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억새 재배지에서 이화명나방에 대한 환경친화적 방제

        정영학,유은주,최진영,이창준,박정규,추호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억새는 바이오에탄올 작물로써 현재 경남 산청, 전남 화순, 전북 익산 지역에서 대규모로 재배되고 있다. 억새 재배지에서 가장 많이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는 이화 명나방으로 억새 줄기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며 결국 도복되어 생산량을 감소시킨 다. 억새 재배지가 화학적방제가 어려운 상수도 보호구역과 하천 주변에 식재되어 있어 곤충병원성 선충과 곰팡이 등을 이용하여 환경친화적 방제를 실시하였다. 이화명나방 유충에 대한 환경친화적 방제 인자로써 Steinernematidae과의 4종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S. carpocapsae Iksan strain, S. monticolum Hwasun strain)과 Heterorhabditldae과의 1종(H. bacteriophora Hamyang strain), Beauveria bassiana, Bacillus thuringiensis var. kurstaki를 이용하였다. 이화명나방 유충에 대한 실내실험 결과, S. carpocapsae Pocheon strain의 병원 성이 49.6%로 가장 높았고, 익산과 화순에서 채집된 S. carpocapsae Iksan strain과 S. monticolum Hwasun strain은 각각 20.4%, 12.0%의 낮은 치사율을 나타 내었다. 실내 병원성 검정에서 병원성이 가장 높았던 S. carpocapsae Pocheon strain의 농 도별 병원성 검정 결과 농도가 높을수록 치사율이 높아졌지만 50%를 넘지 않았다. 그러나 이화명나방 유충에 대한 야외실험 결과, S. carpocapsea Iksan 처리구에서 무처리 대비 80.6%의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B. bassiana 처리구와 H. bacteriophora 처리구에서 각각 61.2%, 58.3%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 들잔디 갈색퍼짐병 방제를 위한 파라핀오일의 살포

        이동운,이상명,김동수,최태혁,장태현,Lee, Dong-Woon,Lee, Sang-Myeong,Kim, Dong-Su,Choi, Tae-Hyuk,Chang, Tae-Hyun 한국잔디학회 2012 한국잔디학회지 Vol.26 No.1

        Rhizoctonia solani AG2-2(IV)에 의한 갈색퍼짐병은 들잔디에서 가장 심각한 병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파라핀 오일을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에 대한 실내에서 살균효과와 포장에서 병 방제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포장시험인 골프장에서 파라핀 오일은 200배와 50배액을 1 $m^2$당 1 L을 살포하였다. 실내시험에서는 균사생육억제효과시험을 위해서는 0.25%에서 2%까지 파라핀농도에서 시험하였다. 파라핀 오일의 0.5%의 농도와 2%의 농도에서 각각 43%와 67%의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있었다. 두 지역의 포장시험에서 파라핀 오일의 9월에 1회 살포로서 갈색퍼짐병의 발달을 48%까지 억제하였다. 파라핀오일은 친환경적으로 들잔디에 갈색퍼짐병을 방제하는 대체물질로 사용할 수 있을것이다. Large patch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2-2 (IV) is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in zoysiagras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evaluate the in vitro fungicidal effect and in field control of large patch disease of Paraffin oil. In the field experiments, paraffin oil was applied with 1 L/$m^2$ after diluted at 5 ml to 20 ml of oil/1 L of water for the control of large patch on Zoysia japonica in golf course. The same material was tested for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in vitro. Paraffin oil at 0.5% and 2.0% had a fungicidal effect by 43 to 67% on R. solani AG2-2 (IV) in vitro. In two locations of the field experiments, the paraffin oil provided moderate protection of large patch. It was effective in suppressing large patch development by 48.0% in comparison with a water check after one time application on mid-September in golf course. Paraffin oil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control agent for environment friendly management of large patch on Zoysiagrass in golf course.

      • KCI등재

        들잔디 갈색퍼짐병 방제를 위한 파라핀오일의 살포

        이동운,장태현,김동수,최태혁,이상명 한국잔디학회 2012 Weed & Turfgrass Science Vol.26 No.1

        Large patch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2-2 (IV) is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in zoysiagrass.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evaluate the in vitro fungicidal effect and in field control of large patch disease of Paraffin oil. In the field experiments, paraffin oil was applied with 1 L/m2 after diluted at 5 ml to 20 ml of oil/1 L of water for the control of large patch on Zoysia japonica in golf course. The same material was tested for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 in vitro. Paraffin oil at 0.5% and 2.0% had a fungicidal effect by 43 to 67%on R. solani AG2-2 (IV) in vitro. In two locations of the field experiments, the paraffin oil provided moderate protection of large patch. It was effective in suppressing large patch development by 48.0% in comparison with a water check after one time application on mid-September in golf course. Paraffin oil may be used as an alternative control agent for environment friendly management of large patch on Zoysiagrass in golf course. Rhizoctonia solani AG2-2(IV)에 의한 갈색퍼짐병은 들잔디에서 가장 심각한 병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파라핀오일을 이용하여 갈색퍼짐병에 대한 실내에서 살균효과와포장에서 병 방제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포장시험인 골프장에서 파라핀 오일은 200배와 50배액을 1 m2당 1 L을살포하였다. 실내시험에서는 균사생육억제효과시험을 위해서는 0.25%에서 2%까지 파라핀농도에서 시험하였다. 파라핀 오일의 0.5%의 농도와 2%의 농도에서 각각 43%와67%의 균사생장 억제효과가 있었다. 두 지역의 포장시험에서 파라핀 오일의 9월에 1회 살포로서 갈색퍼짐병의 발달을 48%까지 억제하였다. 파라핀오일은 친환경적으로 들잔디에 갈색퍼짐병을 방제하는 대체물질로 사용할 수 있을것이다.

      •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에 대한 된장풀(Desmodium caudatum)의 살선충 효과

        정영학,이신혜,이동운,최용화,김형환,추호렬,박정규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0

        본 연구는 유용물질인 수박, 토마토, 참외 등의 각종 경제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는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의 환경친화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자생식물인 된장풀(Desmodium caudatum)을 이용하여 살선충 효과를 검정하였다. X-plate에서 H2O, BuOH, Hexane, EtoAC로 추출한 된장풀을 고구마뿌리혹선충 2령충에 500 ppm으로 처리한 결과, Hexane과 H2O 추출물에서 48시간 후 100%의 치사율을 보였다. 그리고 BuOH와 EtoAC 추출물에서도 72시간 후 각각 92.5%와 89.4%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다. Hexane과 H2O 추출물의 농도별 효과 실험 결과, Hexane 추출물은 5,000 ppm에서 24h 후 100%의 치사율을 보였지만 1,000 ppm보다 낮은 농도에서는 살선충 효과가 미미하였다. 그러나 H2O 추출물은 1,000 ppm과 5,000 ppm에서 24시간 후 100%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며 50 ppm의 농도에서도 72시간 후 100%의 높은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식물정유의 굼벵이에 대한 살충활성

        이동곤,정영학,최대홍,최성환,추호렬,이동운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2

        White grub damages various crops, trees and they can also be one of the most serious pests of turf grass in golf cour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biocontrol of white grubs with 18 different kinds (anise, camphor, castor, cinnamon, clove oil, citronella, fennel, geranium, lavender, lemongrass, linseed, neem, peppermint, pine, rosemary, tea-tree, thyme, and turpentine) of plant essential oils in laboratory, green house and field. Anise oil (88.9%), linseed oil (100%), and teatree oil (88.9%) were highly effective among tested essential oils against 3rd instar of Bifurcanmala aulax in cap vial experiment. However, anise and linseed oils showed low mortality against 3rd instar of Popillia japonica in pot greenhouse experiment. Efficacy of anise, linseed oil, and tea-tree was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arget white grub in field trials. Correlated mortality showed 32.6% only in tea-tree oil treatment against pupae of Adoretus tenuimaculatus however, correlated mortality of anise, linseed and tea-tree oil were 54.8, 51.6 and 56.5% respectively against 3rd instar of Exomala orientalis in the field trial in Adelscott Country Club in Hapcheon, Gyeongnam province. 굼벵이는 각종 작물과 나무에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특히 골프장 잔디에 피해를 주는 주요해충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18종의 식물정유(anise oil, camphor, castor, cinnamon, clove oil, citronella, fennel, geranium, lavender, lemongrass, linseed, neem, peppermint, pine, rosemary, tea-tree, thyme, turpentine)를 이용하여 굼벵이의 환경친화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내와 온실, 야외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Cap vial실험에서 홈줄풍뎅이 3령충에 효과가 높은 정유는anise (88.9%)와 linseed oil (100%) 및 tea-tree oil (88.9%)이었다. 온실 pot에서 왜콩풍뎅이 3령충에 대한 anise와 linseed oil의 효과는 낮게 나타났다. 야외에서 anise와 linseed 및tea-tree oil의 효과도 대상 굼벵이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주둥무늬차색풍뎅이 번데기에 대해서는 tea-tree oil 처리에서만 32.6%의 보정사충율을 보였으나 등얼룩풍뎅이3령충에 대해서는 anise와 linseed, tea-tree oil이 각각 54.8%, 51.6%, 56.5%의 보정사충율을 보였다.

      • KCI등재

        식물정유와 파라핀오일이 검거세미나방에 미치는 영향

        이동운,D.A. Potter 한국잔디학회 2013 Weed & Turfgrass Science Vol.2 No.1

        The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Hufnagel), damages various cultivated crops and it can also be a serious pest of turfgrass, especially on golf courses. Essential oils have potential as alternative control agents for insect pests. Sixteen essential oils (anise, camphor, cinnamon, citronella, clove, fennel, geranium, lavender, lemongrass, linseed, neem, peppermint, pine, thyme, turpentine and tea saponin) and paraffin oil were assessed in the laboratory, the green house and field trials for their efficacy against black cutworms in turf. Treatment of potted cores of perennial ryegrass turf with anise, cinnamon, neem, paraffin or turpentine reduced black cutworm damage in a greenhouse trial, and in a similar trial, applying neem oil at 4000, 2000 and 1000 ppm resulted in 100, 100 and 64% mortality, respectively, of black cutworms. Weight of survivors at the 1000 ppm rate was 5- fold less than weight of comparably-aged controls. Neem oil (2000 ppm) reduced growth of black cutworms feeding on treated clippings. A high rate of neem oil followed by irrigation (0.1 L of 20000 ppm neem oil with 0.9 L watering/m2) was more effective than a lower concentration (1 L of 2000 ppm neem oil/m2) against 2nd and 3rd instars in potted turf cores and field plots, respectively. However, not even the aforementioned higher rate effectively controlled 4th instars in the field.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은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주며 특히 골프장 잔디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식물정유는 해충방제를 위한 대체방제제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16종의 식물정유(anise, camphor, cinnamon, citronella,clove, fennel, geranium, lavender, lemongrass, linseed, neem,peppermint, pine, thyme, turpentine and tea saponin)와 파라핀오일의 검거세미나방에 대한 방제효과를 실내와 온실,야외에서 검정하였다. 온실의 퍼레니얼라이그라스 pot에각각의 정유를 처리한 결과 anis, cinnamon, neem, paraffin,turpentine 처리에서 잔디피해가 적었으며 neem oil (4,000,2,000, 1,000 ppm) 처리시 검거세미나방 치사율은 각각 100,100, 64%였다. 2,000 ppm neem oil처리 퍼레니얼라이그라스 잎을 섭식한 검거세미나방 유충의 체중은 무처리에 비해 5배정도 낮았다. 2~3령충 검거세미나방에 대하여 pot 와 야외에서 고농도 neem oil 처리 후 관수가(20,000 ppm0.1 L 처리 후 물 0.9 L m2 살포) 저농도의 다량살포(2,000 ppm 1 L m2)에 비하여 효과가 높았으나 4령충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었다.

      • KCI등재

        잔디에서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을 이용한 검거세미나방의 생물적 방제

        이동운,Potter, Daniel A. 한국잔디학회 2015 Weed & Turfgrass Science Vol.4 No.1

        검거세미나방(Agrotis ipsilon (Hufnagel))은 골프장의 잔디를 비롯한 많은 경제작물에 주요해충의 하나이다.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ScG)은 우리나라에서 분리된 것으로 시설재배 해충을 비롯한 토양서식 해충 방제에 유용한 생물적 방제인자로 우리나라에서상업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검거세미나방에 대한 ScG의 병원성을 실험실과 온실, 포장에서 검정하였다. 검거세미나방 인공사료 배지에서 3령충을 대상으로 63마리 감염태 유충(Ijs)을 접종한 결과 3일후에 90%이상의 치사율을 보였다. 검거세미나방 령기와 잔디 초종별에 따른ScG의 병원성은 검거세미나방 2령충에 비하여 4령충에서높았고 (90.0% 대 81.2% 치사율, 2,000 Ijs pot-1), 검거세미나방 3령충에 대한 초종별 병원성은 크리핑벤트그라스(Agrostis palustris)에서가 들잔디(Zoysia japonica)에 비해서높았다(96.7% 대 52.5% 치사율, 100,000 Ijs m-2). 크리핑벤트그라스 포장에서는 m2당 100,000 Ijs ScG처리 시 검거세미나방 4령충에 대한 보정사충율은 79.9%였다. 따라서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ScG는 골프장 잔디에서 검거세미나방의 생물적방제 인자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e black cutworm, Agrotis ipsilon (Hufnagel) is a major insect pest of economic crops including turfgrasses ongolf courses.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train (ScG), a Korean isolate, is an effectivebiological control agent for soil dwelling and greenhouse insect pests in Korea. In addition, ScG is commercially produced inKorea. We conducted laboratory, greenhouse, and field trials to evaluate efficacy of ScG against black cutworms in turfgrasses. Arate of 63 infective juveniles (Ijs) per larva killed >90% of 3rd instars feeding in cups of artificial diet within 3 days. In greenhousetrials against cutworms feeding in pots of turfgrass, efficacy of ScG was higher against 4th instars than against 2nd instars (90.0 vs81.2% mortality, respectively, at 2,000 Ijs pot-1) in perennial ryegrass, and higher against 3rd instars in creeping bentgrass, Agrostispalustris than i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96.7 vs 52.5% mortality at 100,000 Ijs m-2) in pot. The corrected mortality of 4thinstar was 79.9% at the rate of 100,000 Ijs m-2 in the creeping bentgrass in the field. So ScG could be used as biological control agentagainst black cutworm in turfgrass of golf course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