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적 모티브를 이용한 제품디자인의 사례와 발전 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양미 ( Yang Mi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한미 FTA 협정 이후, 디자인에 대한 저작권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며 이로써 한국의 제품디자인에 대한 재인식이 요구되고 있다. 세계적인 무대와 함께 발전해 나가기 위해서 한국의 문화와 정체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비롯한 디자인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조형미를 바탕으로 추출한 디자인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한 한국적 모티브가 활용된 제품디자인 사례를 조사?연구하여 향후 제품디자인 분야의 발전 가능성에 대한 제언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타당성을 위하여 문헌, 인터넷, 인터뷰 등의 조사를 통하여 ‘한글’을 이용한 기업브랜드 사례와 ‘한국적 모티브’를 활용하여 양산되고 있는 제품디자인 사례를 조사한 후, 소비자가 인지하고 있는 한국적 모티브를 활용한 기업브랜드와 제품에 대한 인지도를 설문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적 모티브를 활용한 제품디자인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는 부산과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디자인 전공 대학생과 디자인관련 직종에 있는 20대와 30대 초반의 젊은 층으로 한정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소비자들 중 97%가 한국적 모티브가 적용된 제품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한글을 이용한 기업 브랜드 인지도는 (주)쌈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5가지 제품 분야 중 가구/인테리어제품이 한국적 모티브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김치냉장고, 황토흙침대, 쌈지가방이 인지도가 높은 제품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급속도로 발전하는 컴퓨터/통신관련 제품분야는 한국의 모티브 활용도 및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적 모티브의 활용도가 높은 제품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독창적이고 고유한 디자인의 제품개발을 추진해간다면 한국적 제품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가능성은 높아질 것으로 본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 대상자와 지역의 범위가 한정되어졌으나, 이는 향후에 그 범위를 확대하는 것으로 연구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After South Korea-United States Free Trade Agreement, it has been marked with design patent recently. It has been required a renewed appreciation of Korean product design as well. It is critical to design based on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identity. This paper is to find out possibilities in product design field throughout the research product design examples by Korean motives. This study surveyed two cases of Korean brand name and Korean motive`s products via interview, internet, and other reference books. Then it is investigated recognition and capabilities from questionnaire survey analysis. There are two hundreds people who are majored in industrial design and work for design companies in twenties and early thirties in Busan and Kyungnam, Korea for survey. As a result, some 97% of the people surveyed say that they have products of korean motive more than one at home. Furthermore, Korea brand is known for SSAMZIE Co.Ltd. and Interior products like a Kimchi refrigerator, dried mud-bed, and Ssamzie-bag are the most highly recogni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 On the other hand, people cannot recognize cutting edge products like a computer and mobile phone. It is not good for using Korean motive. Therefore,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at Korean means, what the Korean products are, and which parts of product design develope. It is vital through this research to grow Korean`s small business in the world. This paper has a limited range of survey respondents but that would be continued next task to solve the limit.

      • KCI등재
      • KCI등재SCOPUS
      • KCI등재

        한국 전통복식 조형미를 응용한 국내 유치원 졸업예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배리듬(Bae Rhythm),윤은영(Yoon Eun-Young),김은정(Kim Eun-Jung) 한복문화학회 2016 韓服文化 Vol.19 No.1

        The uniform worn in Kindergarten is significant, as the first clothing worn by children during their socialization. Developing a new design for this clothing that applies the formativ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clothing will provide children with a chance to experience Korea’s traditional culture in a positive way, and feel a stronger affinity with Korean traditional clothing for children.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positiv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rough an actual experience by suggesting a design that applies Korean traditional clothing to the kindergarten graduation gown worn by Korean children. In the study, the design was developed based on an analysis of earlier research on kindergarten uniforms and Korean traditional clothing for children, as well as the fashion design proc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Design 1 applies a long vest and overcoat; in particular, the non-overlapping edges of the long vest decorated with patchwork and the rainbow colored sleeves of the multi-colored overcoat. Design 2 applies a multi-colored overcoat and four-part jacket; in particular, the non-overlapping edges and linear decoration of the four-part jacket and the straight-line creases under the waist line in the form of two-piece dress. Design 3 applies the four-part jacket and court dress; in particular, the non-overlapping edges of the four-part jacket and edge-line of the court dress.

      • KCI등재
      • 조선시대 民藝의 美的 特徵 : 막사발과 목공예의 無爲自然과 근ㆍ현대적 영향을 중심으로 Focusing on non-artificiality and natutalness in Maksabals and Woodcrafts

        최병식 동양철학연구회 2002 東洋哲學硏究 Vol.31 No.-

        이 논문은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미적 正體性에 대한 의식이 지나치게 상류사회로 제한되어왔고, 결과적으로는 중국적 영향이 그 바탕을 이루어왔음에 반하여, 우리 선조들의 원형적인 미의식을 간직하고 발현한 유산들을 연구하고 재조명해야 한다는 새로운 시각에 의하여 그 대표적인 유산인 民藝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막사발의 경우는 조선시대 초기부터 우리나라의 沙器匠들에 의하여 자유분방한 의식과 제작과정으로 만들어졌다. 그 목적은 밥그릇과 사찰에서 사용하였다는 이론이 있으나 우리의 조형미학으로 조명되어지기는 일본의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를 비롯하여 일본인들의 찬탄하면서 역으로 우리미술계에 인식되어지게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난 일본식의 미의식이 반영되어진 것도 사실이며, 이에 따라 최근의 연구에서 그 본질적인 미의식에 대한 규명과 연구가 보다 정체적인 입장에서 시작되어야 한다는 의식이 급증하고 있다. 목공예의 경우 역시 조선시대 공예의 대표적인 미의식을 발현한 경우로서 선비들의 유가적인 簡素와 節制美가 반영되어있지만 역시 脫人爲적인 우리식의 無爲自然的인 조형미학이 숨쉬고 있는 유산들로서 막사발과 함께 공통적인 미의식을 느낄 수 있다. 특히나 자연회귀의 본질을 바탕으로 한 이 두 가지의 美意識은 막사발이 '無爲自然'이라면 목공예가 '기다림과 回歸의 無爲的 美感'이라고 표현되어질 수 있는 특질을 발견할 수 있으며, 이들 두 공예의 예에서 발현된 미적 특수성은 道家思想의 발원지인 중국이나 禪家的인 구현을 이룬 일본의 경우와도 완연히 구분되어지는 正體性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재인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thorw light upon Korean folk art - the aesthetic legacy of Korean ancestors - on the assumption that the study on the aesthetic identity of Korea so far has been focusing only on the upper class under influence of China. For example, Maksabal, the humble earthenware for commoners, has been produced through informal process with free style by porcelain makers since the early Chosun Dynasty. Allegedly, the original purpose of Maksabals was for rice bowls at Buddhist temples; but, they started being appreciated as aesthetic objects by Japanese including Yanagi Muneyoshi, the Japanese aesthetician. Ironically, Japanese' reconsideration of aesthetic has been reflected in Koreans' understanding of them. Therefore, it is been argued in recent studies that a closer examination of essence of the aesthetic quality of Korean folk art is needed in consideration of cultural identity as a starting point. Woodcraft also represents the typical aesthetics of fold art of the Chosun dynasty. Though it reflects the confucianist aesthetics of simplicity and abstinence pursued by the classical scholars of the times, we can discover the common aesthetic sense of non-artificiality and naturalness between them. While Maksabals are based on aesthetics of 'naturalness', woodcraft is based on that of 'non-artificiality'. These unique aesthetic qualities founded upon the idea of 'return to nature' can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China based on Taoist philosophy, or that of Japan based on Zen philosophy. In the last part of this essay, I examined the direct or indirect way by which traditional aesthetics exercised considerable influence upon modern and contemporary art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