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성의 형성 : 고통, 말할 수 없는 것: 역사적 기억에 대해 문학은 말할 수 있는가

        한순미 ( Soon Mi Han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5

        근대 이후 인간의 고통은 20세기 역사의 배면에 자리한 전체주의 적인 폭력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그것은 역사 속에서 “우리” 자체가 철저하게 파괴되었다는 사실이 주는 고통이다. 인간의 고통은 정치적, 윤리적, 인간적인 측면에서 조명되어야 할 복잡한 문제인 것이다. 이 글에서는 “역사적 기억에 대해 문학은 말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던지면서 60년대 모더니즘 문학을 대표하는 김승옥, 서정인, 이 청준의 소설에 들어있는 역사적 기억과 고통에 관한 단상(斷想)을 읽어 보았다. 이들의 소설은 각기 다른 빛깔과 목소리로 제주4·3항쟁, 여순사건, 한국전쟁, 4·19혁명과 5·16군사쿠데타, 유신체제 등 역사적 경험에 관한 기억을 쓰고 있다. 이들의 문학은 역사적 기억 속의 인간존재의 고통을 말함으로써 역사 속의 고통이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도대체 왜 우리는 거기에서 고통을 느껴야 했으며, 나아가 그것은 왜 지금까지도 반복되고 지속되는가라는 문제의식을 던지고 있다. 이들의 소설은 역사적 기억 중에서 “한 인간의 죽음”이라는 사건에 천착하면서, 살아 있으면서도 죽어 있는 자 혹은 죽어가는 자와 같은 반(半)인간들, 시체 혹은 유골상자와 같은 비(非)인간들을 통해 역사가 남긴 고통을 말한다. 그리고 역사적 사건 그 자체보다 역사적 경험 이후에 “남겨진 것”을 재해석하면서 “인간적인 것”을 둘러싼 모든 개념들에 대해 검토한다. 이들의 소설에서, 역사적 고통의 정점에 있는 70년대 유신체제의 상황은, 인간적인 모든 것을 빼앗긴 채 살아야 했던 사회, 현실인지 환상인지 가늠할 수 없는 “가위눌림”의 상태, 한번 들어가면 결코 살아 돌아오지 못한 “감옥”, 오직 죽은 자로서 살다가 시체로만 회수될 수 있는 “수용소”로 묘사된다. 즉 우리가 살아온 역사는 전체주의의 논리를 지배이념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파괴시키고 인간이라는 사실 자체를 “부끄럽게” 여기도록 강요해온 곳, 유토피아의 건설을 목표로 인간의 본성 자체를 바꾸어 결국 “쓸모없는 존재”로 만들어버리는 수용소와 같은 곳이었다. 그곳에서는 “인간”과 “인간 아닌 것”이 구별될 수 없었고, 오직 “인간 이라는 사실에 대한 부끄러움”을 안겨주었다. 이들의 문학이 우울한 어조로 역사를 말하고 파국으로 치닫는 미래를 그리고 있다고 해서 결코 허무적이거나 패배적인 것은 아니다. 이들의 소설에 등장하는 무력한 주인공들은 기본적인 요구조차도 허락되지 않은 역사적 상황 속에서 쓸모없어진 존재들이다[無用]. 그러나 이 무용한 존재가 할 수 있는 선택 중의 하나는 자기 안의 열정을 제거한 채 의도적으로 아무 것도 하지 않는 태도를 취하면서[無爲] 부정적인 역사의 흐름과 거리를 두고 그 이면의 어둠을 기록하는 일이다. 그것은 숱한 생명을 죽음으로 몰고 간 역사의 어두운 손길에 대한 “방법으로서의 거절”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들 소설가의 시선은 실증주의자의 눈이 아니라 해석학자의 눈에 가깝다. 그들의 눈은 과거의 역사적 기억과 비판적인 거리를 둔 채, 그것을 지금 여기에 놓인 세계의 현상과 끊임없이 겹쳐 읽음으로써 또 다른 가능성의 세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역사의 부정적 물결을 거슬러 나아가는 방법으로서의 무용(無用)과 무위(無爲) 사이에서, 이들의 문학은 역사적인 고통이 지금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언제나 되살아날 수 있다는 묵시적인 예언을 들려준다. 가장 약한 자의 시선과 가장 수동적인 몸짓으로 역사적 기억을 말하는 문학의 자리에서, 역사의 잔혹함과 인간의 고통이 점점 드러나고, 역사 바깥에서 아직도 머문 채 서성대는 익명의 사람들의 죽음이 되새겨진다. 바로 여기에 “약함”의 문학적 정치성이 들어 있다. 이들의 문학에서 역사적 기억을 말한다는 것은 구멍 뚫린 역사적 기록의 빈 곳을 채우면서 다시는 그와 같은 비극적인 폭력이 되풀이 되지 않아야 한다는 미래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까지를 포함한다. 즉 역사적 고통에 대해 이들의 문학이 말하고 있다면, 그것은 고통의 해결이나 제거가 아니라 고통을 주었던 부정적 역사와의 간격을 지탱 하면서 수많은 사람들의 고통이 변질되지 않도록 애쓰는 것, 그리고 그것을 다시 반복해서 겪지 않으려는 눈뜬 성찰이다. 문학은 고통의 크기가 커지면 커질수록 역사적 기억에 대해 말하는 것을 지속해야 할 충분한 이유를 갖는다. 이것이 가장 “사실”적이지 못한 문학(문학적 상상력)이 역사적 기억과 고통에 대해 말할 수 없음에도 말해온 것이며, 앞으로도 말해야 할 것이다. Ever since the modern era, pain of humankind has sustained undetachable tie with totalitarian violence which is spread over the background of the history overwhelmingly. The pain itself represents the agony which is derived from the acceptance of “ourselves” destructed thoroughly. For this reason the pain of humankind requires complicated consideration including political, ethical and human aspect in itself. In this study, the question regarding whether literature holds the capacity for historical memory leads profound examination on the historical memory and pain in the novels of those who represent modernism literature of 1960s, like Kim Seung-ok, Seo Jung-in and Lee Chung-jun. Their novels deal with the memory on historical sphere of the 4ㆍ3 Resistance in Jeju-Do, Yeo-sun incident, Korean war, April 19th revolution, May 16th coup d`etat and Yushin system. By describing the humankind``s pain within historical memory, their works ponder the issues on the origin and prevalent tendency and the reason why it is duplicated and persistent. Clinging to one`s death as a historical memory, the novels delineate the pain left behind the history, the dying and living, the half-being on the procedure of dying, or the non-being such as a dead body or one in an urn of funeral ashes. The remains rather than historic event itself is mainly the object of reinterpretation and all surroundings of human being as well. In these novels whole condition under Yushin system of 1970s, the apex of historical pain, is a mara experience which allows no distinction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and deprives all kind of humanness, a prison of no life time return and a camp which provides dead-alive condition and dead coming out eventually. In other words, the history we have gone through is a period that made us be ashamed of our human being by establishing totalitarian logic as a domineering notion which causes destruction of physical and mental status. Furthermore, it was like a camp that transforms human nature into useless existence in order to construct utopian society, wher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human and non-human available but shame at our being human. The pessimistic tone toward the future collapse does not necessarily incline to nihilism or defeatism though. The writers consistently meditate on history with indifferent stand point without any interest, desire and passion, as a method for an existence who is no longer useful in any aspect to survive the atmosphere where there is no human demand get accommodated. Located between the useless and the inert, these novels reveal the cruelty of history and reflect anonymous pain and death lied on the outside of historical territory. Here is the vulnerability as a literary politics. Successors of literature naturally inherit the reason of continuing to tell the historical memory as the pain get exacerbated. Though limited as the most unrealistic genre in debt of imagination, literature has kept saying about the pain and historical pain and should go on accordingly.

      • KCI등재

        삶의 진리를 성찰하는 해석학으로서의 철학상담

        노성숙(Nho, Soung Su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7

        본고는 가다머에게서 ‘고통의 해석학’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한국 청소년의 고통을 철학상담의 입장에서 이해해본다. 이를 위해 자살한 한 여중생 O양의 유서에 드러난 구체적인 삶의 진리를 집중적으로 성찰하고 해석한다. 이 유서는 한 청소년 개인이 삶에서 겪는 고통을 매우 구체적으로 담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의 교육현실을 개혁해야 한다는 절실한 사회적 전환의 큰 반향을 낳았던 범례에 해당한다. 우선적으로 Ⅱ장에서는 가다머의 고통에 대한 문제의식과 해석학적 입장을 살펴본다. 가다머의 사유를 따라 고통이 왜 삶의 진리를 성찰하는 데에 중요하며, 해석학은 과연 고통받는 인간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또한 고통을 해석학적으로 접근하여 이해한다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서 고찰한다. Ⅲ장에서는 이러한 ‘고통의 해석학’에 대한 주제를 한국 사회라는 콘텍스트와 연관하여 좀 더 구체화시켜서, 자살한 한 여중생 O양의 유서를 분석한다. 그리하여 그녀가 겪은 고통을 해석학적으로 접근해보고, 그녀의 고통 속에 드러난 삶의 진리를 철학상담의 입장에서 집중적으로 이해해 본다. 특히 O양의 유서를 ‘경쟁에서 이기는 공부’와 ‘순수한 공부’의 세계관, ‘조에’와 ‘비오스’의 인간관, ‘돈과 명예로 보장되는 이기적인 행복’과 ‘이웃을 배려하고 봉사하며 보람을 추구하는 행복’의 가치관으로 나누어서 비판적으로 분석해 본다. 나아가 Ⅳ장에서는 오늘날 대두된 철학상담이 이러한 고통의 해석학을 실천해나가고자 할 경우, 특히 O양과 같은 청소년들과 대화하기 위해서 어떠한 것들이 필요한지에 대해 숙고한다. 그리하여 앞으로 해석학적 실천으로서의 철학상담이 고통받는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진리를 좀 더 가까이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철학상담은 산파술로서의 대화를 통해서 청소년의 주체성을 공명하고, 그들의 청소년의 세계관, 인간관, 가치관을 철학적으로 해석하는 작업을 실천해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tarted with a critical analysis of the hermeneutics of suffering, as posited by Gadamer, and it sought to understand the suffering of Korean Adolescents from the aspec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Toward this end, this study intensively reflected on and analyzed the concrete truth of life revealed in the diary of a female middle school student, “O”, who committed suicide. This diary not only contains the highly specific suffering that a teenager went through in her personal life, it also represents a case that has aroused a significant, urgent social outcry to reform the reality of Korea’s educational system. First, Chapter 2 addressed Gadamer’s critical analysis of, and hermeneutical position on, suffering. Based on Gadamer’s reasoning, this chapter examined why suffering is important in reflecting on the truth of life, the meaning of the hermeneutics of suffering to human beings, and the definition of understanding suffering via a hermeneutical approach. Chapter 3 analyzed the diary of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 “O”, who committed suicide, by concretizing the theme regarding this “hermeneutics of suffering” by connecting it to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In doing so, this chapter approached her suffering hermeneutically and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truth of life revealed in her suffering. It analysed O’s diary critically by dividing it into views of the competitive world of study versus pure study, views of human beings of z?? versus bios, and the views of values of a selfish happiness marked by fame and money versus the pursuit of shared happiness through human concern and mutual reward. Furthermore, Chapter 4 examined the specific elements required in the field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 newly emerging area that seeks to apply the concept of the hermeneutics of suffering, in particular, to communicate with adolescents like “O”. It is hoped in the future that philosophical counseling as a hermeneutical practice will come to understand closer the concrete truth of life of sufferi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By doing so, it will resonate with their subjectivity by facilitating a dialogue much as a mid-wife, and practis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s of their views of the world, human beings and values.

      • KCI등재

        몸의 고통, 통증과 신비 사이에서

        최정화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4 철학논집 Vol.39 No.-

        몸의 고통이 없는 것을 행복이라고 여기는 우리 시대의 행복관을 비판적 으로 보고 상대화시키려는 의도에서, 본고는 서구 종교사상과 철학에서 몸의 고통 담론이 변화하는 것을 사상사적으로 추적해 보고자 한다. 서구 사상의 뿌리인 그리 스도교 사상과, 그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한 현대 철학에서 몸의 고통에 대한 의미 의 변화지점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고통 담론들을 다루어 본다. 구약 성경의 욥기와 중세 신비주의 사상가 하인리히 소이세(Heinrich Seuse)를 통 해서 그리스도교 전통 내에서 중세기에 들어가면서 고통이 종교적으로 긍정되는 현 상을 살펴보겠다. 그러한 그리스도교적 고통 담론에 대한 유보적 비판자로서의 프 리드리히 니체의 금욕주의적 고행에 대한 비판지점을 검토해 본다. 마지막으로 한 스 게오르그 가다머를 통해서 현대의 지성적인 고통 이해 방식을 모색해 본다. 고 통에 대한 정신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는, 몸을 미적이고 물질적인 대상으로 축소시 키는 현대의 몸 이해를 비판할 수 있는 이론적인 근거가 된다. 이러한 사고는 고통 의 치유 문제를 다룸에 있어 의학과 더불어 종교적 통찰과 철학적 사고가 어우러 져야 함을 의미하기도 한다. 몸의 고통을 치유할 때 단순히 통증을 없애는 것을 넘 어서서, 고통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문화적이나 실존적으로 해석할 수 있는 인간학 적 틀에서 접근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논문: 고통의 의미 -레비나스를 중심으로-

        박정호 ( Jeong Ho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1 시대와 철학 Vol.22 No.4

        본고는 고통의 의미를 레비나스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고통의 경험이 어떤 특징을 지니는지를 고독성, 수동성, 부정성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고통이 그 자체의 현상으로서는 쓸모없고 의미없음을 밝힌다. 이어 고통의 원인이나 고통이 봉사하는 어떤 목적에서 의미를 찾는 몇가지 관점을 다룬다. 고통을 신체적 위험에 대한 경고 체계, 죄에 대한 벌, 영혼의 성숙을 위한 시련, 더 큰 선을 위한 수단 등으로 보는 관점들인데, 이러한 의미부여의 설득력과 한계를 밝힌다. 다음에 고통을 보는 레비나스의 관점을 다룬다. 레비나스는 현상에 있어서의 고통의 무의미성을 인정하되, 과거의 원인이나 미래의 목적에서 의미를 찾을 것이 아니라 고통을 ``인간 상호간의 윤리적 전망``에서 볼 것을 요구한다. 이때 타자 안의 고통은 쓸모없지만 타자의 고통을 위한 내 안의 고통은 의미있는 것이 된다. 레비나스는 고통받는 타자를 ``얼굴``이라 부르며 이 얼굴과 조우하여 그에 대해 책임을 짊으로서 ``나``는 주체로 서게 된다고 한다. 이때 나는 타자를 책임지지만 타자의 책임은 그의 일일 뿐이어서, 나와 타자 사이에는 비대칭적 관계가 성립한다는 것이 레비나스의 시각이다. 끝으로 레비나스 시각의 의의와 문제점을 알아본다. ``타자``의 고통에 주목하는 레비나스의 시각은 고통의 이해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지만, 존재론적 기반 없이는 윤리적 당위에 그친다는 점에 문제가 있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meaning of suffering centering around Levinas` arguments. For this purpose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uffering experience in its solitude, passivity and negativity and I clarify that suffering in its phenomenality is useless and meaningless. Next I deal with some viewpoints which find the meaning of suffering from past causes or future purposes and clarify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viewpoints. And then we consider Levinas` standpoint on the meaning of suffering. He demands to view suffering from the interhuman perspective, that is to view it as meaningful in me and useless in the other. According to Levinas my suffering for the useless suffering of the other becomes meaningful. By the fact that I take the responsibility for the suffering of the other I became the subject. Levinas` viewpoint throw a new light on the meaning of suffering, but the deep ontological identity between the I and the other is required to base his ethical arguments.

      • 하나님은 선하시다면서 왜 고통을 주시는가 : 팀 켈러의 건강한 실천 원리를 적용한 설교 작성 연구

        조사무엘 개혁주의설교학회 2023 더 프리칭 Vol.4 No.-

        세상에 재앙이 닥칠 때, 사람들은 초월적 존재에 대하여 질문을 한다. ‘신은 있 는 것인가?’, ‘신이 있다면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인가?’ 그리고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사람들은 인문학을 통해 답을 내놓곤 하였다. 하지만 그 답들이 세상 사람들에게 진 정한 답을 주지 못하였고 사람들은 끊임없이 답을 찾아 헤매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 기독교가 답을 주어야 한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고통에 대하여, 고통을 통해서도 일하시는 하나님에 대해서 알려주어야 한다. 이 연구는 바로 그러한 목적 때문에 이루어 지게 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통을 겪는 사람들에게 ‘선하신 하나님’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하나님은 현재 우리의 삶 속에서 살아계신 분이시며, 지금도 우리와 함께 하시는 하나님 이시다. 이러한 점을 사람들에게 알리며 고통을 겪는 청중이 하나님을 만나고, 복음으로 새로운 힘을 얻게 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고통에 대한 세상 관점에 대하여 다룬다. 세상 사람들이 고통을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대한 언급을 먼저 한 후에 선하신 하나님께서 고통을 주신 다는 관점에 대한 언급을 하였다. 왜냐하면 처음부터 하나님에 대해 말하면 청중이 고통 에 대해 갖는 생각들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 다음으로 고통에 대한 부정적인 관 점과 하나님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을 다룬 후에 팀 켈러의 접근 방식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설교자가 실제적으로 설교할 수 있도록 예시를 보여 주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선하신 하나님에 초점을 맞춘다. 이 세상에 고통이 있어도 하나님은 선하신 분이시라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설교자는 고통을 겪는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선하신 하나님을 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When disaster strikes the world, people ask questions about the transcendent. Is there a God? If there is a God, why did this happen? And to answer these questions, people have turned to the humanities for answers. However, these answers have not given the world true answers, and people are constantly searching for answers. In this situation, our Christianity must provide answers. We need to tell people about the suffering that exists in the world and how God works even through suffer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do just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municate the good God to those who suffer. God is a God who is alive in our lives now and a God who is with us 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municate this to the suffering audience so that they can encounter God and be empowered by the Gospel. The research methodology first addresses the world's view of suffering. After mentioning how the world views suffering, the idea that a good God gives suffering is mentioned because if we talk about God first, we will not understand the audience's ideas about suffering. Then, after addressing the negative view of suffering and the negative view of God, he mentions Tim Keller's approach. Finally, examples are given to help preachers preach practically. In conclusion, this study focuses on God as good. It focuses on the fact that even though there is suffering in the world, God is good. Through this study, preachers will be able to effectively communicate a good God to a suffering audience.

      • KCI등재

        해방 이후 고통의 재현과 병리성 - 이청준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박숙자 ( Park Sook-ja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5 No.-

        이 연구에서는 이청준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고통’의 재현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청준 초기 소설 속에서 ‘고통’을 호소하는 인물은 ‘비정상’, ‘혐오’, ‘죄’의 프레임을 통해 그 고통이 외면, 차별, 억압된다. 그래서 고통 그 자체보다 고통의 프레임 때문에 소외가 가중된다고 보일 정도다. 이들은 대개 ‘비정상’으로 분류, 표상되면서 자기 고통에서조차 소외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 징후들이 ‘고통’과 ‘고통의 앎’이 길항, 억압, 전치하는 양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이청준 소설속에서 인물의 고통은 ‘6.25’로 시작해서 ‘5.16’으로 이어지는 역사 속에서 전짓불의 감시체제가 가족-군대-학교-사회에서 구조화되며 배태된 것이다. 고통은 바로 이 세계에서 감응된 실존적 위기의 감각이다. 그럼에도 ‘고통에 대한 앎’이 이들의 ‘고통’을 오인하거나 억압하면서 오히려 ‘전짓불’의 감시체제와 연동한다. 이청준의 소설 속에서 고통을 다룰 수 있는 말의 형식은 ‘소설’이다. 소설은 다른 ‘말’과 달리 고통을 드러낼 수 있는 있는 유일한 이야기 형식으로 다른 지식과 달리 고통 그 자체를 재현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Lee Cheong-jun’s early novels,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pain.” In Lee Cheong-jun’s novels, many characters often complain of pain; however, their pain is either ignored, discriminated against, or suppressed “abnormal,” “hateful,” or a “sin.” We can observe scenes where “pain” and “knowledge of pain” simultaneously compete against, suppress, and encroach on each other. In his novels, under contemporary history from “6.25” to “5.16,” the characters’ “pain” is structured and developed within the family-military-school-society in terms of panopticism and the “flashlight.” Their pain is existential and brings about social and collective absurdity. It is unsaid and unwritten, and therefore, their pain can neither be diagnosed and healed medically nor be suppressed through temporary comfort, discipline, or warning. Furthermore, knowledge of pain, which intervenes with pain, not only misunderstands or suppresses it but also combines with the surveillance/suppression system of the “flashlight.” Within Lee Cheong-jun’s novels, the only thing that can help deal with pain is a “novel.” The “novel” is presented in his works as the only form of storytelling that can deal with pain unlike other kinds of “words.” Unlike other types of knowledge, the “novel” is suggested as a genre that reproduces pain itself but does not overcome or manage it.

      • KCI등재후보

        고통의 철학과 심리학

        석봉래(Seok, Bongrae)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5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5

        이 논문에서 필자는 고통의 철학적 (존재론적) 본성과 심리학적 특징들을 논한다. 필자는 고통을 현상적 속성으로 규정하고 그 인지심리적 그리고 신경과학적 특징들이 어떤 철학적 함축을 가지는 지를 이 논문에서 고찰해 보았다. 첫째, 고통은 현상적 속성이다. 그 본질과 현상이 분명히 구분되는 물의 경우와 다르게 고통은 현상(고통의 지각이나 경험)이 그 본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속성이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고통의 심리학이 고통에 관한 철학적 (존재론적 혹은 본성적) 논의에서 중요하게 된다. 둘째, 고통에는 통증과 아픔이라는 부분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전혀 다른 과정들이 있다. 셋째, 타인의 고통을 지각하는 방식은 계산적 정보 처리의 지각과정이 아니라 체화된 공감의 시뮬레이션 과정이다. 이러한 공감 과정은 사회적 인지와 도덕적 동기화(공감과 배려의 동기)와도 밀접하게 연결된다. 이 논문의 후반부에서는 이러한 고통의 본성과 고통의 지각에 관한 철학적, 인지과학적 논의를 바탕으로 두 가지 실천적 함의가 논의된다. 첫째, 타인의 고통에 대한 체화된 공감 과정은 도덕 발달과 도덕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둘째, 고통의 본성을 잘 이해하는 것은 고통에 관한 사회 문화적 특징들이나 형법이나 배상적 정의에 관련된 정책을 이해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In this paper, I will discuss pain’s ontological nature and psychological features. First, pain is a phenomenological property. Pain experience or pain perception is intrinsically related to the essential nature of pain. For this reason, psychology of pain is critically linked to philosophical discussion of pain. Second, pain has two dimensions: feeling pain (pain sensation) and having pain (pain emotion) are two overlapping and interacting yet psychologically distinct and dissociable processes. Third, perception of others’ pain, according many studies in psychology and neuroscience, includes the embodied empathic processes of social and moral cognition. Pain is not a simple sensory process of bodily injury or damag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pain include embodied simulation, social and moral cognition. Based on my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analysis of pain, I will also discuss the two following points. Embodied and empathic processes of pain play important roles in moral development and moral education. Understanding psychological and phenomenological nature of pain can help us develop or modify legal and social policies, particularly policies regarding punishment and criminal justice.

      • KCI등재

        ‘고통’의 무대화에 대한 재고(再考) -연극 <장기자랑> 분석을 중심으로

        서나영 ( Suh¸ Nayoung )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8

        타자의 고통을 무대화 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자신의 고통 혹은 타자의 고통에 대한 무대화는 고통의 순간을 무대로 소환하여 슬픔, 분노, 절망과 같은 감정을 다시 불러일으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로 ‘스토리텔링’을 담당하는 영화나 연극에서는 타인의 고통을 전격적으로 작품의 소재나 주제로 잡는 일이 빈번하다. 전쟁, 학살, 폭력, 사회적 재난 등 역사에 실재했던 비극적 사건이 무대화 되는 것은 결국 무대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이나 그것을 관람하는 사람들 모두가 비극적 상황 속에서도 서로 소통하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그것이 애도의 몸짓이든 정치적 구호이든 치유의 장치이든 사회적 사건에 대한 고통을 사적영역에서 꺼내와 공적 영역에서 함께 다루고 싶은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고통을 무대화 한다는 것은 여러 사람들에게서 나오는 다양한 방식의 증언을 통해 어떠한 사건을 기억하고, 또한 그 무대를 경험한 관객들에게 감정, 정서, 사고(思考), 행동 등을 유발하려는 의도가 전제된다. 이 글에서는 모든 위험과 불안함을 끌어안고도 증언 불가능, 재현 불가능의 사건을 굳이 무대에 올리는 시도들이 이뤄내는 소통의 형식들을 살펴봄으로 인해 고통을 무대화하는 과정을 재고하고자 한다. 특히 세월호 사건이라는 우리 사회의 집단적 경험과 연결된 무대를 통해 타인의 고통 혹은 사회 구성원의 비극적 기억을 무대화하는 것에 대한 의미-그런 무대화들이 이뤄낸 것들, 혹은 그렇지 못한 것들-를 고찰하는 것은 연극이 타인의 고통을 다룰 때 할 수 있는 것과 해야만 하는 것, 그리고 해서는 안 될 것들까지 정리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4.16 가족극단 노란리본’의 <장기자랑>은 유가족 배우들을 통해 그들이 고통과 그것을 지켜보는 관객의 고통을 섬세하고 안전하게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을 살펴보며 고통을 다루는 연극이 관객과 할 수 있는, 혹은 해야만 하는 소통의 전략을 살펴본다. What does it mean to stage the suffering of others? The stageing of one’s own pain or other's pain summons the moment of suffering to the stage, rekindling emotions such as sadness, anger, and despair. Tragic events that have existed in history, such as war, slaughter, violence, and social disasters, will be staged because everyone who makes the stage and everyone who watches it want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ragic situations. Therefore, most stage is based on the intention of remembering an event through testimony in various ways from various people, and also causing emotions, thoughts, and actions to audiences who have experienced the stage.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reconsider the process of staging suffering by analyzing the forms of communication made by attempts to staging suffering of others. Especially, I will focus on the strategies of communication through < Talent Show > that a play dealing with suffering.

      • KCI등재후보

        고통에 대해 어떻게 말할 것인가?

        김선희(Kim, Sun-Hie)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5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4

        이 논문의 주제는 고통에 대해 올바르게 말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무고한 자의 고통이나 의로운 자가 당하는 고통을 생각할 때, 우리는 고통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부조리한 인간의 고통에 대해 우리는 어떻게 말해야 하는가? 또한 우리는 타인의 고통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자신의 고통에 대해 어떻게 말해야 하며,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가? 나아가 오늘날 불의한 고통을 호소하며 철학 상담소를 찾아온 내담자와 어떻게 대화할 수 있을까? 그런 내담자를 위해 철학 상담은 무엇을 할 수 있으며, 어떻게 위안을 줄 수 있는가? 이 글에서 나는 의로운 자의 고통을 상징하는 욥의 발화를 분석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고통에 대해 올바로 말하는 방식에 관해 논의할 것이다. 성서의 욥기에서 출발하되 고통에 대해 올바로 말할 수 있을 때 유신론자와 무신론자 사이에 열리는 대화의 가능성을 타진할 것이다. 또한 철학은 고통 받는 이에게 어떻게 위안을 줄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철학이 주는 위안의 성격이 무엇인지 논의할 것이다. 나아가 신학과 철학 텍스트 간에 사유의 상호교차 가능성을 탐색함으로써, 유신론자든 무신론자든 오늘날 무고한 고통을 호소하며 철학 상담소를 찾는 내담자를 위해 철학은 고통의 문제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 discuss the way we should talk about the unjust suffering. My question is based on Job text of the Old Testament that deals with the problem of unjust pain. How should we deal with the problem of unjust pain? How should we say about the irrational, unreasonable, and unjust suffering? If we consider the unjust suffering like Job"s, the way we talk about the pain should be changed. It is not the question of justifying the existence of evil and unjust suffering, but the question concerning the healing and consolation for sufferers. We should shift our concern from theoretical questions regarding the justification of human suffering to practical questions regarding consolation of human suffering. Furthermore, I discuss how philosophy could comfort for clients which lament over their unjust sufferings, and what the nature of philosophical consolation is. Then I try to explore how to comfort innocent sufferers which visit philosophical counselor in these days.

      • KCI등재

        인간의 고통과 치유의 하느님

        김선희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3 철학논집 Vol.35 No.-

        이 논문은 무고한 자의 고통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구약의 &lceil;욥기&rceil; 텍스트를 토대로 하여 인간의 고통의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논의한다. 욥처럼 죄 없는 무고한 자의 고통을 생각한다면 인간의 고통이나 악의 문제에 대한 물음은 달리 제기되어야 한다. 그것은 고통이나 악의 존재이유를 정당화하기 위한 물음이 아니라, 고통 받는 자를 진정으로 위로하거나 치유하기 위한 물음이어야 한다. 이는 인간의 고통과 악을 정당화 하거나 설명하려는 이론적 물음으로부터 인간의 고통과 상처에 대하여 어떻게 공감하고 위로하며 치유할 것인지 하는 실천적 물음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나아가 현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고통과 타인의 고통을 치유하기 위하여 고통 안에서 새로운 하느님의 상을 묵상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인간의 고통을 단죄하는 윤리적 신이 아니라, 인간의 고통을 위로하는 치유자로서의 하느님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 요청된다. 필자는 구약의 욥기에서 시작하여 성서 안에서 치유자로서의 하느님의 모습을 추적하면서 고통의 치유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성서에 나타나 있는 위로와 치유의 하느님 모습을 통하여, 오늘날 인간의 고통을 치유하는 프랙티스 과정에서 어떤 메시지를 읽고 실천해야 하는지 논의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