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류의 원산지효과와 중국 소비자의 자민족 중심주의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백서윤,김충현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8 국제경영리뷰 Vol.22 No.3

        본 논문은 한류가 한국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구매의도를 형성한다는 기존의 한류 원산지효과 연구에서 다소 간과되었던 해외 소비자의 자민족 중심주의가 미치는 영향력을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한류를 통해 긍정적인 거시적 국가이미지가 형성됨으로써 한국 제품에 대한 원산지효과가 발생한다는 기존의 후광모형이 아닌, 특정한 한류제품인 한국화장품과 한국스마트폰이 한류를 통해 긍정적인 원산지효과가 발생하고 이것이 일반적인 한국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로까지 확장이 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소비자들은 한류를 통하여 긍정적인 감정이 형성되어 한류호감도를 통해 한류제품(한국화장품, 한국스마트폰)에 대한 인식과 일반적인 한국제품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한류호감도가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한 국화장품에 대한 인식에 의해서만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한국화장품의 경우 중국 소비자들의 자민족 중심주의에 의한 부정적인 조절효과로 인하여 한류호감도가 일반적인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한국화장품의 긍정적인 영향력이 감소하였으나 한국스마트폰은 중국 소비자의 자민족 중심주의에 의한 부정적인 조절된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기존에 혼재되었던 한류의 원산지효과와 구매의도 관계에 대한 연구결과를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자민족 중심주의를 통해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원산지효과 연구에서 후광모형이 아닌, 한류제품과 같은 특정 제품에서 발생하 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미시적인 국가이미지를 형성하여 다른 전체적인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로까지 확장되는지 살펴봄으로써 제품차원에서 국가차원으로 확장되는 원산지효과를 확인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role of Chinese consumers’ ethnocentrism that is relatively overlooked in researches that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try-of-origin effect by Korean Wave and purchase intent of Korean products. Specifically, by integrating the preference of Chinese consumers to Korean Wave and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s Korean cosmetic and smart phone brands, this study explores how the ethnocentrism of the Chinese is associated with intentions to purchase Korean products.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hinese respondents and the result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nese consumers’ preference to Korean cultural content has positive effect on product attitude towards Korean cosmetic and smart phone brands and the purchase intent of Korean products. Furthermore, Chinese consumers’ attitude towards Korean cosmetic and smart phone brands can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reference to Korean cultural content and the their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Second, Chinese consumers’ ethnocentrism can nega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ttitude towards Korean cosmetic brands and the purchase intent of Korean products. However, such negative effect of Chinese consumers’ ethnocentrism is not signifi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ttitude towards Korean smart phone and the purcase intent of Korean produc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lated researches by exploring the role of ethnocentrism of Chinese consumers; it helps remedy the inconsistent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ave’s country-of-origin effect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 This paper provides marketing implication to Korean firms that operate in countries, such as China, where strong consumer ethnocentric tendencies prevail.

      • KCI등재

        韓劇喜好因素對韓國產品形象、國家形象及產品購買意向之影響

        이영주,송소라,김영현 한국호텔관광학회 2016 호텔관광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한국드라마에 미치는 선호요인이 제품이미지, 국가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 논문의 설문조사를 위해 용화과학기술대학 및 명전대학교의 대만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삼았고, 총 360개 표본의 설문조사중 수집률 94.4%인 340개 표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PSS소프트웨어 분석도구를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모든자료는 신뢰도 분석, 인자 분석, 설명적 통계량, 독립 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과 회귀분석등의 통계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한국드라마 선호요인이 한국제품의 이미지, 국가의 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모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국가 이미지 및 한국제품 이미지에도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한국제품의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큰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제품이미지가 한국드라마 선호요인이 구매의도에 있어서 중개적인 효과와 한국국가이미지가 한국드라마선호요인이 구매의도의 부분적 중개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알 수 있는것은 한국드라마의 시청빈도가 높을수록 한국의 제품이미지, 국가의 이미지 및 구매의도가 높아지면서 한국드라마의 선호요인이 제품 구매의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재은 ( Jae-eun Lee ),강지원 ( Ji-won Kang ),박정민 ( Jung-min Park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8 國際經營硏究 Vol.29 No.2

        본 연구는 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류콘텐츠 만족도 및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287명의 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노출도는 모두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콘텐츠에 만족하거나 빈번하게 노출되는 외국인 소비자들의 경우 한국산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원산지 효과로 인해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민족중심주의는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한류콘텐츠 노출도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 모두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민족중심적 성향을 지닌 소비자들의 경우 자국산 제품을 애용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질 수 있다. 즉, 이러한 결과는 한류콘텐츠만족도 및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하더라도 자민족중심주의가 높은 경우, 이들 간의 긍정적인 관계가 약화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한류가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외국 소비자의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에 있어 한류콘텐츠의 만족도 및 노출도와 자민족중심주의 간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국제마케팅 분야에 의미 있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류콘텐츠를 활용하여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고려하는 많은 한국 기업들에게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 역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analyze the effects of satisfaction and exposure to the Korean wave contents on purchase intentions from foreign consumers. In addition, this manuscript show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how the ethnocentrism moderates the effects of satisfaction and exposure to the Korean wave on their purchase intentions of Korean products.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287 foreign consumers an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xperiences (e.g., satisfaction and exposure) on Korean Wave contents made customers purchase more Korean produ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exposure toward the Korean wave contents established a positive country of origin effect and increase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ethnocentrism) showed that ethnocentrism had nega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exposure of Korean wave conten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Ethnocentric consumers would have higher preferences of domestic produ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the Korean wav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were weakened by the ethnocentrism of foreign consum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of ethnocentr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wave contents (i.e., the satisfaction and the exposure aspect)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theoretical insights as well as practical applications to many Korean companies considering entrance into foreign markets using the Korean wave contents.

      •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지원(Ji-Won, Kang),이재은(Jae-Eun, Lee)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본 연구는 외국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류콘텐츠의 만족도와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287명의 외국인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노출도는 모두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콘텐츠에 만족하거나 빈번하게 노출되는 외국인 소비자들의 경우 한국산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원산지 효과로 인해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자민족중심주의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민족중심주의는 한류콘텐츠 만족도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한류콘텐츠 노출도와 한국산 제품 구매의도 간의 관계 모두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류콘텐츠의 만족도와 노출도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를 높이지만 그러한 경향은 자민족중심주의에 의해 약화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최근 한류가 사회적으로 큰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외국 소비자의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있어 한류콘텐츠의 만족도 및 노출도와 자민족중심주의 간 상호작용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국제마케팅 분야의 의미 있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한류콘텐츠를 활용하여 해외 시장으로의 진출을 고려하는 많은 한국 기업들에게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 역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nalyzed how foreign consumers were exposed and satisfied by the Korean wave and how these factors influence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 with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thnocentrism.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287 foreign consumers an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ositive experiences (e.g., satisfaction and exposure) on the contents of the Korean wave made customers purchase more Korean produ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and the exposure of the Korean wave contents acted as the positive effect of the place of origin and it can positively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Second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ethnocentrism) showed that the ethnocentrism had negative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the Korean wave conten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osure of the Korean wave contents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s of the Korean wav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were weakened by the ethnocentris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ethnocentr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orean wave contents (i.e., the satisfaction and the exposure aspect)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his study provides meaningful theoretical insights as well as practical applications to companies, which consider entering into foreign markets with using the Korean wave contents.

      • 소비자의 적개심, 자민족중심주의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 간 관계에서 과시소비성향의 조절효과 검증

        강지원(Ji-Won Kang),이재은(Jae-Eun Lee) 대한경영학회 2017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적개심과 자민족중심주의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과시소비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중국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들의 적개심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과 일관되게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에 대한 적개심을 지닐 경우 한국산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과는 상관없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중국 소비자들의 자민족중심주의는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강조하는 바와 같이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을 지닌 중국 소비자의 경우 자국 제품의 품질을 우수하게 평가하고, 한국산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비애국적이고 비도덕적으로 판단하여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과시소비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시소비성향은 중국 소비자의 적개심이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시소비성향을 가진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한국산 제품을 소비함으로써 타인에게 자신의 부를 과시하려는 경향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소비자들의 적개심이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러한 경향은 과시소비성향에 의해 약화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글로벌 마케팅 분야에 의미 있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looks into the effects of the animosity and ethnocentrism on the purchase intentions of the Korean products with the empha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The empirical results from the 300 Chinese consumers are as follows. First, the animosity has negative (-)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s of the Korean products. These result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show that as the animosity increases, the Chinese consumers tend to have low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regardless of the quality or price of Korean products. Secondly, the ethnocentrism has negative (-)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s of the Korean products. These result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show that Chinese consumers have ethnocentrism evaluate the quality of Chinese products better and have low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Third, as a verification result of moderating effect, conspicuous consumption adju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osity and purchase intentions of the Korean products negatively (-). These results show that Chinese consumers with a conspicuous consumption tend to show off their wealth to others by consuming Korean products. This study show that although the animosity negatively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s of Korean products, such tendency can be weakened by the conspicuous consumptio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provide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global marketing.

      • KCI등재

        A study on the National Image, Product Image and Purchase Intention of Foreign Consumers' KoreanWave, Corona 19 Response, and Self-ethnicism

        Je Hong, Lee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21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2 No.4

        대한민국은 2020년대 들어, 세계의 중심국가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K-pop(BTS), 영화등 아 카데미 수상(기생충), K-food 등 한류와 코로나 바이러스-19에 의한 의료 및 방역 분야에서 국 가적 대응능력이 전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이와 같은 결과 2021년 7월 2일 68차 UN 무역개발 회의(UNCTAD)에서 대한민국이 선진국 B그룹으로 지위변경을 함으로써 선진국(advanced country, more developed country)으로 인증하였다. 한류, 코로나바이러스19 등 뿐만 아니라 한국 산업경쟁력 제품 발굴하여 세계적 제품으로 발 돋음 할 수 있는 요인 개발하며, 한류와 코로나 대응능력의 향상은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상승 시키는 요인을 통해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 그리고 한국 제품의 구매의도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국가이미지를 개선시킬 수 있는 요인개발과 외교통상 측면에서의 국가홍보활동 전략 수립요인을 개발하는데 있다. 아울러 한류와 코로나-19 그리고 산업기술 발전은 한국 국가이미지, 제품이미지의 향상이 한국 제품 구매의도에 매우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며, 향후 한국이 세계속의 선진국가 로서 지속성장 발전할 수 있도록 요인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발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반적으로 한류와 코로나-19 대응은 한국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그 중에서 유일하게 한류가 한국 제품이미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또한 자민족중심주의를 조절변수로 한 국가이미지와 제품이미지 요인이 만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분석에서 전반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러나 유일하게 자민족중심주의를 조절변수로 하여 제품이미지가 한국 제품 구매의도 미치는 영향에는 유의 한 결과를 나타나고 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actors that can improve the national image and to develop factors for establishing strategies for national public relations activities in terms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In addition, Hallyu, COVID-19,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verify whether the improvement of Korea's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has a very high impa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and is a factor for sustainable growth and development of Korea as an advanced country in the world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what is necessary to provid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Korean Wave and Corona 19 countermeasures on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for Koreans, the United States, China, Vietnam, India, and Japanese, and the effect of ethnocentrism as a parameter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Analyze the impact. As analysis method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controlle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ompletely different variables on the process in which the independent variable affect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 In this study, the Korean Wave and the response to COVID-19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image of the country and product of Korea, but among them, Hallyu is the only one that does not affect the image of Korean product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f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factors on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with ethnocentrism as a moderator variable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There are significant results on the effect of purchase intention on Korean product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s : Based on this research, new Hallyu products are developed and new competitive factors are extracted to improve a more competitive national image and product image.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it will help a lot in improving the image of Korea's national image and Korean medical devices, products, etc.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image of the country, it is necessary to nurture professional manpower in the field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who can actively promote the government in the areas of Korean diplomacy and trade.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train public relations experts who can improve product image through new product development and linkage with companies in response to Hallyu and Corona 19.

      • KCI등재

        이슬람 문화권에서의 문화전이효과: 튀르키예를 중심으로

        서용구,김장현,배일현,안동휘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는 중동지역의 한류열풍이 폭발적인 가운데, 약 8,500만 명 정도의 대규모 인구를 가지고 있으면서 이슬람국가에 대한 영향력이 비교적 큰 국가인 튀르키예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류에 대한 문화전이 수준과 한국기업에 대한 태도, 한국에 대한 태도,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튀르키예 현지소비자 406명을 대상으로 모바일폰, 가정용 전화기, 화장품 등을 이용한 검증을 각각 실시하였는데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튀르키예 소비자의 한국 문화에 대한 문화전이 수준이 높을수록 한국(국가)에 대한 태도, 한국제품 생산 기업에 대한 태도, 한국산 제품에 대한 태도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기업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에 대한 태도가 모바일폰과 가정용 전화기에서는 구매의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었으나 화장품에서는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는 모두 구매의도에 정(positivr)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슬람국가 중 튀르키예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본 연구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을 튀르키예뿐만 아니라 다른 이슬람국가로의 확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모바일폰, 가정용전화기, 화장품뿐만 아니라 더욱 다양한 제품을 활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국가이미지가 중국소지바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우형 ( Kim Woo Hyoung ),최현호 ( Choi Hyun Ho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정치적으로 매우 민감한 문제인 사드(THADD)의 한국배치 시점에 초점을 맞춰 진행 하였다. 본 연구는 다차원적 속성을 포함하고 있는 국가이미지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제품(스마트폰)을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중국 소비자 10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국기이미지 즉 기술우위성, 서비스수준, 기술혁신성, 정치안정성, 그리고 역사적우호성이 제품구매의도(한국제품구매희망제도, 한국제품에 대한 충성도, 향후 한국제품 이용 빈도에 대한 기대, 한국핸드폰에 대한 구매 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통제변수중 연령만이 유일하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령대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20-25세에 비해 26세-30세 및 31세-35세가 사드 배치에 더 민감해서 한국제품 구매 희망제도, 한국제품 이용 빈도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기업들은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가 발생할수록 친중국 기업이라는 이미지를 더욱 부각시키고, 평소 중국사회에 기여하고 있다는 기업이미지를 심어줄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research has been proceeded with focusing on the Korean placement point of THAAD, the problem which is most sensitive politically. This research has investigated on the direct relationship that the country relationship that the country image which includes the multidimensional attributes have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consumers. Also, this research has analyzed additionally about what effect the country image has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Chinese consumers through the control variables composed of various variables. This research has been proceeded with against the 102 Chinese consumers who have purchased Korean products(smart phones)before.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country image, in other words, the technical superiority, service level, technical innovation, political safety and historical affinity affected significantly statistically on the product purchase intention (desire of purchase degree of Korean products, loyalty on the Korean products, future expectation on the use frequency of Korean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cellular phone) The age-specific purchase intention has been analyzed and according to its result, the ages of 26-30 and 31-35 were more affected by the use frequency of Korean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 degree of Korean products more acutely affected by the placement of THAAD.

      • KCI등재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 연구: 베트남의 한국인삼제품 시장을 중심으로

        채병권,한상연,김선근 한국상품학회 2018 商品學硏究 Vol.36 No.2

        Export markets for ginseng products made in Korea, which have been highly concentrated in China, tend to be expanded into the Vietnamese and Southeast Asian markets recently. One of the main objectives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Vietnamese consumers' consumption value into both attitude and intention purchasing Korean ginseng products, which would help to explain marketing activities by analysis on the Vietnamese consumers' purchase factors. In addition, we tried to see if there is mediating effects of the word-of-mouth and purchase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al value out of Vietnamese consumers' consumption values affects positively on the purchasing attitude of Korean ginseng products and purchase attitude affects positively on purchase intention. The regulatory effects about the word of mouth and the purchase experience were also verified. As the word of mouth and the purchase experience were revealed through analysis and valid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to increase the contact frequency with Korean ginseng products. In particular, the Vietnamese consumers' consumption value for expensive Korean ginseng products is related to the social consumption value of collectivism and Confucian culture. Therefore, the social achievement that Korean ginseng product purchasers desire to be recognized by others by showing their status or status Marketing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to reflect the desire. The main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mpirical purchasing factors through research on the consumption value of Korean ginseng product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ginseng products on Vietnam. 최근 신규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베트남과 동남아 시장에서의 수출증가는 그동안 중화권 위주로 판매되던 인삼제품시장을 확대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베트남 소비자의 구매요인 분석을 통해 마케팅 활동에 도움을 주고자 베트남 소비자의 소비가치가 한국인삼제품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또한 조절효과로써 구전효과와 구매경험을 검증하려고 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에서 베트남 소비자의 소비가치 중 사회적 가치가 한국인삼제품에 대해 태도에 정(+)에 영향을 미치고, 태도는 구매의도에 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전효과와 구매경험의 조절적인 효과에 대해서도 검증되었다. 조절변수인 구전효과와 구매경험의 효과가 분석검증을 통해 밝혀졌으므로 긍정적 구전의 전파와 한국인삼제품에 대한 접촉 빈도를 높여주는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고가의 한국인삼제품에 대한 베트남 소비자들이 갖는 소비가치는 집단주의와 유교문화가 함유된 사회적 소비가치와 연관이 있으므로 한국인삼제품의 구매가 자신의 신분이나 지위를 나타내 줌으로써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하는 사회적인 성취 욕구를 반영해 줄 수 있는 마케팅 활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인삼제품에 대한 소비가치 연구를 통해 실증적인 구매요인을 제시하고, 한국인삼제품의 베트남에서의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 마련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

      • KCI등재

        남미 소비자의 문화전이가 한국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칠레소비자의 K-pop 지각을 중심으로

        배일현(Bae, Il-hyun),김장현(Kim, Janghyun),이철성(Lee, Chul-Sung)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6

        본 연구는 남미 국가 중 우리나라와 최초로 FTA를 체결한 국가인 칠레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문화전이 확산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즉, 칠레시장에서의 한국문화의 전이와 한류에 대한 태도, 한국에 대한 태도, 한국기업에 대한 태도,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 및 한국제품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한국기업의 남미시장 진출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칠레 현지 소비자 202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전이는 한류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류에 대한 태도는 한국, 한국 기업, 그리고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기업에 대한 태도는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매우 흥미로운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제품에 대한 태도는 한국제품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This study researched that the spread of Korean cultural appropriation in Chile, the first South American country to sign an FTA with Korea. That is to say, we tried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Korean companies which want to entry into the South American market. So, we identified relationships among Korean culture appropriation,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wave, the attitudes towards Korea,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companies,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products, and the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For this purpose, we distributed 300 questionnaires in Chile and collected 202 samples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korean culture appropriation on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wave is significant. Second, the impact of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wave on the attitudes towards Korea,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companies and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products. are also significant. Third, the impact of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wave on the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is significant. Fourth, the impact of the attitudes towards Korean companies on the Korean products purchase intention is not significant, which is a very interesting result. Finally, the attitude towards Korean product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urchase of Korean produ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