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 공민왕대의 공신 책봉

        김회윤 한국중세사학회 2022 한국중세사연구 Vol.- No.71

        King Gongmin of Goryeo collectively appointed 415 meritorious people as contributors. And 62 people were given names of contributors. The first group was 37 contributors who followed the Yuan Dynasty in the first year of King Gongmin’s reign. King Gongmin was worried about changing the throne from the beginning of his throne. He appointed his subjects who knew well about the Yuan Dynasty’s imperial family and government as meritorious subjects. It was to strengthen their power. The second group is the 20 people who executed Gi-cheol in the 8th year of King Gongmin. King Gongmin tried to stabilize relations with Yuan after executing Ki-cheol, who was close to Yuan Dynasty. Because of this, the leaders were not rewarded. In the 8th year of King Gongmin’s reign, when Honggeonjeok tried to invade, King Gongmin appointed them as contributors. It was because they were forming a military command. The third and fourth are 358 people who defeated the suppression of Heungwangsa Temple and the invasion of the first and second Hong Geon-jeok in the 12th year of King Gongmin. When the Yuan decided to depose King Gongmin, the purpose was to secure loyal forces. The 62 contributing names are organized into five types.(Linked to the above four groups, Contributed to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Show loyalty, Doing something special, Powerful man.) 고려 공민왕은 재위기간 중 네 차례에 걸쳐 10개 공적 415명을 집단으로 공신책봉하였고, 62명에게 개별 공신호를 하사하였다. 이는 개국공신 2천 여 명을 책봉하였던 태조대 다음 가는 규모였다. 본고는 공민왕대의 공신책봉의 전반적인 추이와 의미를 종합적으로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첫 번째 집단책봉은 공민왕 원년 6월의 연저수종공신 37명이다. 공민왕은 즉위 전 원에 10년간 체류하였다. 이때 수종신료들로부터 정치적·경제적 기반과 교육·통역·시종·신변보호 등의 도움을 받았다. 즉위 후 충성심과 현저한 공적을 보인 수종신료들에게 관직과 공신의 지위를 내렸다. 논공행상이기도 하였지만, 실제적으론 원이 언제든지 결정할 수 있는 폐위의 위협으로부터 왕위를 지켜줄 측근세력을 강화하기 위함이었다. 연저수종공신은 조일신의 독자세력화로 인해 정치세력화하지 못하였고, 조일신이 공민왕 원년에 난을 일으켜 위상이 실추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이 공민왕에게 충성하여 재위기간 내내 중요한 지지기반이 되었다. 두 번째 집단책봉은 공민왕 8년 6월의 주기철공신 20명이다. 조일신의 난 이후 공민왕은 피해를 입은 기씨일가에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여기에 공민왕 2년에 기황후의 아들 아유시리다라가 원의 황태자가 되면서 기씨일족과 친원세력은 득세하기 시작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원의 통치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공민왕은 계획을 세워 재위 5년 5월에 기씨일족과 친원세력을 숙청하였다. 이 일로 대원관계가 악화되자 공민왕은 기철 숙청을 주도하였던 홍언박을 경질하는 등의 저자세를 통해 양국관계를 안정시켰다. 이러한 기조가 계속되면서 기철 숙청 공로는 인정되기 어려웠다. 공민왕 8년 6월에 홍건적의 침입이 가시화되자 주기철공신이 책봉되었다. 기철 숙청에 나섰던 김득배 등이 주요 방어선을 담당하고 있었으므로, 이들의 충성심을 제고하고 사기를 진작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세 번째는 공민왕 12년 윤3월에 행해진 흥왕사의 난 진압과 2차 홍건적 침입을 방어한 288명에 대한 집단책봉이다. 공민왕에게 재위 12년 초는 어려운 시기였다. 원이 폐위를 결정하였고, 2차 홍건적 침입을 격퇴한 직후 명망있는 삼원수를 숙청하여 조정 안팎의 불만여론이 고조된 상태였다. 더욱이 흥왕사의 난이 발생하여 왕권은 실추되었고, 일련의 사태 중에 다수의 측근세력들이 사망하였다. 왕위를 지키기 위해 공민왕은 자신에게 적극 충성할 세력이 급하게 필요하여 대규모로 공신을 책봉하였다. 8개월 뒤, 1차 홍건적 침입 유공자 70명을 대상으로 하는 네 번째 집단책봉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공민왕이 하사한 개별 공신호는 크게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정리된다. 집단책봉과 연계한 경우,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는 데 공로가 있는 경우, 충성심과 절의를 보인 경우, 특정 소임을 맡은 경우, 권신과 그 당여에게 수여한 경우이다. 공민왕이 재위기간 중에 공신을 적극적으로 책봉하였던 것은 오랜 원 간섭과 기황후의 존재로 인해 고려왕실의 지지기반이 약화되어 인위적인 방법이 필요하였기 때문이었다.

      • KCI등재

        공민왕의 신돈 등용의 배경

        신은제(Shin, Eun-Jae) 부산경남사학회 2014 역사와 경계 Vol.91 No.-

        승려 신돈의 등용은 공민왕대 정치에서 이례적인 사건이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이례적 사건이 발생하게 된 배경을 규명하기 작성되었다. 신돈의 등용은 공민왕의 의지였다. 두 가지 상황 하에서 공민왕은 이같은 파격적 정치를 단행했다. 첫째, 공민왕은 연저호종공신을 중심으로 정국을 운영해 왔었다. 그러나 정세운 살해사건을 계기로 공민왕의 측근들은 동요하기 시작했고, 결국 흥왕사의 변란에서 확인되듯이, 일부 세력은 공민왕 시해를 시도했다. 이 사건의 결과 공민왕의 충성스러운 측근들이 살해당했고 공민왕은 연저호종공신에 대한 신뢰를 거두었다. 이제 공민왕은 새로운 측근을 필요로 했다. 둘째, 기철이 제거된 이후, 원조정의 실력자 기황후는 공민왕과 불편한 관계를 유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홍건적의 반란에 직면한 원조정은 공민왕을 징치할 형편이 되지 못했다. 홍건적이 진압되자 원은 즉각 공민왕을 폐위하고 덕흥군을 고려왕으로 책봉하였다. 덕흥군 책봉을 관철하기 위해 원은 군대를 고려로 파견했고 공민왕은 무장세력을 동원해 그들을 막아야 했다. 덕흥군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물리친 후, 고려 조정에서 무장세력의 지위는 상승해 가고 있었다. 그러나 공민왕 13년 기황후가 원조정에서 실각하고 원이 멸망의 길로 접어들게 되면서 공민왕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정국을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신돈은 이런 분위기에서 공민왕에 의해 등용되었던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권력의 중심부로 진입한 신돈은 공민왕의 기대에 부응해, 유숙과 김보와 같은 연저수종공신, 최영으로 대표되는 일부 무장세력, 이공수와 이수산과 같은 기씨일문과 가까웠던 인물들을 권력의 주변부로 몰아내었다. Shin-don(辛旽)"s appointment as prime minister was exceptional affair in King Gong-Min politics. This paper was written in a intention of understanding that affair. It was King Gong-Min who appointed Shin-don as prime minister in Groye(高麗) court. Two situations made King Gong-Min give Shin-don the prime minister. From his enthronement, King Gong-Min had conducted state affairs on the retainers, who attended King Gong-Min in the capital of Yuan Dynasty. But the administration was ended in the killing of Jeong She-Yun(鄭世雲) who was the retainer, the hero to save Groye from the invaders, named Hongkonjeck(紅巾賊). Some of retainers would like to kill King Gong-Min in the Heungwang-temple(興王寺), After the rebellion of Heungwang-temple, King Gong-Min didn"t give retainers the trust. He should get a new supporter. After the elimination of Gi-Cheol who was the brother of the Empress in Yuan, the relation between the Yuan Dynasty and King Gong-Min made bad. As soon as repressed the Hongkonjeck, Yuan dethroned King Gong-Min, gave Deckheunggun(德興君) the throne of Groye Dynasty. Yuan"s sent the army to Groye because Groye Dynasty rejected the Yuan"s decision. Though Groye successfully defect the Yuan"s army, a anxiety of King Gong-Min wasn"t removed. A lot of military officals was developed through the wars, they threatened the king"s power. In 1364, Yuan was swiftly collapsing, King Gong-Min attacked them under the situation, appointed Shin-don. Shin-don ceased the power under the king"s support, he removed the officials from Groye court. There were three type of removed officials. One was the military officials, who were developed in the war against Yuan. Another was the officials, who were on the friendly terms with Yuan court, expecially the Qi empress. The other was some retainers, who lost the King"s tru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