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감수성 분석 및 교육방안 제안 - W대학교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

        임연정 중국인문학회 2017 中國人文科學 Vol.0 No.66

        本文主要考察韓國大學漢語學習者的跨文化敏感度獲得現狀,然後提出一些教學建議。 對外漢語教學的最終目的在於讓學習者能夠進行跨文化交際,而跨文化敏感度是進行跨文化 交際的先決條件。本文首先考察有關跨文化交際以及跨文化敏感度的基本理論和前人研究成 果,探討漢語教學中它們的作用。然後,采用了Chen & Starosta(2000)設計的“跨文化敏 感度量表(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對韓國一所大學漢語學習者進行了一次 跨文化敏感水平的測量。接著,使用SPSS分析性別、專業、漢語學習期間、新HSK級別、在 中國留學(滯留)期間等因素對跨文化敏感度的影響以及組成跨文化敏感因素之間的關系,通過 此過程了解了韓國學習者跨文化敏感度的特點。最後,基於翻轉課堂(Flipped Learning) 模式提出一些有關培養跨文化敏感度的漢語教學建議。希望此研究可以對漢語教學提供一些 參考性的材料,並能夠進一步提高漢語教學的效果。

      • KCI등재

        Tandem 학습법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 방안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이효영 한국중국언어학회 2011 중국언어연구 Vol.0 No.35

        Tandem學習法指的是兩個不同母語的學習者通過自主地交流來學習對方的語言和文化等。這種交流可以是面對面的交流, 也可以通過其타手段進行, 如電話、電子郵件(或者書信)、網上聊天等。타是一種建立在自主學習、跨文化學習和과伴關系基礎上的學習方法。通過Tandem學習法, 學習者不僅能구提高自身的語言交流能力, 而且還可以鍛煉自主學習能力、跨文化交際能力以及解決問題的能力等。在韓國, Tandem學習法的應用尙處於起步階段。釜山外國語大學已經開始爲學生提供Tandem學習機會, 但國內相關硏究仍然較少。本文就當前Tandem學習法在韓國漢語敎學上的應用狀況進行了調査和硏究。介紹Tandem學習法的定義, 原則、基本運用形式、實施原則、學習過程、學習方法與內容等。爲了更多了解Tandem學習法在漢語敎學中的應用狀況, 對釜山外國語大學的漢語-韓語Tandem課的學習者進行了問卷調査, 對Tandem學習法在韓國漢語敎學中的應用給出了一些建議。

      • KCI등재

        《紅樓夢》 韓譯에 있어서의 ‘文化素’와 ‘文化空白’에 관한 재고찰

        高旼喜 한국중국소설학회 2019 中國小說論叢 Vol.59 No.-

        21세기의 세계는 글로벌 시대를 맞이하여 그 어느 때보다도 나라와 민족 간의 疏通이 중시되고 있으며, 그러한 소통은 무엇보다도 문화적 이해가 밑바탕 되어야 한다. 서로 다른 문화를 지닌 민족과 국가 간의 跨文化交流는 나날이 중시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가장 유효한 소통 통로 가운데 하나는 아마도 ‘번역’일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紅樓夢》의 韓譯은 한국과 중국 간의 跨文化交流를 위한 대단히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여겨진다. ‘文化小說’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는 《紅樓夢》에는 거의 모든 중국문화가 용해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서 중국민족의 인문의식과 인문전통 등을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紅樓夢》에 풍부하게 내재되어 있는 문화적 요소, 즉 ‘文化素’는 ‘문화소설’로서의 《紅樓夢》의 위상을 드높여주는 요체이기는 하나, 번역에 있어서는 도착어로 옮기기 어려운 크나큰 난관이 아닐 수 없다. 언어와 문화상의 차이로 인하여 《紅樓夢》의 ‘문화소’를 도착어로 옮기기가 어렵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허다하며, 이러한 문화적 含意의 消失은 이른바 ‘文化空白’ 현상을 초래한다. 본고는 《紅樓夢》을 한역함에 있어서 문화적 함의가 상당부분 소실되거나 완전히 소실됨으로써 문화정보가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에 주목하여, ‘문화공백’이라는 용어를 key word로 삼아 ‘문화소’의 번역 양상에 대하여 정리·분석하였다. 《紅樓夢》 한역에 있어서의 ‘문화공백’ 현상은 ‘중국문화의 다양한 면모를 드러내고 있는 文化素’와 ‘중국어 특유의 文化素’로 대별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러한 ‘문화공백’ 현상을 메울 수 있는 몇 가지 ‘補償策略’을 모색하고 제안함으로써 향후의 보완과 수정을 위한 밑바탕을 초보적이나마 마련해 보았다. Heralding a new era of globalization, the world of the 21st century sets a higher value on communication between the different ethnic groups across the countries than ever. Of course, such communication requires cultural understanding. A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ith those from other cultural background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ese days, ‘translation’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communication channels. In that sense, the translation of A Dream of Red Mansions, a classic Chinese novel, from Chinese into Korean language is regarded as a very meaningful work contributing to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is is because, the readers can well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humanity and humanistic tradition, etc. specific to the Chinese people through A Dream of Red Mansions, which can be literally defined as a cultural novel, since the book encompasses almost all Chinese cultural elements. Although cultural elements that richly inherent in A Dream of Red Mansions, i.e., ‘culturemes,’ have served as a key point in enhancing the stature of A Dream of Red Mansions as a cultural novel, translating such cultural elements in the source language into the target language is seen as a big challeng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often make it difficult or impossible to translate ‘culturemes’ in A Dream of Red Mansions from the source language into the target language. The loss of cultural implica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brings about a phenomenon of so-called ‘cultural blanks.’ In this regard, this study arranged and analyzed the patterns of ‘cultureme’ translation along with ‘cultural blanks’ as a keyword by focusing on the failure in appropriately conveying cultural information due to tremendous or complete loss of cultural implications in the translation of A Dream of Red Mansions from Chinese into Korean language. The phenomenon of ‘cultural blanks’ which appears in the translation of A Dream of Red Mansions was analyzed through the division of culturemes into ‘culturemes that show diverse aspects of Chinese culture’ and ‘culturemes peculiar to the Chinese language.’ Based on this, several ‘compensatory strategies’ were explored and suggested as a way to fill in the ‘cultural blanks,’ to lay a foundation for future supplementation and correction of cultureme translation, though this is still at a beginning level.

      • 跨文化視野下漢字硏究的六個初步觀點

        Heo Chul 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 2020 International Han-character Education Research Vol.3 No.1

        본 연구는 다문화 연구의 시각 아래 시행되는 한자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바를 6가지로 나누어 기본적인 생각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6가지 관점은 한자연구와 한자교육 문제를 넘어 동아시아 한자문화권 전반에 걸친 연구의 담론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담론의 활성화를 통해 향후 한자 연구가 지향할 바를 고민하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This study expresses the basic idea by dividing six things to consider in Han-character studies conducted under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studies. These six perspectives are not only on the subject of Han-character studies and Han-character education, but also on the basis of the overall research of East Asian Han-character culture Sphere.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his discourse, we hope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what Han-character research will aim for in the future.

      • 시청각 수업에서의 한국 문화 교수-학습 방법 연구

        로금숙 천진사범대학교 한국문화연구중심 2014 중한언어문화연구 Vol.8 No.-

        外語學習者要與目的語國家的人進行流暢的溝通,不僅需要在發音、詞匯、語法等方面表達准確,而且還要了解目的語國家的語言習慣和文化習俗。爲此,在外語敎學中應該加强目的語國家的社會生活習慣和文化風俗知識敎育。本文以跨文化交際的觀点,探討韓國語視聽課敎學中韓國文化因素敎學相關的一些問題。其目的就在于,學生通過了解韓國文化、日常生活習慣和風俗,進一步與中國的禮節文化進行比較,增進學生的記憶和提高學生的應用能力,達到敎學的最佳效果。

      • KCI등재

        A Masterpiece of Confucian Latin Translation in the 18th Century: François Noël S.I. and His Sinensis Imperii Libri Classici Sex

        ( Luo Ying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15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0 No.23

        “四書”域外傳播史是“儒學西傳”跨文化硏究中的重要課題, 本文結合“儀禮之爭”這一時代背景, 以比利時來華耶穌會士衛方濟1711年在布拉格出版的《中華帝國六經》(Sinensis imperii libri classici sex)書中《中庸》譯文爲例, 比較衛氏譯文與其他拉丁文譯本之間的異同, 一方面勾勒出16―18世紀來華耶穌會士對儒學典籍飜譯與闡釋的基本路徑;另一方面著重探討衛氏譯文的獨特之處及個中緣由。 The spreading of Confucian Four Books abroad is among the most important topics in cross-cultural studies of the transmission of Confucianism to the West.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ite Controversy,” this paper explores the legacy of Sinensis imperii libri classici sex, a text translated by the Belgian Jesuit François Noël (1651-1729) in 1711. This paper focuses on Noël’s Latin translation of the Zhongyong 中庸 (Doctrine of the Mean) comparing it with other Latin translations of the Zhongyong published earlier by other Jesuits of different generations. This article provides a broad summary of both the Jesuit missionaries who came to China from the 16th to 18th century and their approaches to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Confucian works and a closer investigation and discussion of Noël’s translation and his motives. [Article in Chinese]

      • 乡村旅游跨文化交流研究

        罗峰(Feng Luo),章艺(Yi Zhang) 세계문화관광학회 2012 International Journal of Culture and tourism Resea Vol.5 No.2

        2008年起, 有来自南非、法国、韩国等十来个国家的人士在浙北德清395村经营农家乐, 受到崇尚自然的国内外旅游者的欢迎。本文在调查的基础上, 研究以乡村旅游为载体的跨文化交流给旅游目的地带来的影响。结果显示, 跨文化交流主要对当地旅游模式、环境意识、文化融合等方面产生a积极的影响。建议该地旅游规划与开发要尊重目的地居民意愿、保护目的地居民的本土文化、选择吸收外来文化精华等, 以促进旅游目的地的可持续发展。 Since 2008, foreign businessmen from South Africa, France, South Korean and other countries have started rural tourism in Sanjiuwu Village of Deqing county, the northern part of Zhejiang province. The rural tourism attract nature respecting foreigners and white-collars. Based on questionnaires and research, this paper studied the influence of destination with cross-cultural contact. Results show there are aggressive influences on the following aspects, such as tourism mode, environmental awareness, cultural integration and etc. Finally, some useful proposals are put forward for local tourism development. In order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estination, the government has to respect and protect local villagers and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select and adopt the essence of foreign culture.

      • KCI등재

        중국 굴기 이후 한국화교와 다문화주의 - 잔여적 중국인인가 부상하는 과(跨)문화 주체인가? -

        신현준 한중인문학회 2015 한중인문학연구 Vol.49 No.-

        한국화교는 냉전 시대 ‘중국(대륙) 출신, 대만 국적, 한국 거주’라는 확고한 정체성을 형성해 왔고, 다문화주의 정책이 시행되기 이전 시대에 다문화주의를 실질적으로 수행해 온 유일한 소수자 집단이다. 화교는 1990년대 이후 한중 수교를 비롯하여 동아시아 권역에서 전개된일련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변화 속에서 자신의 법적 시민권과 문화적 소속감을 유연하게교섭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에서 유일하다고 할 수 있는 화교의 집단 거주지인 연희동․연남동 일대는, 주변화된 화교의 집거지로부터 오래된 거주자인 화교와 새로운 주민인 대륙 중국인, 조선족, 기타 외국인이 공유하는 다문화적 혹은 과문화(跨文化)적 장소로 재편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교는 자신들이 다문화주의 정책으로부터 얻는 수혜가 없다고 실감하고있으며, 오히려 자신들이 새로운 이주민과 구별되지 않는 사실에 대해 불편해 하고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화교는 중국이 초강대국으로 굴기(屈起)한 이후의잔여적 중국인으로 간단히 설명될 수 없으며, 오랜 시간의 문화적 변환을 통해 형성된 혼종적이고 다문화적인, 정확히 말하면 과문화적 주체로 재개념화되어야 한다. 이는 다문화정책이본질주의적 민족문화(ethnonational culture)의 개념을 넘어서야 한다는 함의를 갖는다. Hwagyo, ethnic Chinese in Korea, had virtually been the only non-Korean residents in South Korea who had performed multiculturalism before the multiclultral policy began to be implemented. While hwagyo had established the stable identity of ethnic Chinese from the Mainland, the citizen of the Republic of China (Taiwan) and the residents in South Korea simultaneously, they began to negotiate their legal citizenship and cultural sense of belonging in the complex effects of political and economic changes since the 1990s. As a result, the neighborhood of Yeonhui and Yeonnam, that once was a marginalized enclave of hwagyo, is being transformed into a multicultural or transcultural place which is shared by hwagyo, joseonjok (ethnic Koreans from China), mainland (Han-) Chinese, and other foreigner residents. In spite of these changes, my field research shows that hwagyo senses their exclusion from the benefits of multicultural policy. Furthermore, they feel uncomfortable with the gaze that does not differentiate them from the newcomer Chinese. The main argument of this paper is that hwagyo needs to be reconceptualized not as residual Chinese diaspora after the rise of China, but as hybrid and transcultural subjects who are neither Chinese nor Korean. It has the implication that the multiculturalism in South Korea needs to go beyond the essentialist notion of ethnonational culture.

      • 來華傳教士理雅各《孟子》譯本的跨文化傳播

        丁文娟(정문연),徐誠(서성)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23 동아문헌연구 Vol.- No.-

        근세에 전교를 위해 중국으로 온 선교사들이 중국의 유학에 대해 취한 태도는 크게 보면 유학에 대해 공격적 입장을 갖는 “공유(攻儒)”와 유학과의 융합을 주장을 “합유(合儒)”의 두 경향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귀츨라프(Karl Friedrich August Gützlaff,1803-1851;郭實臘), 데이비드 콜리에(David Collie,1791-1828;柯大衛) 등이 ‘공유’의 대표로 꼽히고 있으며, 제임스 레그(James Legge,1815-1897; 理雅各)는 ‘합유’의 대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 인식이 구체적 분야에서도 항상 일률적으로 적용 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레그는 1861년에서 1872년 사이에 《중국경전》의 번역 작업을 총괄하였는데, 그 1권은 《논어》《대학》《중용》 등이며, 제2권은 《맹자》이다. 레그의 《맹자》 번역본을 보면 맹자의 사상을 추앙함과 동시에 동서방 문명의 대화를 구현한다는 점에서 “합유”의 기반위에서 있지만, 한편으로 당시 선교사들이 품고 있던 “동방주의(東方主意)”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였으며 맹자 사상의 일부 내용에 대해 엄격한 비판을 하고 있어 “공유”의 측면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유가의 경전을 번역함에 있어 레그의 기본 태도가 “공유”인지 “합유”인지는 번역문의 내용을 전체적이고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할 문제이기도 하다. 레그는 《맹자》를 번역하여 서방에 소개함으로써 동서방의 교류와 다문화 전파를 역사적 사명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레그 번역본 《맹자》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은 근세에 중국으로 건너온 선교사들의 활동을 이해하고 심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전반적으로 보면 레그는 《맹자》 등 유가 경전을 서방으로 전파하는데 공헌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 선교사들이 품고 있었던 동방주의 인식이 동서간의 대화에 깊은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은 오늘날 다문화전파에서 보이는 일련의 문제를 해석하는데 단서를 줄 수 있다. 이글은 레그의 《맹자》 번역에 구현된 “공유‘와 ”합유“의 현상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밝히는 한편 더 한층 심화하여 연구할 가치가 있음을 밝힌 것이다. James Legge, a missionary who came to China, has made great contributions to the exchange and mutual learning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s. His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s” has promoted the spread of Confucian classics such as “Mencius” to the west, and promoted the cross-cultural transmission of China’s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analyzes the basic background of Legge’s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of Mencius through sorting out historical documents, and believes that Legge’s position of advocating Mencius and advocating the dialogue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ivilizations reflects his “Confucianism”. At the same time, he also has the “Confucianism” side. In the translation and introduction, he cannot help but be influenced by the missionary Orientalism, and severely criticized some contents of Mencius’ thought.

      • KCI등재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화 교육의 필요성 및 그 내용 고찰

        손민정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7 No.-

        本文旨在突出中國語敎學中的文化因素。 筆者考察了高中漢語課程和目前使用的漢語敎科書, 在此基礎上探討高中學生漢語入門敎學中如何進行中國文化敎育問題。 語言是文化信息的載體, 每一種語言都深深地?刻着一個民族的文化印迹, 脫離文化的語言是不存在的。 因此, 在學習外語的時候, 必鬚同時學習幷了解那個民族的文化, 要學習那種語言中所蘊涵的文化因素。 否則, 无法理解幷掌握這種語言, 在交際中也不可能正確理解對方的思想, 更不可能進行正確而自然的表達。 我們從第七次高中中國語課程開始强調文化因素的敎育, 幷在2007年改正的課程中詳細記述了文化敎育方面的內容。 中國對外漢語敎學中也强調言語敎學范圍內的文化敎學。 我們考察了高中中國語敎學中的文化因素, 了解到在改正的課程中≪中國語1≫和≪中國語2≫都介紹了中國人的日常生活和社會文化現實以及文化遺産等方面的內容。 有關中國人日常生活方面介紹了中國的語言文化, 中國人的興趣愛好, 業余生活, 家庭, 學校及衣食住行等。 社會現狀和文化遺産方面則介紹了中國的社會文化, 文化遺産及藝術文化等。 考察目前使用的6種第七次課程的高中中國語敎材中了解到, 除了中國槪況以外, 還介紹了交通, 節假日, 少數民族/人口, 飮食, 茶, 普通話/漢字, 學校生活, 貨幣等內容, 豊富了文化敎育的內容。 入門階段, 若要在語言敎學中進行文化敎育, 首選的應該是語言文化。 不僅因爲?最具代表性, 還因爲?是最可行的, 最實際的。 在改正課程中有關語言文化方面的內容涉及到打招呼, 介紹, 稱呼, 數字, 語言禮節等。 `問候語`, `稱謂詞`中的不少詞語, 浸透着?厚的中國情, 反映着悠久的中國文化, 是學生了解中國文化, 培養漢語交際能力的典范。 入門階段的敎科書中應該編寫“以語言形式爲主, 與文化項目緊密結合”的敎材。 結合文化編寫敎材的方式可分爲如下三種類型: 一是通過課文內容直接介紹中國文化, 二是課文反映的文化內容通過情景說明來揭示, 三是通過注釋介紹課文中的文化內容。 中國語敎學中强調文化敎育不僅可以幇助學生掌握正確而自然的交際能力, 而且能勾使學生在理解中國語和了解中國文化的基礎上尊重文化的多樣性, 從而樹立正確的价値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