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신사도운동의 영성

        최윤배 ( Cyoon Bae Hoi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8 No.-

        우리는 본고에서 ‘영성’과 ‘개혁주의’라는 용어를 먼저 정의하고, 신사도운동에 대한 역사(歷史)를 간략하게 기술한 뒤에, 신사도운동의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신사도 개혁 운동’(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은 1906년 미국 아주사 부흥(Azusa Rivival)을 기점으로 시작된 ‘늦은비의 새 질서’(New Order of the Latter Rain) 운동을 거쳐 ‘빈야드 운동’ (Vineyard Movement)에 이른다. 빈야드 운동은 1990년대 중반에 토론 토와 플로리다 펜서콜라를 중심으로 다시 크게 일어났다. 1994년부터 존 아놋(John Arnott)은 토론토공항교회(Toronto Airport Christian Fellowship)를 중심으로 소위 ‘토론토 블레싱’(Toronto Blessing) 또는 ‘거룩한 웃음 운동’(Holy Laughter Movement)을 일으켰다. 이 운동은 성령세례로서의 은사 운동에서 시작하여 치유 운동과 예언 운동 및 이적과 기적 운동으로 발전했다. 이 운동은 외국의 신사도운동가들이 한국교회와 각종 집회에 강사로 초청되거나 한국교회의 목회자나 평신도가 현지에 직접 방문하여 영향을 받아 다시 귀국하여 한국에 영향을 미치거나 책이나 인터넷 등의 매체들을 통하여 전파되었다. 비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일반 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근본적인 차이점을 가진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졌고, 그리스도 안에서 보존되고 확증되었으며,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 복음 안에서 열매를 맺는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열려진 참 인간적인 삶의 능력인데, 우리의 인생관, 가치관, 행복관의 인식과 관계되며, 그와 같은 실천 가운데서 감격, 감사, 기쁨, 평안을 누릴 수 있는 능력과 관계된다. 개혁교회의 ‘경건’(pietas) 또는 영성의 본질은 성령의 감동을 통해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응답인데,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서 인간은 자신의 가장 깊은 본질 안에서 그리고 자신의 삶의 모든 차원 안에서 하나님 앞에 서게 된다. 우리가 본고에서 정의한 ‘개혁주의’ 또는 ‘개혁적’(reformed; reformiert; 네덜란드어로 gereformeerd 또는 hervormd)이라는 일차적 의미는 ‘역사적(歷史的) 개혁신학(改革神學)’ 전통이며, 역사적 개혁신학 전통은 세계 도처에 ‘개혁교회’(the Reformed churches)와 ‘장로교회’(the Presbyterian churches)라는 이름으로 약 500년 동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우리는 신사도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첫째, 신사도운동의 사도직과 선지자직의 역사적(歷史的) 회복의 영성은 역사적(歷史的) 보편 기독교회의 권위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결과를 낳는다. 둘째, 신사도운동의 ‘직통계시’의 영성은 하나님의 말씀과 계시로서의 정경(正經)의 절대성을 완전히 파괴하는 결과를 낳는다. 셋째, 신사도운동의 비성경적 성령론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비정상적, 비윤리적 삶을 초래케 한다. 넷째, 신사도운동의 잘못된 구원과 선교 방법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구원관과 선교관을 오도(誤導)한다. 다섯째, 신사도운동의 신학과 성경에 대한 몰이해는 교회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반(反)신학적, 비성경적 사고로 유도(誘導)한다. 여섯째, 신사도운동의 문제된 은사, 기도, 선교 운동으로부터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성경에 기초한 올바른 은사 운동, 올바른 기도 운동, 올바른 선교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할 역사적 큰 책임감을 갖게 된다. 신사도운동의 영성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를 통해 우리는 크게 두 가지 유익을 얻었다. 하나는 신사도운동의 영성과 신학이 개혁교회의 신앙과 신학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라는 사실이며, 다른 하나는 기존 교회는 자신의 영성과 신학의 취약한 부분을 뒤돌아 보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개혁된 교회(개혁교회)는 항상 개혁하는 교회”(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라는 신앙과 신학의 주요 원리와 정체성을 우리는 계속 실천해야 할 것이다. 개혁교회는 만왕의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말씀과 그의 성령을 통해서 우리를 항상 다스리시도록 끊임없이 기도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 spirituality of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The term ‘Reformed’ as a designation for a denomination or family of churches is a late-Reformation development. In the 1560s, the word came to be used on the continent in a somewhat official way, but it was almost an equivalent of ‘Protestant’ or ‘Evangelical’ and included Lutherans as well as those churches affiliated with Zwingli or Calvin. It was only after 1590 that a distinction came to be made between Lutherans and Reformed. ‘Reformed’ subsequently came to be used of almost all the Calvinist Churches on the Continent. A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that accepts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the prophets in Old Testament and the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 rejects the authority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es in the history. We see the rapidly increasing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the Korean churches, where the reality of the Holy Spirit is often sought in the emotional, individualistic, and extravagant. But we disagree with the opinion that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discontinue the churches in our days. We have to recover together some badly neglected gifts of the Holy Spirit. Only when we earnestly desire the spiritual gifts, God will grant us the solution of many problems with which we now wrestle.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본 신사도운동의 영성

        김선권 ( Sun Kwon Kim )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8 No.-

        우리는 본고에서 ‘영성’과 ‘개혁주의’라는 용어를 먼저 정의하고, 신사도운동에 대한 역사(歷史)를 간략하게 기술한 뒤에, 신사도운동의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신사도 개혁 운동’(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은 1906년 미국 아주사 부흥(Azusa Rivival)을 기점으로 시작된 ‘늦은비의 새 질서’(New Order of the Latter Rain) 운동을 거쳐 ‘빈야드 운동’ (Vineyard Movement)에 이른다. 빈야드 운동은 1990년대 중반에 토론 토와 플로리다 펜서콜라를 중심으로 다시 크게 일어났다. 1994년부터 존 아놋(John Arnott)은 토론토공항교회(Toronto Airport Christian Fellowship)를 중심으로 소위 ‘토론토 블레싱’(Toronto Blessing) 또는 ‘거룩한 웃음 운동’(Holy Laughter Movement)을 일으켰다. 이 운동은 성령세례로서의 은사 운동에서 시작하여 치유 운동과 예언 운동 및 이적과 기적 운동으로 발전했다. 이 운동은 외국의 신사도운동가들이 한국교회와 각종 집회에 강사로 초청되거나 한국교회의 목회자나 평신도가 현지에 직접 방문하여 영향을 받아 다시 귀국하여 한국에 영향을 미치거나 책이나 인터넷 등의 매체들을 통하여 전파되었다. 비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일반 종교 분야에서의 영성과 근본적인 차이점을 가진 기독교 영성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졌고, 그리스도 안에서 보존되고 확증되었으며, 성령의 능력을 통해서 복음 안에서 열매를 맺는 하나님의 나라를 향해 열려진 참 인간적인 삶의 능력인데, 우리의 인생관, 가치관, 행복관의 인식과 관계되며, 그와 같은 실천 가운데서 감격, 감사, 기쁨, 평안을 누릴 수 있는 능력과 관계된다. 개혁교회의 ‘경건’(pietas) 또는 영성의 본질은 성령의 감동을 통해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인간의 응답인데,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서 인간은 자신의 가장 깊은 본질 안에서 그리고 자신의 삶의 모든 차원 안에서 하나님 앞에 서게 된다. 우리가 본고에서 정의한 ‘개혁주의’ 또는 ‘개혁적’(reformed; reformiert; 네덜란드어로 gereformeerd 또는 hervormd)이라는 일차적 의미는 ‘역사적(歷史的) 개혁신학(改革神學)’ 전통이며, 역사적 개혁신학 전통은 세계 도처에 ‘개혁교회’(the Reformed churches)와 ‘장로교회’(the Presbyterian churches)라는 이름으로 약 500년 동안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우리는 신사도 영성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여섯 가지로 평가해 보았다. 첫째, 신사도운동의 사도직과 선지자직의 역사적(歷史的) 회복의 영성은 역사적(歷史的) 보편 기독교회의 권위를 전적으로 부정하는 결과를 낳는다. 둘째, 신사도운동의 ‘직통계시’의 영성은 하나님의 말씀과 계시로서의 정경(正經)의 절대성을 완전히 파괴하는 결과를 낳는다. 셋째, 신사도운동의 비성경적 성령론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비정상적, 비윤리적 삶을 초래케 한다. 넷째, 신사도운동의 잘못된 구원과 선교 방법은 교회와 그리스도인의 구원관과 선교관을 오도(誤導)한다. 다섯째, 신사도운동의 신학과 성경에 대한 몰이해는 교회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반(反)신학적, 비성경적 사고로 유도(誘導)한다. 여섯째, 신사도운동의 문제된 은사, 기도, 선교 운동으로부터 교회와 그리스도인은 성경에 기초한 올바른 은사 운동, 올바른 기도 운동, 올바른 선교 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해야 할 역사적 큰 책임감을 갖게 된다. 신사도운동의 영성에 대한 개혁신학적 평가를 통해 우리는 크게 두 가지 유익을 얻었다. 하나는 신사도운동의 영성과 신학이 개혁교회의 신앙과 신학을 위협하는 심각한 수준이라는 사실이며, 다른 하나는 기존 교회는 자신의 영성과 신학의 취약한 부분을 뒤돌아 보아야한다는 사실이다. “개혁된 교회(개혁교회)는 항상 개혁하는 교회”(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라는 신앙과 신학의 주요 원리와 정체성을 우리는 계속 실천해야 할 것이다. 개혁교회는 만왕의 왕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의 말씀과 그의 성령을 통해서 우리를 항상 다스리시도록 끊임없이 기도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a spirituality of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The term ‘Reformed’ as a designation for a denomination or family of churches is a late-Reformation development. In the 1560s, the word came to be used on the continent in a somewhat official way, but it was almost an equivalent of ‘Protestant’ or ‘Evangelical’ and included Lutherans as well as those churches affiliated with Zwingli or Calvin. It was only after 1590 that a distinction came to be made between Lutherans and Reformed. ‘Reformed’ subsequently came to be used of almost all the Calvinist Churches on the Continent. A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that accepts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the prophets in Old Testament and the Apostles in the New Testament rejects the authority of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es in the history. We see the rapidly increasing a New Apostolic Reformation Movement in the Korean churches, where the reality of the Holy Spirit is often sought in the emotional, individualistic, and extravagant. But we disagree with the opinion that the gifts of the Holy Spirit discontinue the churches in our days. We have to recover together some badly neglected gifts of the Holy Spirit. Only when we earnestly desire the spiritual gifts, God will grant us the solution of many problems with which we now wrestle.

      • 개혁신학의 특성과 한국교회

        이환봉 고신대학교 고신신학연구회 2009 고신신학 Vol.- No.11

        한국 장로교는 개혁신학의 원리로부터 스스로를 멀리하는 경향을 뚜렷하게 드러내고 있다. 칼빈을 중심으로 한 종교개혁 신학의 핵심적인 원리와 주장은 "오직 성경으로"(sola scriptura), "오직 그리스도로"(solus Christus), "오직 은혜로"(sola gratia), "오직 믿음으로"(sola fide),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soli Deo gloria)으로 요약할 수 있다. 1) "오직 성경으로" - 개혁자들은 인간 이성과 교회전통을 앞세운 로마교와 새 계시의 가능성을 주장한 재세례파에 대항하여 오직 성경만이 신학과 신앙의 유일한 표준과 원천임을 강조하였다. 2) "오직 그리스도로" - 개혁자들은 보편구원론과 종교다원주의에 반대하여 예수 그리스도만이 하나님의 성육하신 자기계시이며 유일한 중보자이심을 성경적으로 확정하였다. 3) "오직 은혜로" - 개혁자들은 로마교의 인간구원을 위한 신인협동설에 반대하여 인간은 전적 타락하고 무능하기에 구원은 오직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4) "오직 믿음으로" - 개혁자들은 칭의를 개인의 영적 도덕적 진전에 대한 하나님의 보상이 아니라 "오직 믿음으로" 그리스도와 연합하는 그 순간에 하나님의 거룩함을 옷 입고 하나님의 완전한 의의 전가(imputation)가 이루어진 것으로 이해하였다. 또한 그들은 인간의 선행과 성화의 노력이 구원(칭의)의 근거와 수단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5) "오직 하나님께 영광을" - 개혁자들은 인간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의 주권과 영광을 위한 철저한 하나님 중심의 삶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한국 개혁신학의 새로운 부흥을 위해 1)개혁신학의 원전연구를 통해 칼빈의 신학 그 자체에 대한 정확하고 심도있는 학문적 연구가 필요하다. 2)개혁신학은 오늘 교회의 목회와 신앙생활에 대한 현실 관련성을 추구하여 교회와 사회에 대한 주도적 영향력을 회복하도록 해야 한다. 3)칼빈과 역사적 개혁주의를 연구할 수 있는 모든 도서와 자료가 총괄 수집된 전문도서관을 구축하여 전문적인 학술연구워 세계적 기반을 형성해 가야한다. 4)개혁신학의 새로운 부흥을 위한 교회의 지원을 확대해 가야 한다. 개혁신학이야말로 오늘날 한국교회의 암울한 현실을 타개하고 밝은 미래를 약속할 수 있는 가장 올바른 길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Korean Presbyterian Church started to exhibit a strong tendency to distance herself from the principles of Reformed theology. It is worthwhile to reflect upon the characteristic principles of Reformed theology in 5 points: sola scriptura, solus Christus, sola gratia, sola fide, soli Deo gloria. 1) sola scriptura : Scripture alone was considered as the only standard for faith and thology by the Reformers against both the Roman Catholics arguing the priority of human reason and ecclesiastical tradition, and the Anabaptists arguing possibility of new revelations. 2) solus Christus : Jesus Christ alone was believed the self-revelation of God and confessed as the Mediator between God and man by the Reformed against universal salvation and religious pluralism. 3) sola gratia : Human being was viewed as totally depraved and impotent to save himself by the Reformers and thus salvation was believed to be granted only by the sovereign grace of God against the Roman teaching of cooperation of the human being with God on the matter of salvation. 4) sola fide : As soon as man is united with Christ, he is clothed with perfect holiness of God and thus imputed with perfect righteousness of Christ. The Reformers believed that good deeds of human being and their effort ofr sanctification cannot function as foundation or instrument of salvation. 5) soli Deo gloria : The Reformers emphasized life centered on God for His sovereignty and glory in all areas of human life. For new revival of Reformed thrology in Korea four theses are now proposed' 1)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theology of Calvin with precision and depth by delving into his writings in their original languages (i. e. Latin and Frence). 2) It is necessary to recover a leading role in our church and society by the pursuit of its relativity to actual situations we face today in the realm of pastorate and spiritual life. 3) It is necessary to build a specialized library which can function as a basis for the study of Reformed theology. 4) It is necessary to build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hurches and to devise a way to enlarge a financial support for the study of Reformed theology.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활성화 방안 연구: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백석) 서울,경기,충북 지역 5개 노회 목회자 인식도 조사를 중심으로

        김태철 ( Tae Chul K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4 생명과 말씀 Vol.9 No.-

        개혁주의생명신학은 21세기 한국 개신교회와 세계 교회에 개혁주의신학을 올바르게 계승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그 실천방안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을 제시하였다. 이 실천운동은 장종현에 의해 주창되었고, 학교법인 백석대학교와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백석)를 통해 확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혁주의생명신학 정의문과 선언문에 담긴 개혁주의생명 신학의 본질과 의의를 실천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고,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실천운동을 사역현장에서 활성화되도록 각 운동의 의미와 사역, 그리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실천적 대안을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본질과 사역 방향은 다음 세 가지로 요약되었다. 첫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개혁주의신학을 바르게 계승한다. 즉, "오직 성경"에 기초한 신앙운동을 전개하여 사변화된 이론신학을 반성하여 삶과 사역현장에 예수님의 생명을 나타낸다. 둘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삶과 사역 현장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낸다. 즉, 삶과 사역 현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주권을 선언하고, ``하나님나라운동``을 실현한다. 셋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충만하게 한다. 즉, ``기도운동``, ``성령운동``, ``나눔운동``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세상 중에 나타나도록 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화석화된 이론신학을 극복하고 삶과 사역 현장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영적 생명이 나타나는 7대 실천운동을 전개한다. ① 신앙 운동은 성경을 최고의 권위로 세우는 운동이다. 곧, 성경을 통전적으로 이해하여 전인적인 생활과 사역이 실현되게 하는 운동이다. ② 신학회복운동은 사변화된 신학을 반성하고 신학의 본래의 의미를 회복하는 운동이다. ③ 영적생명운동은 거듭난 성도들이 변화되어 그리스도의 영으로 충만한 삶을 실현하는 새 생명 운동이다. ④ 하나님나라운동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그리스도의 주(主)되심을 실현하는 운동이다. ⑤ 기도운동은 하나님의 방법을 순종하고,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하는 운동이다. ⑥ 성령운동은 성령 하나님의 주권적 사역을 이해하고 순종하는 운동이다. ⑦ 나눔운동은 하나님의 좋은 것을 이웃에게 공급하는 사랑의 실천운동이다. 이와 같은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은 다음 일곱 단계로 전개될 수 있다. ① 사역공동체 만들기이다. 이는 개혁주의 생명신학을 표방하는 사역 기관들이 공동의 사역공동체를 만드는 과정이다. ② 개혁주의생명신학이해하기이다. 이는 삶과 사역현장에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접목시키는 과정이다. ③ 개혁주의생명신학 조정하기이다. 이는 각각의 사역기관들이 개혁주의 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을 실현하기 위해 자신들의 사역을 조정하는 과정이다. ④ 개혁주의생명신학 초청하기이다. 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사역을 확대시키는 과정이다. ⑤ 개혁주의생명신학 실천하기이다. 이는 7대 실천운동을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과정이다. ⑥ 개혁주의생명신학 평가하기이다. 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사역을 냉철하게 반성하며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이다. ⑦ 지역교회 활성화 지도하기이다. 이는 지역교회의 동역자를 세우는 과정이다. 이와 같은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은 21세기 한국 개신교회가 직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삶과 사역현장에 예수님의 생명을 나타내는 더 발전된 개혁주의신학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problems faced by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in South Korea, and to suggest the alternative instrument named "The Life Reformed theology".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is begins from the passion for solving the problems that the authors of this paper experienced the spiritual war, during his 17 years in the ministry field. The research method is combined literature available and survey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Dr Jang``s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commentary`` and related published papers and dissertations. Survey research depend on the analysis the data that ``pastor``s perception`` targeted under the five presbyterian pastors agencies. And it is reconstructed the essence and significance ``Reformed Life Theology`` in view of practice. ``Reformed Life Theology`` has three essences. The first is to reflect the speculated theology and recover the essence of the reformed theology. The second is to declare Jesus`` sovereignty and being realized ``Kingdom of God`` in all areas of life. And the third is the spiritual life being practiced in life of Jesus Christ and ministry field through the ``pray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Features of ``Reformed Life Theology`` is not to remain in just theory but to practice through ``7 practical movements`` which means that Jesus`` life appears in the ministry field. The first thing is to understand the Bible as the only authority in reformed theology centered 5 ``SOLA`` slogans. The second is to recover the essential theology that means restor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ology while reflect the speculated theology. The third is that church members would live with Jesus Christ through changing their heart by the ``new life movement``. The fourth is the ``Kingdom of God movement`` as realizing that Jesus becomes the Lord in everywhere. The fifth is obeying God``s way and participating in the glory of God by the ``prayer movement``. The sixth is the ``Holy Spirit movement`` that by understanding the sovereignty of the Holy Spirit and obeying Him in ministry. The seventh is the ``practical sharing movement`` by offering the good things of God to neighbors with love. The vitalizing strategies for the ``Reformed Life Theology`` are required some strategic points. The first is the institutions based on the ``Reformed Life Theology`` make ministry community. The second is the understanding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as connecting both life and ministry that makes foundation of ministry. The third is each institution adjusts their ministry by the 7th practical movements in ``reformed life theology``. The fourth is the invit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at the ministry may expand. The fifth is realiz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7th practical movement``. The sixth is evaluating the ``Reformed Life Theology`` in analysis the ministry and coordinates the future. Finally, the seventh is coaching the local church for vitalizing ministry and pastors become the co-worker in local area. Thus, "A Study on Method for Seven Practical Movements to revitalize in the Reformed Life Theology" can be biblical alternate method for reviving the Korean churches and ministry model in reformed churched all around the world. "Reformed Life Theology" is to make both Korean churches and all of the reformed churches responsible and duty as priming water that taking up the spiritual life of Jesus Christ.

      •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토대인 백석총회의 신앙고백 연구

        용환규 ( Hwan Gyu Ya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3 생명과 말씀 Vol.7 No.-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역사적 토대는 백석학원과 대한예수교장로회 백석총회다. 특히 백석총회의 신앙고백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핵심을 담고 있는 배아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역 사적 발전 과정을 고찰함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이 백석학원과 백석총회의 신학적 정체성임을 좀 더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백석총회의 발전사는 네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각 단계마다 신앙고백 이 있었고 그 내용은 점차 수정 보완됨으로 발전해 왔다. 그 과정에서 도 성경 중심 사상과 개혁주의 신학은 신앙고백의 변함없는 핵심가치로 서 신앙고백의 전제에 연연히 흐르고 있다 대한예수교장로회(복음)의 교단 선언문은 백석총회가 시작부터 개혁주의의 입장에 서 있었다는 것과 생경을 강조하고 있었다는 것을 분명히 드러낸다. 특히 교회론에 있어 성경적인 교회를 추구하였다.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진리 연합)의 합 동 총회 선언문 역시 개혁주의 신학에 서있음을 강조한다. 웨스트민스 터 신앙고백을 신앙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는 점이 그런 입장을 드러내준다. 또한 목회자의 사명과 책임에 대해 강조하며, 회개와 한성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운동을 강조하였으며, 궁극적인 목표가 오직 하나님께 영광임을 분명히 하였다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정통) 교단 노선 선언 푼의 주요 골자도 생경과 개혁주의에 대한 강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정의에 근거한 성화에 대해 다루었다. 백석학원 신앙선언문은 먼저 백석학원과 백석총회의 신학적 위치를 교리와 경건 그리고 변혁의 세 법주를 사용해 자리매김하고 그 핵심 이 개혁주의생명신학이라고 주장한다. 그리고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전통적 개혁주의가 현대사상의 도전에 대응해 내어놓는 응답이며 대화임을 강조함으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적실성을 드러낸다. 세 번째 부분인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은 신앙고백 본문이고, 끝에는 “[개혁주의] 생명신학 선언문"이 우리가 사는 21세기의 가정과 교회와 사회생활의 구체적 4영역의 14가지 주제에서 어떻게 생명력 있게 적용될 수 있는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개혁주의 신앙은 백석학원과 백석총회가 처음부터 추구해 온 핵심 가치다 ‘오직 성경을 비롯해 ‘오직 그리스도,’ ‘오직 믿음’ ‘오직 은혜; 그 리고 ‘오직 하나님께 영광이라는 종교개혁의 5대표어는 처음부터 백석 학원과 백석총회 신앙의 중심에 자리하고 있었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그런 개혁주의 전통 안에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력을 회복합을 지향하는 것으로, 오늘날 백석학원과 백석총회의 정체성이며 그것의 실천은 우리의 사명이다. The historical ground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Baekseok Schools and the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hereafter, PCKI (Baekseok). Especially; the confessions of the PCK (Baekseok) are the embryo containing the core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claim more clearly that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theological identity of Baekseok Schools and the PCK (Baekseok). The PCK (Baekseok) has developed in four stages. All stages possessed respective confessions, which have gradually developed through modifications and complements. The Bible-centered thought and the Reformed theology have been the predominant and continuing character of those confessions although the names of the church changed many times. Firstly, the Manifesto of the PCK (Bogeum. which means ``Gospel``) shows that the PCK (Baekseok)firmly held the Reformed theology and emphasized the Bible as the final authority for our faith and life. Especially in ecclesiology, it headed toward the Church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Bible. Secondly, the Manifesto of the PCK (Hapdong-jinri & Yeonhap, which means ``Union-Truth & Alliance``) also emphasizes that it stands on the Reformed theology. Its position is clearly shown where it presents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s the standard of faith. It also emphasizes pastors`` mission and responsibility, and it demands repentance and reflection. It stresses unification movement, and it states dearly that its ultimate goal is glory to God alone (soli Deo gloria). Thirdly, the Manifesto of the PCK (Hapdong-Jeongtong, which means ``Union-Orthodox``) also consists of emphases on the Bible and the Reformed tradition, And it deals with sanctification based on justification. Lastly, the Faith Statement of Baekseok Schools explains the theological position of Baekseok Schools and the PCK (Baekseok) with three categories of doctrine, piety and transformation, and states that its core is the Reformed life Theology. And it shows the propriety of the Reformed Life 111eology as a Reformed response to and discourse with the challenge of modern thought. Its third part is the body of "the Manifesto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and then the explanation of how we can apply the Manifesto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to our family, church, and social life in the 21st century.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essential value that Baekseok Schools and the PCK (Baekseok) has pursued. Five mottoes of the Reformation, that is, ``sola Scriptura,`` ``solus Christus," ``sola fide,`` ``sola gratia`` and ``soli Deo gloria,`` have been in the heart of the faith of Baekseok Schools and the PCK (Baekseok) from the beginning until now The Reformed Life Theology heads towards restoring the life of Jesus Christ in the Reformed tradition, Thus, the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theologiGal identity of Baekseok Schools and the PCK (Baekseok), and its practice is our mission.

      • KCI등재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역사신학적 고찰-

        임원택 ( Won Taek L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2 생명과 말씀 Vol.6 No.-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은 ‘신학’(theologia)이란 용어가 “하나님의 말씀” (Word of God)과 “하나님에 관한 말”(word concerning God) 둘 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신학이 하나님의 말씀을 의미하든 혹은 하나님에 관한 말을 의미하든, 어느 경우라도 하나님과의 인격적 만남을 경험함 없이는 신학을 올바로 할 수 없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신학의 의미를 특별히 강조한다. 우리의 신학이 하나님의 말씀이 되려면 우리 자신들이 먼저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알아야 한다. 그래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하나님과의 인격적 만남을 강조한다. 성경을 통해 우리가 만나는 하나님은 추상적인 하나님이 아니라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 즉 인격적인 하나님이시다. 신학은 대상을 추상화하고 고정하며 상대화하는 학문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 영국의 개혁신학자들은 “theology”라는 용어보다는 “divinity”라는 용어를 선호했다. 게다가 츠빙글리와 칼빈 그리고 불링거는 “theologia” 라는 용어를 정의하거나 논의하지 않았다. 그들에게 중요했던 것은“religio”라는 개념이었다. 그들은 신자들에게 하나님을 올바로 알고 예배하도록 가르치는 매우 실천적인 가르침에 관심을 가졌다.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은 종교개혁자들의 이런 실천적 관심을 계승했다. 이렇듯 신학과 관련해서 종교개혁자들과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은 신앙의 실천을 지향했음이 명백하다.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명제는 신학이 하나님에 관한 지적 앎이 아니라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앎이라는 의미다. 그렇다면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은 신앙의 실천을 매우 강조했던 종교개혁자들과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의 입장에 굳건히 서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개혁신학자들은 이론과 실천의 균형을 추구했다. 그런데 개혁파 정통주의자들 중 다수는 신학의 이론적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신학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했다. 참된 신학의 목표는 하나님께 영광돌림과 우리의 구원이기 때문이다.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은 신학이 영혼을 살리고 교회를 세우는 것이기에, 참된 신학은 단지 지적 앎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을 담은 복음이어야 함을 천명하고 있다. 멸망으로 이끄는 신학은 실천이 없는 신학인 반면, 살리는 신학은 성경의 가르침대로 실천하는 신학이다. 그러므로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은 종교개혁자들과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의 입장에 굳건히 서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 신학자들이 자성하고 현재의 교회를 다시 확고히 세우는데 마땅히 감당해야 할 역할이 있음을 다시금 환기시키는 당위적 선언이다. Justifying the use of the term theologia, the Reformed orthodox understood theology to mean both “Word of God” and “word concerning God.” Whether theology means God`s word or our word concerning God, we cannot perform the right doing of theology in either meaning without our personal encounter with God. Reformed Life Theology puts special emphasis on the meaning of theology as God`s word. A theologian should have a personal knowledge of God before his or her theology becomes God`s word. Reformed Life Theology emphasizes our personal encounter with God. For our God in the Bible is not an abstract God but God of Abraham, Isaac, and Jacob, thus being a personal God. Theology cannot be a science that makes its object abstract, fixed, and relativized. Therefore,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The English theologians expressed a decided preference for the term “divinity” over the word “theology.” In addition, Zwingli, Calvin and Bullinger neither defined nor discussed the term theologia, but the concept of religio was of primary importance to them. They were interested in the very practical teaching that showed the right way of knowing and honoring God. The Reformed orthodox inherited such a practical concern of the Reformers. Thus, with theology, both the Reformers and the Reformed orthodox evidently headed toward the praxis of religion. The statement that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means that theology is not a mere intellectual knowledge about God but a personal knowledge of God. Then, this statement can be understood as standing in the line of the Reformers and the Reformed orthodox, who paid great emphasis on the praxis of religion. The Reformed theologians pursued the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Acknowledging the speculative dimension of theology, however, a large number of Reformed orthodox emphasized its practical dimension. For the goal of true theology is the glorification of God and our salvation. The statement that “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clarifies that theology, which gives life to our soul and our church, thus a true theology, cannot be a mere intellectual knowledge, but should be a gospel containing the life of Jesus Christ. While a theology leading to perdition is a theology that does not have a praxis, a theology giving life is a theology that has a praxis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Bible. The statement that “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Therefore, not only stands in the line of the Reformed tradition, but also clarifies that today`s theology should reflect on itself and play its proper role in reestablishing the present church.

      • 개혁주의생명신학으로 본 한국교회 청년대학생사역의 문제점과 그 대안: 제2의 종교개혁을 기대하면서

        안오순 ( Ahn Oh Soo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8 No.-

        한국교회는 민족의 아픈 현실 속에서 겨자씨 한 알처럼 시작하였지만 대한민국의 건국과 조국의 근대화와 산업화, 그리고 민주화에 큰 기여를 하면서 소금과 빛의 역할을 다하였다. 그러나 오늘의 한국교회는 사회로부터 사랑과 존경을 받지 못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일은 청년대학생이 교회를 떠난다는 사실이다. 이 겨레와 함께 하였던 한국교회가 그 겨레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교회가 영적인 생명력을 잃어버리고 세속의 가치를 따라가고 있기 때문이다. 교회 안팎에서 “제2의 종교개혁이 일어나야 한다.”는 말이 들리고 있다. 한국교회는 암담한 중세교회 현실에서 개혁의 횃불을 높이 들었던 개혁자들의 후예로서 개혁운동을 시작할 때이다. “교회는 `개혁된 교회`가 아니라 `항상 개혁하는 교회`이어야 한다.” 개혁은 한 시대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되어야 할 성경정신이다. 그 개혁운동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가? 개혁운동은 청년대학생사역에서부터 일어나야 한다. 그리고 그 개혁운동은 개혁주의생명신학에 뿌리를 둬야 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유일한 목표는 성령의 능력으로 우리 자신이 변화되어 주님의 몸 된 교회를 살리고, 세상에 그리스도의 생명의 복음을 전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교회 청년대학생사역을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렌즈로 진단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그 대안은 한국교회 지도자들이 청년대학부사역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1대1 성경공부와 소그룹 사역, 그리고 성경적 설교를 통하여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한 사람을 신행일치의 제자, 평신도 자비량 선교사로 양성하는 것이다. 그 모든 일의 뿌리에는 전도와 기도가 있어야 한다. 한국교회가 성경적 생명가치를 회복시키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붙들고 사역과 삶의 현장에서 실천한다면 위기를 극복하고 제2의 종교개혁운동이 일어날 것이다. 그리하여 한국교회는 다시 한번 겨레와 하는 함께 하는 생명력 있는 교회, 한반도를 넘어서 오대양 육대주에 수많은 선교사를 파송하고 세계역사에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는 제사장 나라로 쓰임 받을 것이다. The Korean church, which originated as a kernel of wheat during national crisis, has now spread its roots and grown as a tree in which birds can nes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is nation, its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the church took its role as the salt and light of society. However, in contemporary society, the church has found itself in disrepute. The most pressing issue lies in that youths do not wish to stay within the church, highlighting that is has become outdated and is increasingly shunned. The reason for this lies in that churches have lost their spiritual power and have conformed to the secularism of this world.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the second reformation of the church. Today`s believers are the descendants of reformers in the middle age who lifted their voices and effected change. Reformation entails continuity, it is not finished with the work of one generation but it is a continual and ongoing process of change. Churches must be reformed continually. This is biblical reformation. Where will this change begin? Campus youth ministry is the starting point of reformation. The foundation of this lies in Reformed Life theology. The ultimate purpose of Reformed Life theology is to let ourselves to be transformed by the power of the Spirit so that we may resuscitate the church and glorify God. In light of this, I would like to propose alternative ways to address the current spiritual situation of campus youth ministry in Korea. Alternatives such as encouraging a paradigm shift in Korean spiritual leaders regarding campus youth ministry, the recovery of the Christian community through one to one Bible study, small group ministry and Biblical preaching. Its fruit will be the genuine disciple who practice Biblical teachings in their actual lives and self-supporting lay missionaries who can spread the gospel of Jesus to the world. The root of all these works must be evangelization and prayer.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way to restore the Biblical values of life. We must pay heed to it and cling to it, practice it until the second reformation arises in our generation. With this, the Korean church will be regain its spiritual power and influence and Korea will become a conduit for sending missionaries the world over. And God will use Korea as a priestly nation for world mission again.

      • KCI등재후보

        츠빙글리의 개혁신학: “참 종교와 거짓 종교에 대한 주해”를 중심으로

        박찬호 ( Chan Ho Park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7 No.-

        훌드리히 츠빙글리는 스위스 취리히의 종교개혁자였다. 츠빙글리는 루터와 함께 종교개혁 1세대에 속하며 루터와는 다소 다른 신학을 전개 하였다. 이런 츠빙글리의 신학은 이후 칼빈 등에 의해 계승 발전되어 오늘의 개혁신학을 형성하고 있다. 칼빈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지만 츠빙글리에 대해서는 거의 소개되지 않고 있는 것이 작금의 현실이다. 츠빙글리는 개혁신학의 원조 격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창시자라는 말은 어울리지 않을 것 같고 그가 시작한 개혁신학이라는 원류에 칼빈을 비롯한 수많은 사람들이 합류하여 거대한 개혁신학이라고 하는 물줄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츠빙글리의 『참 종교와 거짓 종교에 대한 주해』를 중심으로 츠빙글리의 개혁신학에 대해 논하고 있다. 먼저 츠빙글리는 하나님의 말씀에 대하여 강조하고 있다. 참된 종교와 거짓 종교를 가르는 분기점이 여기에 있다. 인간의 말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에 우선하는 것이 참된 종교의 특징이다. 물론 이것은 개혁신학뿐 아니라 전체적인 종교개혁 사상의 공통 분모라고 할 수 있다. 개혁신학자로서의 츠빙글리의 특징은 두 번째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강조에서 보다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개혁자로서의 사역의 초기에 페스트에 걸려 사경을 헤매며 하나님의 섭리를 체험적으로 체득한 츠빙글리는 후기에는 이를 더욱 발전시켜 예정론을 주장하게 되었지만 칼빈처럼 온전한 형태의 예정론을 전개하지는 못했다. 성찬과 관련하여 츠빙글리가 루터와 벌였던 성만찬 논쟁은 종교개혁 시대의 가장 큰 분쟁 가운데 하나였다. 성만찬에 대한 츠빙글리의 견해는 벌코프가 말하고 있는 것처럼 하나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조금씩 변화하며 발전하였다고 보는 것이 정당할 것이다. 희미한 형태이기는 하지만 츠빙글리의 사상 속에 칼빈의 영적 임재설의 형태가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교회와 세속 정부의 관계에 대해 츠빙글리는 분리주의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재세례파와 거리를 두고 있다. 물론 츠빙글리는 목회자가 더 우선적인 하나님의 도구라고 보기는 하지만 세속 관리와 목회자는 하나님의 두 가지 도구이다. 교회의 권징을 세속 정부에 위탁하고 있는 듯한 츠빙글리의 모습은 제네바의 칼빈에게서 극복이 되었다. 칼빈은 교회의 독자적인 권징권을 주장하였다. 개인뿐 아니라 사회에 대한 츠빙글리의 관심은 이후 개혁신학의 특징이 되었다. Huldrych Zwingli was the Reformer of Zurich, Switzerland. Along with Luther, Zwingli belonged to the first generation of Reformation. But he deployed a little different theology from Luther’s. This theology of Zwingli was succeeded and developed by Calvin and other Reformed theologians. Zwingli’s theology shaped Reformed theology today in many areas. However, though there are much introduced about Calvin, there are little known about Zwingli nowadays. Zwingli is the first Reformed theologian. The term of the founder may not be adequate. Many theologians including Calvin joined in the stream of Reformed theology which Zwingli began. They together made up of Reformed theology. This essay deals with Zwingli’s Reformed theology focusing on his main work “Commentary on True and False Religion.” First of all, Zwingli emphasized the word of God. The crucial point to divide the true religion from the false religion is the word of God. It is characteristic of true religion to prefer to the word of God rather than the word of man. Of course it is not only the characteristic of Reformed Theology but also one of the common features of protestant Reformation. The distinct character of Zwingli as a Reformed theologian is evident in the second point of Zwingli’s emphasis on the sovereignty of God. In his earlier phase of Reformer Zwingli acknowledged the providence of God through his contamination of pest empirically. In the later time of his life, though he did not deploy full-scale predestination theory like Calvin, Zwingli developed and divine providence and proposed divine predestination. The debate on the Lord’s Supper between Zwingli and Luther is the greatest conflict among the Reformers. As Berkhof mentioned, Zwingli’s view on the Eucharist is not fixed but is getting changed and developed. It is true that there was a vague form of Calvin’s spiritual presence in Zwingli’s thought. Concerning the relation between government and church, Zwingli kept his distance from the Anabaptist who approached it in the separatist point of view. Even though he gave priority to pastors rather than secular officials, Zwingli recognized church ministers and government officials as two instruments of God. Calvin of Geneva overcame Zwingli’s limit that entrusted church discipleship to government. Calvin contended for the independent discipleship of church. Zwingli’s concern not only on individual but also community became a characteristic of later Reformed theology.

      • 장종현 박사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 주제설교 연구: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한국교회를 향한 함의(含意)

        성종현 ( Seong Chong Hyo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8 No.-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주창자이신 장종현 박사는 목회자를 양성하는 선지학교를 1976년 설립하였다. 하나님의 은혜와 그의 끊임없는 무릎 기도와 탁월한 리더십에 힘입어 장족의 발전을 거듭하였다. 그는 신학교와 신학교수들이 많아질수록 교회의 현장은 메말라 가고 있음을 간파하고 그 원인이 신학교육의 문제에 있다고 보았다. 그는 2003년 10월 25일에`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를 외쳤고, 2008년 12월 1일에는 제1회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을 열었다. 본 논문은 종교개혁의 설교학적 의의에 기초하여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장종현 박사의 주제설교 연구를 통해 종교개혁 500 주년을 맞이하는 한국교회를 향한 함의(含意)를 찾고자 한다. 왜냐하면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에서 장종현 박사는 한국교회의 개혁을 염두에 두고서 일 년 동안 준비된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증언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제2의 종교개혁 의 역사에 쓰임을 받기를 소망하고 있다. 본 논문의 제1장은 개혁주의생명신학 생명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아홉 차례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와 더불어 주요 대지를 소개하고 있다. 제2장은 장종현 박사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 주제설교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이하는 한국교회를 향한 함의 (含意)를 살피고 있다. 첫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태동이다. 제1회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 주제설교가 한국교회에 끼친 공헌은 종교 개혁 500주년을 앞두고서`개혁주의생명신학`이라는 새로운 용어 가 공적으로 발표된 계기를 마련한 데 있다. 장종현 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주창하면서 죽어 있는 개혁신학을 살리고자 하는 뜨거운 열정으로`개혁주의생명신학`을 주창하였다. 둘째, 개혁주의 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성교는 신학의 본질을 반성하면서 신학의 본 질의 회복을 촉구하기 위해 개혁주의생명신학 7대 실천운동 전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장종현 박사의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설교는 개혁주의생명신학에서 강조하는 7대 실천운동을 구슬같이 꿰뚫고 있다. 셋째, 그의 주제설교는 포럼이 진행된 공간에서만 머물지 않고 기독교 TV와 라디오 그리고 신문 등을 통 해 한국교회와 성도들에게 강하게 파고들었다. 그 결과, 한국교회 의 연합운동을 더욱 촉진하게 하는 도구로 쓰임을 받게 되었다. 이런 시대적 상황에서 장종현 박사는 다가오는 2017년 10월 31일 제 10회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에서`종교개혁 500주년과 개혁주의 생명신학`이라는 제하의 메시지를 준비하고 있다. 개혁주의생명신학 포럼의 주제설교는 다가오는 종교개혁 1,000년을 향해 한국교회가 나아가야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 나침반이 될 것이다. Dr. Jong Hyun Chang, an advocate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established a small seminary to raise up ministers. He succeeded in growing a great repeat of development through the grace of God and his kneeling prayer and leadership. In many countries, as theology has developed more and more into a mere scholarly discipline, the spiritual state of local churches has consequently declined even more. On the process of being too speculative, theology has lost the spiritual life found in Jesus Christ, its very substance and spiritual power. As we live up to the Gospel in every aspect of our lives, we seek to promote spiritual revival in Korean churches by restoring the vitality of the Gospel, the essential substance of theology. To this end, Dr. Chang advocates `Reformed Life Theology`. Reformed Life Theology attempts to inherit and develop the reformed theology by emphasizing its five mottos: sola Scriptura, solus Christus, sola fide, sola gratia, and soli Deo gloria, and by setting the seven practical movement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such as a movement of faith, theological restoration, repentance-forgiveness, spiritual life, the Kingdom of God, sharing, and prayer-the Holy Spirit.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introduces the subject and main outlines of Dr. Chang`s sermons of nine forums of the Reformed Life Theology. The second chapter studies the implications to the Korean churches welcoming the Reformation`s 500th anniversary.

      • KCI등재

        ‘2010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의미

        장훈태 ( Hun Tae Chang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1 생명과 말씀 Vol.4 No.-

        본 논문은 2010년 장종현 박사가 주창한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은 한국 교회의 신학적 반성에 대한 촉구를 골자로 하는 내용으로 장종현 박사의 신학적 정체성일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한국 교회와 함께 신학교라는 두 축을 움직이는 두 축이다. 이로 인해 백석학원은 학교의 높은 위상에 자부심을 갖게 됐다. 본 논문에서는 개혁주의생명신학에 대한 용어의 문제이기 보다는 태도와 마음가짐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자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한국 사회와 교회의 상황에서 필연적인 의미를 갖는 당위성을 견지해야 한다는 전제하에 2010년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언동기와 선언문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선교적 함의를 고찰하고, 선교적 차원에서 실행하기 위한 실천방안을 논의하고자 한다. 장종현 박사는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을 함과 동시에“개혁주의생명신학”만이 한국 교회의 회복, 신학을 회복할 수 있다는 믿음아래 “절망적인 신학교와 교회에서 희망을 버리지 않고 끊임없이 꿈을 향해 정진”해 왔다. 장종현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통하여 한국 교회와 신학의 회복을 위한 희망을 찾으려 한다. 그는 항상 “작고 느리고 섬세하게” 희망을 찾는 바른 생활상(Right Livelihood Awards)을 외치고 있다. 이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주창하게 된 동기 즉 “다른 신학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죽어 있는 개혁신학을 살려야 한다. 장종현 박사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실천적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기 위해 선언문에 일곱 가지 운동 즉 신앙운동, 신학회복운동, 영적생명운동, 하나님 나라운동, 기도운동, 성령운동, 그리고 나눔운동을 주장 한다. 결과적으로 개혁주의의 가장 근본적인 주장인 “성경대로 돌아가서 성경이 말씀하는 대로 믿고 성경이 말씀하는 대로 사는 것이 죽어버린 신학을 살리는 길”이다. 이것이 개혁주의생명신학 운동의 핵심 내용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기독교대학으로서 정체성을 견고히 하는 원동력이며, 학교가 지향해야 할 근본적인 목표이다. 즉 기독교대학의 근본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영원한 생명을 얻도록``하는 것이다. 이것은 모든 기독교대학이 영생의 신학 곧 생명신학의 토대위에 세워져야 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을 발표하게 된 동기의 핵심은 교회의 발전을 통한 하나님 나라 확산과 선교적사명 완수이다. 한국 교회의 회복과 발전을 위해 개혁주의생명신학이 주창한 7대 운동은 “신앙운동, 신학회복운동, 영적생명운동, 하나님 나라운동, 기도운동, 성령운동, 나눔운동”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교회의 올바른 회복과 발전의 동기는 이 선언문의 중심 내용 즉 “신학은 학문이 아니라 생명을 살리는 복음”이며, “교회와 세상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라는 근본취지에서도 드러난다. 2010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의미적 의미는 한국 교회위기의 돌파구의 핵심은 영이요, 첫째는, 하나님의 말씀 회복이다. 모든 주의 백성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주 안에서 누릴 때 교회의 위기 돌파구가 보이게 될 것이다. 둘째는, 영적 생명력 회복이다. 장종현박사의 “생명의 말씀”은 교회와 세상을 살리는 원동력이란 의미다. 이러한 주장은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 즉 대위임령(마 28:18-20)과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을 땅 끝까지(행 1:8)전하라는 명령과 일치한다. 셋째는, 선교 활성화 및 운동이다. 장종현 박사는 계속해서 “개혁주의신학의 핵심인 하나님이 주시는 영적 생명을 놓치고, 이론 중심의 신학연구에 머무르는 것을 보며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고 표현하며 개혁주의생명신학 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기 위해 7대 운동을 펼치게 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본 논문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선교적 실천방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역설하였다. 첫째는, 생명에 들어가기 위한 말씀(계명) 지키기이다. 둘째는, 영적인 사람, 생명의 사람으로 살기이다. 셋째는, 사역의 감각성을 지닌 지도자 양성이다. 넷째는, 순수한 복음을 성경말씀대로 선포하여 교회의 생명력 회복이다. 개혁주의생명신학 선언문의 7대 운동의 전반적인 내용은 복음전도의 목적이 담겨 있다. 7대 운동은 “이 땅에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삶에 관한 지식을 계속 보존하는것, 그리고 그분의 재림을 위해 준비하는 것, 그분이 사람들의 마음 문앞에서 두드리고 그들 속으로 들어가려고 함”을 강조하고 있다. This article explained that the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advocated by Dr. Jong Hyun Chang in 2010 has the contents with the essentials to demand theological introspection of Korean churches and it is not only the theological identity of Dr. Jong Hyun Chang but also one of the two axes which move theological schools through this together with Korean churches. This paper explored this researcher under the premise that appropriateness which has indispensable meaning in the situation of Korean society and churches of Reformed Life Theology should be strongly supported, contemplates the motives of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declaration 2010 and missionary implicature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declaration and discuss the method of practice to implement it specifically in the level of mission. Dr. Jong Hyun Chang declared “Theology is not study.” and at the same time under the belief that only “reformed life theology” can restore Korean churches and restore theology, “he has devoted himself to the dream continuously without giving up hope in despairing theology school and churches.” He is to find the hope for the restoration of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through “Reformed Life Theology” He is always shouting “small and slowly and delicately” which is Right Livelihood Awards to find hope. The study emphasis that this is not to make new theology but by blowing life into reformism to activate reform theology” and “maintains in the declaration that in order to actively unfold practical movement of reformed life theology, seven kinds of movements namely, religious belief movement, theology restoration movement, spiritual life movement, Kingdom of God movement, prayer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driving force that makes the identity as Christianity university firm and fundamental purpose which the school should aim at. Namely, the fundamental of Christianity university is to ``obtain eternal life through Jesus Christ``. It can be seen to mean that all Christianity university should established on the foundation of the theology of eternal life namely life theology. The 7 great movement advocated by reformed life theology for the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churches are religious belief movement, theology restoration movement, spiritual life movement, Kingdom of God movement, prayer movement, Holy Spirit movement and sharing movement. The article mentioned that Missionary Meaning of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2010.`` First, the core of breakthrough for the crisis of churches is the restoration of the words of God which is the Spirit and life, Second, restoration of Spiritual Vitality; third, vitalization and Movements of Missionary Work. Missionary meaning appeared in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was looked into. In order to give spiritual vitality to Korean churches, Asian churches and the actual spot of missionary work, we should practice the 7 great movements actively. 7 great movements in the declaration are very meaningful in Korean church history and missionary history therefore theology schools and churches should actively accept them and participate in them. This article argued that missionary method of practice of the declaration of Reformed Life Theology mention as below; First, Observing the Words (Commandments) to Enter the Life; Second, Living as a Man of Spirit and a Man of Life; Third, Educating Leaders who have Sentience of Ministry; Fourth, Restoration of Vitality of Churches by Proclaiming Pure Gospel as the Saying of the Bible. The 7 great movements emphasize “preserving continuously the knowledge on the life of Jesus Christ on this earth, and preparing for the Second Advent of Him and He knocks on the door of mind of people and tries to enter them. The pulpits of churches proclaim as the Bible, the Kingdom of God will expand. This is the core of the 7 great movements of the decla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