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等學校漢文敎科書의內容및水準問題 考察

        元容錫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3 No.-

        한문 교육이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연계하는 교육이 정상화되고 위계성을 갖추고자 한다면 중학교 교과서는 중학교 교과서답고, 고등학교는 고등학교 교과서다워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가 고등학교에서 교수-학습되고 평가되기에 고등학교 교과서다운가를 검토하였다. 고등학교 ‘한문’교과서는 학교 교육에서 한문교육의 주된 교재로서의 표준 저작물이며 교수-학습 과정의 중심역할을 하는 도서이다. 이 때 한문 교과서는 고등학교 ‘한문’에 관련된 표준적이고 보편적인 내용을 담고 있어야할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 급별 교과서에 대한 표준화의 문제는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7차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는 10종이 발간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중학교에서 제대로 한문을 이수하지 않는 학습자를 위하여 기초단원을 설정한 교과서는 6종이었다. ‘한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학습자들의 공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단원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중학교용 900자도 가능한 한 많이 활용할 수 있는 교과서가 되도록 배려하는 것이 보다 나은 교과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언어생활에 활용되는 생활 한자어들이 본문에서 활용된 것을 조사한 결과 6차에 비하여 7차의 교과서들은 현저하게 그 양이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정상적인 한문 교육을 위한 방향이며 대세라고 여겨진다. 한문 교과서에서 가장 재미가 없고, 내용의 연관성도 적으며 단순한 암기를 할 수 밖에 없는 내용이 바로 생활 한자어이기 때문이다. 현재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서 쓰이고 있는 ‘성어 및 속담?격언?명언?명구’ 중에서 고등학교용 900자를 전혀 포함하고 있지 않은 내용을 추출하여 중학교 교과서에서 쓰이고 있는 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당히 많은 숫자가 중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문 교과서에 실려 있는 내용이 전혀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아 임의적으로 누적 중복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자가 쉽더라도 내용이 어려운 것은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서 활용하는 것이 마땅하겠지만, 그렇지 않는 내용들은 고등학교 교과서에서 사용이 자제되어 자체 내용을 충실하게 확보함은 물론, 중학교 교과서와의 연계성과 위계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Several problems should be solved for the education of Chinese writing to be placed upon the right track. Especially the textbooks of Chinese writing at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be worthy of the names for the education to be normalized and be ranked which links middle schools to high schools. So on this study I researched how well the existing textbooks at high schools had been organized for Chinese writing to be taught, learned and evaluated. 'Chinese writing' textbooks of high schools are the standardized literary works as main texts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and they are also the hook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urriculum of teaching and learning in school education. The textbooks of Chinese writing should include the standardized and universal contents related to Chinese writing of high school.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there should be standardization on textbooks at each school level. Ten kinds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of high schools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mong them six kinds of textbooks established basic units for the students who have not completed Chinese writing properly at the middle school level.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we should establish some basic units to ensure basic understanding of 'Chinese writing' and commonness of learners. I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in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basic 900 Chinese characters for middle schools have to be used as many as possible for the better textbooks. According to the survey which examined how often the Chinese characters for common use in daily life are used in the texts, compared with the 6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 could see the frequency in use of Chinese characters has been decreased. This is in the right direction and it is the general tendency. In fact the least exciting part in the Chinese writing among the learners is the very Chinese characters for common use in daily life because they are the least exciting, the contents are not connected each other and most of all they have to be memorized by rot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into the actual condition that how much they are us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after extracting the contents which do not include 900 Chinese characters for high schools among the idioms, proverbs, old sayings, maxims, and wise sayings, a larg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are still being used in textbooks from grade 1 to grade 3 in middle schools. It shows that the contents of textbooks in Chinese writing are not standardized at all and they are arbitrarily repeated. Therefore if Chinese characters are easy but the contents in the texts are difficult they ought to be used and taught in high school curriculum. Otherwise they should not be used in high schools. Furthermore we should establish the connection and hierarchy betwee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 KCI등재

        初等學校 漢字 敎育과 中等學校 漢文 敎育의 接木

        송병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9 漢字 漢文敎育 Vol.23 No.-

        현재 初等學校의 漢字 敎育은 주로 漢字와 漢字語 및 故事成語 등을 學習 內容으로 삼고 있다. 中·高等學校의 漢文 敎育은 주로 漢文 文章을 학습 내용으로 삼고 있다. 初等學校의 漢字 學習 內容은 현재 우리 言語生活에서 사용되는 漢字 語彙(漢字語)를 위주로 한 것이며, 중·고등학교의 한문 학습은 20세기 초까지 創作되었던 漢文學 作品에 쓰인 漢文 文章 등이다. 漢字語와 漢文의 두 학습 내용은 전혀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언어생활 한자어를 주로 사용하는 현대 國語體와 漢文의 統辭構造와 한자로 쓰인 漢文體의 相互 關係를 따져볼 필요가 있다. 言語의 文體는 表記를 비롯하여, 統辭構造, 語彙, 修辭法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우리 민족이 역사적으로 사용했던 문체는 매우 다양하다. 첫째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한문체이다. 둘째 朝鮮風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한역 어휘(우리말을 한역한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한문체이다. 셋째 壬申誓記石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넷째는 吏讀鄕札體이다. 표기는 한자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가차 어휘(우리말을 한자의 뜻과 음을 가차하여 쓴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다섯째는 口訣풀이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와 한글 및 구결 등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 고유어 어휘(구결-조사, 어미)를 쓰며 통사구조는 한문체이다. 여섯째는 口訣懸吐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와 구결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구결-조사, 어미)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한문혼용체이다. 일곱째는 經書諺解體와 한글懸吐 漢文體이다. 표기는 한자와 한글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구결-조사, 어미)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한문혼용체이다. 여덟째는 國漢文混用表記 國語體이다. 표기는 한자와 한글을 쓰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아홉째는 한글轉用 國語體이다. 표기는 한글이고, 어휘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를 쓰며 통사구조는 국어체이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국어체는 국한문혼용 국어체와 한글전용 국어체이다. 이들 국어체는 한문체에 구결이나 한문체를 언해한 국한문혼용체에서 발달한 것이다. 현재의 국어체는 한문체와 국어체의 문장체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한자 어휘가 전혀 사용되지 않는 순수한 국어체가 존재하기는 하나, 일부 시에서만 가능할 뿐이며 언어생활 전반에서는 한자 어휘와 고유어 어휘가 동시에 사용되는 국어체이다. 따라서 언어생활 한자어를 주로 사용하는 현대 국어체와 한문의 통사구조와 한자로 쓰인 한문체는 역사·발전적 상호 관계가 있다. 한편 해방 이후 초등학교의 한자 교육은 방향성을 상실하고 우왕좌왕하다가 한자․한문 교육을 도외시하는 쪽으로 진행 되었다. 이에 초등학교 한자 교육과 중․고등학교 한문 교육을 연계할 필요가 생겼다. 상호 연계의 근거는 한문체와 국어체의 관계에서 공통적으로 한자 어휘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오늘날 박지원의 『열하일기』, 정약용의 『목민심서』 등과 같은 수많은 한문 작품이 오늘날의 ‘국어체’로 번역되어 읽히고 있다. 이는 한문의 독서 문화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한자 어휘가 사용되고, 한문학 작품이 ‘국어체’의 문장으로 독서된다는 것은... In elementary schools students learn Chinese characters in practical words and phrases. In Classical Chinese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s,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produced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is taught. These two materials may be perceived as not correlated at all. Therefore correlation between modern Korean style with practical Classical Chinese words and classical Chinese style with Chinese syntax and Chinese characters needs to be explicated. Stylistics includes orthography, syntax, vocabulary, and rhetoric. Historically, Korean people have used diverse styles. First, Classical Chinese style: Classical Chinese orthography, vocabulary and syntax. Second, Joseon Classical Chinese style: Chinese characters orthography,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and Korean vocabulary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and Classical Chinese syntax. Third, Imsinseogiseok style: Chinese characters orthography and vocabulary with Korean syntax. Fourth, Idu-Hyangchal style: Chinese characters orthography, Classical Chinese and phonetically loaned vocabulary, and Korean syntax. Fifth, Classical Chinese style with interpreted gugyeol: Classical Chinese orthography along with Hangeul and gugyeol,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with gugyeol(postpostion, suffix), and Classical Chinese syntax. Sixth, Classical Chinese style with gugyeol annotation: Chinese characters and gugyeol orthography,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with gugyeol(postpostion, suffix), and Sino-Korean syntax. Seventh, Confucian classics annotation style and Classical Chinese style with Hangeul annotation: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orthography,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with gugyeol(postpostion, suffix), and Sino-Korean syntax. Eighth, Sino-Korean combination Korean style: Chinese and Korean orthography,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vocabulary, and Korean syntax. Ninth, Korean Hangeul style: Korean orthography and syntax with Classical Chinese and Korean vocabulary. Modern Korean style, developed from Sino-Korean orthography which interpreted or annotated Classical Chinese with gugyeol, is a combination of Classical Chinese style and Korean style and in consequence it has vocabulary of both Chinese characters and Hangeul. Korean style eliminating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is only written in poetry. Accordingly modern Korean style is historically and developmentally related with Classical Chinese style. Meanwhil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has been confused over past 60 years, then such education was disregarded.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need to be linked. The reason lies in the common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in Classical Chinese style and Korean style. Numerous Classical Chinese works such as Yeolhailgi and Mokminsimseo are read nowadays. They are translated in modern Korean style. Chinese characters vocabulary and Classical Chinese works translated into Korean style require basic Chinese characters/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refor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should officially introduce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along with its basic Korean education.

      • KCI등재

        대학교(大學校) 교양한문(敎養漢文) 강의(講義)에 대한 소고(小考) - 홍익대학교교양한문(弘益大學校敎養漢文)(초급(初級)) 강의(講義)를 중심(中心)으로 -

        趙赫相 ( Cho Hyuk-sang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2 No.-

        본고는 현재 대한민국의 각 대학교에서 가르치고 있는 교양한문 및 기초한문 과목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작성되었다. 본고에서는 2013년 제1학기부터 2019년 하계계절학기까지 총 7년간 홍익대학교에서 본 연구자에 의해 교수된 ‘교양한문(초급)’ 과목의 교육과정을 소개함과 동시에, 2학점에서 3학점으로 이수학점이 변경되면서 아울러 이루어진 교육내용의 변화양상에 대해 간략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해당 강의 교재 및 교보재에 대하여 설명을 하고, 수업진행방식과 시험방식·성적산출방식에 대해서도 차례대로 논하였으며, 현재 홍익대학교 교양한문 과목의 교육현황을 드러내는데 그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 시점에서 교양한문의 발전방안을 논해본다면, 첫 번째, 교양한문 수업에 있어서 한자쓰기 과제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유념하고 이를 학생들에게 부여해야 한다. 두 번째, 교양한문 강의 내용의 범주를 단순한 낱글자의 뜻이나 텍스트 내용 전달에 국한시켜서는 안되고, 영화나 만화 등 현대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전반적인 문화학 범주의 강의들로 변모시켜야 한다. 세 번째, 외국인 학생들이 교양한문을 수강할 경우 교육과 평가에 유념을 해야 한다. This paper explores what constitute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for teaching students the chinese literature as a cultural studies and basic Chinese characters(Gyo-yang han-mun, Ki-Cho han-mun) in universities of the Republic of Korea. First of all, I explain the teaching materials and grades, focusing on the educational status of the School of Liberal Arts and literature courses in HongIk University from 2013 to 2019. Based on this, if we are to discuss the development of Gyo-yang han-mun at this time,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first Chinese character writing task is essential for the Gyo-yang han-mun class. Second, the categories of Gyo-yang han-mun lectures should not be limited to simple letter interpretation or text messaging, but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ose of the overall cultural categories that actively utilize modern media such as movies and cartoons. Third, foreign stude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education and evaluation when they take Gyo-yang han-mun classes.

      • KCI등재

        제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 문제 연구

        李東宰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5 漢字 漢文敎育 Vol.14 No.-

        이 논문은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한문교과서의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의미’ 통일 방안」의 후속 연구로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중학교 한문교과서에 수록된 한자어의 문제점을 살펴보아, 앞으로 시행될 제8자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하는데 일조를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는 한문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한자어의 문제점을,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 둘째, '한자어의 내용 문제' 셋째, '同音異議語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그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한자어 짜임의 문제'는 명칭과 분류 문제'와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의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명칭의 문제'는 8종의 교과서 가운데 중앙교육은 명칭을 부여하지 않았으며 분류에 있어서는 8종의 교과서가 '술목관계', '술보관계', '수식관계'에 대해서는 큰 이견이 없었다. 다만 '주술관계'는 7종의 교과서는 이견이 없지만, 청색출판사가 '주술관계'를 한자어의 짜임으로 설정하지 않고 문장의 구조'로 파악했다. 또한, '병렬관계' 가운데 '유사관계'는 8종의 교과서가 이견이 없고, '대립관계'와 '대등관계'를 나누거나 묶어서 분류하는데, 서로 다른 이견이 있었다. 이는 한자어를 도식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인한 것이며, 제8자 교육과정에 따라 집필될 교과서에서는 '한자어의 짜임'을 문맥에서 이해되도록 구성해야 한다. 다음으로, '특이한 한자어의 짜임 문제'이다. 8종의 교과서는 '自然保護'와 같이 우리말식으로 풀이되는 특이한 한자어를 제시하였으면서도, 일부 출판사는 설명이 없거나, 또는 '국어식 짜임', ‘우리말식 짜임'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臥病', '所願', '所望'같이 정격에 어긋난 짜임에 대하여, 8종의 교과서가 그 '짜임'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고, 단지 일부 출판사만 '臥病'에 대해서 '병들때 누움'이라고 뜻풀이를 보충하였을 뿐이다. 둘째, '한자어의 내용문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문과 교육목표인 '언어생활에 활용하고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며, 바람직한 인성'을 기르는데 부적합하여 검토가 필요한 한자어는 1학년 교과서에는 14어휘, 2학년 교과서에는 34어휘, 3학년 교과서에는 54어휘가 있다. 이들 어휘 가운데 부사어는 30어휘, 생경하거나 난해한 어휘는 55어휘로, 과연 '언어생활과 타교과 학습에 도움이 되는지?' 검토가 필요하다. 또한 '殺人'과 같이 그 의미가 교과 내용으로 부적절한 한자어는 17어휘로써, 이에 대해 반드시 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同音異議語'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同音異議語의 지도는 타교과가 넘볼 수 없는 한문과의 고유 영역으로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8종의 한문교과서에는 53어휘의 同音異議語가 수록되어 있다. 8종의 교과서 가운데 同音異議語에 대한 설명은 5개 출판사에 20어휘에 대한 설명이 있고, 3개 출판사는 다루지 않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 따라 출간된 한문교과서는 중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를 전부 수용해야 하는 제한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교육과정에 따라 간행된 교과서보다는 교과서의 제제, 내용 등에 비약적인 발전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한자어의 짜임'의 명칭과 분류'에 대한 통일과 '한자어의 내용', '同音異議語'에 대한 지도 대책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시행될 제8자 교육과정의 한문교과서를 집필할 때에는 이를 고려하여 집필하여야 한다. This paper aims at presenting a direction for Chinese textbook which will be written according to the 8th Curriculum after examining the problem of Chinese characters found in middle 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s the succeeding research which follows "the method of unifying 'the meaning' of elementary 900 Chinese characters in middle 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ad by me at academic conference having a theme of "Diagnosis and direction of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which was held by the Korean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Society. Though Chinese writ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wed Chinese words diversely, some textbooks have a difference in the title and classification of 'the composition of Chinese words', that is, grammatical function for the make-up of Chinese words and inappropriate contents not to be compatible with Chinese subject educational aim which is helping language life, learning of other subjects and boosting the sound thinking and desirous human nature. This paper analyzed and divided the problem of Chinese characters found in Chinese writing textbook like a following order, first problem of the composition of Chinese words, then the problems of contents of Chinese words and finally the problem of homophony. The conclusion is like followings. First, the problem of the composition of Chinese words can be can be divided into the subcategories of the problem of title and classification and the problem of special make-up. Concerning the problem of title and classification, text book by Jungang Education among 8 textbooks didn't give a title and there is no objection to classification such as the relation between 'predicate and objective', the relation between predicate and complement and modification among eight textbooks. The 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d predicate, however, has no difference among seven textbooks but a textbook by Chungsaek Publishing Co consider it not at the viewpoint of 'make-up of Chinese words but at that of 'structure of sentence. Concerning the parallel relation, there is no difference about similarity relation but 'opposition relation' and 'equality relation' show difference in the classification such as division and binding. Then, the problem of make-up of special Chinese words is studied at the respect of Korean style composition and the composition beyond correct and regular Chinese words. With regard to 'Conservation of nature', which is Korean style composition, Pakyoung Sa explains nothing about it, but Kyohak Sa, Dongwha Sa, Minjung Seorim and Jihak Sa explain it as "Korean style composition" and Jungang Education, Cheongsaek and Taesung Publish Co. explain it as our language's composition'. Nine publishing companies explain nothing about composition, concerning the abnormal words such as 'lying in a sick bed(臥病)', 'one's desire(所願)' and 'desire(所望)' Second, I research the contents of Chinese words'. There are 54 Chinese words not satisfying Chinese subject educational aim helping language life and learning of other subjects and boosting the sound thinking and desirous human nature, which is needed to exam. Thirty one words among them is adverb. Fifty four crude and difficult words are needed to take a detailed examination to know if they could help language life and the learning of other subjects. Inappropriate words such as 'killing man' need to be modified because it has the contents which are not compatible with the contents of Chinese subject. Third, I analyzed homophony. The teaching of homophony is unique area other subjects can't look over. Eight Chinese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hun have 53 words with homophony. About them, Kyohaksa explains five words, Dongwhasa five words, Jihaksa one word, Cheongsaek one word and Taesung eightwords, but Minjungseorim, Pakyotmgsa, Jungang Education deal with nothing about them. It is true that Chinese textbooks published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have developed the formation and contents of textbook to a great extent, compared to those textbooks of old Curriculums. They, however, have problems of how to classify and name 'make-up of Chinese characters' in thesame standard. In addition, they have a problem of teaching a method to guide homophony and changing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Future textbooks written according to the 8th Curriculum are to consider all sorts of these problems.

      • KCI등재

        改定 漢文科 敎育課程의 性格, 目標, 內容의 問題點

        안재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4 No.-

        This is a thesis that roughly points out the problems that the 7th revised Chinese Education Course has into 'Character', 'Purpose', and Contents'. 1. The 'Character' of Chinese Education Course needs to develop and suggest a character which only Chinese Class has. 2. The 'Purpose' of Chinese Education Course needs to re-suggest about tightening up the usage of vocabulary of Chinese for communication. 3. Below is a matter of 'Contents' distinguished into 'Chinese' and 'knowledge of Chinese'1)In part of 'Chinese', there are matters of Name Calling, 'Reading and 'Comprehension', a character of 'Culture' and contents. 2)In part of 'Knowledge of Chinese', there are matters of 'Vocabulary' of terms and including contents, 'Complement', standard of setting up 'a Form of Sentence, classification of word class and contents, range of rhetoric and contents etc. If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re reflexed to the education course - 1. by revising or supplementing and applied to the form of Chinese education 2. Also undergoing the process of being applied - the appropriate Chinese education course will be made. 이 논문은 우리가 지금 시행하고 있는 제7차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이 안고 있는 문제점들을 ‘성격’, ‘목표’, ‘내용’ 등으로 나누어 개략적으로 지적한 논문이다. 1.교육과정의 ‘성격’은 한문 교과만이 고유하게 가지는 성격도 개발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 2.교육과정의 ‘목표’는 한자 어휘의 언어생활의 활용에 관한 강화 문제도 다시 제시할 필요가 있다. 3.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한 문제는 ‘한문’과 ‘한문지식’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한문’ 영역에서는 ‘한문’ 영역의 명칭문제, ‘읽기’와 ‘이해’의 포함문제, ‘문화’의 성격 및 내용문제 등이 있다. 2) ‘한문지식’ 영역에서는 ‘어휘’에 관한 용어 및 내용포함 문제, ‘보어’의 문제, ‘文形(Sentense Form)의 설정 기준 및 내용문제, ’품사‘의 분류 및 내용문제, ’수사법‘의 범위 및 내용 문제 등이 있다. 위에 제시되고 있는 문제점들이 수정‧보완되거나 해결되어 교육과정에 반영되고, 다시 다양한 한문교육의 양상에 적용되어 또 다시 교육과정에 투입되는 과정을 거치면 바람직한 한문과 교육과정이 만들어 질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일합병 전후 교과서 검정을 통한 한문과 교과서 개발 억제 실태 연구

        남궁원 ( Won Namgu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6 漢字 漢文敎育 Vol.17 No.-

        본고는 한일합병 전후 시기의 한문과 교과서들에 대한 탄압의 배경과 상황 그리고 탄압의 결과가 한문과 발전 역사에 끼친 부정적 영향에 대하여 고구할 목적하에 집필되었다. 처음부터 일본인들은 기본적으로 한국 학교에서의 한문과 교육을 실시하는 것 자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당시 한국 내 정황상 한문과 교육이 불가피하였으므로 한문과를 독립 · 존속시키고 학부에서 한문독본용 교과서를 제작하여 보급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것도 잠시 후 漢文科를 국어과와 통합하여 國語及漢文科로 변경시키고 활발하게 개발되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던 한문과 교과서를 대대적으로 탄압하였다. 敎科用圖書檢定規程을 발표한 시점을 전후하여 민간과 단체들이 제작하였거나 혹은 중국 등 외부로부터 수입한 교과서들의 내용을 면밀히 조사하여 교과서들의 내용이 정치적으로 일본 측에 비판적이거나 적대적인 것은 모두 사용을 금지시켰다. 한문과 교과서는 수신과, 국어과, 역사과 교과서들과 함께 집중적인 탄압의 대상이 되었으며 그에 따라 새롭게 개발하여 사용하던 한문과 교과서는 예외 없이 사용이 금지되었다. 모든 교과서의 검정 진행 결과를 기록하고 있는 『敎科用圖書一覽』에 의하면 한일합병 직전에는 그나마 6-7종의 교과서들은 사용이 허가되었는데 이들은 전통적인 명문장들을 모은 것이거나[고문약선, 문장지남, 한문학교과서 등] 아니면 문법 교육용 교과서[초등작문법]와 기독교계 학교에서 사용하던 수입 교재[초학계제, 회도몽학과본]들에 국한된 것이었다. 통감부와 조선총독부는 이처럼 새롭게 개발된 교과서들을 철저히 탄압하는 대신 논어 맹자 등 四書類를 비롯한 전통 교재들은 모두 검정을 통과시키고 있다. 이는 한문과의 교육 내용을 다시 유교의 경전들로 회귀시킴으로써 정치적으로 지방 유림의 반발을 무마하고 한문 학습을 이용한 신지식 획득이나 정치의식 고양을 막고자 하는 일본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결국 1906년 이후 한문과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과 시대에 기여할 수 있는 교과로서의 의미를 지닌 교과로 발전해가던 한문과의 노력은 좌절되었고 한문과 교과서들이 다시 중세의 교재들로 회귀하는 형국이 되고 만 것이다. 이러한 굴절의 역사는 한문과의 정체성을 복고적인 것으로 고정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The aims of this article are to survey banned situation of development in Chinese textbook from Japan during Korea-Japan annexation. Before Korea-Japan annexation, Japanese authorities was reluctant to permit Korea`s Chinese education to students due to social context and public opinion. Since then, they changed Chinese department into Korean including Chinese. Also Chinese department minimized and was restricted to Chinese textbook. They presented a provision of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to Korean. Systematically, they forbade Chinese textbook to provide for students. Particularly they banned textbook from China and made in publics and organization. They insisted they ban Chinese textbooks because of political threatening ideas 『Gyogwayongdoseoilram』in Joseon government-general shows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in these days. This book covered the process of the textbook screening system during Korea-Japan annexation. At first, they allowed textbook in private organization to use partially. After all they banned all Chinese textbooks. Instead they permitted Confucian scriptures like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Works of Mencius」 to use. This caused local Confucianists to put down against Korea-Japan annexation. After making Chinese department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1906, survey of direction in Chinese department were frustrated. Outgrowing needs in identity of Chinese department were banned. Contents in Chinese department were restored medieval scriptures. This caused publics to recognize Chinese department as a reactionary subject.

      • KCI등재

        漢文敎育學 博士學位論文의 成果와 課題

        김왕규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9 漢字 漢文敎育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Doctoral Degree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total number of doctoral dissertation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ubmitted to universities as doctoral dissertations is 28. This study focused on analyzing the content of the doctoral dissertation. In particular, the paper was analyzed based on research areas, research topics, content and objectives, and research methods and data. Through this process, the paper on the doctoral dissertation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compiled and several proposals were made. Over the past 20 years, a total of 28 doctoral dissertations i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ve been reported. The "Classical Chinese Language Teacher as a Researcher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olidified its status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re are two types of degrees: Doctor of Education and Doctor of Literature. He used literature research as a basic method of research, and selected and utiliz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papers that carried out the integr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also submit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and in the case of classroom class study,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transcription data were generated. Classical Chinese textbooks before and after modern times and Classical Chinese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post-modern curriculum were widely used as research materials for research. This paper has no purpose in determining or carrying out the 是非 of individual doctoral dissertations. Checking 成果 and 課題 through review of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s and data of individual papers is judged to be 羅針盤 and 礎石 in the future, the selection and analysis of Classical Chinese-language education research topics by writers and alumni. 이 연구의 목적은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에 대한 내용 분석이다. 대학에 박사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된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은 모두 28편이다. 이 연구는 박사학위논문의 내용 분석에초점을 두었다. 특히, 연구 영역, 연구 주제, 내용 및 목적, 그리고 연구 방법과 자료를 중심으로해당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의 成果를 정리하고, 課題를 몇 가지제안했다. 지난 20여 년 사이 모두 28편의 한문교육학 박사학위논문이 보고되었다. ‘한문교육학 연구자로서의 한문 교사’가 연구의 주체로 그 지위를 확고히 했다. 학위기는 교육학 박사와 문학 박사 두종류가 있다. 연구 방법으로 문헌 연구를 기본으로 활용하였고, 양적 연구, 질적 연구를 선택, 활용한논문도 적지 않았다. 특히 양적, 질적 연구를 통합 수행한 논문도 제출되었다. 연구 방법에 따른양적,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 생성했고, 교실 수업 연구의 경우, 관찰 및 면담, 전사 자료 등을생성했다. 근대 이전 한문 교재와 근대 이후 교육과정에 따른 한문 교과서가 연구 자료로 폭넓게활용되었다. 이 논문은 개별 박사학위논문의 是非를 따지거나 褒貶을 수행하는 데 그 목적이 있지 않다. 개별 논문의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 및 자료에 대한 검토를 통해서 成果와 課題를 확인하는 작업은향후 필자와 동학들의 한문교육학 연구 주제 선정 및 연구 자료 수집, 분석에 羅針盤과 礎石이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한문과(漢文科) 교수(敎授)-학습(學習) 방법(方法)의 체계화(體系化)의 방안(方案)

        김재영 ( Jae Young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7 한문교육논집 Vol.29 No.-

        본 논문의 목적은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樣相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체계화를 위한 基準을 설정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類型化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 과정에 제시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을 검토했으며, 한문교육 관련 학회에 보고된 연구 논문도 검토하여, 그 동안의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 현장의 한문과 교수-학습의 모습도 살펴봄으로써 기존 한문 관련 교수-학습 방법의 연구 성과를 통합하여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체계화의 기준은 ``교육 과정 영역``, ``교수-학습 형태`` 그리고 ``한문 텍스트``의 3가지 기준을 설정하여 기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들을 유형화 하였다. 그러나 체계화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이 때론 다른 방법과 엄격히 구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한 영역에만 적용되는 고유한 틀로 보기 어려운 것들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교수-학습 방법을 교실 현장에 실제 적용하고, 그 적용 과정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어느 정도 해결되리라 본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그것이 교수-학습 이론으로 재투입되는 還流의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서만이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體系化가 더욱 탄탄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Learning in Classical Chinese, set the standards for the most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lassical Chinese`` for systemization and typology the methods. For this, Teaching-Learning methods provided in national-wide curriculums and articles reported to Classical Chinese related academic association were reviewed in order to understands the history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the specific subject education. We also try to systemize the study result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by reviewing the Teaching-Learning cases of the subject in the field.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were categorized for the systemization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 of ``Curriculum Domain``, ``Teaching-Learning Types`` and ``Classical Chinese Text``. However, the systemized teaching-learning methods may not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ethods in the rigorous point of view. Additionally, there may be some methods that cannot be considered as unique frames.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to some extent by applying teaching-learning methods to the actual field such as classroom, observ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process. The mor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study results should be accumulated, and fed back to teaching-learning theory. In other words, the cycle should be continuous. Only through this circulation cycle, the systemization of teaching-learning methods in Classical Chinese can be made.

      • KCI등재

        中・高 漢文敎科書 ‘漢字’ 領域 分析 및 構成 方向 摸索

        김경익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5 No.-

        Whe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and roles of textbook, we need to analyze the aspect of realization of the field and explore the direction we should go.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alization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from a correlational perspective and to explore the way to design that of ‘Chinese characters’ that will be effective in actual classroom.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several subjects for inquiry are selected. First, to analyze and review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Second, to review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he textbook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Third, to find the way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view that learners are main agents of learning. In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classical Chinese textbook, I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in textbook. The transformation was classified according to reduction, expansion, supplement and deletion of the content. In the organization style of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the way how to design units was examined. In this study, I suggested several plans to design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in textbook with consideration for actual classroom and learners. A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 proposed some problems awaiting solution as regards the field of ‘Chinese character.’ ‘漢字’에 대한 지식은 한문 능력의 핵심 資質이다. 한자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이 부족하면 漢文 讀解나 語彙 학습의 수행을 기대하기 어렵다. 한자가 지닌 본질적 가치와 더불어 학습자가 인식하는 한문 학습에서 한자 학습의 비중 또한 가볍지 않다. 학습자가 ‘한자’에 대해 지니고 있는 막연한 두려움과 학습 부담을 덜어내지 않으면, 성공적인 한문 학습을 기대하기 어렵다.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준수하여 집필된다. 하지만 각 교과서마다 전개 방식은 다르다. 개별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실행의 大綱을 짐작할 수 있다. 교과서 구성 방식이 교수・학습 실행에 끼치는 영향은 至大하다. 한문 학습에서 차지하는 ‘한자’ 영역의 중요성과 교과서의 기능 및 역할을 고려할 때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현 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문과 교육과정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현을 상관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문과 교실 수업에 유효한 ‘한자’ 영역 구성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몇 가지 연구문제를 생성하였다. 첫째, 중・고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을 분석, 검토한다. 둘째, 2009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을 검토한다. 셋째, 한문 학습자가 한문 학습의 주체라는 관점을 토대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을 모색한다. 한문과 교육과정과 한문 교과서의 상관성은 주로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변형되어 구현된 경우를 살펴보았다. 변형은 교육과정의 내용의 축소와 확장, 추가와 삭제로 구분하였다. 중・고 한문 교과서의 ‘한자’ 영역 구성 방식은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기준으로 단원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경우가 달랐다. 고등학교에 비해 중학교 교과서가 ‘학습내용 성취기준’을 세분화, 구체화하여 수록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교실 수업’과 ‘학습자’를 고려한 ‘한자’ 영역의 교과서 구성 방안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 해당 교과서의 본문에 쓰인 한자의 뜻을 중심으로 편집한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목록을 별책 형태로 제시하여, 학습 자전의 대체 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습한자 구성 방식과 제시 방식에 대한 검토가 요청된다. 셋째, 한자 쓰기 활동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 ‘한자’ 영역과 관련하여 향후 과제를 생성하였다. 첫째, 한문 학습을 위한 한자 수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중・고 학습자의 한자 지식 실태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한자 습득에 대한 기초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한다.

      • KCI등재

        투고논문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字形) 연구 -『강희자전(康熙字典)』 자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영옥 ( Young Og Kim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본고는 2000년 12월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한 <漢文 敎育用 基礎 漢字 1800자>의 字形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밝히고 나아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 이렇게 조정하였습니다』(교육인적자원부, 2000)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康熙字典』에 근거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 확정의 일차적 기준은 『강희자전』의 자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강희자전』이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에 미친 영향, 그리고 『강희자전』과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에 대한 비교 검토 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강희자전』의 자형에 대해 비교 검토함으로써 그것이 어떠한 양상으로 어느 정도 반영되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고, 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본론에서 진행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와 『강희자전』 자형과의 비교·검토 결과,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 正字의 자형과 동일한 경우도 있었으나 또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 正字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 正字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는, 새로운 整字의 사용, 部件의 차이(부건의 위치 변화, 簡略化, 繁化, 類化), 필획상의 차이 등 세 가지 경우와 컴퓨터 글꼴에 의한 차이로 나누어 그 양상을 파악하였다. 특히 부건이 간단하거나 복잡한 부건으로 대체된 경우에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강희자전』의 이체자를 따른 경우가 많았고, 『강희자전』의 정자 중 일부 부건을 형태가 유사한 다른 부건으로 類化한 경우와 필획상 차이가 보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건에 대하여 여러 형태의 자형으로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는 한자와 한문의 교수·학습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이다. 그러나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자형이 가지는 문제점은 교수자나 학습자 모두에게 혼란과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자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자 표준 자형 제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어야할 것이며, 또한 한자 자형 표준화를 위한 전면적인 연구를 통해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This paper, through examination of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current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n Dec. 2000, aims to disclose problems included in shapes of such Chinese characters and furthermore to seek methods for solving those problems. To do that, this paper looked into problems contained in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of 『Kangxizidian』 which is deemed to be the primary basis in deciding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Through the above-mentioned study, it would be possible to confirm features and problems of shapes of <the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Chinese classics education> and to raise recognition of standardization of shapes of Chinese characters, one of methods for solving such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