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제 이해력 평가를 통해 본 성별 차이

        한진수 한국경제교육학회 2019 경제교육연구 Vol.26 No.2

        This study analyzes a survey data on Korean adult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their economic literacy and gender differences. The average percentage of correct responses across all 20 questions is 63%, implying significant room for improvement in the economic literacy. Men, adults residing in the capital area, adults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and higher income adults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economic literacy. In addition, interest in economic matters, willingness to receive an economic education, and reading economic news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conomic literacy.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male and female adults’ economic literac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disparity in estimated coefficients of reg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variables is greater for men than women. Such factors as satisfaction with own wealth status, willingness to learn economics, and reading economic news are more helpful in accounting for the economic literacy of women than that of men. Among female adults, an inverted U shaped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literacy and age is dominant and the coefficient of experiencing economic education is estimated to be negative, implying urgent needs for effective economic education targeting women.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성인의 경제 이해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개인의 경제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정하고 경제 이해력에서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성인의 경제 이해력 점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63점이었으며, 성, 거주 지역, 학력, 소득, 경제 문제에 대한 관심도, 경제교육 욕구, 경제 기사 접촉도가 개인의 경제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여러 요인을 통제한 이후에도 남성의 경제 이해력 수준이 여성보다 높아 우리나라 성인의 경제 이해력에 성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경제 이해력의 결정 요인과 그 영향에서도 성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지역과 학력 요인은 여성보다 남성의 경제 이해력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재산 상태에 대한 만족도, 경제교육 욕구, 경제 기사 접촉도는 남성보다 여성의 경제 이해력을 설명하는 데 더 유의미하였다. 중년을 정점으로 경제 이해력 수준이 감소하는 현상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두드러졌으며, 최근 5년 이내의 경제교육 경험 변수는 여성의 경우 오히려 음의 부호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어 여성 대상 경제교육의 효과 제고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고등학생 경제 이해력 테스트 조사결과

        朴文圭 한국경제교육학회 2002 경제교육연구 Vol.9 No.1

        조사대상 고교생들의 경제 이해력은 100점 만점에 평균 55.7점인 것으로 조사되어 경제 이해력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계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43.9로 일반계 학생들(평균 57.4점)에 비래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사회에 일찍 진출하는 실업계 고교생들의 경제 이해력 수준 향상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고둥학교 2, 3학년생들을 대상으로 경제과목 수강여부에 따른 경제 이해력 수준을 비교해본 결과, 수강한 학생(평균 57.8점)과 수강하지 않은 학생(평균 56.6점)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경제 이해력을 분야별로 비교해 볼 때, 기초적 경제개념에 대한 이해력은 60.0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국제경제관련 개념은 46.8점으로 가장 낮았으며, 다른 분야에 비해 점수차도 크게 벌어져 국제경제관련 이해력이 가장 문제시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인식수준별 이해수준 비교에서 응용력은 52.2점으로, 경제이론에 대한 이해력(60.2점)과 경제지식(59.3점)에 비해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를 통해 볼 때 우리 경제가 시장경제 원리를 토대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대국민 경제교육의 최후 공급자라 할 수 있는 고등학교 경재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정부가 정제교육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The result of the Economic Literacy Test taken by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yielded 55.7 point average on a 100-point scale. For students in vocational programs the average was even lower with 43.9 points compared to students that are in regular high school academic program (57.4) magnifying the urgency for improvement in the economic literacy of the students in high school vocational programs who will be entering the business market sooner than those students in the regular high school academic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57.8 point average was recorded for those who have taken an economics course in their high school curriculum while those students who never took an economics course marked 56.6 point average, not showing a remarkable difference. When comparing various categories of economic literacy, the highest score of 60.0 points was recorded in understanding basic economic concept while understanding international economy had the lowest score with 46.8 points and the gap between other categories with international economy remained wide proving this category as the least understood among students. Under cognitive categories, students' knowledgein economic application recorded 52.2 points while economic theory and understanding economic knowledge both recorded 60.2 and 59.3 points, respectively showing a wide gap between the economic application and other two categories. The result from this test clearly indicates that in order for our economy to continually grow followingthe principles of the market economy, the study of economics in high school education must be strengthened in multilateral scope and a full-fledge effort by the government in educating the students is required.

      • KCI등재

        국내 성인 경제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고찰

        최병일,심재학 한국경제교육학회 2023 경제교육연구 Vol.30 No.1

        This paper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adults' economic literacy.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an economic literacy survey of 3,000 Korean adults. Factors affecting economic literacy of adults were analyzed.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region, and gender, and respondents' attitudes toward economic education on economic literacy. The questions to investigate economic literacy were developed by KDI.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domestic adults in their 30s, professionals, men, and residents of Seoul had relatively higher economic litera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economic literacy. Unlike the results of the financial literacy measurement conducted by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and the Bank of Korea,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those in their 20s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in their 40s and 50s. Respondents who recognized that they knew the economy well paradoxically showed low economic literacy, and the group who did not recognize the need for economic education showed relatively low economic literacy. 본 논문은 2021년에 우리나라 성인 3,000명의 대상으로 조사한 경제이해력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의 경제이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는 나이, 지역, 성별 등과 같은 인적 특성과 경제교육에 대한 응답자의 태도가 경제이해력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성인 대상 경제이해력 조사의 문항은 기획재정부의 위탁으로 KDI가 개발하였으며, 연구 결과 국내 성인의 경제이해력은 30대, 전문직, 남성, 서울 지역 거주자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이 높을수록 경제이해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금감원과 한국은행이 실시한 금융이해력 측정 결과와 달리 경제이해력은 20대의 정답률이 40대, 50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경제를 잘 알고 있다고 인지하고 있는 응답자들이 역설적으로 경제이해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교육의 필요를 인지하지 못하는 집단의 경제이해력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성인 대상 경제교육의 정교한 전략 수립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경제에 대한 관심도와 경제 이해력이 합리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박상은,노현종 한국경제교육학회 2017 경제교육연구 Vol.24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erest in economy, economic literacy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of korean adults by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mong the interest in economy, the economic literacy and sub-areas, and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interest in economy brings positiv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rational decision making through economic literacy. Third, the microeconomics and financial literacy has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 between interest in economy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while the macroeconomics and international economics does not. The result shows that not only the economic literacy but also the interest in economy is the important variable that can bring positive effect on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Moreover, the sub-areas of economic literacy can result different effects on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Thus, it implies that the educational approach and curriculum development need to be closely related to everyday lives.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the measurement error is applied to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at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the causal 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are analyzed in one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에 대한 관심도, 경제 이해력, 합리적 의사결정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전국의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한 경제 이해력 조사 자료를 사용하였고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경제에 대한 관심도, 경제 이해력 및 각 하위요인, 합리적 의사결정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경제에 대한 관심도는 경제 이해력을 매개로 합리적 의사결정에 직․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 이해력의 매개효과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본 결과 미시경제 및 금융 이해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지만 거시경제 및 국제경제 이해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합리적 의사결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인으로 경제에 대한 이해력뿐만 아니라 경제에 대한 관심도도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제 이해력의 하위요인에 따라 합리적 의사결정에 차별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었으므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도울 수 있도록 생활과 밀접한 주제를 다루는 경제 이해력에 대한 접근방식 및 교육체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측정오차를 고려하고 변인 간 인과관계에서 나타나는 직․간접 효과를 한 모형에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교 및 교사 특성이 고등학생 경제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신우진 한국경제교육학회 2022 경제교육연구 Vol.29 No.2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schools and teachers on the economic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a Multilevel model and a Quantile regression model. The school effect on economic literacy was analyzed to account for 28.8%, and opening of an economics classes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mong other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type, teacher’ experience of taking economics courses, and the time to teacher prepare for economics clas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economic literacy. Economic education outside of the regular curriculum, teaching career, and graduation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eachers' job training was not significant in the analysis assuming an average distribution, but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with high economic liter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bove all, economics should be opened as a regular subject in order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economic literacy,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economic education through teachers' economic education and class preparation efforts. 본 연구에서는 2020년 초․중․고 경제이해력 조사를 이용하여 다층모형과 분위회귀분석을 통해 고등학생의 경제이해력에 미치는 학교 및 교사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제이해력에 미치는 학교효과 비중이 28.8%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경제과목 개설유무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외의 특성으로 학교유형, 교사의 경제학과목 이수 여부와 경제수업자료 조사․수집․개발 시간 등이 학생의 경제이해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었고, 교과수업 외 경제교육 운영여부, 교직경력, 사범대 졸업 유무 등은 유의하지 않았다. 경제수업 교사의 직무연수 이수 여부는 평균적 분포를 가정한 분석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경제이해력이 높은 학생들에게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예비교사 기간인 대학에서 경제학 과목 이수를 통해 기본지식을 습득 할 필요가 있으며, 수업과정에서 깊이 있고 어려운 경제지식까지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직무연수 등을 통한 현직교사의 경제교육과 수업자료 준비노력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석결과는 고등학생 경제이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경제가 정규 교과과목으로 개설되어야 하며, 교사의 경제교육과 수업준비 노력을 통해 경제교육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한국과 미국 초등학생의 경제 이해력 비교

        한진수 ( Jin Soo Hah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3 시민교육연구 Vol.45 No.1

        미국 경제교육협의회(CEE)가 개발한 BET(Basic Economics Test)를 이용하여 한국 4∼6학년 학생의 경제 이해력을 측정해보았다. A형과 B형 각 30개 문항으로 구성된 한국어 BET에서 한국 학생은 평균 15.95개, 14.60개의 평균 점수를 얻어 전체적으로는 미국 학생과 눈에 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과정의 불리함을 고려할 때 한국 학생의 경제 이해력은 고무적인 수준이다. 학년별로 구분하면, 교육과정에 경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한국의 5학년은 한 해 동안 축적하는 경제 지식이 6학년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그리고 한국 4학년 학생은 미국 4학년 학생에 비해서 높은 수준의 이해력을 지니고 있었다. 양국의 조사 결과를 미시적으로 살펴본 결과, 한국과 미국 학생 사이에 정답률에서 크게 차이가 나는 문항들이 많이 있었다. 이들 문항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초등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경제 내용 요소를 측정하는 문항에서는 한국 학생이 미국 학생에 비해 훨씬 높은 정답률을 보여주는 경향이, 반대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제 내용 요소를 측정하는 문항에서는 한국 학생의 정답률이 훨씬 낮은 경향이 있었다. 한국 학생이 교과서를 통해 배운 경제 내용에 대해서 높은 수준의 이해력을 보였다는 이 연구의 발견을 통해서, 학교 경제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학생의 경제 이해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학생의 경제 이해력 향상을 위해서 현재 누락되어 있는 핵심 경제 개념을 교육과정에 추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도 얻을 수 있다. The 3rd version of the BET(Basic Economics Test) developed by the CEE is applied to Korean students in grades 4-6. Test results show that the level of economic literacy of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is statistically the same, with the mean score of 15.95 in Form A and 14.60 in Form B consisting of 30 questions respectively, for Korean students. This test result is more or less encouraging to Korean economic educators because economics curriculum works to Korean students` disadvantage in a test. Korea`s sixth graders score significantly higher than fifth graders. There are many test items revealing a big difference in the percentages of correct response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Analyzing such items suggests that Korean students tend to get higher percentages of correct response for the questions covered in current Korean economics curriculum, and vice versa. This finding implies that teaching economic contents in schools substantially and positively influences students` economic literacy, and that to improve economic literacy of students effectively, some key economic concepts need to be included in a future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학생의 경제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와 교사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초·중·고등학교의 비교

        신세라 한국소비자원 2024 消費者問題硏究 Vol.55 No.1

        본 연구는 학생의 경제이해력에 대한 학교효과의 크기와 그 영향요인을 학교급별로 비교하여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초·중·고 학생 경제이해력 조사와 2020년 학교 경제교육 실태 조사자료를 병합하여 사용하였으며, 위계적인 자료구조를 고려하여 다층모형을 적용하였다. 우리나라 학생들의경제이해력 점수는 100점 만점에 초등학교가 평균 58.1점으로 가장 높았고, 중학교가 49.8점, 고등학교가 51.7점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경제이해력은 학교와 교사의 속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초등학교에서는 학생들 간 경제이해력 격차의 8.8%, 중학교에서는 14.9%, 고등학교에서는 28.9%가 학교나 교사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같은 학생 경제이해력에대한 학교효과를 설명하는 학교와 교사요인에는 학교급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교에서는교사의 경력이나 경제수업에서 교사가 느끼는 어려움, 지역사회 연계 경제교육 운영여부가, 중학교에서는학생들의 수업참여도가 유의한 영향요인이었다. 고등학교에서는 학교유형과 경제과목 개설여부, 교사의경제학적 역량이나 수업준비도, 학교 경제교육의 효용성에 대한 교사인식, 학생들의 수업참여도 등이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급별로 차별화된 학교 경제교육개선방안과 지원체계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size of school effects on students' economic literacy and their influencing factors by comparing them across different school levels. To achieve this, data from the 2020 survey on students' economic literacy and the 2020 survey on the status of economic education in schools were merged and analyzed applying a multilevel model. The economic literacy scores of Korean students were highest in elementary schools, with an average of 58.1 out of 100, followed by middle schools with 49.8 and high schools with 51.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economic literacy based on school and teacher characteristics. In details, in elementary schools, 8.8% of the variation in students' economic literacy among students was attributed to differences between schools or teachers, while in middle schools, it was 14.9%, and in high schools, it was 28.9%. The factors explaining these school effects on students' economic literacy varied significantly across different school levels. In elementary schools, factors such as teachers' years of experienc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eachers in teaching economics, and the implementation of communitylinked economic education programs were significant. In middle schools,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was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In high schools, factors such as school type and the existence of economics courses, teachers' economic competence and preparedness for classes, teachers' evaluations of the usefulness of school economic education, and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were important fa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developing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support systems for economic education in schools at different levels.

      • KCI등재

        경제교육 학습경험이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에 미치는 영향

        이종향(Lee, Jong-Hya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경제교육 학습경험이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 G시와 T시의 유아교사 210명이었다. 연구방법은 검사지를 활용한 조사방법이며 연구도구는 전국 초 · 중 · 고등학생 경제이해도 조사의 문항을 기초로 수정 및 보완하여 총 20문제로 구성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경제교육 학습경험이 있는 유아교사가 그렇지 않은 유아교사보다 경제이해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직에서 교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가 그렇지 않은 유아교사보다 경제이해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양성과정이나 현직 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경제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기에 교사양성과정과 교육현장에서 경제교육을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conomic liter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1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G city and T city, Gyeongsangnam-do. The research method in an investigation method using a test paper and the research tool was composed of a total of 20 questions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items of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economic understanding survey. The analysis method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a t-test using SPSS Statistic Program 21.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economic understanding was generally low. Second, It show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Learning Experiences for econom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s had higher economic Literacy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Third, It showe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Learning Experiences for econom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had higher economic Literacy levels than those who did not partake. In conclusion, 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improve economic literacy. so economic education should be a core component in the 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wider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전북지역 인문계 고등학생의 경제이해력 실태와 변인 분석

        최종민 한국경제교육학회 2010 경제교육연구 Vol.17 No.1

        This study is based on the test of economic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After doing frequencies analysis, cross tabula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study figures out what differences are between the test result and the three conclusions of the existing tests, and finds out the reason of the differences. And it is to draw a conclusion that what implications do the differences have on politics of economic education. First, the study shows that the economic literacy of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is much high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in the U.S. and our country unlike any other results of the existing studies. That is because of the features of the students in Jeonbuk. Secondly, the main variable affecting the literacy of the students the most is the number of teachers of economics followed by whether students choose the subject of economics, experiences of teaching profession, and area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bout politics of economic education is that, first of all, over the ‘controversies on text books,’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the representative of businesses, is ‘wrong’ to argue that the economic education has been wrongly evolved in favor of anti-market and anti-businesses. The second one is that under the government supports, sensitive students need to receive more upgraded economic education than now. Third, the current rote-learning and descriptive education of economics should be tailored to characters of high school students. Lastly, it is urgent to retrain teachers for their expertise as well as nurture highly specialized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 인문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제이해력 테스트 결과를 변인별 빈도분석, 교차분석, 평균 및 상관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한 후 그것이 기존연구의 3가지 결론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확인하고 그것이 경제교육의 방향성에 주는 정책적 함의가 무엇인가를 도출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첫째, 전북지역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경제이해력은 기존연구 결과와는 달리 미국 평균과 전국 평균을 뛰어넘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북지역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경제이해력 점수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인은 경제교사 수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경제과목 선택여부, 교직경력, 지역(시·군)의 순이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가 경제교육의 방향성에 주는 정책적 함의는, 첫째, 국가적인 차원에서 감수성이 예민한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경제교육을 지금보다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지금과 같은 활자 위주의 서술식 경제교과서와 주입식 경제수업은 요즘 고등학생들의 성향에 맞도록 재구성되어야 하고, 셋째, 전문성을 갖춘 경제교사의 육성과 현재 경제과목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재교육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