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내 한류 지형의 탐색 및 한류 수용자의 문화적 실천에 관한 연구

        정수영(Soo-Young Jung)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0 No.-

        일본에서 2000년대 중반 등장한 한류는 현재 어떤 지형을 형성하고 있는가? 일본 내 한류 수용자들은 한류의 생산과 소비 과정에 어떻게 개입하고 있으며, 그들의 문화적 실천은 어떤 함의를 지니는가? 이를 고찰하기 위해 심층인터뷰와 FGI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매스미디어에서 K-Pop과 K-Pop 아이돌 그룹을 대중문화 한류의 주역으로 집중 조명하고 있지만, 일본 내 한류의 지형은 훨씬 더 다양한 장르와 다양한 수용자 층에 의해 복잡하고 다층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매스미디어에 의해 재현되고 있는 주류 한류 담론과 수용자의 모습, 즉 드라마에 열광했던 중장년층 여성이나 K-Pop에 열광하는 젊은 여성들의 모습만으로 일본 내 한류 지형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둘째, 일본 내 한류 수용자는 단지 대중문화 한류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해석하는 데에 머무르지 않고 한류의 생산과 유통 과정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팬덤을 발휘하면서 한류의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셋째, 대중문화 한류가 진화하여 ‘또 다른 한류’가 일본 내에서 조용히 움트고 있다. 이를 보여주는 사례가 소규모 시민그룹 KAJA와 그들의 문화적 실천이다. 한류를 한일 간의 진정한 이해관계 구축을 지향하는 계기이자 통로로 바라본다면, 이러한 문화적 실천은 작지만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 How has Hallyu landscape been formed in Japan? How have Japan’s audiences intervened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or consumption of Hallyu?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 the questions, this study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 and FGI in Jap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Hallyu landscape in Japan are composed of varied genres and varied audience layers. Because of this, it is impossible to understand Hallyu landscape in Japan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audiences in mass media that are middle-aged women who were fond of Korean Dramas, and a new generation of fandom mainly consisting of young women ranging from teenagers to the twenties who are enthusiastic about Korean idol singers and K-pop. Secondly, Hallyu fandom contributes to diffuse of Hallyu, being actively involved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Hallyu. Finally, By the evolution of pop culture ‘Hallyu’, ‘Another’ Hallyu has been emerging in Japan quietly. One of cases is a small group of citizens, KAJA (Korea And Japan Alternative learning group), and their cultural practices. Those cultural practices in Japan can possibly serve as the first step in promoting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friendship between Korea and Japan.

      • KCI등재

        한류의 경쟁력과 한계 분석 - 중국 내 한류의 전파를 중심으로 -

        劉寶全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3 No.-

        중국에서 한류의 전파 양상은 대체적으로 3 단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1997부터 2006년까지의 처음 10년은 한 류가 중국에 들어와 엄청난 인기를 얻었던, 양국 문화 교류의 허니문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006년경부 터 중국에서의 한류는 급격히 하락하는 추세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심지어 ‘반한류(反韓流)’와 ‘혐한류(嫌韓流 )’ 현상까지 출현하였다. 그러다가 최근에 들어 K-POP 등이 널리 퍼지면서 ‘신한류(新韓流)’가 다시 휩쓸게 되 었다. 이에 따라 한국제품을 선호하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소비자群이 형성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류나 한국 문화상품이 중국에서 인기몰이 한 원인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 문화와 중국 문화 는 원초적 동질성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한편으로 한국인들은 K-Culture를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아주 좋은 조합을 만들어냈다. 한국정부와 민간재단이 힘을 합쳐 한국 문화산업의 튼튼한 경제지원 체계를 구축하 면서 계획적으로 창의 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을 기울였다. 또한 콘텐츠의 OSMU모델이 보급됨에 따라 스마트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을 개척하여 적극적인 수출전략을 펼쳤다. K-POP이 한국 드라마에 이어서 한국 문화를 대중화·현대화·세계화 시키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고 판단된다. <대장금>에서 <강남 style>로 발전하며 한류 가 날로 성숙해지는 양상이다. 이는 한류 전파 시스템이 완비되었기 때문인데, 바로 이런 점이 한국문화 전파 에 큰 몫을 했다고 본다. 그러나 한 가지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중국에서의 한류의 전파가 순조롭지는 않았다는 점이다. 즉 ‘반한류’나 ‘ 혐한류’가 출현한 원인을 간과할 수 없다. 그 원인은 첫째, 역사·문화 분야의 충돌과 오해로서, 이것이 ‘반한류’ 현상을 일으킨 중요한 요소인데 문화적 충돌이나 오해를 조장하는 데 언론매체가 부채질하는 경우가 많지 않 았나 한다. 둘째, (일부)한·중 인사들의 편협한 민족주의에 기인한 행동들이 중국에서 ‘반한(反韓)’, 한국에서 ‘ 반중(反中)’의 분위기를 형성했을 것이다. 셋째, ‘반한류’ 현상은 이데올로기의 충돌로 인해 형성한 것이라기 보다 심층적으로 분석하면 경제적 이익과 국가 문화적 영향력의 경쟁에서 기인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한·중 양국은 문화산업 분야에서 때로는 서로 경쟁하는 라이벌로 존립하기 때문에 갈등이 불가피하여 이런 양 상이 한류의 전파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보았다. The reasons why Hallyu is widely spread in China basically lie in such factors as the proximity between Chinese and South Korean cultures, the role of Hallyu cultural export mode on national level, celebrity effect, and the internal impetus in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 cultural industry, among which the last is the most fundamental one to give Hallyu an extremely competitive power. The flexural-shape propagation of Hallyu in China interacts with the development of China-Korea relations, therefore, the propagation and development of Hallyu in China reflect the close relationship of politics, economy and trade between China and Korea. However, the “anti-Hallyu” phenomenon shows not only the conflicts in realm of ideology of the two countries, but also the economic interests and the “soft-power” competition --the competition in cultural industries--between them, which serves as the deeper reason and therefore becomes the main factor to hinder the development of propagation of Hallyu. The change of China-Korea relations reflected in Hallyu phenomenon suggests that the deepening of China-Korea strategic partnership will have a long way to go in getting through the barriers and obstacles.

      • KCI등재

        중국 내 한류 문화의 지속 성장을 위한 전략에 정착을 관한 연구

        윤상일 ( Sang Il Yoon ),강재식 ( Jae Shik Kang ),김형재 ( Hyung Jae Kim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4

        1990년대 후반 중국에서 불기 시작한 한류(韓流)는 한국의 대중문화의 전파는 물론이고 다양한 차원의 경제·문화적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 한류가 동아시아 지역으로 점차 확대되어 가면서 한류에 대한 경계의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문화를 세계 문화의 변방이 아닌 중심으로 발돋움시켜주고 있는 한류가 지속가능성을 통해 공고히 정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와 지속가능한 한류의 정착을 통하여 우리 문화산업의 증진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를 그 목적으로 한다. 현재 중국 내 한류는 한류의 성공으로 한국 문화상품에 대한 호감도의 증가와 동양과 서양의 스타일이 조화된 문화상품이라는 강점(Strength)요인과 문화적 유사성, 고정적인 한류 팬의 존재라는 기회(Opportunity) 요인이 존재함과 동시에 한류 문화상품 가격의 상승, ‘킬러콘텐츠’의 부재, 현지에 대한 한류 확산 정보의 부족이라는 약점(Weakness)요인과 한국 문화상품의 침투에 대한 사회적 경계심의 증가와 복제품으로 실질적인 한국 문화상품의 수입이 미비하다는 위기(Threat)요인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같은 현실에서 한류가 지속가능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거버넌스(governance) 체계의 구축을 바탕으로 문화산업정책의 우선순위를 보다 산업적인 가치에 두고, 다양하고 참신한 문화상품의 개발과 글로벌 미디어 그룹의 육성을 통해 글로벌 시장으로의 진출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상대 국가와 문화적 차원의 다양한 교류를 통해 중국 정부의 반한류 규제정책에 대한 적절한 대응과 더 나아가 한류의 파생효과를 극대화하기 할 수 있도록 우리 제조기업의 상품력과 국가경쟁력 역시 수반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Having started in mainland China from the late 1990`s, Hallyu or the Hallyu not only disseminates Korean pop culture, but generates economic and cultural profits in many different aspects. At the same time, however, signs of objection to Hallyu are surfacing with the Hallyu spreading across the East Asian region.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aims to discuss ways to firmly establish Hallyu by making it more sustainable, as Hallyu has shifted the Korean culture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of the world culture, and to talk about measures to spur the establishment of a sustainable Hallyu on to advance the cultural industry of Korea. At present, Hallyu in China has factors of strength and opportunity, weakness and threat-strength in that Hallyu`s success has boosted favorability of Korean cultural goods in China and that Korean goods are a harmonious combination of Western and Eastern style, opportunity in that Hallyu has cultural similarities and a solid base of followers, weakness in that prices of Hallyu-related goods are on the rise, ‘killer-content` is non-existent yet, information about how to spread Hallyu further on the ground is insufficient, threat in that China`s import of Korean cultural goods is falling due to increasingly disapproving attitude of the Chinese people towards Korean cultural goods and widespread counterfeit goods within China. Under these circumstances, making Hallyu more sustainable requires us to build on establishing a governance system, to put more priority on industrial value in our policies for the cultural industry, and to devise strategies to make inroads into the global market by developing novel cultural products of diverse kinds and by nurturing a global media group. Coupled with these efforts, better quality goods by Korean companies and stronger national competitiveness are necessary to properly respond to the Chinese government`s restrictive policies against Hallyu and to maximize the spin-off effect of Hallyu, through various levels of cultural exchange with China.

      • KCI등재

        한류 4.0, 신(新)한류는 어떤 대중문화인가?: D. 닷슨의 대중문화 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최현철 인문예술학회 2021 인문과 예술 Vol.- No.11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current Hallyu(the Korean Wave) that has changed from Hallyu 1.0 to 3.0, and to analyze what kind of popular culture and characteristics the New Hallyu represented by Hallyu 4.0(K-culture). Under the basic premise that Hallyu 4.0 is popular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K-culture that distinguish it from the existing Hallyu are analyzed with a focus on popular culture types. Also, this analysis is based on the theory of four types of culture studied by Donald Dodson, an American pop culture researcher. Therefore, the current new Hallyu culture has a structure closer to the popular culture than the mass culture described by Donald Dodson. The new Hallyu culture, represented by Hallyu 4.0, does not show the same pattern as the upper-class elite culture, but it is clear that the new Hallyu has the potential to grow into a transnational culture due to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Based on this analysis of new Hallyu popular culture, the policy direction of Hallyu that should be continuously promoted at the government level is presented as a conclusion so that the current new Hallyu fandom culture phenomenon can continue. 이 글의 목적은 한류 1.0에서 3.0으로 변모해 온 기존의 한류와 한류 4.0으로 지칭되는 현재의 신(新)한류가 과연 어떤 대중문화인지를 분석하고 그 성격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나는 한류가 대중문화를 선도하고 있다는 사실을 토대로, 한류 4.0인 신(新)한류가 기존의 한류와 구별되는 본질적 특징을 문화 유형의 분석에서 도출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 유형의 분석은 미국의 대중문화 연구가인 도널드 닷슨(Donald Dodson)이 말하는 문화의 네 가지 유형 이론을 토대로 수행된다. 그 결과, 신(新)한류 문화는 닷슨이 말하는 매스 컬처보다는 포퓰러 컬처 문화구조에 더 가깝다. 또한, 한류 4.0으로 대표되는 신(新)한류 문화가 비록 엘리트 문화(고급문화)와 동일할 수는 없지만, 그와 유사한 구조로 변하고 있다. 그리고 급격히 발달한 디지털 환경의 도움으로 신(新)한류는 초국가적 문화 가능성을 지니게 되었다. 이러한 신(新)한류의 대중문화적 구조와 초국가적 문화 가능성을 바탕으로 나는 신(新)한류의 팬덤 문화와 정부의 한류 정책이 추구해야 할 방향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中國 인터넷에서의 韓流 傳播 效果와 그 發展

        박종연(Park Jong Yeon),巴丹(Ba Dan) 동아인문학회 2021 동아인문학 Vol.56 No.-

        韓流는 文化 現象이자 經濟 現象이며, 또한 傳播 行爲이면서도 經濟 行爲이다. 韓流 자체가 내포하고 있는 外延이 분명하지는 않지만, 그 지향점이 매우 분명하여, 문화와 그 요소가 제품에 녹아들어 있다. 즉 국가 이미지를 만들어 국가 브랜드를 확산시키려는 목적을 실현하여, 정치적인 도움이 얻고자 하는 동시에 경제적인 효과를 취하려고 하기에, 국가의 강력한 소프트 파워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적 특색의 문화 요소는 드라마나 영화, 노래, 게임 등의 콘텐츠 형식을 통해, 책임감 있고 개방적인 한국의 이미지를 만들어 내었다. 韓流가 전파되기 시작하면서, 그 배후에는 국가적인 힘이 있었고, 이 주체적인 힘은 韓流의 傳播가 뚜렷한 公共 外交의 속성과 특징을 갖도록 했다. 본 논문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 인터넷에서의 韓流 관련리뷰 내용 등을 수집해 ‘韓流’의 傳播 效果에 관해 연구했다. 특히 중국 젊은이들의 韓流 전파에 대한 태도 변화와 그에 따른 문화적 영향을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韓流가 중국 인터넷에서 전파되는 과정에 어떠한 문제가 존재하는지를 연구했다. Korean Wave(韓流) is a cultural and economic phenomenon as well as influential behavior. Its direction that culture and its elements are incorporated into the product is very clear although the external influence of Korean Wave(韓流) itself is not clear. In other words, it is emerging as a strong soft power of the country because it seeks to achieve the purpose of spreading the brand of the country by creating a national image, to obtain political help and to achieve economic effects at the same time. Cultural elements with Korean characteristics have created a responsible and open image of Korea through content formats such as dramas, movies, songs and games. As the Korean Wave(韓流) began to spread, there was a national force behind it, and this independent force made the spread of Korean Wave(韓流) have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public diplomacy. This thesis studied the propagation effect of Korean Wave on the Chinese Internet by collecting reviews related to Korean Wave on the Chinese Internet from 2016 to 2018. In particular, changes in the attitudes of Chinese young people toward the spread of Korean Wave and its cultural impact and based on this analysis, what problems exist in the process of Korean Wave spreading on the Internet in China have been studied.

      • KCI등재

        오래된 한류, 한류의 미래 - 어디든 내리는 ‘비’와 한류의 문화사적 재현성

        김성환(Kim Seong-Hwan) 동양사회사상학회 2007 사회사상과 문화 Vol.15 No.-

          이 글은 한류에 대한 최근의 논의를 담론학적으로 분석하고, ‘문화의 상호소통’과 ‘문화사적 재현성’의 문맥에서 한류를 해석할 것을 제안한다. 1990년대 말부터 일기 시작한 한류에 국내 학계의 이목이 집중되었다. 그러나 한류현상을 해석하는 이론과 방법론은 초보적 수준에 머물렀다. 한편에서는 서구적 근대화의 성공에서 한류의 원인을 찾고, 다른 한편에서는 한류를 미국 문화자본주의의 아류인 한국 문화산업의 일시적 유행으로 본다. 또한 일각에서는 ‘유교문화권’을 내세우며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아시아 문화의 막연한 동질성을 한류의 근거로 내세웠다.<BR>  이런 논의 양상은 한국 문화를 바라보는 ‘서구중심주의’와 ‘중화중심주의’의 오랜 이론적 관성에 뿌리를 둔다. 하지만 이런 이념은 문화를 보급하기만 하는 ‘중심’과 문화를 수용하기만 하는 ‘주변’을 이원화하는 선험적 형이상학이다. 그 같은 시각에서는 한류의 독창성과 고유성 그리고 내적 동력을 해명하기 어려우며, 한류는 언제나 예외의 사건일 수밖에 없다.<BR>  이 글에서는 이런 일방적 문화전파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문화의 상호 소통’ 관점에서 한류가 예외가 아닌 정상적 문화 현상임을 일깨운다. 또한 한류가 단지 21세기에 발생한 일시적 문화현상이 아니라, 아주 오래된 문화소통의 한 흐름으로 ‘문화사적 재현성’을 가진다는 사실도 상기시킨다. 즉 ‘차이’를 가진 문화의 소통이라는 문맥에서 한류가 유구한 문화현상으로 일회적이 아니라 끊임없이 재현되었음을 밝힌다. 서구중심주의와 화이론華夷論의 낡은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문화소통의 본령에서 한류의 과거와 현재를 돌아본다면, 바로 그 지점에서 한류의 미래를 통찰하는 지평을 확보할 수 있다.   This article seeks to logically analyse the recent various argumentations about Korean wave and suggests to redefine Korean wave in terms of ‘mutual culture communication’ and ‘reemergence of the past history’.<BR>  Even if the academic interest in Korean wave has been increased dramatically since it appeared in the late 1990s, their theories and approaches for understanding Korean wave has been remaining in an early stage: some say Korean wave is a result of western modernization, while others consider Korean wave is a passing pad in Korean culture industry, as ever shown in American culture capitalism. Besides, there is an assumption that the generation of Korean wave depends on the homogeneous culture of Asia in ‘confucianism culture zone’ around China. Nevertheless, with these approaches, Korean wave’s uniqueness, originality and genuine power can’t be explored properly since all these assumptions are based on the stereotyped theories such as ‘Western Orientation’ or ‘Sinocentrism’ and they are very hypothetical since they analyse the culture focusing on the two separate parts, the one who delivers the culture and the other who passively accepts it. With this kind of approach, they only define Korean wave just as an exceptional event of the culture.<BR>  Therefore, this article identifies the limitations these theories contain, investigates Korean wave in terms of ‘mutual culture communication’, and demonstrates Korean wave as an expected cultural aspect, which has been existing over a long period. Korean wave is a stream of the extended culture communication over history and a ‘reemergence of the past history’, not a temporary culture feature of the 21st century.<BR>  This article shows Korean wave is a permanent culture phenomenon and has consistently appeared all the way, seeing it from the viewpoint of the culture communication with the acceptance of the difference in it. Additionally we can discern and anticipate the future of Korean wave through exploring the past and the present of Korean wave from the viewpoint of the culture communication, not from the hackneyed ideologies such as Western Orientation and Sinocentrism.

      • 한류문화콘텐츠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변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재록 우씨아우리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한류의 주요 소비층이며 거대한 잠재소비력을 가진 중국 소비자들의 한류문화 컨텐츠에 대한 소비행동을 분석 파악하여 소비자특성에 따라 한류 문화컨텐츠별 소비행위와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한류 문화컨텐츠업체의 미래 발전방향의 설정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서 중국 소비자의 소비행태를 토대로 한 표적시장을 선정하여 마케팅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 이론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하고 설문지를 통한 분석 방법으로 중국소비자의 한류 문화컨텐츠의 구매행위에 영향 주는 요인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음악컨텐츠의 소비행태에서 가장 좋아하는 음악장르는 댄스뮤직이며 한류음악정보획득 채널은 TV, 한류음악컨텐츠 접촉방식은 인터넷이 가장 많았다. 한류음악 소비금액은 150위안 이하로 나타났다. 한류음악컨텐츠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한류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와 한류음악컨텐츠 특성이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드라마컨텐츠의 소비행태에서는 가장 좋아하는 드라마장르가 러브스토리였으며, 정보획득채널은 TV, 접촉방식은 CD구매가 가장 많았다. 한류드라마 구입 지출금액은 150위안이 이하로 가장 많았다. 한류드라마컨텐츠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한류드라마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와 한․중 문화 컨텐츠 비교특성이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류영화컨텐츠의 소비행태에서는 가장 즐겨보는 영화는 러브스토리, 한류영화컨텐츠 정보획득 채널은 TV, 한류 영화컨텐츠를 접하는 방식은 인터넷다운로드가 가장 많았다. 연간 영화소비 금액은 150위안 이하로 나타났다. 한류영화컨텐츠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한류영화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와 한․중 문화 컨텐츠 비교특성이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Korean Wave is the special phenomenon beyond Korean and Chinese culture including some other countries. For developing Korean Wave the marketer of cultural industry must satisfy desire of Korean Wave's consumer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Chinese consumers buying behavior to the Korean Wave's cultural contents. And also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y for Chinese marketer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favorable music is dance, the information source is TV and the contact method is internet. The consumption of Korean Wave music in a year is under 150 yian.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Korean Wave Contents buying. Attitude to the Korean Wave music and character of Korean Wave music contents were significant. Second, most favorable drama is love story-typed, the information source is TV and the contact method is DVD bought. The consumption of Korean Wave drama in a year is under 150 yian.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Korean Wave Drama Contents buying. Attitude to the Korean Wave drama and comparative character of Korean Wave drama contents and Chinese drama contents were significant. Third, most favorable film is dance, the information source is TV and the contact method is internet. The consumption of Korean Wave film in a year is under 150 yian.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Korean Wave Film Contents buying. Attitude to the Korean Wave Film and comparative character of Korean Wave Film contents and Chinese Film contents were significant.

      • KCI등재

        융합한류 플랫폼을 활용한 중소기업의 해외마케팅 지원방안

        이태식(Lee, Tai Sik)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5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6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한류는 2000년대 중반부터 K-Pop이 방송이나, 유튜브, Facebook 등 SNS를 통해 전 세계에 확장되면서 최정점기를 맞았다. 한국의 문화가 이렇듯 전 세계에 선풍적인 인기를 얻은 것은 한국인이 보기에도 당황스럽고 경이로운 현상이었다. 따라서 한류 현상 초기에는 ‘한류’ 의 실체에 대하여 많은 담론이 있었고 K-Pop이 전 세계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를 얻은 한류 2.0 시대에는 한류의 지속가능성과 경제적인 효과 등에 대한 연구가 폭주하였다. 그 후 정부에서 한류 확산을 위하여 본격적으로 개입을 시작하고 그간의 민간주도의 한류에서 한국의 대중문화뿐만 아니라 문화 전반에 걸친 관심과 확대를 목표로 하는 한류 3.0 선언이후 한류가 정부, 민간기업 등 모든 한국국민이 참여하는 국가적 사업으로 Up-Grade 되었다. 전 세계로 한류가 확산되면 여러 가지 경제적인 이득이 있다. 우선 여러 연구에서도 입증 되었듯이 났듯이 문화콘텐츠 자체의 매출(수출)이 증가하고 관광객이 한국으로 모여들며 한류와 관련된 상품이나 기타 한국산 제품들이 국가이미지 업을 통하여 수출이 늘어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한류의 경제적 효과를 활용하여 콘텐츠 산업 뿐 아니라 연관 산업 및 제조업의 수출확대에 주목하는 정부나 민간 기업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특히 2000년 대 부터 전세계적인 융합의 시대를 맞이하여 정부차원에서도 산업융합이 중요한 목표로 등장하게 된다. 특히 ‘창조경제’를 국정기조로 삼은 박근혜 정부의 한류 3.0 시대에는 한국문화, 한류와 제조업의 융합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융합한류’가 화두가 되고 있다. 그러나 융합한류(한류를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방안)가 말처럼 쉽지는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한류자원을 가지고 있는 기획사(제작사)와 일반 제조 중소기업들은 건너기 힘든 갭을 가지고 있다. 높은 비용문제를 차치하고라도 이해관계가 다른 두 산업을 융합하는 것은 말처럼 쉽지는 않으며 설사 서로 원한다고 하더라도 연결고리나 거래 표준화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아 수행에 문제가 많다. 따라서 융합한류 초기에는 서로 방향을 잡지 못하고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지 못하는 둘 사이에 촉매제로서 새로운 사업을 개발하고 실제로 성공사례를 도출할 수 있는 정부기관의 역할이 절실히 필요하다. 마침 필자는 국내에서 융합 한류사업을 가장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코트라에 근무하고 있으며 작년부터 융합한류 사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내고 여러가지 시행착오를 거쳐 실제 수행해 보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와중에 융합한류의 본질에 대하여 이해를 하게 되고 여러 가지 해결해야할 문제점도 파악을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한류와 경제 한류, 한류의 수출증대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 왜 국내 중소기업들이 한류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지와 현재 수행중인 코트라의 융합한류를 통한 수출 지원 사례를 6개 카테고리로 분석하여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사업 수행 시 나타났던 콘텐츠 제작의 고비용 구조, 정형화된 표준계약서 부재 등 여러 가지 문제점과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향후 융합한류를 활성화 시키려는 정부와 기업에 많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국악과 한류, 세계화를 위한 접근 방향 모색

        조태원 한국음악응용학회 2011 음악응용연구 Vol.4 No.-

        한류와 국악은 문화 수출 및 교류라는 공동 목표를 가지고 있고 한류는 어느 정도 가시화된 성과를 이루었다고 보여 진다. 이러한 한류는 한국문화의 세계화에 분명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국가브랜드 창조와 문화 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이다. 더불어 국악 세계화의 방법을 한류에서 찾을 수 있고 한류의 장기화에 필요한 콘텐츠 및 문화 가치를 국악이 제공할 수 있는 상호보완 관계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류와 국악의 목표 측면에서 '경제 이익과 문화 가치 창출' 및 '대중성과 예술성', 그리고 내용 측면에서 '동·서양 문화사조' 및 '동질감과 이질감'이라는 특징을 역학(상호 작용) 관계로 규정하여 살펴보겠다. 첫째, 한류는 치밀하고 체계적인 문화 마케팅 전략을 통해 경제 이익 창출이라는 목표를 이루어 왔다. 이러한 한류의 마케팅 전략은 국악의 세계화에 큰 밑거름을 제공할 수 있고 전통예술인 국악의 문화 가치 창출 목표는 한류가 보다 다양하게 발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한류는 보다 많은 소비자 확보를 위해 철저한 다문화적 대중성을 근간으로 하는 작품을 생산하고 있다. 특히 최근 한류 시장의 영역을 유럽과 미국으로 확대한 신한류(k-pop)의 대중성은 오랜 시행착오를 거쳐 형성된 것으로 국악의 세계화와 현지화를 위한 창작에 필요한 음악적 요소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국악의 역사성과 예술성은 k-pop을 한국적 개성을 가미한 작품으로 변화 발전시킬 수 있다. 셋째, 국악은 한국을 넘어 아시아 문화의 광범위한 수용을 통해 형성되었다. 국악의 동양 문화 사조 대표성은 아시아에서는 동질감으로 유럽에서는 이질감으로 받아 들여져 유대감과 신비감의 문화로 인식된다. 한류는 한국의 문화임에도 불구하고 장르나 구성에서 서구 문화 사조를 가지고 있어 국악과는 반대의 느낌을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문화 사조와 질감은 각 국가나 민족(소비시장)마다 다른 결과와 효과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적절이 두 요인을 조화시켜 접근하면 문화 수출에 성공할 수 있다. 국악은 세계화를, 한류는 시장의 확대와 장기화를 필요로 한다. 두 현상이 가진 각 요인들을 조직적으로 활용하면 한류의 과거는 국악의 미래, 국악의 현재는 한류의 미래를 밝게 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한국의 예술인, 기획자, 정책자들이 두 현상의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정확히 인식하고 문화의 생산에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

      • KCI등재

        한류를 통해 바라본 미래 대중문화의 방향과 기독교 문화교육

        장신근(Shin Geun Jang)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1 No.-

        한류(Hallyu, The Korean Wave)는 1990년대 말부터 한국의 영화, TV 드라마, 가요 등과 같은 대중문화(popular culture)가 중국, 일본, 대만을 비롯하여 베트남, 태국, 싱가포르 등 동남아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시작되었다. 한류는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발전 및 사회·문화변화에 따른 다양한 문화 콘텐츠에 대한 욕구증대와 한국 대중문화 콘텐츠의 질적 향상으로 인한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외국의 선호현상과 확산과정”으로 정의 할 수 있다. 또는 “한국문화의 초국적 수용, 특히 동아시아에서의 초국적(transnational) 문화횡단(cross-cultural) 현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제 한류는 2세대를 넘어 3세대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엇보다도 한류를 미래 대중문화의 흐름을 예견하는 문화척후병(cultural scout)으로 간주하고 이에 기초하여 미래의 기독교 문화교육을 구상하는 시도를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한류의 정의와 여러 가지 발생 원인을 살펴보고, 한류에 대한 1) 문화민족주의(cultural nationalism), 2) 문화산업론(cultural industrial), 3) 문화의 지역화(localization of culture) 등에 기초한 해석을 살펴보고 이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한류에 대한 대안적 해석으로써 1) 인문주의적(humanistic) 접근, 2) 문화신학적(cultural theological) 접근을 살펴보고, 한류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미래 대중문화의 특징을 예견해본다. 1) 퓨전과 쌍방성의 문화(culture of fusion & mutuality), 2) 지구지역화와 횡단을 지향하는 문화(culture of glocalizaion & cross), 3) 공공하는 문화(culture of publicity), 4) 일상의 영성을 매개하는 문화(culture of mediating the spirituality of the ordinary), 5) 디지로그의 문화(culture of digilog).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미래의 기독교 문화교육을 1) 교육목적과 방향(educational goal & direction), 2) 교육내용(curriculum), 3) 교사-학생 등에 초점을 맞추어서 제안한다. 미래 기독교 문화교육의 목적은 그리스도인들과 교회로 하여금 하나님나라의 지평에서 대중문화를 이해, 해석, 평가함으로써 개인적으로는 기독교적 취향(Christian taste, 또는 에큐메니칼 취향, ecumenical taste)과 일상의 영성을 양육해나가며, 공동체적으로는 대중문화와의 창조적 관계를 형성하여 공존과 공생의 생명 문화 공동체를 만들어나가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교육내용에는 1) 대중문화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와 평가, 2) 대중문화에 대한 기독교적 취향 형성, 3) 기독교적 생명문화를 창조하는 능력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교사-학생에 있어서는 양자의 상호적 관계를 중요하게 보며, 교사에게는 성육신적 리더십을 요구하고, 양자가 함께 지식형성에 연대하여 공헌하는 집단지성을 강조한다. The Korean Wave (Hallyu), started as forms of Korean popular culture such as film, TV dramas, and K-Pop (Korean Pop Music), began spreading to China, Japan, Taiwan, Vietnam, Thailand, Singapore, and the rest of the Southeast Asian Region in the late 1990s. It can be defined as “Asia’s increasing demand for Korean cultural contents bolstered by its ow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Korean popular culture contents.” Moreover, the phenomenon of Hallyu can be seen as “the transnational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 crosscultural phenomenon visible especially in East Asia.” The Korean Wave has now entered its third era. This study sees the Korean Wave as the cultural scout that predicts the flow of popular culture, and it attempts to construct a future model for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is phenomenon. To develop such a model, this study will first explore several interpretations on the Korean wave in terms of cultural nationalism, cultural industry, and localization of culture, then provide the limitations of each. Then, it will explore alternative interpretations of the Korean Wave such as the humanistic approach and theology of culture approach.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model of future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this study will predict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popular culture through the present Korean W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popular culture include 1) culture of fusion and mutuality, 2) culture of glocalizaion and cross, 3) culture of publicity, 4) culture of mediating the spirituality of the ordinary, and 5) culture of digilog (digital and analog). Finally, this study will suggest a model for future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1) educational goal and direction, 2) curriculum or educational contents, and 3) teacher and student. Future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aims to nurture daily spirituality and Christian taste through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critiquing popular culture. It will also encourage fostering a creativ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popular culture to create a cultural community of coexistence. The curriculum focuses on 1) assessing popular culture through a Christian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2) formulating a Christian taste for popular culture, and 3) nurturing the ability to create a Christian culture of life. Finally, the model places importance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hich requires incarnational leadership from the teacher. Furthermore, the model emphasizes collective intelligence constructed by the teacher’s and students’ mutual contributions to the knowledge of Christian cultur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