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증치매 노인의 우울 완화를 위한 회상중심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이하린,박소정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an older adult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during reminiscence-based art therapy for the alleviation of depression and what the experience meant for the participant. The study participant was an 82-year-old woman diagnosed with mild dementia in October 2020 who participated in 11 art therapy sessions, 60 minutes each, twice a week from May 4, 2021, to June 8, 2021. The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Erikson’s psychosocial developmental stage model and reminiscence therapy practices. The participant’s art works, transcripts of each session, and clinical journals were collected as data and analyzed using Creswell’s five-step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participant’s art therapy experience was classified into four themes and 14 subthemes. The broad themes were “recognizing the deep sorrow and pain in life,” “cleansing the mind through a positive reflection on life,” “accepting life and reevaluating it positively,” and “assigning value to the futur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reminiscence-based art therapy helped the participant positively evaluate the meaning of her life by enabling her to recognize her value, alleviating her depression, and encouraging her to accept her life.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then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경증치매를 진단받은 노인이 우울 완화를 위한 회상중심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2020년 10월, 경증치매를 진단받은 만 82세 여성으로 2021년 5월 4일부터 2021년 6월 8일까지 주 2회, 60분간 총 11회기의 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연구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회상요법을 바탕으로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모델을 참고하여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의 미술 작품, 매 회기 녹음을 전사한 축어록, 임상일지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를 Creswell의 질적 연구 자료 분석 방법 5단계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참여자의 미술치료 경험은 총 4개의 상위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상위 주제는 <자신의 삶에 담긴 깊은 슬픔과 고통을 인식함>, <삶의 긍정적 회고를 통해 마음을 정화함>, <자신의 삶을 수용하며 긍정적으로 재평가함>, <앞으로 다가올 미래에 가치를 부여함>이다. 본 연구는 경증치매를 진단받은 노인이 회상중심 미술치료를 통해 자신에 대한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여 우울감을 완화하고, 자신의 삶을 수용하여 삶에 대한 의미를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는 것에 도움이 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