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환단고기 진서고(Ⅱ)

        윤창열(Yun Changyeol) 세계환단학회 2015 세계환단학회지 Vol.2 No.2

        『환단고기』는 우리민족의 9천년의 역사와 환국, 배달, 단군조선, 북부여, 고구려, 대진국, 고려로 이어지는 국통맥을 전해주는 유일한 사서이다. 또한 한민족의 뿌리역사뿐만 아니라 우리민족의 신앙, 사상, 철학, 문화까지를 알려주는 寶書이다. 그러나 『환단고기』가 이 세상에 출현한지 100년 이상의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도 僞書논쟁에 휘말려 그 진가를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환단고기가 眞書로 인정받고 正史로 자리 잡는 그날까지 『환단고기』 내용의 진실성과 정확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작업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첫째, 북한에서 1993년 발굴하고 1994년 복원한 강동군 대박산에 있는 단군릉은 조선시대 사서인 『조선왕조실록』, 『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미수기언』, 「동사강목」, 「연려실기술」 등에 기록되어 있는 遺蹟으로 결코 북한에서 조작한 무덤이 아니다. 『환단고기』에서는 5세단군 丘乙이 “風流江을 거쳐 松壤에 이르러 병을 얻어 붕어하시자 大博山에 장사지냈다”고 하였다. 여기서 風流江은 강동읍의 동북쪽을 흐르는 沸流江이고 松壤은 江東의 古號이고 지금도 이 산을 大朴山이라 부르고 있다. 우리는 『환단고기』를 통해 북한에서 발굴 복원한 단군릉은 5세단군 丘乙의 무덤이 확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삼국유사』, 『고려사』의 김위제전, 『조선왕조실록』의 「세조실록」, 『성호사설』 등에 단군조선 때부터 전해오는 신지비사가 언급되어 있고 특히 김위제는 신지 비사의 10句를 인용하여 南京을 세울 것을 건의하고 있다. 『환단고기』에는 6대 단군 달문 때 神誌發理가 常春의 九月山 天祭 때 誓效詞를 짓는데 이것이 神誌秘詞이며 36 句의 全文이 기술되어 있다. 신지비사의 全文과 지은이, 지은장소, 지은목적 등을 기록하고 있는 환단고기는 한민족의 정신사를 복원할 수 있는 진서 중의 진서이다. 셋째, 유향이 지은 『설원』에는 商의 湯이 夏의 桀을 멸망시키는데 九夷의 협조를 받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환단고기』에는 夏商교체기에 단군조선에서 邑借 末良과 蚩 雲出 등의 장수를 보내 成湯을 도와 桀을 멸망시켰다는 자세한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환단고기』는 『說苑』의 내용과 동일하면서도 더욱 구체적 이어서 내용에 대한 신뢰를 더해주고 있다. 넷째, 『한서』 「지리지」에는 조선에 犯禁八條(팔조금법)가 있다고 하면서 3조목만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서는 箕子가 조선에 와서 八條敎를 지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환단고기』에는 22대 색불루단군이 단군조선의 제2왕조시대를 열고 4년 己亥(BCE 1282)에 禁八條를 반포했다고 하면서 8조의 全文을 기술하고 있다. 이로 보건대 환단고기는 우리 역사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왜곡된 사실을 바로잡을 수 있는 眞書가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다섯째, 『시경』, 『맹자』, 『史記』의 「周本紀」에서는 文王의 할아버지 古公亶父가 狄人 (獯鬻, 薰育)의 침입을 받아 邠땅에서 岐山下로 이주한 사실을 기록하고 있지만 狄人의 실체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하고 있다. 『환단고기』에서는 BCE 1280년 단군조선의 제후국인 藍國君이 黎巴達을 시켜 邠岐지역으로 진격하게 하여 그곳 유민들과 연합하여 黎나라를 세웠다고 하였다. 이를 보면 狄人(獯鬻, 薰育)은 단군조선의 한 갈레가 됨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이처럼 『환단고기』는 우리민족 역사의 공백을 메꾸어 줄 뿐만 아니라 중국역사의 비밀까지도 밝혀주는 소중한 史書라고 말할 수 있다. Hwandangogi is the only historical book to teach the national genealogy of Korean people for 9000 years from Hwan-guk, Bae-dal, Joseon by Tangun, North Buyeo, Goguryeo, Daejinguk to Goryeo. It also teaches not only Korean root of history but also Korean faith, ideas, philosophy and culture and is a precious book. Though Hwandangogi appeared over 100 years ago, its true value is not accepted due to the dispute of genuineness. It is necessary to prove the authenticity and accuracy of Hwandangogi objectively until it is accepted as a genuine book and become the official history. This i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after Hwandangogi ( 桓檀古記 ) Jinseogo ( 眞 書考 ) (I). First, Hwandangogi was discovered in North Korea in 1993 and the restoration of Mausoleum of Tangun in Daebaksan Mountain, Kangdong County in 1994 is a historical site recorded in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朝鮮王朝實錄 ), Donggukyeoji Seungram ( 東 國輿地勝覽 ), Donggukyeojiji ( 東國輿地志 ), Misu Gieon ( 眉叟記言 ), Dongsa Gangmok ( 東 史綱目 ), Yeonryeosil Gisul ( 練藜室記述 ) and etc., which is never manufactured tomb by North Korea. In Hwandangogi, Gu-eul ( 丘乙 ), the fifth Tangun said that “he got a disease going through Pungryugang river ( 風流江 ) and reaching Songyang ( 松壤 ) and died, and his funeral was held in Daebaksan Mountain.” Hereby Pungryugang river is a Biryugang ( 沸流江 ) going through northeastern area of Gangdongeup and Songyang is Goho ( 古號 ) in Gangdong ( 江東 ) which is called Daebaksan Mountain ( 大朴山 ) until now. Hwandangogi confirms that Mausoleum of Tangun which was discovered and restored by North Korea is the 5 th Tangun,Gueul. Second,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 三國遺事 ), Gimwijejeon ( 金謂磾傳 )in History of Goryeo ( 高麗史 ), the Annals of Sejo in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Seongho Saseol ( 星湖僿說 ) and etc. mentioned Sinji Bisa ( 神誌秘詞 ) inherited from Joseon by Tangun. In particular, Gimwije suggested to establish the south capital ( 南京 ) by quoting 10 phrases of Sinji Bisa. In Hwandangogi, when the sixth Tangun, Dalmun ruled, Sinji Bali ( 神誌發 理 ) published Seohyosa ( 誓効詞 ) during a ritual for the worship of the heavenly god in Kuwolsan Mountain ( 九月山 ), Sangchun. This is the Sinji Bisa and there are full texts of 36 phrases. Hwandangogi which re-corded the full text of Sinji Bisa, writer, writing place, purpose of writing and etc. is genu-ine and authentic to recover the history of Korean spirit. Third, Sulwon ( 說苑 ) written by Youhyang ( 劉向 ) recorded that Tang ( 湯 ) of Sang ( 商 ) destroyed Goel ( 桀 ) of Ha ( 夏 ) with the cooperation of Guei ( 九夷 ). Hwandangogi also re-corded that General Eupcha ( 邑借 ), Malryang ( 末良 ) and Chiwunchul ( 蚩雲出 ) destroyed Geol ( 桀 ) with the cooperation of Seongtang ( 成湯 ) in Joseon by Tangun during the re-placement of Ha and Sang with details. Hwandangogi has same contents of Sulwon with more details to be reliable. Fourth, Jiriji ( 地理志 ) in Hanseo ( 漢書 ) described only 3 articles of Eight Prohibitions ( 八條禁法 ) in Joseon. But Hwandangogi describes all eight articles and the announcement of Eight Bans ( 禁八條 ) in the 36 th year of the sexagenary cycle ( 己亥 , BCE 1282) when 22nd Tangun, Saekbulu opened the second Dynasty of Joseon by Tangun. This identifies that Hwandangogi is genuine to add missing pieces of Korean history and correct distorted facts. Fifth, the Book of Odes ( 詩經 ), Mencius ( 孟子 ) and Jubongi ( 周本紀 ) in Shiji ( 史記 ) re-corded that Gogong Danbo ( 古公亶父 ), a grandfather of King Wen of Chu moved to the land of Bin ( 邠 ) after invasion of Jeokin tribe ( 狄人 ) and Hunyuk tribe ( 獯鬻 , 薰育 ), but they didn’t reveal who Jeokin tribe was.

      •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님을 입증하는 사료의 고찰

        이명우(Lee, Myung Woo) 세계환단학회 2019 세계환단학회지 Vol.6 No.2

        현재 『환단고기桓檀古記』는 재야사학계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특별한 역사서歷史書로 관심을 갖고 있다. 『환단고기』는 1911년 계연수에 의하여 안함로 安含老의 『삼성기 전 상편』, 원동중元董仲의 『삼성기 전 하편』, 이암李嵒의 『단군세기』, 범장范樟의 『북부여기』, 이맥李陌이 저술한 『태백일사』를 합본하여 출간한 역사서이다. 계연수의 제자 이유립이 보관하여 갖고 있던 원본 『환단고기』를 1949년 제자 오형기에게 정서精書시킨 것을 조병윤이 1979년에 ‘광오이해사’ 를 통하여 필사본 『환단고기』를 출판함으로써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환단고기』의 편찬과 전래 과정을 검토하고, 『환단고기』가 위서僞書라고 주장하는 강단사학계 일부 역사학자의 논문과 출판된 저서들의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청나라 이후 사용된 근대 용어라고 지목하는 『환단고기』에 기재된 특정 지명(예: 영고탑, 문화, 문명 등)과 역사 기술 사항 등이 위서론자들이 주장하는 사용 시기보다 더 오래전에 사용된 증거들을 찾았다. 또한, 『환단고기』에 있는 역사적 내용과 지명 등이 현재까지 잘 알려 지지 않았던 일제강점기 이전에 출판되어 현존하는 역사서와 해방 후 발굴된 유물 등과 대조하여 진위를 확인한 결과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님을 증명하였다. 특히, 조인성 등 위서론자들이 1911년 계연수에 의하여 편찬된 『환단고기』의 원본이 없다는 것을 근거로 해방 후에 만들어진 위서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러한 주장이 허위임을 증명해주는 ‘등사본’ 『환단고기』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 등사본 『환단고기』는 「삼성열기三聖列記」, 「단군세기」, 「북부여기」 상, 하만 수록되어 있다. 1979년 광오이해사 출판 『환단고기』「삼성기 전 상」과 『등사본 환단고기』「삼성열기」의 원문을 비교해볼 때 문장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이 있다. 『환단고기』「삼성기전 상」은 「삼성열기」의 원문 내용과 비교해볼 때 90% 정도는 같지만 나머지 약 10% 정도 차이가 있다. 「단군세기」, 「북부여기」 상, 하에도 일부분이 수정, 추가 또는 삭제되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등사본 『환단고기』는 한문 문장에 한글 현토가 달려 있고, 「삼성열기」를 보면 문장 끝에 “李沂註曰. --”이란 주해註解가 기재되어 있어 광오이해사본 『환단고기』와 다르다. 이는 이유립이 아닌 제삼자가 소장했던『환단고기』혹은 그 저본을 보고 만든 것으로 짐작된다. 어쩌면 등사본『환단고기』는 1911년 계연수가 편찬한 『환단고기』의 저본일 수도 있다고 추론하였다. 따라서 등사본『환단고기』의 존재는 기존의 광오이해사본 혹은 배달의숙본『환단고기』가 1911년 계연수에 의하여 편찬된 원본이 실재하였음을 입증하는 증거라 할 수 있다. 『환단고기』는 과거에 망실된 우리 고대사를 복원하는데 중요한 역사서라고 판단되며, 위서론-진서론의 논쟁을 종식하고 다함께 『환단고기』를 있는 그대로 연구함으로써 우리나라 고대사에 왜곡되거나 부정확한 역사를 바로 잡아 역사 발전에 기여할 것을 제안한다. At present, 『Hwandan Gogi』 is considered as a special document by the shadow academia of historical studies, and/or general persons. 『Hwandan Gogi』 edited by Kye Yeon-soo under the supervision of Lee Ki is a combined history book composed of the first volume of 「Samseonggi」written by Ahnhamro, the second volume of 「Samseonggi」 by Won Dong-jung, 「Dangun Segi」 by Yi Am, 「North Buyeo History」 by Beom Jang, and 「Taebaek Ilsa」 by Yi Maek. This research reviewed the publication and introduction process of 『Hwandan Gog i』, and described evidences regarding the truth of 『Hwandan Gogi』. And the usage of specific terms in 『Hwandan Gogi』 (e.g. Younggotap, culture, civilization, and so on), which had been considered as modern words were reviewed from documents before Qing dynasty. In addition, there are some historical contents and place names in 『Hwandan Gogi』 that are matched with those used in obscure historic books and artifacts. This finding proves that 『Hwandan Gogi』 is a rare book. Especially, the scholars, who regard it as a forged book have argued that there is no original copy of 『Hwandan Gogi』 published by Kye Yeon-soo in 1911. In this article, mimeograph edition of 『Hwandan Gogi』was introduced. This edtion is a critical evidence that demonstrate the presence of 『Hwandan Gogi』published in 1911 by Kye Yeon-soo. This copied book only includes 「Samseong Yeolgi」, 「Dangun Segi」, 「North Buyeo History」, which are a part of original 『Hwandan Gogi』, although there is no record on the authors and publicated time of this copy. The postscript in the 1979 year version of 『Hwandan Gogi』 mentions that “『Hwandan Gogi』 was supervised by Lee Ki, and some wrong contents were reviseded and re-written effortfully.” 「Samseong Yeolgi」 in the mimeographed 『Hwandan Gog i』 shows annotations by Lee Ki. It is assumed that Kye Yeon-soo’s original copy of 『Hwandan Gogi』 is based on this version which was published with annotatio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fore, 『Hwandan Gogi』 is proved that it was published by Kye Yeon-soo in 1911, and it is not a forged book written by Lee Yoo-rip in 1970’s. The controversies over the authenticity of 『Hwandan Gogi』 between scholars in shadow academia and current professors of history in universities of Korea should be ended to elucidate the correct history of Korea. That will stimulate continuous studies on 『Hwandan Gogi』 together by correcting any false or inaccurate contents of ancient history in order to contribute historical development of Korea.

      • 桓檀古記의 歷史性과 史學史的 意義

        이덕일(Lee, Duk-Il) 세계환단학회 2016 세계환단학회지 Vol.3 No.2

        Once released in 1979, 『Hwandangogi』has been located at one of the controversial issues in Korea. Historians in academia has mainly led negative views on this book. According to them, the writer, Kye Yonsu, was nothing but a fictitious character. Of course, he was a real person in history. Nonetheless, the main points on their criticism is related to its composition date as a historical record. They have claimed that the book was written in either 1979 or 1911. Such perspective has played a key roles in treating it as a forgery. However, both claims can be contested as follows. First, the book was not published in 1979, because some contents were already shared by the independence activists in 1920s. Also, the song, called, OA , only found in this book, was already widely sung by them, with the title, ‘DanGunSinGa’. Second, if it was written in 1911, any content should have been contained in other records published before it. Still, a lot of its materials were already discovered in books written hundreds of years ago: the Chosun period. For instance, 『Hwandangogi』 contains historical narratives about Buru, son of Dangun. He was found in the history books such as『Donggukyeokdaechongmok (Table of contents of Korean History century)』 and 『Dongsabongi (Annals of the Korean History)』 transcribed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In this regard, the claim -『Hwandangogi』is entirely a forged book -is not the right approach to research history. 『환단고기』는 1979년 공개되자마자 위서 논쟁에 휩싸였다. 『환단고기』를 위서로 몬 것은 주로 대학 강단에 서는 학자들이었다. 이들의 논리는 당시까지의 연구결과와 『환단고기』의 내용이 다르다는 이유로 위서로 몰았다. 『환단고기』 위서론은 시기에 집중되어 있는데, 하나는 1979년 공개 당시에 만들어진 위서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환단고기』 서문에서 간행연도라고 밝힌 1911년 당시 만들어진 위서라는 것이다. 심지어 『환단고기』를 간행한 계연수가 가짜라는 주장도 있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첫째 『환단고기』가 1979년 공개 당시 만들어진 위서라는 것에 대해서 살펴보자.『환단고기』의 주요 내용들은 1920년대 『개벽』에 이미 실려 있던 내용들이다. 또한 여러 독립운동가들은 『환단고기』의 주요 내용들을 알고 있었다는 사실이 일제강점기 때 여러 문헌에서 드러난다. 따라서 『환단고기』가 1979년 당시 만들어진 위서라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 둘째 1911년에 만들어진 위서라는 주장에 대해서 살펴보자. 『환단고기』가 1911년 에 만들어진 위서라면 그 주요 내용들은 그 이전의 어떤 책에도 나와서는 안 된다. 그러나 『환단고기』에 담긴 주요 내용들은 1911년 이전은 물론 조선 중기 학자들이 쓴 역사서에도 찾을 수 있는 내용들이다. 『환단고기』에는 단군의 신하 팽오라는 인물이 나오는데 1909년의 「단군교 포명서」에 이미 같은 내용이 나온다. 또한 『환단 고기』에는 단군의 아들 부루라는 인물이 나오는데, 이 내용은 17세기의 학자 홍만종이 쓴 「동국역대총목(東國歷代總目)」 과 18세기 학자인 이종휘가 쓴 동사본기( 東史本 紀 )에도 이미 나온다. 또한 『환단고기』에만 나오는 ‘어아가’라는 노래는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가들이 단군신가( 檀君神歌 )라는 제목으로 널리 불렀던 노래다. 따라서 『환단고기』가 1979년이나, 1911년 만들어진 위서라는 주장은 역사학적 방법론 에 따르면 성립될 수 없다.

      • KCI등재후보

        『환단고기』와 『삼일신고』

        조남호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0 선도문화 Vol.9 No.-

        This paper analyzed <Whuandangogi> and <Samilshingo>. <Whuandangogi>have part of <Daebyungyung>(大辯經), <Dangunsegi>(檀君世紀) and ,<Samilshingo> <Daebyungyung> and, <Dangunsegi> have similar subjects with <Samilshingo>. At first <Samilshingo> has the print of Daechonggyo and of <Whuandangogi>,however they are estimated with different process of transmission. Next the ,<Samilshingo> and <Daebyungyung> getting out of <Whuandangogi>, and Daechonggyo print book are discovered with similarity. <Daebyungyung> and <Dangunsegi> can be estimated as a annotated book. In the situation without any annotated book, the content of <Samilshingo> can be a opportunity to extend of studying <Samilshingo>. The contend of <Whuandangogi> is mainly mentioned of Samjin(三眞), Sammang(三妄), Samdo(三途) with Samshin(三神) as the center. Especially in the <Daebyungyung> it is worthy of notice to define of these relationally. Simply it is conspicuous not to refer about brain. 이 글은 <환단고기>(桓丹古記)에 나오는 <삼일신고>(三一神誥) 부분과 그와 비슷한 내용인 담겨 있는 <대변경>(大辯經), <단군세기>(檀君世紀)를 분석한 것이다. 먼저 <삼일신고>는 대종교본과 환단고기본이 있는데 서로 다른 전승과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다음으로 <환단고기>에 나오는 <삼일신고>와 <대변경>, 그리고 <단군세기>는 서로 유사성이 발견된다. <대변경>과 <단군세기>는 <삼일신고>에 대한 주석서로 평가될 수 있다. <삼일신고>에 대한 주석서가 별로 없는 상황에서 <환단고기>에 나오는 내용은 <삼일신고> 연구를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된다. <환단고기>의 내용은 주로 삼신을 중심으로 삼진(三眞), 삼망(三妄), 삼도(三途)에 대한 언급이 주로 되고 있다. 특히 <대변경>에서 이들에 대한 정의를 관계론적으로 내리고 있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다만 뇌에 대한 언급이 되지 않는 점이 눈에 띈다.

      • 『환단고기』 에 인용된 역사서 비교연구

        유 철(You, Chul) 세계환단학회 2017 세계환단학회지 Vol.4 No.1

        환단고기는 안함로의 삼성기, 원동중의 삼성기, 이암의 단군세기 , 범장의 북부여기 , 이맥의 태백일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단고기를 구성하는 각각의 역사서를 저술한 저자들은 그 이전의 여러 역사서들을 인용하고 있다. 그런데 각 역사서를 저술할 당시에는 존재했던 인용서들이 조선 초기 수서령과 전란 및 일제의 수탈로 모두 사라져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인용서의 정체와 저자 및 저술 년대 등의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환단고기의 각 역사서에 인용된 사서들 중에서 고기와 조대기, 삼성밀기에서 인용된 내용들을 비교분석하여 그 각각의 특징을 상호 대비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특히 삼국유사의 고기 인용문과 환단고기에 인용된 고기를 상호 비교하여 두 사서가 서로 다른 사서임을 밝혔고, 암함로의 삼성기는 비록 인용문은 없지만 여러 사서를 참고하여 저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Hwandangogi consists of the Samseonggi I by An-ham-ro, the Samseonggi II by Won Dong-jung, the Dangunsegi by Yi Am, the Bukbuyeogi by Beom Jang, and the Taebaekilsa by Yi Maek. These authors of the constituent books of the Hwandangogi cited various historical texts that had existed prior to their respective eras. However, the edict of censorship and confisca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upheaval of war, and the exploitation by Imperial Japan caused these texts of reference existed at the time they were cited to be lost permanently: They are all missing today. So, regarding the quoted books, questions has been raised on their identities, authors, time of writing and so forth.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Gogi, the Jodaegi, the Samseongmilgi cited in the Hwandangogi, this thesis explains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in comparison. Especially, concerning the Gogi cited in the Samguk Yusa and the Gogi cited in the Hwandangogi, this study reveals by comparison analysis that they are two different historical texts. Furthermore, this thesis ascertains that An-ham-ro’s Samseonggi I, which does not contain any quoted passage in it, was created in consultation with various historical books.

      • 광개토태왕비문과 환단고기의 整合性

        윤창열(Yun, Changyeol) 세계환단학회 2018 세계환단학회지 Vol.5 No.1

        second half of the nineteenth century, its true form has not been fully revealed to the world up until now. This is because the Office of the Chief of Staff of the Japanese Imperial Army had made the characters in the inscription on the tombstone forged, altered, and defaced. But, fortunately, the original form can be reconstructed based on its rubbed copy made by Gye Yeon-su (honorific name: Uncho) in 1898, the year of Musul. At that time he ascertained the inscription except for only 117 characters, but, in 1912, when he made a second rubbed copy from the epitaph, 138 characters had been completely defaced. Then Gye Yeon-su succeeded in restoring the missing 138 characters and wrote an article titled “A Proposition on the Missing Characters in the Inscription of the Tombstone of Gwanggaeto the Great.” Based on this, Yi Yu-rip authored a book for future generations titled “A Commentary on the Epitaph of the Tombstone of Gwanggaeto the Great.” Thanks to his efforts, we can now comprehend the original contents of the epitaph of the Great King, unforged and unaltered. The Hwandangogi was published and began to be popularized 40 years or so ago, yet its value has not been fully recognized by the general public, because some of mainstream historians embroil it in a futile debate of forgery theory. In order to overcome this matter and to prove its value, it is above all important to first be fully acquainted with the contents of the Hwandangogi and then to solve the historical issues that had not been solved by mainstream scholars. An Inscription, or the records of historical facts, as seen in the case of the inscription of the tombstone of Gwanggaeto the Great, is the raw material of history, so it is the source of prime significance. This research work has verified that the inscription of the tombstone of Gwanggaeto the Great and the contents of the Hwandangogi are exactly consistent with each other in ten points as follows. The first point is―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ojumong came from Buk Buyeo; the second,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ojumong was the son of heavenly emperor, and his mother was Habaek Yeorang; the third,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ojumong was born out of an egg; the fourth,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when Gojumong escaped from Dong Buyeo, he crossed over a river called Eomri Daesu; the fifth,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wanggaeto the Great is a 17th generation descendant by the order of royal succession; the sixth,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wanggaeto the Great ascended the throne at age 18; the seventh,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wanggaeto the Great adopted Yeongrak as the name of his era; the eighth, the inscription records that Gwanggaeto the Great defeated Japanese troops and chased after them across the sea up to Imna Gaya. The ninth, the inscription as revealed through the rubbed copy of 1898 records that the military force of Goguryeo, after the conquest of Tsushima Island, had landed in Kyushu, where it conquered the castle of Shiraseong. Then Goguryeo troops went on its military campaign sailing through the Seto Inland Sea, and eventually landed in Awaji Island. Thereafter, the epitaph records, the Left Army marched into Danma and the Right Army advanced towards Mujang, by way of Nanpa. All of these are consistent with the scriptures of the Hwandangogi, which narrates that the Great King went across the sea and defeated the Japanese military, making Imna, Yi, and Japan as his servant states. The tenth, the epitaph records that after conquering a series of castles in Japan, Goguryeo selected the Anrah people to become the security forces. Currently, this part of history is a riddle to almost all the history experts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nd the Hwandangogi alone has the key to solve this mystery. The Hwandangogi says that the Anrah people originated from the Jolbon district of Goguryeo; they migrated from Jolbon to the southern region of Mount Aso to fou 광개토태왕비는 19세기 후반 발견되었으나 일본 육군 참모본부의 글자의 위조, 변조와 글자를 마멸시켜 그 참된 모습이 지금까지도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1898년 戊戌年 운초 계연수 선생이 탁본을 뜬 것을 바탕으로 그본래의 모습을 제대로 살펴볼 수 있다. 戊戌謄本 당시 117자만을 파악하지 못하였으나 1912년 다시 탁본을 떴을 때 다시 138자가 완전히 마멸되어 있었다. 이에 계연수는 ‘廣開土聖陵碑文缺字徵實’이라는 글을 써서 138자를 복원하였다. 이를 근거로 하여 이유립은 ‘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聖帝聖陵碑文譯註’를 지어 후세에 전하였 다. 우리는 이를 통해서 비로소 위조 변조되지 않은 본래의 태왕비의 내용을 파악할수 있게 되었다. 『환단고기』는 이 책이 세상에 공개되어 대중화된 지 40여년에 이르고 있지만 아직도 강단사학자들의 위서론에 휘말려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강단사학자들이 풀지 못하고 있는 難題들을 『환단고기』 의 내용을 통해 해결을 하여 그 가치를 스스로 증명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일이라고 사료된다. 광개토태왕비와 같은 금석문은 당시의 사실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어떤 사료보다도 우선시 되는 일차사료이다. 論者는 광개토태왕비문과 『환단고기』의 내용이 10가지 측면에서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태왕비에서 고주몽이 북부여에서 나왔다고 한 것, 둘째, 태왕비에서 고주몽이 天帝之子요 어머니는 河伯女郞이라고 한 것, 셋째, 태왕비에서 고주몽이 알을 깨고 나왔다고 한 것, 넷째, 태왕비에서 고주몽이 동부여를 탈출할 때 부여의 奄利大水를 건넜다고 한 것, 다섯째, 태왕비에서 “대대로 왕위를 계승하여 17세손인 광개토태 왕이 이르렀다”고 한 것, 여섯째, 태왕비에 광개토태왕이 18세에 등극하였다 한 것, 일곱째, 태왕비에 광개토태왕이 永樂이란 연호를 사용한 것, 여덟째, 태왕비에 광개 토태왕이 倭를 추격하여 바다를 건너 임나가라에 이르렀다고 한 것 등의 내용이 『환 단고기』의 내용과 일치한다. 아홉째, 무술등본을 통해 고구려군이 대마도를 거쳐 九州에 상륙하여 구주의 始羅城 都城을 함락하고 瀬戶內海를 거쳐 淡路島에 이르고 左軍은 담로도에서 但馬로 진격 하고 右軍은 難波를 거쳐 武藏에 이르렀다고 했는데 『환단고기』도 태왕이 바다를 건너 倭人을 격파하여 任那·伊·倭를 모두 신하로 삼았다고 하여 두 기록이 일치하고 있다. 열째, 태왕비에 고구려는 일본에서 성을 함락하고 安羅人으로 戍兵케 하였다고 하였 다. 현재 국내외의 모든 학자들이 安羅에 대한 수수께끼를 풀지 못하고 있는데 『환단 고기』에서는 안라인은 고구려 卒本에서 일본에 이주하여 구주의 아소산 남쪽에 나라를 세우고 일찍부터 고구려와 친교를 맺어 왔다고 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고구려 는 함락한 지역의 치안을 안라인에게 맡겼는데 이러한 내용은 환단고기가 아니면 결코 알 수 없는 내용들이다. 이를 통해서 보면 『환단고기』는 어떤 사서보다도 역사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는 眞書중의 眞書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환단고기』의 발행과 내용 구성의 특징

        박정학(Jeong-hak Park) 세계환단학회 2017 세계환단학회지 Vol.4 No.2

        『환단고기』는 원본이 없어 위서라는 딱지를 붙여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안타깝다. 출판관계 사항을 정확하게 알 수 없다고 하더라도 발행과 관련된 여러 가지 정황을 살펴보면, 일부 가필이 되었을 가능성은 있지만, 전체 내용이 최근에 창작된 위서라고 볼 수는 없다. 반면, 그 내용은 매우 가치가 있다. 먼저, 우리 역사의 주체인 민족의 이름과 형성시기를 정확하게 기술하고 있는 유일한 사서다. 둘째, 민족의 정체성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겨레 얼의 원형을 간직한 우리 민족의 창세신화가 들어있다. 셋째, 구석기-신석기라는 주류사학계의 선사시대구분을 능가하는 서술 순서다. 넷째, 역사의 원동력인 겨레 얼을 함께, 자세하게 기술 하고 있다. 다섯째, 우리 사서에서 이름만 있고 내용이 없어진 많은 고기류의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여섯째, 서로 다른 여러 사서들의 내용을 설명 또는 보완해준다. 따라서 명확한 증거 없이 위서라고 팽개치지 말고, 가치 있는 내용을 찾아 우리 역사와 겨레 얼을 복원하는데 적극 활용해야 한다. Regretfully, 『Hwandangogi』 is considered to be a pseudograph because there is no original copy of this book. There’s not much information about its public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surroundings of the publication, however, some contents might be revised but it is hard to say this book is a total pseudograph and the whole contents is created recently. Contrary to that, the content is very valuable. Firstly, it is the only history book that describes Korean people’s name and the time of formation which is the main agent of Korean history. Secondly, this book includes the myth of the creation of Korean people which is the identity of the people and keeps the original form of Korean spirit. Thirdly, it narrates history beyond the paleolith-neolith which is the main historians’ prehistory. Fourthly, it describes Korean spirit, driving power of history, in much detail. Fifthly, it introduces the contents of many of old records while other Korean history books only presents names. Sixthly, it explains or complements many other history books. Therefore 『Hwandangogi』 should not be disregarded because it’s considered pseudograph and needs to be embraced to recover Korean history and Korean spirit through recognition of valuable contents.

      • KCI등재후보

        『한단고기(桓檀古記)』의 철학적 가치와 그 이해

        민영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10 선도문화 Vol.9 No.-

        HanDan-Koki(桓檀古記) is the records on the historical accidents about the ancient Korean nation. So, there is a tendency of thoughts that it is only as a history book in Korean society. But it is not only the history book but also the philosophical records of various Korean culture. It includes the four history. It is composed of the story on the ancient Korean history each other. That is the <Samsung-Ki/upper and lower>(The stories on the Three Saints of Korean ancestors: HanIn, HanWoong, HanKum), DanKun-seki(The chronicles on the 47 Kings of the Original Chosun), BukBuyeo-Ki(The History of North Buyeo) and Taebaek-Ilsa(The history on the TaeBaek: It is consist of the eight chapter. Each others contain the various Korean ancient cultural customs and the philosophical theories). It has the Cheonbu-Kyung which is the bible of Sodo(蘇塗). It represents the theory of Three-One and the One-Three. And there are the theory of Sam-shin(三神, the Three God, and the God of life). The three founders of ancient Korea originated from the theory of Sam-shin. It has become the thought of Korean trinity. In this case, the substance of the Sam-shin is the One, but its functions are the Three. In addition,the power of life is understood as the three bio-elements in the theory of Sam-Shin. They are Jeong, Ki, and Shin. In other words, the one God acts the three realities. Like this, the HanDan-Koki(桓檀古記) explains the theory of universe and man in ancient Korea. So we can say that it has the original philosophy of Korean culture and it has the precious value in Korean philosophy. 한국철학과 문화 그리고 역사를 말함에 있어 <한단고기(桓檀古記)>의 가치는 결코 소홀하지 않다. 비록 근대 실증주의의 학문 방법론 속에서 사학계가 이를 위서로 규정한다 하여도, <고기>와 관련된 상고사의 문제는 더 이상 실증으로만 해결할 수 없는 다양한 내적 문제들을 던져주기 때문이다. 역사는 언제나 살아 있는 현실로써 통시적으로 작용한다. 철학이 역사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오히려이를 이해한 역사가 자신의 史論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역사가 역시인간인 한 스스로의 ‘間主觀性’을 넘어서기는 힘들다. 동일한 삼국의역사를 기록한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있다. 그러나 이들은 서로 다른 내용을 전달해 준다. <고기>는 결국 다른 사서들과는 기본적으로 그 관심의 영역을 달리하는 것이다. 본질적으로 한국 상고대의역사는 유교와 불교의 시대가 아니다. “인간이 있는 곳에는 반드시정신이 있다”는 명제를 이해할 때, 밝혀지지 않은 상고대를 파악함에있어 <고기>는 결코 소홀히 다루어져서는 안 된다. <古記>에는 역사적 기록이 있다. 7대 桓因과 18대 桓雄, 그리고 47대의 檀君이 그것이다. 그리고 夫餘紀와 太白逸史의 本紀들이그 기록을 부가하는데, 이들은 분명 새로운 한국 상고사, 즉 어떤 역사가도 쉽게 받아들일 수 없는 새로운 종류의 역사이다. 이것이 고기가 지닌 한민족사의 놀라운 ‘시니피앙(signifiant)’이다. 또한 철학사상적인 측면에서, 고기란 책은 참으로 흥미 있다. 사실상 동양의전통에서 사용되어 온 다양한 용어와 개념들에 대해, 이는 전혀 다른어원과 유래를 알려주면서 새로운 뜻을 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곧, 한민족 문화사상의 의미와 족속의 근원 그리고 생활의 철학을함축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것이 지니는 철학적 가치는 말할 수 없이 커지는데, 따라서 <고기>에 대해 서지학적 ‘僞書논쟁’으로그 연구를 제한하는 일은 옳지 않다고 판단되는 것이다. 더욱이 <고기>가 전하는 다양한 정보와 내용 및 철학적 해석학과 윤리학적 가치 이론에 관한 인문학적 중요성은 새삼 재론할 필요가 없다. ‘어떻게 사는 것이 올바른 것인가’를 묻는 수많은 한국 현대인들에게 <고기>는 커다란 시사점을 던져주기 때문이다. <고기>가 말하는 주된 철학은 삼일의 일원론이요, <주역>의 사유체계는 음양대대론이다. 이들은 이후의 전개과정에서 동양학의 전체계를 꿰뚫는 삼천양지설과 함께 四象, 五行, 六氣, 七曜, 八卦, 九極, 十王 즉 十全 등의 이론들로 분화되어 왔다. 삼일의 철학은 원래一인 神과 多로 나타난 萬物이 결국 同種 同類의 것임을 말한다. 곧,생명 있는 모든 것이 神, 즉 한배검과 하나로 있다. 이로써 삼일은 삼신이 되고, 그 문화는 神人, 즉 仙으로서의 인간에 대한 자각과 正體性을 확보하게 한 것이다. 이로써 一과 三의 조화라는 상호작용으로나온 인간의 가치는 바로 神的인 聖스러움에 있음을 <고기>는 한민족에게 알려주고 있다. 사실 <고기> 전체에서 울려 퍼지는 史論과 史觀들은 오히려 아름다우며 그 의도 자체가 거룩하기까지 하다. 그렇기에 다시금 그 ‘자생적 민족주의’와 ‘대판도주의적인 철학적 가치’에 대해 옹호하고자하며, 이는 곧 ‘근대 한국 민족주의의 자립성을 드러낸 불세출의 역작’이었음을 말해두고자 한다.

      • 환단고기와 한국 고대사의 복원

        오순제 세계환단학회 2014 세계환단학회지 Vol.1 No.1

        『환단고기(桓檀古記)』란 책은 『삼성기전』, 『단군세기』, 『북부여기』, 『태백일사』 등을 계연수(桂延壽)가 합본한 것이다. 『삼성기전(三聖記全) 하(下)』에서 나오는 천해(天海)의 동쪽 땅에 파내류국(波奈留國)이 환인(桓仁)씨의 나라라고 하였는데, 가장 오래된 부르칸-칼둔은 시베리아 바이칼호 동쪽의 바르코진(Barkhujin)에 있는 바르한-언더르(Бархан θндөр)산으로 이 산의 동쪽 아래에 있는 거대한 바르코진 평원이 바로 환웅이 출발한 환국이 자리 잡았던 곳으로 비정하고자 한다. 『단군세기(檀君世紀)』에서는 마지막 환웅인 단웅이 웅족의 왕녀인 웅녀와 혼인하여 단군왕검을 낳았다고 하였으며, 『태백일사(太白逸史)』에서는 웅족이 환웅에게 귀화하여 단허(檀墟)에 봉함을 받은 후 460여년이후에 단군왕검이 나타났다고 하였다. 즉 한웅족과 웅족이 결탁하면서 나타난 것이 고조선이었음을 알 수 있다. 고조선은 환웅시대의 3사5가 제도를 본받아 3한5가제도의 정치체제를 가지고 있었으며, 국읍(國邑)-대읍(大邑)-소읍(小邑)-촌락(村落) 등으로 누층적인 구조로 되어있었던 읍제국가(邑制國家)의 체제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철기문화가 시작되면서 아래에 존재하고 있었던 여러 대읍(大邑)들의 분립을 촉발시켜 열국시대가 전개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태백일사(太白逸史)』, 제3, 「신시본기(神市本紀)」를 통해서 태호복희,염제신옹,치우천왕,황제헌원,소호금천,요,순,하,은 등으로 이어지는 동이족의 역사와 이들이 중국에 남긴 문화는 문자(文字), 치수법(治水法), 의학(醫學), 농사(農事), 배(舟), 운하(運河), 비단(silk), 차(茶), 주역(周易), 제천의식(祭天儀式), 예법(禮法), 제련법(製鍊法), 역법(曆法), 수레(車)와 나침반(羅針盤), 활과 화살(弓矢) 등 중국의 고대문화의 단초(端初)를 제공해준 것을 볼 수 있다. 더구나 황제와 관련된 청구국은 현재의 내몽골 적봉지역에서 나타나는 홍산문화 지역으로 비정되며, 기자족이 이동해온 지역 또한 내몽골 객좌로 위영자 문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곳에서 ‘기후정’ 뿐만 아니라 ‘고죽뢰’가 나오고 있어 고죽국이 고조선의 일파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사군이 평양지역에 설치된 것이 아니고 요동지역에 설치되었으며 그 당시 나타나고 있는 동명 고두막한의 활동과 그가 세운 졸본부여를 통해 고구려를 세운 고주몽과는 전혀 다른 인물임을 밝혔으며 그가 북부여의 멸망시킴으로서 동부여가 나타나게 되는 과정을 밝혀두었다. 특히 북부여 멸망과 더불어 진국, 낙랑국, 대방국, 백제, 신라, 가야 등의 열국들이 나타나는 과정을 이글을 통해 밝혔다.

      • 太一의 意味에 대한 종합적 考察

        윤창열(Yun Changyeol) 세계환단학회 2017 세계환단학회지 Vol.4 No.1

        환단고기를 관통하고 있는 핵심 신학과 철학이 天一, 地一, 太一이다. 천일은 主造化하고 地一은 主敎化하고 太一은 主治化함으로 天地人의 순서로 보나 造 敎治의 순서로 보나 太一은 역사 속에서 출현하는 미래적이고 인간적인 개념이다. 桓國 倍達 朝鮮의 三聖祖 시대의 사람들은 參佺修戒하고 佺戒爲業하여 마음속의 광명을 열어 天地와 하나 되는 완전한 인간(佺)이 되는 목표를 추구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太一 인간이 되는 것이었다. 환단고기에서 “大一其極이 是名良氣라” 하여 창조의 근원으로써 太一을 記하고 이를 良氣라 하였다. 이처럼 太一은 2가지 의미가 있는데 창조의 근원으로서의 太一은 Great One으로 근원적, 창조적, 統體的, 과거적, 자연적 의미가 있고 인간완성을 의미하는 太一은 Great Oneness로 인간적, 개체적, 후천적, 미래적인 의미가 있다. 중국의 고전인 莊子, 呂氏春秋, 荀子 淮 南子, 禮記, 史記, 漢書, 太乙金華宗旨 등에 太一이란 말이 나오고 1993년 에 출토된 郭店楚墓의 竹簡에도 太一生水라는 말이 언급되어 있다. 이들의 用例는 주로 창조의 근원을 의미하여 道, 元神, 元氣, 太古時代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太一은 북극성, 太一星, 神名으로도 쓰이고 있다. 중국 사람들은 太一神으로 太乙救 苦天尊을 숭봉하였는데 이는 중생의 고통을 풀어주고 구원해주는 대자대비하신 天 尊神이다. 중국西安에 있는 靑華宮은 太乙救苦天尊을 모시는 太乙祖庭이다. 또 인간 의 몸속에는 사람의 생명을 주관하는 大君의 역할을 하는 가장 존귀한 太乙神이 있 다. 한 무제가 終南山에 太乙眞人廟(후세의 太乙宮)를 세워 太一神을 제사한 이후 終 南山을 太一山으로 불렀고 이곳에는 지금 太乙宮鎭의 명칭이 남아있으며 太乙宮을 복원해 놓았다. 이외에 太一의 명칭이 들어간 것으로는 “術數名, 북두칠성 第九 內弼 星인 天蓬星의 神名, 右目의 神名, 도교교파의 하나인 太乙敎, 도관의 명칭인 太一觀, 成湯王의 號, 궁궐의 명칭, 한약처방명, 經穴의 명칭, 약물의 명칭인 太一餘糧, 운기 상합의 명칭인 太一天符등이 있다. The core theology and philosophy that penetrates “Hwandangogi( 桓檀古記 )” is chunil ( 天一 ), jiil( 地一 ), and taeil( 太一 ). Chunil( 天一 ) is taking charge of creation, jiil( 地一 ) is advocating teaching, and taeil( 太一 ) is insisting on reigning. In the order of Heaven-Earth-Man or Jogyochi( 造敎治 ), taeil( 太一 ) is a futuristic and human concept emerging from history. In the Three Fathers (Hwanin( 桓因 ), Hwanung( 桓雄 ), and Dangun( 檀君 )) era of Hwanguk( 桓國 ) Baedal( 倍達 ) Joseon( 朝鮮 ), people pursued opening a new light within their mind and becoming a complete man (Jeon, 佺 ) connected with heaven and earth, by undergoing Jeon’s spiritual training and making it an everyday rule to practice its precepts, which is to become a taeil( 太一 ) man. “Hwandangogi( 桓檀古 記 )” says, “The utmost sense of taeil is yang energy”, meaning the origins of creation lies in taeil( 太一 ). As such, taeil( 太一 ) has two different meanings: as the origins of creation, it is the great one which is original, creative, bodily, past and natural; and as the completion of human, it is the great openness which means human, individual, acquired, and futuristic. In the Chinese classical “Zhangzia( 莊子 )”, “Lüshi Chun Qiu ( 呂氏春秋 )”, “Xunzi( 荀子 )”, “The Huainanzi( 淮南子 )”, “Liji( 禮記 )”, “Shiji( 史記 )”, “Hanshu( 漢書 )” and “Taeulgeumhwajongji( 太乙金華宗旨 )”, the word taeil( 太一 ) is mentioned, and the bamboo slips of Gwakjeomchomyo( 郭店楚墓 ) excavated in 1993 said that taeil( 太一 ) gave birth to the water. Here, taeil( 太一 ) is mainly referred to as the origins of creation and can be interpreted as Taoism, the original god, the original energy, and the ancient times. Also, taeil( 太一 ) is used as the name of Polaris, Taeil-star, and the god. The Chinese people worshiped Taeulgugochunjon( 太乙救苦天尊 ) as the taeil god( 太一神 ) which is a godless god relieving and saving the suffering of people. The Qinghua Palace( 靑華宮 ) in Xi’an, China, is a court that serves as a base for the taeul god. In addition, there is a taeul god in the human body, the most honorable god that plays the role of governing the life of a person. After Emperor Wu of Han( 漢武帝 ) established the grave of Taeuljinin( 太乙眞人 廟 ) (a shrine to Taeuljinin) and held a ancestral rite the taeil god, Mt. Jongnam( 終南山 ) was called Mt. Taeil( 太一山 ) where Taeul Palace Jin( 太乙宮鎭 ) (Jin is an administrative district like myeon in Korea) is still used and Taeil Palace( 太乙宮 ) is restored. In addition, the name of taeil( 太乙 ) is used for religious tricks, Chunbong-star( 天蓬星 ), god of right eye, Taeulgyo( 太乙敎 ) as one of the Taoist sect, Taeilgwan as an offfice for the religion, pen name for King Seongtang( 成湯王 ), the name of the palace, the name of the palace, the name of prescription of herbal medicine, the name of acupuncture point, the name of medicine (Taeilyeoryang, 太一餘糧 ), and the name of combination of five fortunes and six energies (Taeilchunbu, 太一天符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