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전통문화해석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이병수(Lee, Byung Soo)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통일인문학 Vol.56 No.-

        이 글의 목적은 ‘동아시아 전통문화’의 의미를 규정한 후, 동아시아 전통문화 해석을 위한 인식론과 방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우선, 동아시아 전통문화를 규정함에 있어 두 가지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특정 국가 내부에 존재하는 문화적 전통을 동아시아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것으로 특권화하려는 유혹을 벗어나야 할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전통문화를 잘 통합된 동일한 문화가 아니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문화로 간주해야 한다는 점이다.(2장) 다음으로, 동아시아 전통문화 해석의 인식론적 방향은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을 극복하고, 인류보편성을 지닌 사상적, 문화적 지평을 여는 데 있다.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의 이원적 구도는 동아시아 지식인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동서문명에 대한 지적 기획이다. 그러나 동아시아 전통문화에서 보편적 가치를 추구함에 있어, 보편성이 특정 지역의 전유물이 아니라 서구와 비서구에 모두 개방되어 있으며, 고정불변의 가치가 아니라 역사적 상대성을 지닌 것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3장) 끝으로, 동아시아 전통문화에 대한 해석방향으로 강조한 것은 일국 중심의 배타적인 독점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점, 근대 이전의 전통을 의도적으로 계승하고 창조적으로 활용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는 점, 전통과 근대가 조우하면서 형성된 동아시아 근대성의 역사 그 자체가 이미 한 세기에 걸쳐 또 하나의 전통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동아시아 전통문화론은 이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4장)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epistemology and its direction for interpretation of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after defining its meaning. First, two points should be noted in defining the meaning of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One point is to overcome the temptation to be privileged as representing cultural traditions within a particular country to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the other point is regard it as layered and complex culture capable of various interpretations, not as the same culture well integrated.(Chapter 2) Secondly, epistemology for interpretation of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is oriented towards overcoming orientalism and occidentalism, moreover opening the ideological and cultural horizons with the universality. Dualistic vision of orientalism and occidentalism is intellectual planning for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 prevailing to East Asian intellectuals. But, in extracting the universality from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What is required in recognizing the universality is not the monopoly of a particular region but is open to both Western and non-Western, besides does not have invariant fixed value but historical relativity.(Chapter 3) Finally, in this paper, three directions for interpretation of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 are emphasized : escaping from the one state-oriented exclusive monopoly, efforts required for intentionally inheriting and creating the premodern tradition, as the history of East Asian modernity has been shaped by the encounter of tradition and modernity, its history itself has formed another tradition for over a century, it should be included in discourse of East Asian traditional culture.(Chapter 4)

      • KCI등재

        동아시아 문화연구의 성과와 새로운 조건 :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편, 『동아시아 문화의 생산과 조절』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강석 ( Cho Kang-so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0 No.25

        동아시아 문화연구에서 중요한 것은 교류와 교환 그리고 각국 단위 문화에 대한 비교 설명이 아니라 혼종과 횡단과 생성이다. 탈경계적인 맥락에서 동아시아 문화연구가 의의를 지니려면 동아시아 문화 자체가 어떻게 혼종적으로 태동하며 상호 횡단을 통해 생성되는지 그 양상과 조건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흥미로운 관점을 개진하고 있는 연구서 『동아시아 문화의 생산과 조절』(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편)은 주목에 값한다고 하겠다. 이 연구서는 동아시아 단위의 문화적 전환을 여러 가지 사회적 조건과 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고 이를 생산과 조절의 순작용과 역작용의 관계로 풀어내려는 취지로 쓰인 글들을 묶은 것이다. 문화 조절의 관점에서 동아시아 문화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문화정책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별국가 단위의 문화 조정 메커니즘의 욕망을 분석하는 것과 더불어 비교문화적 차원을 넘어서 동아시아적 문화번역의 관점에서 문화현상의 혼종성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새로운 문화현상을 1990년대 이후 작동하기 시작한 문화조절의 작용에 대한 반작용과 재작용의 일환으로 설명하고자 한다면 문화현상을 해명하고자 하는 이들의 욕망 이전에, 문화생산이 어떻게 신자유주의적 질서 개편 이후 작동되는 새로운 문화조절에 대해 역관계의 자장을 만들면서 이루어지는지, 새로운 문화주체들의 욕망이 어떻게 운동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 하겠다. 그런 점에서 이 연구서는 성과와 한계를 동시에 드러낸다. 동아시아 문화 연구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부분들을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들의 혼종으로 새로운 전체가 형성되는 접경지대에 대한 연구가 보다 활발해질 필요가 있겠다. 그런 작업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문화 연구는 당위와 실감을 포괄하는 새로운 성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outcomes and new conditions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What matters most in East Asian cultural studies is to adapt cross-boundary view. When they are considered under the conditions of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we often regard various cultures as independent substances. Rather, we need to revise the vision of culture in terms of hibridity. Nowadays, cultures are being formed not only by one national factors, but they are being formed by multi-national or cross boundary factors, in other words, they are being formed by hibridity.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consider all the conditions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by terms of 'displacement' and 'culture translation'. The book, The Production and Regulation of East Asian Culture, reflects the outcomes of comparative cultural studies so far, and makes us to think of the conditions to be considered for East Asian studies to go further. Though, it contains many important case studies, it also shows the limit of East Asian comparative studies. So, it urges us to re-consider the conditions of East Asian cultural studies through the concept of cultural 'displacement' and 'culture translation'.

      • KCI등재후보

        동아시아의 해양세계와 항구도시의 역사와 문화

        홍석준(Seok-Joon Ho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7 島嶼文化 Vol.0 No.29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의 바다를 대상으로 동아시아의 해양세계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동아시아의 바다와 육지를 연계하는 중계 지점으로서 항구도시의 역사와 문화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역사적, 문화적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남아시아의 해상 네트워크의 형성과 변화 과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동아시아 해양세계와 항구도시의 문화의 성격과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은 바다를 통해 동남아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것이다. 동아시아 항구도시의 공통된 성격은 동아시아 바다의 주연으로서, 도서 지역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교역을 통한 거래와 인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경제적 부가 축적되었으며, 이슬람교를 중심으로 각종 종교가 전해졌다는 것이다. 다양한 문화와 정보의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코스모폴리타니즘의 거점이기도 한 동아시아의 항구도시들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해상 활동을 통해 다른 항구도시와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면서 동시에 영역국가의 육상 네트워크를 서로 연계하는 해양 네트워크와 그로 형성된 해상세계의 거점이기 도하다. 동아시아의 항구도시를 포함한 모든 항구도시는 이러한 바다와 육지 네트워크의 접점 및 사이에 위치하였는데, 여기서는 사람과 물건, 그리고 정보가 모이는 곳으로 ‘만남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처럼 항구도시는 육지 영역국가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경우도 있지만, 육지의 도시와는 다른 역사, 문화의 공간, 즉 ‘해양세계’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해양세계와 항구도시에서는 다양 하면서도 체계적으로 통합된 개방적 다문화 영역을 형성되어 있었던 것이다. 즉 동아시아의 해양 세계는 사람과 상품의 이동이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교역지역 이었으며, 동서의 상품교역뿐 아니라 무역을 통한 동서 간의 문화적, 종교적 교류를 가능하게 했던 중요한 문화적 거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maritime world and network in East Asia, especially focused on the urban culture of port cities in East Asia, from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erspectiv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processes of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of maritime network and urban culture of port cities in East Asian sea world. In order to underst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East Asian port cities and sea world appropriately, it is emphasized that the significance of islands or sea world should be understood, instead of that of inland or land culture.

      • KCI등재

        동아시아 담론과 한국 한문학

        윤재환(Jae-hwan Yoon) 한국고전연구학회 2023 한국고전연구 Vol.- No.61

        동아시아의 문화정체성을 특정한 몇 가지 문화 요소로 규정하는 것은 동아시아의 문화를 존재하는 실체가 아니라 관념과 이상, 상상과 허구의 대상으로 인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문화를 몇 가지 특정한 요소로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 때문에 동아시아의 보편 문화, 공동 문화의 존재까지 부정하는 것도 옳지 않다. 관념과 이상에 근거하여 동아시아를 보지 않기 위해 존재하는 사실까지 부정하는 것은 결코 옳은 일이 될 수 없다. 동아시아의 문화 요소 중 한문학은 중국에서 시작하여 동아시아 전역으로 확산된 문학 양식이다. 따라서 동아시아의 한문학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자아와 타자의 균형 잡힌 시각이 필요하다. 이는 한국 한문학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동아시아 한문학과 한국 한문학을 상대적인 관점으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주장이 계속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실재적인 접근은 이와 같은 담론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한문학 연구자들은 한국 한문학이 중화를 지향하면서도 주체성을 강조하는 문학이며, 중국의 한문학과는 동질성에 기반한 이질성을, 중국 이외 다른 지역의 한문학과는 이질성에 기반한 동질성을 지니는 문학이라고 보고, 다양한 접촉을 통한 교류와 소통의 내용을 밝혀 동아시아 안에서 한국 한문학의 위상을 정립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런 주장들은 동아시아에서 상호 교류와 소통의 주역이 대부분 그 나라의 정치․사회․문화에서 결정적인 영향력을 가지지 못해, 교류와 소통의 결과가 대체로 개인적인 차원으로 귀결되고 말았다는 점에서 아직까지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 안에서 한국 한문학의 위상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동아시아와 한국 한문학의 가장 본질적인 부분에 대한 고민부터 다시 할 필요가 있다. To define East Asia’s cultural identity as several specific cultural factors is to recognize East Asian culture as objects of ideas, ideals, imagination, and fiction, not as entities that exist. However, it is not right to deny the existence of East Asian universal culture and common culture because of the fact that East Asian culture cannot be explained by several specific factors. It can never be right to deny even the facts that exist not to see East Asia based on ideas and ideals.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one of the cultural elements of East Asia, is a literary style that began in China and spread throughout East Asia. Therefore, in order to approach East Asi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a balanced perspective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is necessary. This is the same in the case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and accordingly, it is argued that East Asi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and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should be viewed from a relative perspective, but the practical approach has not yet met this discourse. Researchers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believe that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is a literature that emphasizes subjectivity while aiming for chineseization, and that it is a literature that has heterogeneity based on homogeneity with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in China and homogeneity based on heterogeneity with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in other regions, and aims to establish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in East Asia by revealing the contents of exchanges and communication through various contacts. However, these arguments still have many problems to be solved in that most of the leaders of mutu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in East Asia do not have a decisive influence in the country’s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and the results of exchange and communication have generally resulted in a personal level.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in East Asia,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most essential part of East Asia and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 from now on.

      • KCI등재

        문화교류사의 입장에서 본 동아시아 고대 교육

        안경식(安京植)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4 敎育思想硏究 Vol.15 No.-

        한국․중국․일본 등 동아시아 세 나라는 지리적으로도 인접해 있지만 문화적으로도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동아시아 세계’, ‘동아시아 질서’ 등의 개념까지 생겨났다. 역사적으로 보면, ‘동아시아 세계’ 혹은 ‘동아시아 질서’가 처음 형성된 것은 한대(漢代)부터였으며, 이것은 강제적이고 무력적으로 형성된 세계이다.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세계가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당대(唐代)부터이다. 고명사(高明士) 교수는 당대에 형성된 이 세계를 교육의 입장에서 ‘동아교육권’이라 하였고, 이는 한자(漢字)교육․유학(儒學)교육․양사(養士)교육․성학(聖學)교육으로 구성된다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고대교육의 동질성의 형성과정을 문화교류의 내용과 형식이라는 두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문화교류의 ‘내용’의 측면에서는 교육제도의 교류과정과 교육사상의 교류과정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문화교류의 ‘형식’이란 측면에서는 공식적, 비공식적 인적 교류를 통한 교육문화의 형성과정을 고찰하였다. 동아시아 교육모형은 7세기에 동아시아 삼국에 정착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 동아시아 삼국은 문화교류를 소홀히 했고, 자기 문화의 동질성 보존에 치중했다. 문화적 동질성은 화해와 협력의 바탕이 되기도 하지만 자기중심주의와 폐쇄주의로 흐를 수 있으며, 문화적 이질성은 갈등과 문제의 소지가 되기도 하지만 문화적 역량을 키우는 바탕이 되기도 한다. 고대 동아시아사는 국가가 발전하고 교육이 발전하려면 부단한 문화교류를 통해 끊임없는 자기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本文旨在從文化交流史之立場, 探討古代東亞三國之敎育制度和思想, 呈現出東亞文化的同質性, 提供未來東亞三國文化發展之參考資料. 本文除緖論(第一章)和結論(第五章)以外, 共分三章. 各章題目如主要內容如下: 第二章: 從政治立場看東亞世界和東亞敎育圈. 在此章探討所謂‘東亞世界’的出發點在於先秦時代的天下觀念和華夷觀念, 而到了漢代靠武帝的膨脹政策形成了以中國爲主的東亞世界. 但漢代東亞世界之特色是單方的ˎ武力的, 不是雙方的ˎ文化的. 在東亞三國之間眞正的文化交流, 到了唐代才實現. 高明士敎授在他的著書造出‘東亞敎育圈’的槪念基於從來的東亞世界, 它被構成了漢字敎育ˎ儒學敎育ˎ養士敎育ˎ聖學敎育等四個共通文化要素. 第三章: 從文化交流之內容看古代東亞敎育. 在此章從敎育制度和敎育文化等兩方面探討東亞三國之文化交流的實際. 本文指出要了解東亞敎育制度需要考察學校制度ˎ敎育行政制度和學禮, 同時指出東亞敎育思想之主要來源不但是儒敎, 而是佛敎. 尤其是佛敎思想對東亞三國之民衆敎育所扮演的角色和影響絶不能忽視. 第四章: 從文化交流之形式看古代東亞敎育. 在此章探討使節ˎ宿衛學生等公的文化交流和求法僧等私的文化交流之敎育意義. 從文化交流史的立場來看古代東亞三國之敎育, 雖有不少之差異, 透過不斷的文化交流而克服自己爲主的文化閉鎖性. 此時期被形成的敎育文化的共通特質, 籍供爲未來東亞新敎育模式參考資料.

      • KCI등재

        東亞傳統文化與中國的韓流 - 解讀“韓流”流行基因東亞傳統文化

        朴光海(Piao Guang-Hai),呂?(Lv Mu)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5 No.-

          It is well known that the “South Korean tide” is very popular in countries in East Asia. Represented by South Korean TV play, the South Korean Movie, music, game and other commodities have swept over most of the regions in Asia as a “South Korean tide” in only a few years. Someone describes a beautiful scenery of South Korean tide where the Chinese people are watching South Korean TV plays, listening to South Korean music, eating South Korean dish, wearing South Korean garments, using South Korean mobile phones, and driving around Beijing in South Korean cars. As a popular culture, the South Korean tide has swept over Asia with such features as rapid influence, wide range, large depth and long time. Someone predicts that the South Korean tide will last briefly as the occident culture wind in 1980s and the “Japanese tide” in 1990s in China. However, it is proved by facts and time that the South Korean tide does not fade away, but develops vigorously.<BR>  As a mass culture of South Korea, the South Korean tide has become in fashion in Asia and accepted and pursued by people of different countries rapidly with its unique characteristics. Of course the reason is related with the mass culture loss of the countries influenced by “South Korean tide”. In addition, the developed mass media represented by Internet of South Korea, together with the active efforts made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educational circles, and folks, have contributed a lot to the popularization of South Korean tide. However, the main reason for the prevalence of South Korean tide in East Asia countries is a culture gene―the traditional culture of East Asia.   한국의 대중문화 한류는 동아시아 국가에서 이미 유행의 붐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열기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한류유행의 근본 원인은 한류문화중에 내재되어 있는 동아시아 전통문화적 요소가 유사하거나 공통의 가치관을 가진 동아시아 국가의 인가認可를 받았기 때문이다. 한류는 동아시아 전통문화를 본원으로 서양의 문화요소를 융합시켜 창조해 낸 새로운 문화의 일종으로서 동아시아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켰을 뿐더러 나아가 새로운 내용을 창조하였다. 한류는 세간에 새로운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주었으며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자신감을 불러일으켰다. 동시에 한류는 동아시아의 국가와 민족 사이에 실질적인 문화교류를 진행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었으며, 특히 한국은 한류의 최대 수혜국으로서 국가이미지의 수립, 정치, 경제, 외교 등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한류는 우리에게 한류문화 중에 내재되어 있는 동아시아 전통문화가 문화의 상통성과 유사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동아시아에서, 문화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게 하였으며, 우리가 동아시아 평화공존을 실현할 평화문화존(zone)을 형성하는데 희망과 기회와 기초를 마련해 주었다.

      • KCI등재

        东亚传统文化與中国的韩流― 解读“韩流”流行基因东亚传统文化

        朴光海,吕钼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5 No.-

        한국의 대중문화 한류는 동아시아 국가에서 이미 유행의 붐이 되었으며 현재까지도 그 열기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한류유행의 근본 원인은 한류문화 중에 내재되어 있는 동아시아 전통문화적 요소가 유사하거나 공통의 가치관을 가진 동아시아 국가의 인가認可를 받았기 때문이다. 한류는 동아시아 전통문화를 본원으로 서양의 문화요소를 융합시켜 창조해 낸 새로운 문화의 일종으로서 동아시아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켰을 뿐더러 나아가 새로운 내용을 창조하였다. 한류는 세간에 새로운 문화체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주었으며 동아시아 문화에 대한 자신감을 불러일으켰다. 동시에 한류는 동아시아의 국가와 민족 사이에 실질적인 문화교류를 진행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었으며, 특히 한국은 한류의 최대 수혜국으로서 국가이미지의 수립, 정치, 경제, 외교 등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한류는 우리에게 한류문화 중에 내재되어 있는 동아시아 전통문화가 문화의 상통성과 유사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동아시아에서, 문화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게 하였으며, 우리가 동아시아 평화공존을 실현할 평화문화존(zone)을 형성하는데 희망과 기회와 기초를 마련해 주었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South Korean tide” is very popular in countries in East Asia. Represented by South Korean TV play, the South Korean Movie, music, game and other commodities have swept over most of the regions in Asia as a “South Korean tide” in only a few years. Someone describes a beautiful scenery of South Korean tide where the Chinese people are watching South Korean TV plays, listening to South Korean music, eating South Korean dish, wearing South Korean garments, using South Korean mobile phones, and driving around Beijing in South Korean cars. As a popular culture, the South Korean tide has swept over Asia with such features as rapid influence, wide range, large depth and long time. Someone predicts that the South Korean tide will last briefly as the occident culture wind in 1980s and the “Japanese tide” in 1990s in China. However, it is proved by facts and time that the South Korean tide does not fade away, but develops vigorously. As a mass culture of South Korea, the South Korean tide has become in fashion in Asia and accepted and pursued by people of different countries rapidly with its unique characteristics. Of course the reason is related with the mass culture loss of the countries influenced by “South Korean tide”. In addition, the developed mass media represented by Internet of South Korea, together with the active efforts made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educational circles, and folks, have contributed a lot to the popularization of South Korean tide. However, the main reason for the prevalence of South Korean tide in East Asia countries is a culture gene―the traditional culture of East Asia.

      • KCI등재

        중국의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구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정남(Jung Nam Lee),김병국(Byung-Kook Kim)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0 국제관계연구 Vol.15 No.1

        이 글은 중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동아시아 문화공동체론이 자국문화 중심 시각에 매몰되어 중국 문화와 가치를 보편화시키려는 구상을 벗어나고 있지 못함을 비판하고 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중국 내에서는 문화를 통해 동아시아 정체성을 찾고 이를 기반으로 동아시아 공동체를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동아시아 문화공동체구상은 동아시아문화가 중국 문화 중심으로 형성되어야 한다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으며, 중국문화와 서방문화의 대립을 전제로 서방문화를 제압하려는 논리구조를 함축하고 있다. 따라서 동 구상은 문명충돌론과 소프트파워론에서 나타나고 있는 자국 문화의 보편적 수용을 강조하는 문화패권론적 사고틀을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 이런 점에서 역내 문화적 다양성과 중층성 위에 지역공동체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다문화주의 공동체론이, 중국발 동아시아 문화공동체론에 보다 나은 대안이 될 수 있다. This article criticizes that the idea of the 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initiated and discussed in China, is not only based on a self-centered vision of culture, but also intended to uphold Chinese culture and values in common discourse. Since the late 90s, many Chinese scholars argue that the East Asian community should be built on the basis of a common cultural identity in East Asia. However, this argument is centered on a biased view that Chinese culture should be the core and base value to create a common culture of East Asia.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a cultural confrontation between China and the West, and that Chinese culture will surpass Western culture. Therefore, China's 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initiative is rooted in a framework of cultural hegemony, claiming universal acceptance of Chinese culture, previously displayed in the Clash of Civilizations and soft power theories. Alternatively, the Multi-Culturalism Community theory, which emphasizes that the East Asian Cultural Community should be built on the basis of accepting cultural diversity in the region, could be a better substitute.

      • KCI등재후보

        유교와 동아시아 문화공동체

        형려국 한국공자학회 2010 공자학 Vol.18 No.-

        동아시아공동체는 동아시아의 제 나라가 어떠한 공동 조건과 공동 이익 하에 결성되는 단체적 조직이며, 역사적 문화전통을 바탕으로, 각 나라 내부의 다양성과 차이성을 전제로 이루어진 창조적, 통합적 체제라고 한다. 문화는 인간이 환경에 적응되는 산물이니, 각 지역공동체가 나름대로의 환경 하에 자기의 문화를 창출하고, 문화의 지역적 차이를 형성하였다. 동아시아의 주요 나라인 한중일 삼국은 地緣관계로 옛날부터 밀접한 무역왕래와 문화교류를 유지해왔으며, 그들 간의 문화가 서로 수용, 침투하여 이 땅에서 특색 있는 문화전통을 형성하였다. 유교문화가 동아시아문화의 바탕이다. 廣義적 유교문화는 중국 본토에서 자라나 일본과 한반도 등 동아시아 나라에 유입되어 수용되는 것을 가리키는 것이다. 동아시아문화는 유교문화의 복제가 아니다. 유교문화는 동아시아 각국의 주도적 문화로 발전되는 시기가 많이 차이난다. 중국의 경우, 기원전 2세기 漢武帝가 “파출백가, 독존유술”의 施行을 기점으로 하였다. 한국의 경우, 14세기에 조선왕조가 주자학을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만들 때부터이고, 일본은 17세기에 도쿠가와 막부가 주자학을 관학을 높일 때부터이다. 이러한 유교문화공동체는 14-15세기부터 점차 형성되어 19세기까지 존재하였다. 동아시아유교문화공동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유교윤리를 일상생활의 윤리로 삼는다. 둘째, 가정의 가치를 중시한다. 셋째, 단체정신을 강조한다. 넷째, 사회질서를 강구하여 사회의 和合을 추구한다. 동아시아문화공동체의 구축에 있어 유교의 和諧사상은 철학적 기반을 제공해 주고 있다. 和諧는 中和와 適度의 상태이며, 和而不同과 求同存異를 추구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문명공동체 로드맵

        전홍석(Jeon, Hong-seok) 한국양명학회 2018 陽明學 Vol.0 No.50

        현 동아시아권의 제반 분쟁과 균열 현상들은 초국가주의적 평화협력구상으로서의 ‘국제 공공성’ 공백이 불러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동아시아는 일국적 근대화 기획이 착수된 이후 동아시아공동체의 문화적 소통과 연대적 실제상들이 파편화ㆍ기형화되어 역내 국가 간 상호 대결과 분쟁이 일상화되고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에 지속가능한 ‘문화와 평화 질서’의 출현이 무엇보다도 절실한 때다. 인권과 평화 보장을 위한 초국가적 연합체 강화는 ‘동아시아시민’, 곧 역내 인권주의자와 평화주의자의 상호 빈번한 교류와 공감 속에서만 가능하다. 바람직한 동아시아의 문명공동체는 ‘보편적 인권’과 ‘평화 이념’을 지향하는 시민세력이 그 정체성 구성의 주체가 되었을때 견고해질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초국적 시민사회로서의 ‘인문 · 종교 · 문화예술 네트워크’를 통한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를 제안하는 이유다. 이제 동아시아인들은 맹목적이고 그릇된 ‘국가’ 관념에서 벗어나 보다 포괄적이고 개방적인 ‘문명’에 터하여 타자와 호응하는 상호주체적인 공존공영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성’을 구체화해야 할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고에서는 역내 인문 · 종교 · 문화예술 네트워크의 활성화와 그에 따른 동아시아 문명공동체, 평화공동체 구상의 제반 사항들을 논구해보았다. 이 제안은 크게 보아 동아시아 시민사회 지역구상 노선에 합류한다. 그 발상은 ‘동아시아시민주의’라는 새로운 협력모델로서 정치 · 경제영역보다는 동아시아를 매일매일 체험하면서 살아가는 동아시아시민의 탈권력적 · 탈시장적 생활세계에 바탕을 둔다. 때문에 이 네트워크는 동아시아인의 공통된 생활유전자인 ‘동아시아 생명주의’를 시민사회의 문화영역에 구현하고자 하는 구상이기도 하다. 요컨대 본 ‘동아시아 문명공동체로드맵’은 동아시아 생명문화운동의 핵심인 인문인, 종교인, 문화예술인을 역내 연결망의 ‘생명주의 데모스’로 격상시켜 동태적이고 역동적인 ‘동아시아의 정체성’을 모색하는 데 목표를 둔다. 그 궁극적 지향점은 현재 세계적 담론인 예술 · 공감 · 영성 · 생태문명의 동아시아적 의미를 진작시키고 그로부터 각성된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를 정식화하는 데 있다. Disputes and ruptures arising in East Asia are caused by the absence of ‘international public spirit’ as supranational cooperation for peace. In East Asia, since national modernization planning started, cultural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among countries in East Asia have fragmented and deformed and confrontation and disputes between countries in East Asia are common.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ppearance of sustainable ‘order of culture and peace’ in East Asia. Strengthening supranational consortium for securing human rights and peace requires frequent communication and sympathy among people who advocate human rights and peace living in East Asia. Desirable East Asian civilization community can be strengthened when citizens aiming for ‘universal human rights’ and ‘peace’ become the leading force of formation of its identity. This is the very reason for which the author of this paper proposes ‘peace community in East Asia’ through ‘humanitiesㆍreligion · culture · art network’ as supranational civil society. It is high time for East Asians to endeavor to organize autonomous ‘East Asia community’ that can exist and prosper together based on more comprehensive and open ‘civilization’ breaking away from blind and wrong ideology of ‘nationalism’. In this regard, this paper studied particulars to promote humanities · religion · culture · art network in East Asia and articles of idea of civilization community and peace community in East Asia. This proposal joins a line of East Asian civil society in a broad sense. This idea is based on non-power and market oriented everyday life of East Asians who experience East Asia as new cooperation model called ‘East Asia Civicism’. Therefore, this network is an idea of realizing ‘respect for life’ which is common to East Asians in the area of culture in civil society. To sum up, ‘road map for East Asia civilization community’ aims to seek dynamic ‘identity of East Asia’ by promoting humanists, men of religion and artists who serve as leading force of life culture movement in East Asia to ‘demos of respect for life’ in network within East Asia. ‘Road map for East Asia civilization community’ ultimately aims to boost artㆍsympathyㆍspiritualityㆍecology civilization which is global discourse in a sense of East Asia and form ‘East Asian peace community’ awakened from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