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공수련자의 수련 기간별 심박변이도 특성과 기분상태의 비교 분석

        심준영 ( Jun Young Shim ),임영자 ( Young Ja Im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2 선도문화 Vol.12 No.-

        이 연구는 기공 수련을 10년 정도 실시한 기공숙련자 10명과 3개월 미만의 기공초보자 10명을 대상으로 지감수련과 대맥운기시의 심박변이도(HRV) 특성과 기분상태의 변화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표준사지유도 방식의 심전도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안정시, 지감시, 대맥운기시의 심박변이도를 측정하였다. 기공수련 전과 후의 기분상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어판 기분상태척도(K-POMS)를 사용하였다. HRV 분석은 안정상태와 집중도를 고려하여 측정시 기별로 180초를 선정하여 mean HRV, SDNN, LF, HF, LF/HF를 분석하였다. HRV 분석결과, 대맥운기시에 mean HRV, LF, LF/HF에서 기공숙련자가 초보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HF에서는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지감에서 대맥운기시 변화에서 기공숙련자는 LF, LF/HF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HF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반면에 기공초보자는 SDNN, LF, LF/HF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HF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POMS 분석결과, 사후에 분노, 피로에서 기공숙련자는 초보자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기공수련 전에 비해 수련 후의 변화에서 기공숙련자는 우울, 분노, 피로, 혼란에서 기공초보자는 분노, 피로, 혼란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활력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전체적인 평균값 증감의 폭은 기공숙련자 집단이 더 큰 변화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기공숙련자들은 초보자에 비해 체내의 항성성 조절능력과 스트레스 저항도를 높일 수 있고, 부정정서를 감소시키고 긍정정서를 단시간에 증가시킴으로써 효율적인 기분상태 조절능력을 잘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changes in characteristics and mood states of HRV during Jigam training and Daemaekungi with 10 Gigong experts who have trained Gigong training and 10 Gigong beginners. For this, it measured heart rate variation during stability, Jigam and Daemaekungi using ECG system of standard limb lead. Profile of mood states in Korean version (K-POMS) was used to measure changes in mood states before and after Gigong training. For the analysis of HRV, mean HRV, SDNN, LF, HF, ad LF/HF were analyzed for 180 sec. by period of measurement considering stability state and concentration. As a result of HRV, mean HRV, LF, and LF/HF ratio during Daemaekungi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igong experts than in Gigong beginners and significantly lower in HF. LF and LF/HF ratio in change of Daemaekungi during Gigam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Gigong experts and significant decrease in HF. On the contrary, Gigong beginner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SDNN, LF and LF/HF ratio and significant increase in HF. As a result of POMS, Gigong exper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nger and fatigue after training than Gigong beginners. While Gigong expert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anger, fatigue and confusion in changes before and after Gigong training, Gigong beginners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anger, fatigue and confusion, and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vitality. But, increase and decrease of total mean value showed more changes in Gigong experts.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Gigong experts could enhance homeostasis control ability and resistance to stress compared to Gigong beginners, reduce negative emotion, increase positive emotion in a short time and keep their ability to control their mood states well.

      • 중년 여성의 건강관리와 기공 운동

        김준홍,조은효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9 스포츠과학리뷰 Vol.3 No.2

        최근 몇 년 사이 요가, 기공, 단전호흡, 태극권 등의 전통적인 수련법에 대한 관심이 늘 기 시작하면서 호흡 운동의 특수한 형태의 운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공 운동은 느리면서도 부드럽고 연속된 원형의 움직임으로 깊은 호흡을 통해 심혈관 계와 호흡기능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어, 고령자 또는 고혈압, 요통 등의 질환자를 대상으로 심리적, 심혈관계 기능 향상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 공 운동은 기본 자세인 기마자세를 유지하며 하체에 중량이 부가되면서도 관절에 무리 를 주지 않고 관절의 최대 범위를 사용하며 이루어지는 등척성 운동으로 심폐기능은 물 론, 하지근력의 증가와, 관절의 움직임 향상 등을 기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모든 연령, 특히 폐경 이후의 중년기 여성의 건강 체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In recent years, the interest of traditional training method such as yoga, Qi-gong, dan jeon breathing, Tai-Chi Chuan is increasing, so the rate of participation is also rising. That kind of traditional exercise is characteristic of simple, slow, smooth and continuous full body movement with coordinated breathing. Thus most researches have reported about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ardiovascular improvement for the aged or hypertension patients and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But that kind of traditional exercise combines aerobic, isometric, and isotonic elements with meditation and movement. Especially, Qi-gong is characterized by slow whole-body performance with natural breathing and maintenance of full force, because basic posture of Qi-gong is maintaining riding stance during the whole time with performing ROM(range of motion) posture smoothly which not excess to joint. Its unique "lifting tendon and pulling bone" movements gradually lift one's muscle, tendons, and bones, thus pulling, compressing, and stretching with gentle activity. Thus Qi-gong exercise also brings gains of improvement of muscle performance (muscle endurance and muscle strength). Hence doing Qi-gong can expect the improvement of cardiovascular fitness, strength of lower body and also an advance of joint movement. Therefore it would be beneficial on health-related fitness for all ages, specially the middle-aged women.

      • KCI등재

        토기의 기능에 대한 기공률 분석의 시론적 접근 -청도 성곡리 유적 출토 삼국시대 토기를 중심으로-

        김옥순,Lack,Andrew D,Abbott,David R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1 고문화 Vol.78 No.-

        고고학자들은 두 가지 큰 이유로 토기 기공률을 측정해왔다. 첫째는 제작기술의 정보를 규명하기 위해서, 둘째는 그릇의 사용과 관련된 기능에 접근하기 위해서이다.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토기에도 기공률이 적용되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서, 삼국시대 청도 성곡리 분묘ㆍ주거지 복합유적 토기편 19점에 대한 기공률을 측정해서 기종의 기능과 관련된 기공률과 기공률 조절에 대하여 시론적으로 접근해 보았다. 개, 고배, 대부완과 같은 소형토기, 대부장경호와 기대는 기공률이 아주 낮은 그룹에 속했다. 이것은 식기의 기능으로 단시간 음식물이 담기는 그 이상의 기능이 요구되지 않았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단경호, 대호와 같은 호류는 그룹이 다양하게 나타나, 고대의 도공들이 저장, 운반, 조리 등 다양한 그릇의 기능을 고려하여 기공률을 의도적으로 조절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고에서 한정된 양의 시료를 분석한 관계로 우리나라 토기의 기공률에 관해 충분하게 구명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본고에서 단지 시론적인 접근에 그쳤지만, 이 토기들이 제작하는 과정에 고도의 과학적인 기술이 적용되었을 가능성은 파악할 수 있었다. 앞으로 기종별, 부위별로 충분한 양의 시료에 대한 기공률이 측정되고, 그리고 앞으로 토기 태토 속의 보강재가 분석된다면, 고대 토기의 기능과 기공률의 조절 기술에 좀 더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Archaeologists have measured ceramic porosity for two fundamental reasons. The first is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technology involved in manufacturing the vessel, and the second is to discuss how porosity affects the function of a vessel. In this study, we have interest if potter was adopted the porosity for the function of vessel and how controlled the porosity if it was so. So, we analyzed tentatively about the porosity of 19 sherds collected in the Seonggok site of Cheongdo.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asuring of porosity, small size vessels such as lip, pedestal bowl, and pedestal long neck jar are distributed in lowest group. This means that the forms was no more than using with eating or serving vessels for short time. But jar or pot forms like short neck jar, big jar presume to be controlled in degree of porosity, because the porosity was indicated by various groups. In this study, amount of sample is not enough to identify an accurate aspect of porosity. But despite of tentative access in this study, we could check probability that ancient potter adopted high technic for the porosity in manufacturing of vessel. In the future, if enough amount samples is analyzed by forms and parts of pottery, temper, we can expect to access concretely to the function of a ancient pottery and control porosity in an ancient pottery.

      • 老子와 氣功

        박문현(Moon Hyun Park) 한국정신과학학회 2009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13 No.1

        도교에서는 노자를 太上老君으로 신격화하면서 〈노자〉서를 기공수련의 으뜸 되는 경전으로 여겼다. 노자 이전에도 기공에 관한 기록이 있지만 여기에는 철학적 기초가 없다. 노자는 우주생성론과 양생론을 氣를 매개로 하여 융합하였다. 만물은 모두 하나의 元氣로 부터 생겨 난 것이기에 원기를 조절함으로써 생명의 근원으로 되돌아가게 된다는 것이다. 〈노자〉서를 분석해보면 호흡법과 마음의 안정을 통해 노화를 방지하고 장생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기공수련 이론이 적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오늘날 기공수련이 육체의 수련에 치중해 있는 경향을 생각한다면 노자의 心身統一의 기공이론은 시사하는 바 크리라 생각한다. In Taoism, Lao-tzu was deified as 'Tai Shang Lao Jun(太上老君)' and the book Lao-tzu was regarded as a bible in practicing Qigong(氣功). There were recordings about Qigong(氣功) before Lao-tzu. However, those didn't include philosophical basis. In the book Lao-tzu, it contains many theories to practice Qigong(氣功) in order to attain longevity and anti-aging effect through breathing and a state of balance. Compare to the Qi(氣) practice today is lean to physical exercise, Lao-tzu's Qigong(氣功) theory of unification of mind and body is full of suggestions.

      • 건조조건 변화에 따른 미세기공층 내의 기공분포 변화가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

        전정환(Chun, Jeong Hwan),조동현(Jo, Dong Hyun),박기태(Park, Ki Tae),김성현(Kim, Sung Hyu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내의 기체확산층(GDL)은 셀 내의 물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다공성 기제(GDBL) 위에 미세기공층(MPL)을 코팅한 2층 구조의 기체확산층이 사용되는데, 이 미세기공층은 카본파우더와 테프론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촉매층에서 발생한 물을 셀 밖으로 빠르게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공분포를 갖는 미세기공층을 제조하여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미세기공층 슬러리내에 암모늄염 계열의 기공형성제를 혼합하여 다공성 기제 위에 코팅한 후 다양한 온도조건에서 건조함에 따라 기공분포가 다른 미세기공층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미세기공층의 물성은 수은기공도계, FE-SEM, 자체적으로 제조한 기체투과도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단위 전지 성능 측정은 두 개의 가습조건(RH100%, RH50%)에서 실시하였다. 기공분포 측정결과 건조온도가 높은 미세기공층은 건조온도가 낮은 미세기공층에 비해 직경이 1,000 - 20,000 nm 인 대공극(macropore)의 수가 많지만, 직경이 100 nm 이하의 미세공 (micropore)의 수가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전지성능 측정 결과 고가습 조건 (RH100%)에서는 미세공 (micropore)이 발달한 미세기공층을 포함한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경우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고, 저가습 조건 (RH50%)에서는 대공극 (macropore)이 발달한 미세기공층을 포함한 기체확산층을 사용한 경우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이는 물배출에 유리한 미세공 (micropore)의 성질과 원료 기체의 이동에 유리한 대공극(macropore)의 성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셀 운전 가습조건에 따라 최적화된 기공구조를 갖는 미세기공층을 사용함으로써 셀 운전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호접란 Queen Beer ‘Mantefon’의 열린 기공 단계, 기공 면적과 기공 너비에 따른 기공개폐 판정 기준

        김현진,송수정,박경섭,김윤진 한국화훼학회 2016 화훼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절대적 CAM 식물의 하나인 호접란 ‘Mantefon’ 을 대상으로 기공전도도에 따라 열린 기공 단계, 기공 면적과 너비를 바탕으로 기공개폐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성숙한 기공은 불규칙형 기공(anomocytic stomata)에 해당하였으며, 기공의 모양은 주로 타원형과 원형이 관찰되었다. 잎 뒷면 선 단 부위의 기공 수는 04:00와 16:00에 각각 1mm2 당 약 16.18, 15.98개로 관찰되었다. 기공을 포함한 공변세포의 너 비는 시간 대에 상관없이 약 12㎛로 측정되었다. 기공전도도 는 주간 12:00 ~ 18:00에 음의 값을 보이다가 야간 02:00 ~ 04:00에 0.006㎛olH2O·m-2·s-1까지 증가하였다. 04:00 이후 부터 기공전도도는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08:00에서 12:00 까지 -0.003 ~ 0㎛olH2O·m-2·s-1의 범위를 나타냈다. 24시 간 동안 기공전도도 패턴은 잎이 명기에서 암기로 이동하면 기공이 열리는 전형적인 CAM 식물을 반영하였다. 기공 면적 은 주간에는 14:00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약 20μm2을 나타 내다가 주간에서 야간으로 바뀌는 22:00 ~ 00:00에 약 52% 증 가하였다. 기공 너비는 주간에 대략 1.9 ~ 2.6μm 범위를 나 타냈으며, 야간이 시작되는 00:00에 기공의 너비가 약 71% 급증하였다. 열린 기공 단계에 따라 열린 기공 기준을 적용할 경우, 열린 기공의 패턴은 전형적인 CAM식물의 특성을 잘 반 영하지 않았으나, 잎의 기공 면적과 너비를 기준으로 할 때, 열린 기공의 패턴은 전형적인 CAM식물의 특성을 반영하였 다. 따라서 호접란 ‘Mantefon’에서 열린 기공 판정 기준은 기 공 면적 약 29μm2 이상, 기공 너비 약 3.3μm 이상으로 판단 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andard for opened stomata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states of the stomata, stomatal area, and stomatal width in a typical CAM plant, Doritaenopsis Queen Beer ‘Mantefon’. The mature stomata was anomocytic and its pore shape was in general elliptical or c ircular. The number of s tomata on abaxial side o f leaf tip was 16.18 and 15.98 per mm2 at 04:00 (dark) and 16:00 (light), respectively. The width of stomata and guard cells was about 12 ㎛, regardless o f the time. The s tomatal conductance was reduced below 0 ㎛olH2O·m-2·s-1 from 12:00 to 18:00 (light) and increased up to 0.006 ㎛olH2O·m-2·s-1 from 02:00 to 04:00 (dark). After 04:00 (dark), the stomatal conductance was sharply decreased. The pattern of stomatal conductance for 24 h reflected a typical CAM plant of which stomata usually open when leaves are transferred from light to darkness. During light-time, the stomatal area was approximately 20 ㎛ 2, except at 14:00, but it was increased by 52% from 22:00 (light) to 00:00 (dark). The stomatal width during light-time ranged from 1.9 to 2.6 ㎛, and it was increased by 71% at midnight (dark). From these results, the area and width of stomata were effective to determine the standard for opened stomata instead of their levels of stomatal opening. Therefore, the most possible standards for open stomata to nocturnal responses in Doritaenopsis Queen Beer ‘Mantefon’ would be determined as stomatal area or width over 29 ㎛ 2 or 3.3 ㎛, respectively.

      • KCI등재

        양극산화 용액 및 화학적 식각이 다공성 양극산화 알루미나 형태에 미치는 영향

        김진우,최기쁨,조삼연,부상돈 한국물리학회 2016 새물리 Vol.66 No.9

        We report here the effects of an anodizing solution and chemical etching on the shape of porous anodic alumina (PAA). PAA was synthesized by using a conventional anodization method for aluminum in two mixed solutions: (1) an oxalic acid and phosphoric acid mixture and (2) an oxalic acid and ethanol mixture. We prepared various samples of PAA anodized at various voltages from 40 to 120 V, various mixing ratios, and various etching times; then, we examined their pore morphologies. We found that the inter-pore distance of PAA grown in the oxalic acid and phosphoric acid solution could be controlled over a wide range from 192 nm to 282 nm. The fastest PAA growth rate of about 153.15 nm/min was found for the mixed anodizing solution of 95% oxalic acid and 5% ethanol. Also, the pore arrangement of PAA grown in the mixed solution of 90% oxalic acid and 10% ethanol was the best. The pore size, inter-pore distance, and pore arrangement of PAA can be controlled in various metal-oxide nanostructures. 본 연구에서는 옥살산 그리고 인산 혼합 용액, 옥살산 그리고 에탄올 혼합 용액의 두 가지 혼합 용액에서 2차 양극산화 방법으로 다공성 양극산화 알루미나 (porous anodic alumina, PAA)를 성공적으로 성장시켰다. 이 과정에서 양극산화 전압과 용액 혼합 비율이 PAA에서의 기공 크기, 기공 사이의 거리, 기공 정렬도 그리고 기공 성장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옥살산 그리고 인산 혼합 용액에서 성장된 PAA의 경우 기공 사이의 거리를 192 nm 에서부터 282 nm까지의 넓은 범위에서 조절하면서 성장시킬 수 있었다. 또한 5%의 에탄올이 들어 있는 옥살산 그리고 에탄올 혼합 용액에서 성장된 PAA가 가장 큰 성장속도, 약 153.15 nm/min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10%의 에탄올이 들어 있는 옥살산 그리고 에탄올 혼합 용액에서 성장된 PAA가 가장 좋은 기공 정렬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기공 크기 조절의 경우, 화학적 식각을 통해서 기공의 크기를 32 nm에서 64 nm까지 넓힐 수 있었다. 이러한 기공 크기, 기공 사이의 거리, 기공 정렬도 조절은 다양한 기능성 나노 구조물 제작에 있어서 주형틀로 사용되는 PAA 조절 기술로 사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미시역학적 유한요소 모델을 이용한 다공성 복합재료의 기공 탄성 인자 산출

        김성준 ( Sung Jun Kim ),한수연 ( Su Yeon Han ),신의섭 ( Eui Sup Shin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2 Composites research Vol.25 No.1

        본 논문에서는 다공성 복합재료의 열탄성 거동 예측을 위하여 미시역학적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기공 탄성 인자를 측정하였다. 먼저 기공 압력에 의한 복합재료의 응력 및 변형 상태를 기술하기 위해서 구성 방정식에 기공 탄성 인자를 도입하였다. 기공 탄성 인자의 산출에 필요한 기공 압력에 의한 팽창 변형도와 기공 형성에 따른 균질화 탄성 계수의 저하를 측정하였다. 기공의 형상, 크기, 배열 형태에 따른 이차원 대표 체적 요소의 모델링과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기공도, 재료 이방성이 기공 탄성 인자에 미치는 영향과 기공 압력에 따른 변형 에너지 밀도 분포를 살펴보았다. 또한, 측정된 기공 탄성 인자의 유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탄소/페놀릭 복합재료의 열탄성 거동을 예측하였다. In order to predict the thermoelastic behavior of porous composites, poroelastic parameters are measured by using micromechanics-based finite element models. The expanding deformation caused by pore pressure, and the degradation of homogenized elastic moduli with pores are calculated for the assessment of the poroelastic parameters. Various representative volume elements considering the shape, size, and array pattern of pores are modeled and analyzed by a finite element method. The effects of porosity and material anisotropy, and the distribution of stain energy density are investigated carefully. In addition, the measured poroelastic parameters are verified by predicting the thermo-pore-elastic behavior of carbon/phenolic composites.

      •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식물 실험 지도방법

        김경호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7 敎育論叢 Vol.54 No.1

        기공은 식물의 생명 활동 유지에 필수적인 구조이다. 이에 대한 현미경 관찰 결과는 여러 선 행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쉽게 기공 부위를 떼어낼 수 있는 네일 래커를 이 용한 방법으로 여러 종의 식물 기공을 준비한 후, 현장에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위상차 현미경 을 사용하여 여러 식물의 기공을 관찰하였다. 연구자는 초본과 목본의 기공 구조에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고, 식물의 서식지와 식물의 크기 차이에 따른 기공 구조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를 이용하여 식물을 분류하는 한 준거로 사용할 수 있 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연구 결과 식물의 기공 다양성은 매우 높아서 초본과 목본의 구분에는 사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잎의 면적이 넓은 식물의 기공은 다양한 모습으로 분포하는 반면, 침엽수의 경우에는 밀집된 기공 분포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많 은 식물의 기공 분포 형태 관련 자료를 모을 경우 기공 분포 형태와 식물 종간의 관계를 확인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러한 연구 과정과 결과는 자연 과학 실험에 익숙하지 않은 초 등교사나 예비 초등교사들의 과학 소양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의 특징인 단순한 준비자료와 간단한 실험 과정 그리고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기공 관찰 과정 등은 초등교사들이 교실 수업 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 1950년에서 2016년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기공관련 연구 동향

        이재흥(Jae Heung Lee),백지유(Ji You Beag),조민군(Min Gun Cho),정재훈(Jae Hun Jung),이은미(Eun Mi Lee),안훈모(Hun Mo Ahn) 대한의료기공학회 2018 醫療氣功 Vol.18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rends of “Gi-Gong" related studies from 1950 to 2016 and to help guide the research direction of Gigong study. Methods : The computerized Korean database was searched from 1950 to 2016. The search terms used were only Korean language terms such as ‘기, ‘기공’, ‘도인’, ‘명상’, ‘생체에너지', ‘수련’, '양생'. Results : 1. A total of 310,184 (155,565(1950~2007) + 13,705(2016) + 140,914(2008~2016)) studies were searched in this study. A total of 6,240 studies were finally selected as Gigong related studies. 2. I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Main Subject Categories(KCI;Korea Citation Index), the ‘Humanities’ was the largest with 2,686 studies and the ‘Marine Agriculture, Fishery’ was the least with 10 studies. 3. I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Middle Subject Categories(KCI;Korea Citation Index), the ‘Philosophy’ was the largest with 1,014(16.26%) studies. 4. A result of the Gigong Categories showed that the ‘Philosophy of Gi’ was the highest with 2,151(33.82%) not including duplication. 5. As a result of Research Method,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was ‘Analysis Research’ with 4,199(67.33%) studies. 6. In the author search, 'Kim Nak Pil' was searched 112 times and was the most.. 7. The journal that published the most relevant studies with Gigong was 『Conferenc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Jungshin Science』 (189), and the university that ha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Gigong was ‘Wonkwang University’(212). Conclusions : 1. The number of Gigong related studies had increased rapidly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00s, and reached to a peak in 2007 and has been gradually increasing since 2008. 2. The three major academic fields of Gigong related studies are Thought Field, Korean Medicine Field, and Kinesic Field. 3. In the Gigong related studies, the best authority is 'Kim Nak-pil' and the most active academy is the ‘Korean Society OF Jungshin Science’. 4. Although most categories of Gigong have been generally studied evenly, studies on External Gi Therapy and Taoist Sexual Practices are very insuffic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