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PA분석을 활용한 해상교통관제 인원의 사이버 보안 관리 인식 연구

        박상원,정민지,유윤재,윤경국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7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marine environment is expected to change rapidly. In the case of autonomous vessels, technology is being developed in many countrie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begun to discuss ways to operate it. Changes in ships cause changes in the marine traffic environment and urge changes to aids to naviga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yber security management awareness of VTS personnel to improve the cyber security system for aids to navigation.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cyber security management was reviewed with a focus on VTS,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VTS personnel. The survey analysis used the IPA methodology,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clear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perception of cybersecurity between those with experience in security and those without experience. In addition, technical measures related to cyber-attack detection and blocking should be implemented with the highest prio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yber security management system for aids to navigation.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해상환경은 빠르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율운항선박의 경우 국내ㆍ외 많은 국가에서 기술개발 중이며, 국제사회는 이를 운용하기 위한 논의도 시작되었다. 선박의 변화는 해상교통 환경의 변화를 야기하며, 육상지원시설에 대한 변화도 촉구한다. 본 연구는 항행지원시설의 사이버 보안 체계 개선을 위해 해상교통관제 인원의 사이버 보안 관리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상교통관제 중심으로 사이버 보안 관리 현황을 살펴보고, 해상통관제 인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분석은 IPA 방법론을 활용했으며, 분석결과 보안담당 경험이 있는 인원과 경험 없는 인원의 사이버 보안에 대한 인식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더불어 사이버 공격 탐지 및 차단 관련 기술적인 조치가 가장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할 사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항행지원시설에 대한 사이버 보안 관리 체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해양산업 디지털전환을 위한 사이버보안 전문 인력양성 방안연구

        유진호(Jinho Yoo),임정규(Jeounggye Lim),박개명(Kaemyoung Park)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2

        해양산업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이버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선박 및 항만 종사자들에 대한 사이버보안 교육훈련과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선원의 교육훈련은 IMO의 STCW 협약과 연관되어 교육훈련 관리 및 자격증명이 이루어져야 하고, 선박과 항만의 OT시스템 특성을 반영한 사이버보안 교육훈련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MO 사이버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 기반 훈련모델 개발, 해양산업 위협의 특성 기반 사이버보안 훈련모델 개발, AR/VR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이버보안 훈련 효과 향상을 목표로 해양산업 디지털전환에 따른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As cyber threats in the maritime industry increase due to the digital transformation, the needs for cyber security training for ship`s crew and port engineers has increased. The training of seafarers is related to the IMO's STCW convention, so cyber security training also managed and certified,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ybersecurity training syste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T system of ships and ports. In this paper,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training model based on the IMO cyber risk management guideline, developing a cyber security training model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aritime industry threats, and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cyber security training using AR/VR and metaverse, A method for developing a system for nurturing cyber security experts is presented.

      • KCI등재

        해상,항만에서의 테러행위규제에 대한 문제점과 대책

        김태계 ( Tae Kye Kim ) 한국법정책학회 2013 법과 정책연구 Vol.13 No.2

        Crime, piracy and maritime armed robbery only knew for a long time, in the sea or in port. Pirates known as the common enemy of humanity, the country could be punished by arrest. The Geneva Convention on the high seas in 1958, the 1982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statutory, customary international law on the Pirates. There were other kinds of maritime terrorism, piracy and maritime armed robbery and in 1985. That is the it was Achille Lauroissue. SUA Convention in 1988 in the wake of this incident arose. 2001, 9. 11. new form of terrorism has occurred. So, it came up with the 2005 SUA Convention and 2005 SUA Protocol to the Convention, and then continue up to the present day. Maritime and port in illegal activities is becoming more and more violent. Increased human and material damage. But in the 21st century, new aspects of terrorism, they appeared. Some times were even terrorism committed by the state. So accord of SUA was signed in 2005, should join as soon as possible. Amended by the Treaty, the implementation of the law and should be prepared to maritime terrorism. We do not need to be afraid of North Korea, especially since 2009 when Lee Myung-bak government in front of the PSI (Weapons of Mass Destruction Proliferation Security Initiative). In other words, the criminal suspect boarded the ships, should be searched. Western countries as well as China, Russia, India, and other Asian countries should cooperate. So, maritime diplomacy should be increased. Against piracy and maritime terrorism should be arrested by the police. The international police to arrest, detention, extradition and prosecution procedures are required. Police Organization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Korea should be proposed. Korea being a lot of cyber-terrorism. The main attacker North. Cyber-Terrorism Act should be enacted. So be prepared for a cyber terrorism. Korea is the largest trade. Most trade through the sea and the harbor.It is our duty to ensure the safety of the sea and the harbor.

      • KCI등재

        항만 안정성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관한 법적 고찰

        서경원 한국해법학회 2023 韓國海法學會誌 Vol.45 No.2

        항만은 해상운송의 필수 인프라이며 물류의 관문 역할을 한다. 항만의 기능에 문제가 생긴다면 물류 흐름은 경색되고 경제적 악영향이 발생한다. 항만은 다양한 사유로 인해 위험에 직면한다. 지진, 태풍과 같은 자연적 요인에 더해 노동자들의 파업등과 같은 인위적 요인이 항만폐쇄의 사유가 된다. 최근에는 항만보안 역시 그 안정성을 해치는 요소가 되었다. 전통적인 마약, 총기류의 밀수 밀매의 국경 통과는 국민 생명의 안전과도 직결된다. 항만보안이 무너지면 국민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어 중요하다. 이에 더해 최근에는 스마트 항만의 추진화와 더불어 전자기기의 스파이문제와 해킹, 테러 등에 의한 사이버 문제 또한 중요한 관리문제가 되었다. 환경문제 또한 무시할 수 없다. 국제적으로 친환경, 탈탄소 등의 환경문제가 논의가 된 이래 탄소중립에 대한 실행논의가 뜨겁다. 특히 2023년은 각종 환경 정책 등이 시행된 시기이기 때문에 항만을 비롯하여 선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까지 절감하고자 모두가 각고의 노력 중에 있다. 친환경 연료인 수소를 이용한 ‘수소항만’ 조성과 친환경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의 운항은 아직 초기 단계이나 이러한 자구책들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Ports are essential infrastructure for maritime transportation and act as gateways for logistics. If there are issues with port functions, logistics flow can be disrupted, leading to negative economic consequences. Recently, ports face various risks, including natural factors such as earthquakes and typhoons, as well as artificial factors like labor strikes that may result in port closures. And also port security has become a factor affecting its stability these days. Smuggling of traditional drugs and firearms through borders poses a direct threat to citizens' safety. The collapse of port security could jeopardize national safety, making it crucial. Additionally, with the promotion of smart ports, cyber issues such as electronic espionage, hacking, and terrorism have become important management concerns. Environmental problems cannot be ignored either, and discussions on eco-friendly and decarbonization measures have been active at the international level since recently. Especially in 2023, various policies related to these issues are being implemented. Efforts are being made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cluding those from handling equipment and surrounding vessels. The development of “hydrogen ports” using environmentally friendly hydrogen fuel and the operation of ships using eco-friendly fuels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but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these measures going forward.

      • KCI등재

        영국 법제하의 자율운행선박의 책임 및 보험

        이정민(Jung-Mi Lee) 한국해사법학회 2022 해사법연구 Vol.34 No.3

        선박의 운항이 유인(有人)으로부터 무인(無人)상태로 변화함에 관한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사람의 탑승을 전제로 하여 마련되었던 전통적인 법적 패러다임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자율운항 선박의 AI 및 사이버보안과 같은 신기술이 영국 법제하에서 책임 및 해상보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특히 관심을 기울이고자 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개념에 관하여 간단히 소개를 한 뒤, 영국 법과 법원이 자율주행차량 및 자율운항기체에 관해 어떠한 입장을 가지고 있는지와 자율주행차량의 보험제도 등을 다루기 위해 새로이 입법된 영국 Automated and Electric Vehicles Act 2018을 소개한다. 영국 법제하에서의 AI 책임 문제에 관하여서는 AI의 법적 지위에 기반하여, 패러다임 시프트가 일어나는 동안의 현실과 법제의 괴리를 해소하기 위한 제안을 하고자 노력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상보험 관련법의 해석 관련, AI 및 사이버보안 등은 자율운항선박 감항성의 요인으로서 묵시적 보증의 요소가 될 수 있으며 나아가 예측가능하지 않은 수준의 사이버보안 문제 등도 부보가능한 위험으로 해석하여야 함을 밝히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본 논문의 목적은 신기술이 영국 법제하에서 자율운항선박 관련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야를 개괄적으로 제시하고 그에 관하여 발생할 수 있는 법적 문제를 포괄적으로 정리하는 데에 있다고 하겠다.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in relation to a navigation of a vessel, from manned to unmanned status, will bring about fundamental changes to the traditional legal paradigm, which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presumption of human existence on board of a vessel. Similar changes are witnessed regarding motor vehicles and aircraft, but the unique nature of maritime affairs requires an independent analysis. This paper takes a particular interest in AI and cyber security in MASS and how the new technologies will likely be impacting the liability and marine insurance regime under the UK legal system. After a brief analysis of how UK laws and courts look at autonomous motor vehicles and aircrafts as a comparison, the introduction for Automated and Electric Vehicles Act 2018, a new legislation to regulate the UK motor insurance for automated vehicles, will follow. Liability issues in relation to AI under the UK legal system is address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legal status of AI, with suggestions to bridge the gaps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of this paradigm shift. Finally, as marine insurance is often times the name of the game in maritime affairs and marine casualties, the interpretation of current marine insurance law to be applicable to AI and cyber security is suggested. In shor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comprehensively address the areas where the new technology would potentially have an impact on the MASS and what the issues would likely be from the UK leg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