傳) were countries classified as Mahan, which was identified by the Commanderies of Lelang(樂浪) and Daifang(帶方). The truth was that they had exchanged with the Commanderies Lelang and Daifang, and it was specially recorded because they had connected with each other for the first time. Therefore, we can not say that Sinmiguk was a superior force at the time, based solely on these records. It is presumed that Sinmi was located at Yeongsangang River basin and is considered to be a group with jar coffin tomb(甕棺墓) culture. In the end of Mahanjeon(馬韓傳), the subject of exchange is written as `the king(其主)`. In Mahanjeon, Mahan is a regional name consisting of 50 Communities, and the head of the whole Communities did not appear. Therefore, `the king` is considered to be chief of each Mahan community. It is difficult to postulate the reality of exchanges in Baekje, judging from the extent of Baekje`s territorialization in the late 3rd century. At the time when the Commanderies Lelang and Daifang were driven out and West Jin was replaced by East Jin, Baekje had conquered Mahan`s Communities and grown into Mahan`s representative kingdom. In Jinshu, Mahan does not appear from the 4th century, but later was replaced by Baekje, which shows such a historical change.

      • 마한사의 전개와 익산

        박순발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016 馬韓, 百濟文化 Vol.28 No.-

        On the basis of some historical records and archaeological evidences, it is supposed that Han(韓) or Mahan(馬韓) society has been mainly composed of southward migrated people from modern Chinese north eastern region to Korean peninsular. In archaeologically speaking, those people is to be called “Rim mouthed pottery culture”, who continuously took southward trip escaping mainland China’s political and military turmoil for 4th century B.C. Ordering in a temporal sequence those Han or Mahan polities is as followings : Before 3rd Century B.C.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had to be called “Han land(韓地)”, and there was a polity named “Han polity(韓國)” or “Mahan”. Before long(198B.C.) the king of “Paleo Chosun(古朝鮮)” had been deprived of his crown by a main land Chinese refugee “Wiman(衛滿)”, thereafter fled to “Han polity(韓國)” and seized kingship which author suggest to call “Kizun Guk(箕準國)”. On the formation of “Kizun Guk(箕準國)”, some part of Mahan polity went eastward and erect new polity called “Zin Guk(辰國)” with recent Chinese refugee’s cooperation. Therefore the royal throne of “Zin Guk(辰國)” called “Zin Wang(辰王)” was been succeeded by Mahan people. But after the collapse of “Kizun Guk(箕準國)” the leadership of Mahan society transferred into “Mokji Guk(目支國)”, thereafter the residence of “Zin Wang(辰王)” also located in there. It is author’s conclusion that Iksan and its surrounding is not the heart of the whole Mahan polity but the place of “Kizun Guk(箕準國)” 문헌사료와 고고학자료를 종합해 보면 한(韓) 또는 마한(馬韓)은 극동아시아 농렵구 북부에서 기원전 4세기 무렵에 한반도 중남부지역으로 남하해 온 점토대토기문화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점토대토기문화는 최초 해로를 통해 한반도 중남부지역에 정착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문헌사료에 등장하는 한 또는 마한 관련 정치체 명칭 및 시기적 선후관계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기원전 3세기 말 이전에 한반도 중남부지역은 ‘한지(韓地)’로 불리고 있었고, 그 곳에는 ‘한국(韓國)’ 혹은 ‘마한’으로 불리는 정치체가 성립되어 있었다. 기원전 198년에 위만에 의해 나라를 뺏긴 고조선 준왕이 남분하여 ‘한국’=마한을 습취하여 정치체를 세우고 ‘한왕(韓王)’이 된 정치체는 ‘기준국(箕準國)’이다. 정치적 주도권을 상실한 ‘한국’=마한의 세력 가운데 일부는 진역(秦役)을 피해 내려와 ‘한국’=마한 영역의 동쪽에 정착한 집단을 아울러 ‘진국(辰國)’을 세웠다. 진국의 왕인 ‘진왕(辰王)’은 구(舊) ‘한국’=마한 사람들이 세세(世世)로 상승(相承)하였다. ‘기준국’ 멸절 이후 옛 ‘한국’=마한에 속하였던 세력 들이 그 정치적 위상을 이어 진왕(辰王)을 세우고 그 치소(治所)를 목지국(目支國)에 두었다. 마한과 관련성이 지속적으로 언급되어 온 익산·전주 지역은 ‘한국’ 단계의 중심지는 아니지만‘기준국’의 중심지였을 가능성이 크다.

      • KCI등재

        고분 부장품을 통해 본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의 대외교류

        최영주 ( Choi Young-joo ) 백제학회 2017 백제학보 Vol.0 No.20

        영산강유역이 위치한 서남해 연안지역은 백제-가야-왜로 이어지는 교류과정에서 중요한 길목에 해당하며 관련된 많은 유적과 유물이 확인된다. 이러한 물질자료를 통해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의 대외교류를 그 대상국별로 시기적으로 검토했고, 그 배경과 역할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의 대외교류는 3시기로 나누어진다. 1기 중에서 5세기 이전 영산강유역에서는 백제토기와 가야토기가 일부 확인되는데 대체로 철소재류를 매개로 지역 간 문물교류의 결과로 파악된다. 5세기 이후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은 백제와 가야토기를 수용하여 영산강유역양식 토기를 만들었고, 왜와의 관계(고분·부장품)는 밀접해졌다. 2기는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이 백제양식 토기를 수용하거나 금동관과 금동식리와 같은 위세품을 받아들이면서 재지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또한 가야와의 관계는 단순한 문물 교류에서 벗어나 정치적인 관계로 확대했으며, 왜와의 관계는 고분과 관련된 공인집단이 관여하는 등의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3기는 영산강유역의 마한세력이 백제에 완전히 병합되어 사비기 백제양식 토기의 출현과 관등제가 확립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은 왜와의 교류에서 주도적인 입장을 보인다.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의 대외교류를 시기별로 변화양상의 배경과 역할을 살펴보았다. 5세기대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은 백제와 왜의 교류 중에 중개자로서 정치적·경제적 실리를 추구하면서 성장한 것으로 파악되며, 왜계고분도 나타난다. 6세기대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은 백제와 왜 왕권 사이에서 실리를 취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였고, 그것이 북부큐슈계 횡혈식석실과 장고분으로 표출되었다. 당시 백제-영산강유역 마한세력(복암리집단)-소가야(송학동집단)-중북부큐슈세력(이와이)-왜왕권(계체왕)으로 이어지는 교류에서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이 차지하는 정치적, 경제적 비중은 매우 컸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영산강유역 마한세력이 적극적으로 왜계 묘제와 관련된 매장의례를 도입하는 것은 지역집단의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변화를 모색하는 중요한 사회적 전략에 해당한다. Yeongsan River(榮山江), located in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is an important spot for the process of exchange connecting Baekje(百濟), Gaya(伽倻) and Wae(倭). At this site, many remains and relics can be found. Through these materials, this study investigated foreign exchange of Mahan(馬韓) power group according to time and corresponding countries, and examined its background and their roles. Foreign exchange of the Mahan power group around Yeongsan River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In the first period, before the 5th century, some Baekje and Gaya potteries were found around Yeongsan River and most of them are considered to be the results of cultural interchanges of steel materials. After the 5th century, the Mahan power group made Yeongsan-style potteries by accepting Baekje and Gaya potteries and it led to closer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Wae. In the second period, Mahan geographically expanded its influence by taking Baeke style potteries and prestige goods such as gilt bronze crowns and gilt bronze shoes. In addition, it politically expanded its relationship with Gaya, getting away from the simple cultural exchanges and also broadened its relationship with Wae by accepting tomb-related workers. In the third period, Mahan was completely absorbed into Baekje and made Sabi period into Baekje style potteries and established office-rank system. In this condition, Mahan took a leadership position in exchange with Wae. In the process of Mahan`s foreign exchange, the 5th century`s Mahan developed by exchanging Baekje for political and economical benefits with Wae. These Baekje were found in Wae style tombs. In the 6th century, Mahan actively sought ways to take benefits between Baekje and Wae Royal authorities and this was expressed in the North Kyusu style stone-chamber tombs and keyhole shaped tombs. At that time, Mahan was considered to play a big role both in politics and economy, in the exchange connecting Baekje-Mahan in Yeongsan River(Bokamri Group)-Sogaya(Songhakdong group)-North Central Kyusu(Iwai)-Wae Royal Authority(Gyeche King). Therefore, Mahan`s introduction of burial ritual related to Wae style memorial service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strategy to seek the change on local group`s cultural identity.

      • KCI등재

        안성천유역 원삼국∼한성백제기 마한 세력의 동향

        박경신(Park, Kyoungshin)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3

        백제는 마한 세력을 장악하기 위하여 도성의 동쪽 남한강을 따라 남하 정책을 강력하게 펼친다. 이와 더불어 도성(풍납토성)의 서쪽으로는 탄천과 안양천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 결과 (원)삼국시대 경기도 지역에는 청동기시대와는 다른 위치에 다수의 新村이 등장한다. 특히 경기 동부지역에서 신촌 건설 현상이 두드러진다. 경기 남부 안성천유역권의 마한 취락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구릉의 정상부→사면→말단부로 이동한다. 그리고 마한의 주거는 방형을 기본으로 하여 비주식→사주식→호서형 사주식→비사주식 구조로 변화하고, 노시설은 편측 무시설식→부뚜막→외줄구들→기반토식 외줄구들로 발전한다. 사주식주거는 AD 2C 후엽 전후시점에 등장하여 AD 5C 전반까지 지속되며, AD 4C 중엽에는 호서형 사주식주거도 등장한다. (원)삼국시대 안성천 본류 남쪽지역의 분묘 주축방향은 등고선과 평행한 것이 대다수이지만, 황구지천과 오산천은 등고선과 직교한 것이 다수이다. 이것은 초기철기시대 토광묘의 주축방향(직교)을 계승한 결과이다. 아울러 AD 2C대에는 안성천유역권에 주구 요소가 채용되는데 마한의 환황해노선 복원에 따른 서북한지역 묘제의 2차 파급 결과로 추정된다. 안성천유역권 이형토기, 유개대부호, 백색토기옹은 배타적 분포 정형을 보임에 따라 마한계문화권 내에서도 세력이 다른 지역 집단이 다수 존재하였음을 보여준다. 취락 내 출토 철기류는 진위천과 오산천 상류에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마한과 외부세력 간의 갈등 관계를 반영한 결과이다. 안성천유역권은 4C 전반까지 주거, 토기 등 마한의 재지적 물질자료를 공유하였다. 그런데 4C 중엽부터 탄천-오산천 루트로 백제토기가 유입되고, 안양천-황구지천-진위천 루트로 여·철자형주거가 확산되면서 물질자료의 성격이 변화하게 된다. 그리고 4C 후반 내지 5C 전반부터는 안성천유역권에 백제의 성곽과 고분이 본격적으로 축조되면서 백제화가 가속화된다. For the purpose of conquering the Mahan forces, Baekje adopted a tight southward expansion policy, centered around the Namhan River to the east of the capital city. To attain such a purpose, Baekje proactively accommodated the Tan and Anyang Streams to the west. In the Gyeonggi area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new settlements were built in places different from those where Bronze Age settlements had been located. These developments in which new settlements were being built were frequently found, especially in the eastern parts of Gyeonggi. The settlement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Anseong Stream Basin Zone of the south of Gyeonggi moved from crest to hillslope to the distal end of hilly lands, as time passed by. The house structures changed in the following manner: non-pillar type dwellings → four-pillar type dwellings → four-pillar type dwellings of the Hoseo area → non-four-pillar type dwelling. In addition, the hearth facilities changed in the following manner: tilted brazier → kitchen range → tunnel-shaped heating system → raw soil type tunnel-shaped heating system. Four-pillar type dwellings came to the fore in the late second century CE, and continued until the early fifth century CE. In the mid 4th century CE, the four-pillar type dwellings of the Hoseo area emerged. Located at the main tributaries of the Anseong Stream in Proto-three Kingdoms Period, most tombs were laid out to be parallel to the contour lines of the hill. Howeber, in the areas of Hwangguji Stream and Osan Stream, the tombs were laid out at a right angle to the contour lines. This is belived to be a result of the continuation of the principal axis of the pit burials of the early Iron Age. In the second century CE, the ditches surrounding tombs were introduced into the Anseong Stream Basin Zone. These developments are estimated as the rippling effect of the tombs of northwestern Korea, caused by the restoration of the trade route of Yellow Sea. Earthenwares of the Anseong Stream Basin Zone each show a different distribution range. Irons unearthed in settlements are concentrated in the upper reaches of the Jinwi and Osan Streams, which is the result of conflict between Mahan and external forces. The Anseong Stream Basin Zone shared a common material culture, including house sites and earthenwares, until the early fourth century CE. From the mid-fourth century CE and onwards the Tan Stream - Osan Stream route was connected to introduce Baekje earthenwares. With the expansion of new house types, the character of the material culture changed. Baekje fortresses and ancient burial mounds began to advance into the Anseong Stream Basin Zone from the late fourth century CE to early fifth century CE. From that time onwards, Baekje centralization was accelerated.

      • KCI등재

        중서부지역 마한계 분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金承玉(Kim, Seungog) 한국상고사학회 2011 한국상고사학보 Vol.71 No.-

        이 글의 목적은 마한계 묘제의 분포와 형식분류, 시공간적 발전과정을 추적하는데 있다. 먼저 이 글에서는 마한계 분묘를 분구묘와 봉토묘 전통으로 대별하였다. 분구묘 전통의 묘제는 다시 축조재료와 방법, 분포 범위에 따라 盛土墳丘墓, 積石墳丘墓, 葺石墳丘墓로 나눌 수 있고, 봉토묘 전통의 묘제는 주구토광묘와 단순 토광묘로 나누어진다. 서해안 일대의 성토분구묘는 매장시설의 수와 축조방법에 따라 단장(성토)분구묘와 다장(성토)분구묘로 나눌 수 있는데, 단장분구묘는 다시 1기가 독립된 형태로 축조된 형식(Ia형)과 Ia형 분구묘 2기 이상이 주구를 공유하거나 연접하여 축조된 형식(Ib형)으로 나누어진다. 다장분구묘는 하나의 분구에 다수의 피장자를 안치하는 형식(IIa형)과 IIa형 분구묘의 주구를 메우고 분구를 확장하는 형식(IIb형)으로 분류된다. 이 글에서는 마한계 분묘의 전개과정을 4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Ⅰ과 Ⅱ 단계에서는 형태와 매장원리, 유물에서 차이를 보이는 성토분구묘와 주구토광묘가 분포권을 달리하면서 발전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Ⅱ단계까지의 묘제는 단장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Ⅱ단계 후반부터 Ia형의 분구묘는 Ib형으로 변화하고, Ⅲ단계 이후로는 IIa형과 IIb형의 분구묘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다. 다장 전통의 즙석분구묘 또한 Ⅲ단계부터 출현한다. Ⅲ단계 이후 마한계 분묘의 해체과정은 지역적으로 상이하게 나타난다. 먼저 충청내륙권의 마한계 묘제는 Ⅲ단계 전후부터 백제의 토광묘와 석곽묘로 거의 완벽하게 대체된다. 이에 비해 성토분구묘권에서는 Ⅳ단계까지 마한계 전통의 묘제가 지속된다. 또한 Ⅳ단계 마한계 묘제는 금강 이북과 이남에서 차이를 보이게 된다. 예를 들어 금 강이 북지 역에서는경 기남부에서주구토광묘, 부장리에서 성토분구묘가 발견되지만 발견된 유물은 백제계 일색이다. 이에 비해 금강 이남의 성토분구묘에서는 마한계와 백제계 요소가 동시에 발견된다. 이러한 마한계 분묘의 발전과정은 백제의 남정이 경기와 충청지역부터 전북지역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 또한 마한계 토착세력에 대한 백제 중앙정부의 지배형태를 추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Ⅳ단계에 들어서면 금강 이북의 마한계 세력에 대해서는 직접지배, 금강 이남의 일부 재지 세력에 대해서는 정치적 자율성을 어느 정도 용인해주는 간접지배의 형태를 띠었을 가능성이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type classification,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Mahan–oriented tombs(馬韓系 墳墓). Mahan–oriented tombs can be largely divided according to two burial traditions; Bungumyo(mounded tomb with an encircling ditch) and Bongtomyo(封土墓). Bungumyo(墳丘墓) can be reclassified into Sungtobungumyo(盛土墳丘墓), Guksukbungumyo(積石墳丘墓), and Geupsukbungumyo(葺石墳丘墓), on the basis of the construction materials used to build the tombs and the distribution area. Moreover, the Bongtomyo includes pit tombs with ditchs(周溝土壙墓) and simple pit tombs(單純土壙墓). The Sungtobungumyo in the 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can be subdivided into Bungumyo Type I, with a single burial chamber(單葬墳丘墓), and Bungumyo Type Ⅱ, with multiple burial chambers(多葬墳丘墓). Bungumyo Type Ⅰ is further divided into Type Ia, consisting of a single Bungumyo distributed independently, and Type Ib, consisting of more than two Bungumyo, which share a ditch or are closely located. Bungumyo Type Ⅱ is also subdivided into Type IIa, with multiple graves within a Bungumyo, and Type IIb, which are filled first Type IIa ditches and have enlarged tomb sizes. The development of Mahan–oriented tombs is divided into four phases. Phases Ⅰ and Ⅱ mainly consisted of Sungtobungumyo and pit tombs with ditches, which differed based on the burial form, technical aspects of construction, and artifacts discovered within. Almost all burials until Phase Ⅱ are characterized by Bungumyo Type Ⅰ. However, after the latter period of Phase Ⅱ, Type Ia Bungumyo gradually transformed to Type Ib. In addition, Types IIa and IIb Bungumyo emerged and became very popular after Phase Ⅲ. Geupsukbungumyo, with the burial tradition of multiple burial chambers, also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Phase Ⅲ. After Phase Ⅲ, the dissolution of Mahan tombs and the emergence of Baekje(百濟) tombs took place differently in the Korea's mid–western region. First, Mahan–oriented tombs in the Chungcheong inland area were almost completely replaced by pit tombs and stone lined Baekje tombs around Phase Ⅲ. Contrastingly, tombs in the Sungtobungumyo area continued the Mahan tradition until Phase Ⅳ. Further, pit tombs with ditches were found north of Geum river basin in the southern Kyeonggi province during Phase Ⅳ, and Sungtobungumyo was found at the Buchangri site, but the artifacts discovered here were all related to the Baekje. Notably, both Mahan and Baekje–oriented tombs coexisted in the Sungtobungumyo area, south of the Geum river basin. This transformation of the burial tradition strongly suggests that the expansion of Baekje forces to the south had occurred gradually from the Kye 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to the Chonbuk province. Additionally, it suggests the control forms of the Baekje's central government against Mahan's indigenous forces differed. For example, the Mahan's forces north of the Geum river basin wer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Baekje's administration, while Mahan's forces south of the Geum river basin were under the its indirect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