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북아시아 ‘기로(棄老) 설화’의 영화적 재현 : <고려장>과 <나라야마 부시코>를 중심으로

        이윤종 ( Lee Yun-j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5 No.-

        ‘노인을 버린다’는 뜻의 ‘기로(棄老)’는 인도를 비롯해 중국과 한국, 일본의 고대 문헌은 물론이고 설화를 통해 과거 동북아시아에 존재했을지도 모르는 독특한 풍습으로 전해지고 있다. 기로 풍습은 한반도에서는 ‘고려장(高麗葬)’ 설화로 일본에서는 ‘오바스테(姨捨)산의 전설’이라는 민담 형태로 구전되어 왔고, 한국과 일본의 기로 설화의 이야기 구조에서 주목할 점은 두 나라의 설화 모두 공통적으로 기로라는 ‘악습’의 폐지로 내용이 귀결된다는 것이다. 기로 설화는 한국에서는 김기영 감독에 의해 <고려장>(1963)으로, 일본에서는 키노시타 케이스케와 이마무라 쇼헤이에 의해 <나라야마 부시코>(楢山節考, 1958&1982)로 영화화되었다. <나라야마 부시코>는 오바스테산의 전설을 윤색해 창작된 후카자와 시치로(深澤七郞)의 1956년 소설, 『나라야마 부시코』(楢山節考)를 영화화한 것이기도 하다. 세 편의 영화는 모두 마을의 안녕과 평온을 위해 기로 풍습을 행하는 모자(母子)의 모습을 그리고 있지만, <고려장>에서는 아들에 의해 기로 제도가 폐지된다. 본고는 기로 설화를 영화적으로 재현하고 있는 <고려장>과 두 편의 <나라야마 부시코>를 비교분석해 봄으로써 한국과 일본이라는 두 동북아시아 국가의 기로 설화의 문화적 변용에 대한 비교연구를 하고자 한다. Kiro, which means abandonment of the elderly, is a unique custom that may have existed in Northeast Asia, transferred through each country's folktales as well as ancient documents of India, China, Korea, and Japan. Kiro folktales have forms of Koryeojang folklores in Korea, and the Legend of Mount Obasete in Japan, of which narrative structure all ends with abolition of the “evil” custom. The folktales of Kiro were filmed as Koryeojang by Kim Ki-young in South Korea in 1963, and in Japan by Kinoshita Keisuke and Imamura Shohei in the films, The Ballad of Narayama (1958 and 1982). The Ballad of Narayama is based on the 1956 novel of the same title, written by Fukasawa Shichiro, who recreated the legend of Obasute mountain. All three films depict the relationship between an elderly mother and her middle-age son, who practice Kiro customs for peace and well-being of their villages. In Koryeojang, however, the Kiro system is abolished by the son. In this paper, I will comparatively analyze Koryeojang with the two films, The Ballad of Narayama in relation with Kiro folktales and explore the cultural transformation of storytellings of two Northeast Asian nations, Korea and Japan.

      • KCI등재후보

        조선족설화의 변이와 중국의 성격 고찰 -한(韓),중(中) 대결(對決) 이야기를 중심으로-

        임철호 ( Cheol Ho L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3

        본 연구는 조선족설화에서 변이된 중국의 성격과 변이의 요인 및 의미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조선족설화에 변이되어 있는 중국의 성격을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같은 유형의 이야기가 한국설화로도 전승되는 고려장설화와 아지설화, 이성계와 주원장설화, 누르하치설화, 임진왜란설화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설화에서 중국은 언제나 가해자인 동시에, 우리민족의 적대자로 설정된다. 한국설화에서 우리민족은 중국의 가해 행위에 맞서 승리하는데, 중국과의 대결에서 승리하는 우리민족은 지배집단과 기성세대로부터 소외당한 천민, 노인, 여성, 아이 등이다. 한국설화는 이러한 전개를 통하여 우리민족의 대변자는 무능한 지배집단이 아니라 민중이어야 한다는 민중주체 민족의식을 표출하고 있다. 조선족설화에는 한국설화와는 달리 중국의 성격이 분명하게 제시되지 않는다. 중국이 부정적으로 설정되거나 민족적 대결이 전개되는 이야기에는 ‘이웃 나라’, ‘북녘의 나라’ 등으로 지칭되거나, ‘일본’으로 변이된 경우도 있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과의 직접적인 대결을 피하려는 조선족의 민족적 한계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설화에서 부정적인 성격으로 등장하는 주원장, 이여송, 누르하치 등도 조선족설화에는 긍정적인 성격으로 변이되어 있다. 중국과의 직접적인 대결을 내용으로 하는 설화는 개인적인 대결로 축소되거나 민족적 적대감이 개입되지 않은 우호적인 선의의 대결로 변이되어 있다. 한국설화에서 이성계는 민중의 적대자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조선족설화에서 이성계는 능력도 없으면서 감히 중원을 꿈꾸는 분수를 모르는 인물로 변이되어 있다. 조선족설화에서 이성계는 주원장에게 패한 인물인 동시에 개국공신인 정도전과 왕위를 다투는 왜소한 인물로 되어 있다. 이성계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주원장을 영웅화시키기 위한 배려로 보인다. 이로 인해 조선은 주원장에게 패한 이성계도 통치할 수 있는 나라가 된다. 이성계에 대한 이러한 인식은 조선족설화에 일관되게 흐르는 조선왕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관련이 있다. 조선족설화에는 임진왜란과 관련되는 설화가 거의 없다. 한국의 임진왜란설화에는 일본보다 중국과 관련되는 이야기가 훨씬 더 많다. 이는 임진왜란을 통해서 제기되었던 중국의 행패와 이로 인한 민족적 갈등 때문이다. 중국의 국민인 조선족으로서는 이러한 내용의 임진왜란설화를 전승시키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한국설화에서 이여송으로 대변되는 중국과의 대결과 승리의식이 가장 잘 표출되어 있는 설화는 이여송의 단맥과 봉욕 이야기이다. 그런데 조선족설화에는 이 이야기가 정체를 알 수 없는 호국 장수가 임경업 부자에게 욕을 당하는 이야기로 변이되어 있다. 조선족설화에서 변이된 중국의 성격은 조선족이 처한 현실적인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중국이 소수민족의 민족의식에 민감하게 대처하고, 엄격하게 통제하는 사회주의 정책을 펴고 있는 것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조선족설화에 한국인으로서의 민족의식이 사라진 것은 아니다. 조선족설화에서 중국과 맞서 승리하는 조선족은 “흰 옷 입은 사람”, “백두산 총각” 등으로 상징화되어 있다. 조선족설화의 이러한 현상은 분명 한국인이면서도 중국 땅에서 중국 국민의 일부로 살아야 하는 현실적 한계에서 비롯된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China in the folk tales of Chosunjok. It, therefore, checks the way Korea response to China's behavior and how the confront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is developed. In the e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olk tales of Korea and those of Chosunjok in treating China's behavior will be disclosed. In the folk tales of Korea, China's role is always fixed as both an assailant and a national enemy of Korea. The Korean face boldly and defeat the China's harmful act. The Korean who win a victory in the confrontation with China are the populace alienated from the ruling class. The folk tales of Korea severely criticize the inability of the ruling class by way of story development system like this. In the folk tales of Chosunjok, the character of China is not described as clearly as in the folk tales of Korea. When China is set negatively in the folk tales of Chosunjok, it is called as neighboring country or the country in the north, and sometimes the name of country doesn't appear at all. This kind of technique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national limitation of Chosunjok who want to avoid the direct confrontation of China and Korea. The persons who are described negatively in the folk tales of Korea such as Zhu Yuan Zhang, Li Ru Song, and Ruerhachi are described affirmatively in the folk tales of Chosunjok. When Korea confronts China directly, they try not to insert national feelings but to show a friendly competition. This phenomenon in the folk tales of Chosunjok seems to originate from the historical situation of Chosunjok in China. This seems also to be related with the socialist policy of China which shows a sensitive reaction to and controls severely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minor peoples. We find the Korean keep the national consciousness in the folk tales of Chosunjok, though it is implicit. The Korean are symbolized as people who wear white clothes. We can conclude that this phenomenon shows the national limitation of Chosunjok who have to live as citizens of China under the ideological control.

      • KCI우수등재

        <고려장이 없어진 유래> 설화의 재해석과 인문학적 성찰

        정규식(Chung, Ku-sik)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7

        본고의 목적은 <고려장이 없어진 유래> 설화 가운데 ‘문제형’을 대상으로 작품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여 이를 바탕으로 인문학적 가치에 대한 성찰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설화의 심층에는 생명, 폭력, 공동체, 노인, 지식, 대화 등과 같은 인문학적 가치와 연관되는 중요한 개념어들이 내재되어 있다. 이 설화에는 고려장이라는 제도적 폭력으로 희생당한 노인이 대국에 의한 문제풀이라는 상황적 폭력의 희생자인 국가를 도와줌으로써 국가 공동체와 국가간 공동체의 유지를 이끌었고 그 결과 제도적 폭력인 고려장이 폐지되어 가족 공동체도 유지되는 과정이 서사화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에는 생명에 대한 존중과 반폭력, 그리고 통섭적 지식과 소통적 대화가 위치한다. 우리는 이 설화를 통해, 어떤 폭력이 사람의 생명과 국가의 생존을 위협하여, 공동체가 해체될 위기를 맞았을 때는 통섭적 지식과 소통적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성찰할 수 있으며 또한 삶의 경험이 풍부한 노년의 생명을 존중하는 것이 공동체의 지속과 발전에 얼마나 중요한가를 깊이 있게 성찰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fferently reinterpret "problem-type" of <the motivation of abolishing Goryeojang>, reflecting the humanistic values of those tales. Deeply implied in the tales include important constructs associated with humanistic values, for example, life, violence, community, knowledge and conversation. In the tales, old people who were the victims of an institutional violence called Goryeojang help the state as the victim of a situational violence go through challenges related to another power, contributing to maintaining national and international communities and ultimately to abolishing Goryeojang and maintaining family communities. Underlying all these moves are respect for life, anti-violence, consilient knowledge and communicative conversation. In conclusion, the folk tale surveyed here deeply suggests how much consilient knowledge and communicative conversation are important to removing the crisis of community collapse caused by violence"s threat to the life of people and survival of the state and how much important respect for the life of old people who have had lots of experiences in life are to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communities.

      • KCI등재

        ‘황희 정승 납거미 유언’ 설화 고찰

        황인덕 ( In-deok Hwa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학연구 Vol.57 No.1

        알려져 있듯 황희는 정승을 지낸 조선 초기 명인의 한 사람이다. 다수일반인들에게 그는 주로 ‘황희 황정승’으로 이름과 직위가 병칭되어 불리어오곤 했는데, 이는 그의 이름이 오래 전에 이미 애칭화되어 후대까지 널리 불려왔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역대 정승을 거친 수많은 훌륭한 인물가운데, 그 직위에 요구되는 역할을 가장 충실하게 실현함으로써 그 존재가 거의 ‘정승’의 대명사처럼 기억되어온 결과라 하겠다. 황정승이 조선조전 시대를 대표하는 명 정승으로 알려져온 것에 부합하여, 그에 대하여 구전되어온 설화 또한 그 폭과 깊이가 넓고 깊게 실현되고 있다. 한 인물이 남긴 설화가 대략 주인공이 지닌 인품, 생애, 시대, 업적 등의 조건에 비례한다면, 황정승이 남긴 설화의 다양성도 대략 그러한 조건들이 예사인물과는 다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위 인물에 대하여 <공작이도 납거미를 먹고 살랴>라는 하나의 유형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 설화의 유형은 크게는 하나, 작게는 세개의 유형으로 나뉘고 있다. 둘째, 위 설화가 형성된 화소의 원천은 ‘고려장 설화’와 ‘공작이도 납거미를 먹고 살랴’라는 전래 속담이며, 이 두 가지 요소가 하필 황정승을 대상 인물로 하여 새로운 설화를 이룬 것은 나말여초 중국과 조선의 국제관계와 그 속에서 황정승이 수행한 역할과 위상이 반영된 결과이다. 셋째, 설화를 통한 인물 형상의 특징은 청렴상을 통한 민담성의 강화에 있으며, 특히 비범한 능력을 발휘하여 청렴을 실천하는 인물상의 구현은 황정승의 투철한 애민정신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넷째, 황정승 설화는 여말 선초를 지나 조선 초기 국운 상승기의 인물담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며, 그로 인하여 설화 속의 인물상이 한결같이 긍정적인 모습으로만 나타난다. As we all know, Hwang Hee was a renowned minister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fact that he has been mainly called both by name and position as ‘the minister Hwang’ means he was already given a nickname a long time ago. He has been remembered as a representative of ministers existed in the history as he carried out his duties the most faithfully among the numbers of past outstanding ministers in the country. In accordance with his reputation as a devoted minister throughout the whole dynasty of Joseon, his fictional image was embodied with great wide and depth. If the tales Hwang Hee left behind depended on the conditions such as his personality, his life, the period and his achievement, a variety of his tales would seem to approximately result from those different conditions from those of others. This paper concentrates on his tale < Apeacocklivesonflatspiders > only. The contents are as below. First, the above-mentioned tale might be broadly divided into a type, or into three types in detail. Second, a subject matter of this tale is derived from folk tales about ‘Goryeojang’ and ‘A peacock lives on flat spiders’. A new tale about Hwang Hee which has been invented reflects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of Joseon with China, and the role and position he played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ird, a characteristic of the hero in the tale depends on the strengthening his integrity, which displays Hwang Hee’s strong love for the people by showing his exceptional ability to perform for them. Fourth, the tale of Hwang Hee represents a tale of the great man in the history when the country was in the ascendant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from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Therefore, he was displayed as a positive character in the tales.

      • KCI등재

        노화의 공포와 공생 지향의 상상력 -구비설화 ‘고려장이 없어진 유래’(436-11유형)를 중심으로-

        최기숙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29 No.-

        This paper analyzed a type of Korean folk tales, ‘The Motivation of Abolishing Goryeojang (an imagined custom which is dropped out the aged person in the mountain to be died)’, a folklore type No.436-11 collected in Hankuk Gubimunhak Daegye, focusing on the fear of the aged’s and their hopeful imagination toward the symbiotic society.; How the story was made a reasonable and persuasive clue for symbiotic life with the aged? Why the society members should take care of the aged?In pre-researches, this type folk tales were divided into two sub-categories as like ‘quiz-type’ and ‘jige(a Korean A-frame carrier)-type’ focusing on the topic of filial duty. However this research newly divided these into four sub-categories including two typies like ‘affection-type’ which was emphasized the changeless maternity regardless of undutiful child and ‘self-help type’ which was dealt with the social independence of the aged parents focusing on the reason of the social survival of aged persons and on their social demand for caring and its cultural/literary meanings. First, the types of ‘quiz’ and ‘self-help’ were reflected on their social need to get a reasonable social membership through proving their social value and potentiality. Second, the type of ‘jige’ persued the reflective orientation which was surpassing the concept of usefulness. Third, the type of ‘affection’ showed the affective influence to the child-generation. All these types reflected anxiety and fear for aging of all social members regardless of age. However the fact that the biggest group was the ‘quiz-type showed that the aged generation desired to prove their social value through getting recognition about their wisdom, experience and knowledge, etc. Because most narrators of the folklore were aged people (over 64% of them were 60~90 years of age), it can be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aged wish to get a social membership in their community through being recognized as useful and affective persons. But the behind of these dimensions, this type stories were reflected their instable social position and their psychological stress because they should prove their value of existence anytime. The type of ’jige’ was reflected their psychological demand, as it were, they desired to be recognized as general respectable human-beings from the society rather than regarded as only aged persons who should be cared as the weak persons. Finally this research suggested the ground of social discourse;what is the reasonable perspective and practical attitude of the contemporary people who are living in this (super-aged) aging society toward the ‘aging’. 이 논문은 『한국구비문학대계』의 ‘고려장이 없어진 유래(436-11)’ 유형을 대상으로 ‘쓸모없는 존재’가 되어 언제든 버려질 수 있다는 노인의 공포와 위기의식이 어떻게 이야기 형식으로 재현되어 공감대를 형성했는지, 그리고 노인 스스로 자신의 사회적 존재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어떠한 설득의 방법을 모색했는지를 분석했다. 선행 연구에서 해당 유형의 하위 범주는 ‘문제형’과 ‘지게형’으로 분류되었는데, 이 논문에서는 부모의 자애에 감동한 아들이 불효를 거두는 ‘자애형’과 노인 부모의 사회적 독립을 강조한 ‘자립형’을 포함한 네가지 범주로 유형화하여, 노인의 사회적 생존을 위한 설득의 방법과 공생 지향의 성찰적 상상력을 분석했다. ‘문제형’과 ‘자립형’이 노인의 쓸모와 능력을 입증하는 방식으로,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자격 기준을 제시한 사회적 기대에 부응한 것이라면, ‘지게형’은 ‘쓸모’라는 가치 기준을 넘어선 성찰적 지향을 추구했다는 점에서, ‘자애형’은 정서적 감응을 인간적 삶의 가능성으로 상정했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네 가지 대응 방식은 노인과 노화를 바라보는 사회 구성원의 공포와 불안을 반영하지만, 가장 큰 양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문제형’이라는 것은 지혜와 경험, 지식 등 노인의 ‘쓸모’를 입증하는 방식으로 노인의 문화적 위치가 확보되는 과정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우세하게 작동했음을 의미한다. 설화 구연자의 대부분이 노인층(60~97세. 64%)인 것을 고려하면, 이는 노인 자신이 사회에 쓸모있는 존재로 인정받고 싶다는 사회적 인정 욕구를 표출한 결과로 해석할 여지가 충분하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언제든 사회적 가치를 입증해야만 사회적 존재로서의 문화적 위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생존의 스트레스가 반영되어 있다. ‘지게형’에는 노년층 부모가 자식에 대한 무조건적인 효를 기대하기보다는 자신들을 보편적인 인간 존재로 바라보고 존중해주기를 기대하는 심리적 요구가 투영되어 있었다. 이 설화 유형은 ‘장유유서’나 ‘효’라는 윤리적 차원이 아니라, 누구나 늙는다는 생물학적 자연을 인정하는 방향에서 ‘공생’과 ‘돌봄’의 문화가 필요하다는 요청을 담고 있었다. 고려장이 폐기되는 맥락에 대한 서사적 상상력은 자녀의 부모에 대한 효도라는 윤리적이고 이념적인 차원을 강조하기보다는, 노인(가족)과 공생해야 하는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지점을 모색하고, 인간은 언젠가 모두 노인이 된다는 자기성찰성의 문제를 형성했다는 특징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전근대 동아시아의 연령차별주의: 일본과 한국의 엇갈린 불교 기로 우화의 궤적

        ( Sem Vermeersch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1 종교문화비평 Vol.39 No.39

        본 논문은 불교 우화 <기로국>이 고대에서 현대까지 일본과 한국에서 전승되는 과정을 비교·분석하여 전근대 한국의 노인차별주의의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조선시대에 유교는 지배적 이데올로기였기 때문에 효는 신성불가침의 가치였다. 효의 보편적인 영향 때문에 부모를 해치는 행위는 상상조차 불가능했다. 다만 폭력까지 일으킬 수 있는 세대 간의 갈등은 인간사회의 보편적 현상으로서 고려나 조선시대에도 존재했지만 (《고려사》나 《실록》에서 수많은 부모 살해 사건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감정이 기록으로 남은 사례는 없었다. 한국의 경우와 반대로, 일본에서는 이런 감정을 조금 더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었다. 노화된 신체가 부정(不淨)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노인은 사회에서 배제되었다. 이들은 특히 의례공간에 진입할 수 없었고, 심지어 노년출가를 통하여 가족과 분리되었다. 다만 중세 일본에 노년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었다. 오히려 숭배와 혐오 사이의 “애매한 영역”을 차지하였다. 일본의 기로국 우화에서는 아들이 어머니를 버린 다음에 후회를 하고 다시 찾거나 아니면 천벌을 받는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나라야마 부시코”란 소설과 영화에서 기로국 이야기가 되살아 나면서 이런 종교적 성격의 응징은 사라진다. 소설가나 감독이 상상한 고대 사회는 야만적이고 무자비하다. 그래서 이들은 70세 되면 무조건 산에서 버려야 된다고 줄거리를 새로만 들었다. 어떤 이유 때문에 이렇게 잔인하게 묘사되는지 그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이런 혁신 덕분에 기로국 이야기의 폭력적인 기원이 다시 부각되며 노인 독자의 입장에서 이 이야기를 새롭게 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일본 사회의 연령주의를 분석한 결과를 한국 사회에 적용하면 노인차별의 양상을 새롭게 바라보는 관점을 얻을 수 있다. 우선 중세 일본과 마찬가지로 고려시대에도 병든 사람이나 노인을 격리하는 관습이 확인되며, 이것은 노인차별의 결과로 재해석할 수 있다. 둘째로, 일본의 오바스테 서술에서 특히 노년여성은 혐오와 배제의 대상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조선시대 여성―특히 미망인의 경우―의 사회적 배제 또는 자살 권유도 노년차별 통해 해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20세기에 전승된 고려장 민담을 분석하여 노년 서술자가 버려지는 두려움을 “생매”(生埋)로 표현하는 것을 여기서 처음 확인하였다. 20세기 초반에 “고려장”을 “생매”라고 생각했던 것은 조선 시대부터 시작된 고려시대 장례식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서 비롯됐을 수 있다.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how the Buddhist parable of “The Country that discards the elderly” has been transmitted in Japan and Korea up to the modern period, this article attempts to shed new light on the issue of ageism in premodern Korean society. Given the dominance of Confucianism as the exclusive ideology in the Joseon dynasty, the concept of hyo has been upheld as sacrosanct. Virtually enshrining parents as inviolable, the discourse of filial piety has prevented people from even contemplating the idea of harming one’s parents. Hence such feelings went unrecorded, even though frequent cases of parricide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show that just as in every society there was intergenerational conflict, including resentment against aged parents that sometimes led to violence. By contrast, in Japan such feelings were much more openly recorded. Old age was associated with impurity, hence leading to practices of exclusion: elderly were excluded from ritual spaces, and even lived separately from their offspring after reaching a certain age. But feelings towards the elderly were certainly not unilaterally negative: it is more correct to say that the elderly occupied a “gray zone” between disgust and respect. Thus many versions of the Buddhist parable of the country that discards the elderly end with the son taking back the parent. It is only after WW II that new versions in literature first and in film later strip the story of its religious redemption, and imagine a barbarian past where anyone reaching the age of seventy had to be removed from the social body. Whatever the reasons for this bleak reinvention, it has the merit of bringing out the “violent origins” of the story, and the apprehension with which the elderly read it. When applying insights from our study of Japanese narratives of ageism to the case of Korea, it allows us to identify a few areas where ageism may have operated. First we noted that Goryeo too practiced the exclusion of sick and elderly, who were isolated, possibly for fear of contagion. Second, the fact that Japanese obasute narratives focus especially on elderly women as objects of exclusion, inspired us to look at the exclusion of elderly women from Joseon society, rendering them invisible or encouraging them to take their life. Finally, through a close reading of Korean folk narratives about Goryeojang, it was established that elderly narrators sometimes voice the fear of abandonment by referring to “being buried alive.” Indeed, the origin of the term may well lay in an erroneous interpretation of Goryeo burial cust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