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사회 속에서 효율적인 다문화 교회 정착과 복음전도를 위한 연구

        하도균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52

        한국 사회는 오랜 시간 동안 한 혈통 아래 고유의 문화를 자랑하며 살아왔다. 하지만 이제 한국적 상황은 외국 이주민 노동자들과 결혼 이주 여성 등 다인종, 다국적인 사람들과 한 땅에서 생활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점차 다문화 사회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로써 한국사회와 교계에서 가장 많이 회자되는 담론의 주제 중에 하나가 ‘다문화’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다문화 사회에 대한 체계적이지 못하고 비효율적인 정부 정책이나, 다른 문화를 어색해 하고, 충돌을 일으키며, 차별하는 국민들, 그리고 마땅히 복음전파를 위해 타문화에 대해 포용적이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는 교회 등을 보면 아직도 한국이 다문화 사회로 정착하기까지 가야 할 길이 멀게만 보인다. 이런 이유로 필자는 점차 다문화 사회로 발전해 가는 사회 속에서 어떻게 교회가 다문화 교회로 효율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려한다. 앞으로 다문화 교회는 한국 교회의 가장 중요한 미래적 이슈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다문화 사회 속에서 어떻게 효율적인 전도가 가능한지를 연구하여 교회가 다문화 사회에서 효율적으로 정착하는데 도움을 주려한다. 이러한 연구는 변화는 사회 속에서 교회가 해야 할 당연한 과제이기도 하지만, 그 이전에 원래 교회는 처음부터 열방을 품고 열방 속에 존재하는 다문화적 교회이기에 그 본질적 사역에 충실하고자 하는 노력임을 밝힌다. 이를 위하여 이미 다문화교회로 성공적으로 정착한 호주 연합교회의 사례를 살펴보고 주요한 요소들을 한국적 상황에로 적용하여 성공적으로 접목하려고 노력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 교회에 몇 가지 의미 있는 메시지를 전달해 줄 것이다. 첫째, 순례자나 여행자의 공동체로써 교회의 정체성은 교회가 다문화 사회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다문화상황 속에서 건강한 다문화교회로 뿌리를 내리는 일은 새로운 일이 아니라, 이미 성경에서 제시된 가치를 실천하도록 독려하고는 일이다. 셋째, 그러나 한국적 다문화사회는 한국 사회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성과 상황이 있기에 한국 교회는 이것을 분석하고 여기에 맞는 정책과 방안들을 찾아야 한다. 마지막으로 효율적인 다문화교회로 정착을 위해서는 교회의 건강함이 기초되어야 하고, 그 건강함의 외적인 상징은 효율적인 복음전도에 있음을 한국 교회는 알아야 한다. For a long time, Korean society was proud of being a unique culture with a single race, but now the context in Korea is chang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since multi-ethnic and multi-national people have started to come to live in Korea for their own reasons such as foreign workers and marriage immigrants. Therefore, one of the most talked-about topics in Korean society and the Korean church is currently multiculturalism. However, it still seems to have a long way to establish a proper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because of several reasons such as disorganized and ineffective government policies for multicultural society, unprepared citizens who feel awkward and cause clash against different cultures, and the unreceptive churches about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the researcher is trying to study how the current church can establish a multicultural church properly in a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a multicultural church will shortly become the most serious issue among the Korean churches. Furthermore, the researcher studies how evangelism can be efficiently feasible in a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support the Korean church to be changed toward a multicultural church effectually. This research is not only a reasonable task for the current church in a transforming society, but is also an endeavor to be faithful for the original identity of the church as a multicultural church among the nations.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examines the Uniting Church in Australia which was established successfully in Australia as a multicultural church, and the writer finds the essential elements for a multicultural churc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iting Church in Australia to help the Korean church to build Korean multicultural church properly.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convey some meaningful messages for the Korean church. Firstly, an identity of the church as community of pilgrims and travelers make a sense that the church has an inseparable relation with a multicultural society. Secondly, the ministry of the church to build a healthy multicultural church in a multicultural society is not a new one, but is encouraging to practice the values what the Bible already proposed. Thirdly, the Korean church needs to figure out unique features and circumstances of Korean society in order to have proper policies and measures for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because Korean society has own unique features and circumstances in comparison with other societies. Lastly, the Korean church needs to understand that efficient evangelism is an external sign of the church health, and the health should be the fundamental foundation in order to build a multicultral church effectually.

      • 한국 가톨릭대학교 신학 교육의 반성과 전망

        심상태(Shim, Sang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40 No.-

        본 논문의 주 목적은 7개 한국 가톨릭 대학교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 이래 시행해온 신학 교육의 현실을 분석하고 평가하며 그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다. 첫째로, 논자는 현행 교육 정책과 교과 과정의 성격을 형식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다음에 이 대학교들이 지난 십수 년간에 걸쳐 실시해 온 교육 내용의 실제를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한국 가톨릭 대학교들의 형식상의 신학 교육 정책과 교과 과정들은 한국 정부와 보편 로마 가톨릭 교회의 상이한 두 지침들을 면밀하게 따라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대학교들은 정부 지침에 따라서 4년의 학부 과정과 2 내지 3년의 대학원 과정으로 교과 과정을 채택하였으며, 교회 규정에 따라서 대신학교로서 1년간의 예비 과정, 2년간의 철학 과정과 4년간의 신학 과정으로 전 가톨릭교회의 정식 사제 양성의 교육 과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것은 한국 주교회의 지침에 따라 몇몇 특수한 한국 주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전 신학 교육은 네 개의 구별되는 부분, 즉 인격적이고 지성적이며, 영성적이고 사목적 양성 부분으로 구성된다. 교회 지도자들과 교육자들은 매년 정례 합동회의를 개최하여 현행 교육 체계를 평가하고 사제 양성을 위해 보다 나은 길을 모색하기도 한다. 한국에서 양질의 사제 양성을 이룩하기 위한 괄목할만한 노력이 도모되었음을 쉽게 간과할 수 없으나, 현재 신학 교육의 상황은 꽤 비판적으로 보인다. 이 기간 동안 7개 한국 가톨릭 대학교들이 시행해 온 신학 교육의 수준은 전국에서 모인 학자들과 교육자들이 유일 전국 신학교로서의 신학 대학에서 전국 차원의 신학 교육을 담당했던 과거 1970년대보다 상대적으로 빈약하고 낮은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서 소수의 자격 있는 학자 성직자들이 7개 다른 기관들로 나뉘어져서 상당히 무거운 과업들을 또 다른 추가적인 행정적이고 사목적 업무와 함께 담당해야 한다. 그리고 교회 지도자들에 의해 학자들에 대한 임면이 너무 자주 이루어져서 대학교들에서 안정되고 충분히 높은 수준의 교육을 유지하기가 너무 어렵다. 근래에 이르러 적지 않은 수효의 성직자들의 유감스러운 행태에 대한 비판적 지적들이 지역 교회들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교황의 가르침과 지침들은 교과 과정들이 몇몇 사회적이고 심리학적이며, 교육학적이고 자연 과학들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요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신학 기관들은 이 요청들을 제대로 시행할 수 없는 처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신학 교육이 외부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전통적 신학교 영역 안에서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체 신학 패러다임의 서구 지향성은 한국 신학 체계의 미숙성을 특징적으로 나타낸다고 볼 것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비서구 지역 교회들에게 이미 반세기 전에 토착화를 요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는 로마보다 더 로마적으로 머물러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제삼천년기의 현 단계에서 이 지역 교회의 지도자들이 학자와 교육자들로 하여금 수효와 기간 면에서 이 나라의 어느 다른 대학교 교수들과 교육자들처럼 안정된 조건에서 그들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할 때에 보다 나은 신학 교육에 커다란 공헌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아직 약한 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훌륭한 자질을 지닌 학자에게 교구와 관구, 그리고 국가를 초월하여 가르치고 지도할 기회가 부여되기를 권장한다. 그리고 신학 교육의 폭을 넓히고 강화하기 위하여 7개 대학교들이 공통의 권리와 과업을 지니고 참여하는 소수의 공동 대학원을 구성하여 학생들이 보다 많은 주제들의 강의를 접하고 그들 자신의 학부 대학에서보다 더 많은 다른 학생들을 알게 되는 더 나은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 사회와 전 교회의 비판적인 상황 속에서 한국 교회는 대부분의 작고 미약한 아시아 교회들과 노쇠한 서구 교회들과는 대조적으로 생동적인 역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교회 지도자들과 학자들은 성숙한 한국 교회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토착화의 절박한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reality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that has been pursued at 7 Korea Catholic Universities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1962-1965), and then to point out its future perspective. Firstly, I tried to character the present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 in a formal view, and to evaluate their reality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these universities have practic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formal theological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 of Korea Catholic Universities have followed carefully two different directions of the Korea Government and the universal Roman Catholic Church. According to the governmental directives, they have took commonly the formal educational system with four years' undergraduate courses and two or three years' graduate ones as the university, yet according to the ecclesiastical one, they as major seminaries have peformed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the formal priestly formation for the entire Catholic Church with one year's preliminary course, two years' philosophy courses and four years' theology ones that contain also some specific Korean topics or subjects according the directives of Korea Bishops' Conference. And the entire theological education consists of four different parts, that means, personal, intellectual, spiritual and pastoral formation. The church leaders and the educators have an annual joint meeting regularly to evaluate the ongoing educational system and to seek a better way for the priestly formation. It is not simply overlooked that remarkable efforts have been done to make better quality of the priestly formation in Korea, but ye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seems to be quite critical. The level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that have been pursued at 7 Korea Catholic universities in these periods, seems to be relatively weaker and lower than in the past 1970th years, when the national theological education had been taken by the scholars and educators from the whole country at a single theological faculty as National Major Seminary. Few qualified clerical scholars around the country who have been divided in seven different institutions, have to take quite heavy tasks with another additive managerial and pastoral works. And too frequent nominations and releases of scholars and educators that have been done by the Church leaders make it hardly difficult, to keep the steady and sufficiently high level of education at these universities. In recent years, various critical remarks about regrettable attitudes of not few priests have been made in the local churches. Although the teaching and direct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the popes demand t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has to imply also the areas of several social,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natural sciences, the Korea theological institutions seem to be not able, to fulfill properly these demands, because the whole theological education has been pursued in the traditional seminary area which is secluded from the outer society. And the Western orientation of the whole theological paradigm should be characterized as the immaturity of the Korean theological system. Although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ked every not-Western local church for the inculturation almost a half-century ago, it is quite true that the Korean Church has remained more rom than Rom as such. At the present phase of the Third millennium responsible leaders of this local Church would contribute powerfully to the better theological education, when they let scholars and educators do their works in a stable condition of numbers and periods like other professors and educators of any other universities in this country. And it would be recommendable that any well qualitied scholar might be given the teaching and leading opportunity beyond any diocese, province, and nation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still weak education. And to broaden and strengthen the theological educat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form few joint postgraduate schools that 7 universities partake with common rights and tasks, so that the students have better opportunities to get lectures of more subjects and to know more other students than in their own undergraduate school. In the present critical situation of the Korea society and universal Church the Korean Church manifests a vital dynamism in contrast to most small and weak Asian Churches and antiquated Western Churches. I think that the Korean Church leaders and scholars are confronting pressing needs of Inculturation to develop a more mature Korean Church.

      • KCI등재

        북미교회의 한국전쟁 이해: 미국장로교회와 캐나다연합교회를 중심으로 -

        탁지일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2013년은 한국전쟁 휴전 60주년이 되는 해이다. 부산에 있는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역인 유엔기념공원(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Korea)에는 2,300명의 한국전쟁 참전 유엔군들이 묻혀있다. 누군가의 사랑하는 아들이었던 이들이 자신들의 집과 조국을 떠나 머나 먼 이국땅에 잠들어 있는 것이다. 한국전쟁 당시 가장 대표적인 기독교 국가들인 미국과 캐나다는 많은 군인들을 파병했고, 많은 희생자들을 냈다. 미국과 캐나다 교회는 한국전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을까? 전쟁터로 파병되는 젊은 청년들과 그들의 가족들에게 교회는 한국전쟁 참전에 대해 어떤 의미를 부여했으며, 수많은 전사자들의 가족들과 부상자들이 겪는 고통과 아픔을 어떻게 설명했을까?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과 캐나다 교회가 한국전쟁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시기와 범위는 한국전쟁 발발(1950.6.25)로부터 휴전(1953.7.27)까지 나온 미국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와 캐나다연합교회(United Church of Canada)의 공식적인 자료들로 제한한다.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는 정치적·군사적·외교적 관계 차원에서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교회의 관점에서는, 한국전쟁을 전후한 한미 양국 교회의 관계가 전쟁 원조활동을 중심으로 연구되었고,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공식적인 자료들에 기초한 선행연구는 미진한 상황이다. 주로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재한 선교사들을 통한 구호활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과 캐나다 교회의 사료관이 소장 중인 일차자료들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진행했다. 캐나다연합교회 자료는 토론토 캐나다연합교회사료관(United Church of Canada Archives)의 일차자료들을 조사했으며, 미국연합장로교회 자료는, 필라델피아의 미국장로교사료관(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접근한 후, 샌프란시스코신학대학원(San Francisco Theological Seminary)에 소장된 일차자료들을 조사했다. The year 2013 is the sixty-year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of the Korean War. At the United Nations Memorial Cemetery in Busan, Korea, rest 2,300 UN troops who sacrificed their lives during the war.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Canada sent numerous troops to Korea. We wonder how the churches of U.S.A. and Canada recognized the war, how they justified it, and how they explained the meaning of war entry to the families of the young soldi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urche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War. It specifically focuses on the documents published by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United Church of Canada during the period of the war (June 25, 1950~July 27, 1953). The previous studies of the Korean War were mostly approached on the level of political, military, and diplomatic relations and also church historians mainly dealt with the churches' humanitarian aids. Precious documents owned by the Presbyterian Historical Society of the Presbyterian Church U.S.A. and the United Church of Canada Archiv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선교신학 : 초기 한국교회의 선교사 파송에 관한 연구

        구성모 ( Seong Mo Ku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4 神學과 宣敎 Vol.45 No.-

        일반적으로 부흥운동이 있으면 자연스럽게 선교운동이 전개된다고 주장한다. 선교를 하기 위해서는 부흥운동이 먼저 전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국교회는 초기에 부흥운동이 있었고 피선교지로서 빠르게 선교사를 파송하였다. 그런데 한국교회가 선교를 하였다는 사실에 대한기록은 있으나, 선교를 하게 된 원인이나 동기에 대한 연구는 없다. 따라서 초기 한국교회의 선교사 파송 동기를 밝히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회의 역사적 자료에 근거하여 초기 한국교회의 선교사 파송 역사, 곧 초기 선교의 시기인 1903년부터 1913년까지 일어난 홍승하의 하와이 선교, 이기풍의 제주도 선교, 중국의 산동성선교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교사들의 파송 당시 정황들을 통하여 그들이 선교하게 된 동기가 무엇이었는지를 찾아보았다. 또한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들이 선교사 파송에 어떤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결론은, 초기 한국교회가 선교사를 파송한 주요 동기는 선교사들이 선교의식을 심은 데 있다고 본다. 이를 위하여 외국인선교사들은 구체적인 역할을 감당하였다. 또한 초기 한국교회가 선교사를 파송한 동기는 다른 이유도 있다. 그것은 만주, 블라디보스토크, 몽골과 같은 지역에 한국인 이민자들이 많이 나갔다는 사실과 만주에서 복음을 전하던 스코틀랜드 선교부가 만주지역의 한국인들에 대한 선교를 한국인이 책임져 달라는 공식적인 요청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초기 한국교회의 선교가 주는 시사점은, 지속적인 선교의식의 고취가 중요하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교인이 된다는 것은 선교하는 자로 부름 받았다는 의식을 심어 주어야 한다. 다른 하나는 교회 지도자들이 먼저 생활 선교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지금 한국교회는 “니느웨로 가라”는 하나님의 명령에 요나가 하나님의 낯을 피하여 다른 곳으로 갔던 것처럼(욘 1:1-3) 한국교회가 다른 곳으로 가고 있지 않은지 철저하게 자성이 필요한 시점에 서 있다. 한국교회는 이미 외적인 성장 정체기에 진입하였다. 다시 일어설 수있는 비결은, 초기 한국교회가 보여준 선교하는 교회가 되도록 선교의식을 회복하는 데 있다. 그럴 때 교회가 희망이라는 선교 메시지에 한국사회가 반향을 일으킬 것이고, 교회는 선교하는 기쁨을 찾게 될 것이다. There is a belief that the missions field tends to flourish whenever there is a revival. This belief is based on the idea that to pursue missions work, an expansive revival must first take place. According to the Korean Church`s early history, there was a revival in the land and after receiving missionaries, the country quickly began sending missionaries. However, while there are records of the Korean church doing missions work, there are no reports as to why they sta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to light the motivations behind the Korean Church`s dispatch of missionaries. To do so, I examined historical data related to the Korean Church specifically in the revival movement and dispatch of missionaries. I focused on the decade from 1903 to 1913 in which Hong Seongha`s missions in Hawaii, Lee Kipoong`s missions in Jeju Island, and missions in Shandong, China took place. I researched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missionaries left their homes, hoping to find possible motivations for their dispatch. I also examin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issionaries sent from Korea and the Korean Church to see how one affected the other.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 I made from this study is that the Korean Church must return to its essentials to be a missional church again. For this to happen, an awareness of missions must be awakened. The early Korean Church missionaries played a major role in ensuring the church`s involvement in missions. Reasons for this included reaching the Koreans in places such as Manchuria, Vladivostok, and Mongolia. In the case of Manchuria, there was the formal request by the Scottish missions, who initially brought the gospel, for the Korean missions to take responsibility of ministering to the Koreans in Manchuria. Through this study, I saw the importance of the early Korean Church`s missions which encouraged a continuous awareness of missions. Therefore, this must be made known: to become a church member is to receive a calling to become a missionary. What follows from this is the leaders of the church are called to be the forerunners of living missional lives. The Korean church today must devote thorough examination of itself to see if it is not going down a different path as Jonah did to avoid God`s will when God commanded him “Go to the city of Nineveh.”(Jonah 1:1-3) The Korean church has already reached stagnancy in it`s growth in numbers. It must now learn from its early days and recover awareness of missions to be a church that does missions. In that time, the church will instill the message of hope through missions in Korean society and it will find the joy of missions again.

      • KCI등재

        개신교 세시 풍속 사례 연구

        이성희(Lee, Sung-Hee) 한국민속학회 2014 韓國民俗學 Vol.59 No.-

        본고에서는 충북 보은 지방의 한 개신 교회의 세시 풍속 사례를 연구했다. 전통 사회에서 이행하던 세시와 교회 세시의 조화, 마을 공동체와의 조화에 주목하였다. 충청북도 보은군 아곡면 아곡리 아곡 은성 교회의 세시풍속은 교회 절기와 한국 세시를 포용하여 다층적으로 전개된다. 부활절(復活節), 맥추감사절(麥秋感謝節), 추수감사절(秋收感謝節), 성탄절(聖誕節) 등의 교회 절기와 송구영신예배(送舊迎新禮拜), 윷놀이, 만두만들기, 정월대보름 등 전통적 한국 세시 풍속을 함께 지키고 있어 포용적 성격을 드러낸다. 부활절 및 성탄절에 돼지를 잡아 마을 사람들과 나누어 먹는 행사를 통해서 공동체와의 조화를 꾀하는 일 또한 포용성의 일부로 볼 수 있다. 또한 ‘성경 구절 뽑기’ 등은 개연성 있는 ‘의미’를 구성하면서 지속적으로 만들어지는 세시 풍속이라 볼 수 있어 역동성을 드러내고 있다. 아곡 은성 교회의 세시풍속에는 한국 민간 신앙 방식의 수용이라 할 수 있는 다양한 한국 민속적 사고가 반영되어 있다. 송구영신예배에서 행하는 ‘성경구절 뽑기’에는 신년제의 기복적 사고가 반영되어 있고, 맥추감사절에 강대상에 첫 수확 올리기, 추수감사절에 첫 곡식 올리기는 천신(薦新) 관념이 반영되어 있다. 추수감사절에 집에서 나는 과일이 시원치 않아 좋은 과일을 사다 강대상에 올리는 것은 ‘정성’을 최고 가치로 여기는 한국 어머니들의 ‘정성지상주의’가 반영되어 있다. 한국 개신교는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서 전파되었지만, 미국의 교회 문화와 매우 다르게 공동체 지향의 교회 문화를 지향하며, 교회 세시 또한 강한 공동체 지향성을 드러낸다. 이러한 특징은 개인주의 지수가 높은 미국과 다르게 집단주의 지수가 높은 한국인들의 민족 정서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신교회 세시 풍속의 무게 중심을 교회 생활을 하는 ‘사람들’에 두고, 오랫동안 한국 전통 사회에서 세시 풍속을 누리고 살았던 한국인들의 민속적 사고가 한국 개신교회 세시 풍속에 어떤 방식으로 반영되는지를 고찰했다. 본 연구는 지방의 한 교회를 중심으로 고찰한 한계를 갖는다. 앞으로 더 다양한 교단,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목회자, 더 다양한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개신교회 세시 풍속 연구가 지속된다면 한국 개신교회 세시 풍속의 윤곽이 더욱 선명해지리라 생각한다. 또한 종교 민속 연구라는 거대한 담론의 장 안에서 무속, 불교, 가톨릭 등 제 종교 분야와의 활발한 비교 고찰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풍성한 연구 성과가 도출될 것으로 전망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annual cyclical rites of Korean protestant church by conducting a case study on a church in a rural area of Choong-Chung Provi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Annual Cyclical Rites of Korean Protestant church. The annual cyclical rites of A-Gok presbyterian church, which is located in A-Gok Ri, A-Gok Myun, Bo-Eun Gun, Choong-Chung Book Do, represents a harmony of traditional church seasons observed by world churches and Korean traditional annual cyclical rites. This phenomenon shows the comprehensiveness and dynamics of Korean Protestant church’s annual cyclical rites. Annual cyclical rites of Korean Protestant church reflect conception of traditional Korean folklore. Western missionaries propagated Christianity to Korea. However, the culture and annual cyclical rites of Korean church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western churches including American churches. Annual cyclical rites of Korean church are strongly community-oriented in various aspect.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Korean community’s characteristic collectivism.

      • KCI등재

        초기 한국 개신교 성인 신자들의 신앙교육에 관한 기독교교육적 고찰

        박정희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2

        This study seeks solutions to the decrease in members of Korean Protestantism. The author intends to critically examine the faith of adult believers in Korean churches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Christian education. That is, the study accesses the restoration of faith of Korean adult believers through the historical review of early churches in Korea. The study collects the documents of early missionaries of the church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history of education. The author examines the maturity of the faith and the effect that education has had on adult believers of the church. The author also considers the biblical and evangelical faith of adult believers in the church. The early church in Korea propagated education for the continued maturity of faith. The author believes the early church had created adult members that strongly adhered to Christian doctrine and Scripture through the various educations. This historical study suggests biblical and evangelical faith education lays the foundation for the church and the mature faith of adult believers. The author found the two areas of faith education are sound and systematic doctrines in Bible studies. The author believes the present church’s depression should be regarded 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the church. For the sound doctrine of its believers, the study of all 66 books of the Bible can establish the identity and maturity of the Christian faith.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 신자들의 감소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기독교 교육의 역사적 관점에서 한국교회 성인 성도들의 신앙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며 접근한다. 한국 초대교회에 대한 역사적 고찰은 한국교회 장년 성도들의 신앙회복과 함께 한국 개신교의 근본적 회복을 이끌어내는데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전제한다. 논문은 문헌연구방법을 통해 한국교회의 초창기 선교사들의 문서들과 한국 기독교사에서 신앙교육 부분과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 정리하였다. 그 중에서도 한국 초대교회 성인들에게 행해진 교육을 통한 신앙의 성숙과 그 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오늘날 한국교회 장년 성도들의 성경적이고 복음적인 신앙회복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과정에서 필자는 한국교회의 초창기 시절 선교사들은 성인 신자들의 신앙교육에 심혈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과 한국 초대교회는 성도들의 중생과 함께 지속적 신앙성숙을 위한 신앙교육에 열심이었으며, 기독교 교리와 성경위에 기초한 건전한 성도들로 양성되었다. 본 논문을 통한 연구 성과는 초창기 교회교육을 통해 한국교회가 어떻게 발전하게 되었으며 그 원동력이 무엇인지도 알 수 있었다는 사실이다. 이러한 역사적 탐구는 시대를 초월하여 참된 교회의 성장과 성도들의 신앙성숙은 성경적이고 복음적인 신앙교육에 있음을 시사한다. 초기 한국교회에서 신앙교육의 양대산맥은 건전하고 체계적인 교리와 성경공부였다. 그러므로 오늘날 한국교회의 침체기는 교회의 내실을 다지는 시기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저자는 한국교회가 장년 성도들 개개인의 기독교 정체성 확립과 신앙성숙을 위해 건전한 교리를 체계적으로 가르치고, 성경 66권을 힘 있게 가르치기를 기대한다.

      • 한국 교회음악의 새로운 분류체계 제시

        윤나리(Yoon Na-ree) 한국음악문화학회 2010 한국음악문화연구 Vol.1 No.-

        한국음악의 교회음악으로의 사용을 위해 교회음악의 개념과 교회음악의 종류와 그 특징을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한국교회음악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교회음악의 용어의 사용이 모호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교회음악에서 사용되는 음악용어의 개념을 정리하여 새로운 분류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에 기독교가 들어오게 된 계기를 시작으로 대부분의 한국교회음악은 외부선교사들에 의해 들여온 외국음악을 기본으로 발전하게 되고 이후 대중음악의 발전과 더불어 발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시간의 흐름을 기준으로 한국교회음악에 영향을 준 요인을 알 수 있고 한국음악의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시함에 있어 그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또 한국교회음악은 종교음악이라는 특성에 따라 가사에 담긴 내용이 중요하다. 따라서 가사가 대상으로하는 사람이 하나님이냐, 사람이냐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즉, 한국교회음악의 새로운 분류체계는 ‘가사내용의 대상’과 ‘시대에 따른 음악적 특징’을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Christian Music is a big part of Korean popular music growth. Moreover, with the advent of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 in church, christian music and popular music have much in common, not a separate one. Before 1892, when me unique Korean christian music was produced, chan mi gae was used which made of American hymns. The compilation standard was different ar me moment until 『Unites Hymns』in 1983 and 『21C New Hymns』in 2006 had been made. But they insist that they have to compile Hymns should include musical feature of Korea. The 『21C New Hymns』compiled in 2006 has 128 pieces composed by Koreans of all 625 pieces, which means that they have continuously tried for Christian music to be naturalized. Moreover, the various music genre have been used such as Pop, Rock, Black Gospel, with the advent of the concept CCM. Recently, Musics featuring Korean and considering popularity starred to appear by Nam Gung Ryun, Shin Nal Sae, Ko Joo Hee, Mum Chae Suk, etc. I think that Korean Music that matches our emotion will lead the CCM in the future. The musical terms used so far have been variously used in Gospel Song, Gospel hymns, Hymns, CCM. However those terms were being used without rules and unity, so I arranged various musical concepts and classified the Korean christian music. First classification is 【Hymns】, 【Gospel Song】 of the Korean Christian Music as an object of music, for example, 【Hymns】's object is God and 【Gospel Song】's object is the human. I classified the music according to the time. Because me music has been reflected by the times, so second classification is done by time. 【Hymns】 is divided into 'Traditional Hymns' and 'Modern Hymns'. 'Traditional Hymns' is the music which has the same form of 『Hymns』made by the Councils of Korean Hymns. The music introduced after 1963 when the Gospel Song appeared can be referred to Modern Hymns. 【Gospel Song】 is divided into 'Traditional Gospel' and 'Modern Gospel'. Its standard is Choi Duck shin's Album 〈The Name〉 in 1985 and before the album is called 'Traditional Gospel' and after that 'Modern Gospel'. 'CCM' can be classified as 'Modern Gospel' section, and it can be classified to 'Modern Hymns', particularly when the object of 'CCM's text is God.

      • KCI등재

        뮈텔 주교의 한국천주교회사 자료 발굴과 이해 : 논문

        김정환(Kim, Jeong-Hwan) 한국사학사학회 2011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3

        1877년 한국의 선교사로 파견된 뮈텔은 활동의 첫 순간부터 한국천주교회사 연구와 인연을 맺었다. 그는 조선 순교자들의 시복(諡福)을 추진하라는 임무를 받고 로마와 베트남에서 그에 필요한 절차를 공부하였다. 이어 만주에서 한국 입국을 기다리는 동안 『한불자전』의 편찬을 도우며 중국어와 한문을 공부하고, 한국에 입국한 후에도 한문을 계속 공부하며 한국의 역사와 풍속을 익혔는데 이것이 그가 한국천주교회사의 자료들을 발굴하고 연구하는 토대가 되었다. 명확한 자료 없이 행해지는 연구를 가장 경계하였던 뮈텔은 한국천주교회사 자료의 발굴에 힘을 쏟았는데 크게 세 단계로 구분된다. 첫째는 그가 신부로서 활동하던 때로 1880년 한국에 입국한 이후 순교자들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단계였다. 하지만 그가 파리외방전교회 신학교의 교수로 발탁되어 프랑스로 귀국함으로써 첫 단계는 큰 성과를 보지 못하였다. 두 번째 단계는 1890년 그가 주교가 되어 한국에 다시 파견된 이후 황사영 백서가 발견되면서부터였다. 의금부에 보관되어 있던 백서의 원본이 1894~1895년 사이에 우연히 발견되면서 뮈텔은 조선 정부기관에서 보관되어 있던 자료들도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세 번째 단계는 1920년대 이후로 뮈텔이 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는 자료들을 직접 찾아 발굴하여 번역과 출판을 하는 때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며 뮈텔은 그동안 한국천주교회 내부에서 생산된 자료들에 의존하여 행해지던 한국천주회사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토대를 마련하였고, 일제강점기 초반의 한국 관련 연구에서 조선왕조실록과 조선 정부의 기록을 이용하는 흔치 않은 사례를 남겼다. 실증적 사고를 갖고 있던 뮈텔은 한말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자료들도 확보할 수 있었다. 일제에 의해 강정된 규장각의 자료들을 프랑스어로 번역하여 유럽에 처음 소개하였고, 구술사 연구 방법을 통해 조선 순교자들의 증언을 수집하고 편찬함으로써 시대적으로, 방법적으로 현대의 한국 구술사 연구보다 앞선 업적을 남겼다. 또한 다양한 자료들의 발굴을 통해 한국사 안에서 천주교회사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였다. 뿐만 아니라 자신이 교구장으로서 서로 주고받은 방대한 양의 기록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뮈텔문서’를 형성해 놓았고, 매일의 크고 작은 일과 전국을 직접 방문하여 보고 들은 것들을 일기로 기록해놓음으로써 자신이 직접 역사 자료의 생산자가 되었다. 뮈텔은 다양한 연구의 성과를 내었고 그것을 자신과 한 시대를 정리하는 데에 활용하였다. 그는 한국천주교회사의 통사 편찬을 염두에 두었고, 비록 그것에 이르지는 못하였으나 기초가 되는 선교사의 약전을 작성하고, 연구의 기초가 되는 원문 자료들을 번역하여 출간하였다. 한말과 일제강점기에 걸쳐 이루어진 뮈텔의 연구 성과들은 1925년 로마에서 거행된 조선 순교자들의 시복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였다. 또한 그는 병인박해 (1866) 이후 와해된 한국천주교회의 재건운동이 마무리되고 새로운 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한국천주교회사 연구를 통해 그동안의 업적들을 역사적으로 정리하였다. Bishop Mutel had been closely related to the study of the history on Korean catholic church from the start of his mission to Korea in 1877. He studied the process of beatification in Rome and Vietnam, in obedience to orders to move ahead the beatification of Korean martyrs. And then, waiting for entering to Korea, he studied Chinese language and characters, as giving a helping hand to the compilation of the Korean-French Dictionary. He had studied chinese characters and accustomed himself to Korean history and manners even after he entered to Korea. These efforts made him well prepared to the documentation and the study of the history on Korean catholic church. His efforts to this documentation was composed of 3 stages : in the first stage, he had gathered the materials about the Korean martyrs as a priest since his arrival to Korea in 1880. However he failed to realize the substantial results in this stage, for he had to come back to France to be a professor in the seminary of Paris Foreign Missions Society. The second stage began with his return to his mission in Korea as a bishop in 1890 and the discovery of the letter of Hwang Sayeong. He began to pay attention to Korean government materials as the original of this letter, kept in the prosecutor’s office(Eui-Geum-Bu) had happened to be found during the period 1894~1895. In the third stage, since 1920s he himself searched for and found out the materials kept in the royal library(Gyu-Jang-Gak), and also translated into French and published them. In these activities, he paved the way for overcoming the limits in the study of history on Korean catholic church, which had been made from the materials produced inside of catholic church. And he showed a rare example of putting into good use the chronicles of Chosun dynasty and other government materials in the opening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Korea. He was able to secure the materials inaccessible to common people during that period. He was the first man to introduce the translated data to Europeans. He left the achievements advanced methodologically to modern Korean historical study on oral statement by collecting and publishing the testimony about Korean martyrs. He also had made efforts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catholic church in the Korean history by documentation of various materials. What is more, he himself had produced the historical data by constituting ‘Mutel Documents’, kind of collection of official records in correspondence as a bishop, and by keeping a diary about his everyday life.

      • KCI등재

        포스트모던시대의 한국 토착적 이머징 교회에 관한 연구

        홍승철,황병준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8

        본 연구는 포스트모던시대 한국적 이머징 교회의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현대는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 한국에서 기독교 전래 때부터 후기모던시대까지 가장 대응을 잘하고 사회를 선도해간다는 평가를 받던 한국교회가 포스트모던 시대에 접어들면서 오히려 큰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한국교회가 모델로 삼은 구미교회와 한국교회의 상황이 서로 다른데서 기인한 것이 크다. 모던시대에는 우리보다 앞선 경험을 가진 미국교회를 모델로 삼아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미국의 선교사와 유학을 다녀온 한국 교회 지도자들이 소개한 교회의 선진 문화들은 기존 한국에서 볼 수 없는 최신의 문화였고, 한국사회는 한국교회를 새로운 문화의 습득창구로 삼았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시대에 넘어오면서 미국교회 모델의 답습만으로는 한국교회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한계가 생겼다. 특히 미국과 다른 한국의 독특한 포스트모던 구조는 이런 상황을 더 촉진 시켰다. 본 연구는 우리보다 먼저 포스트모더니즘과 교회 해체의 위기를 겪은 미국과 유럽의 이머징 교회를 살펴보고 이를 한국에 어떻게 적용할지 연구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서구의 포스트모더니즘 등장 배경과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의 장점과 한계도 함께 고찰해보려 한다. 또한 포스트모던 문화에 대한 보편적 대안 모델로 거론되는 서구 이머징 교회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기독교의 대응도 살펴볼 것이다. 이는 기존의 “구도자 중심 예배”가 그러하였듯 변화를 요구 받고 있는 한국교회로서는 서구의 이머징 교회 모델도 결코 포기할 수 없는 훌륭한 대안 중 하나가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서양과 다른 한국 특성에 맞는 교회 구조를 세우기 위하여 서구 모델을 넘어 한국 토착적 적용 모델을 위한 방향성을 모색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rticulate the Korean indigenous emerging church in the post-modern era. These days, the Korean church faced crises and needs a suitable model for growth because it has been slowed down in post-modern era. The Korean church faces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of the society and the church itself. For this, first, the study will look at the characteristics and global trends of postmodernism which has come to the Korean context. The study will examine the emerging church in the Western cultures that have experienced a dismantling crisis before the Korean church faced. It also discusses background understandings of the emerging church as historical and theological understandings and figures out its characteristics. With theoretical bases, this will apply them to the Korean church context as well. Four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culture are derived as features of the emerging church: returning to the original church to restore the tradition of early church, focusing on empirical church, leading to participatory church, and getting actively acceptance of post-modern culture. Next, this study figures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ulture and its elements appearing in the traditional Korean church. The elements of Korean postmodernism in socie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original church will be discussed. The sense of community as “one group”(uri) in Korean culture can be combined with post-modern culture to emphasize relationship in the Korean church. It is manifested in spirit of union in Korean church. Also, “gi(the energy)” in Korean can be experienced in post-modern culture in Korea. It is an autogeny and independent church. The feature of community adds up “heung” and “sinbaram” in Korean presenting as “excitement” It indicates that the church has only created a unique religious mentality. In addition, “Jeong”(Affection) in Korean can be a directional image which is combined with the post-modern church in Korea. This enables Korean church to share the pain with Korean people. Finally, this study will challenge the changes in time for the Korean church in the post-modern era. For this, the study suggests three basic features for the Korean indigenous emerging church. The first feature is the recovery of the early original Korean tradition church. Basically Korean church needs to return to being early churches in the first-century showing in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also return to being early original Korean church in the 19th century. The Second feature is to breed a laity for the next generation in the Korean church. The third feature is the appearance of the church to foster better relations within the community.

      • KCI등재

        한국전쟁 시기 기독교 외원단체의 구호활동

        김흥수(Kim Heung-So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5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3 No.-

        한국전쟁이 시작되면서 구호를 필요로 하는 전쟁 난민들이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 1952년 3월 통계에 의하면, 전쟁으로 집을 잃은 피난민, 전쟁으로 물자 상실이나 지원수단이 파괴되어 고통을 받는 전쟁 이재민, 빈곤과 인플레이션으로 괴로움을 받는 지방 빈민이 남한 인구 21,000,000명 가운데 절반이나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외국의 대규모 원조가 시작되었으며, 원조단체 중에서도 외국의 기독교회와 구호단체들은 한국교회에 다량의 구호금품을 보내거나 직접 구호활동가들을 보내 구호활동에 나섰다. 이 단체들은 40여 개에 달했으며, 민간 구호 단체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 글은 한국전쟁 시기 및 전쟁 직후 활동한 기독교 외원단체들의 내한과 구호활동 과정을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미국과 유럽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구호사업을 대변했던 기독교세계봉사회의 활동을 정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시에 내한한 외원단체들은 한국교회와 밀접한 관련을 맺어 온 미국교회에 속한 단체가 가장 많았다. 교파는 장로교, 침례교, 나사렛교회, 메노나이트, 퀘이커, 동양선교회, 감리교, 안식교, 유니테리언교회, 루터교, 천주교 등 다양했다. 구호품을 가장 많이 전달하고 구호활동을 가장 활발히 전개한 기독교 외원단체는 미국 가톨릭교회가 운영하는 가톨릭구제위원회와 미국기독교교회협의회에 속한 기독교세계봉사회였다. 기독교세계봉사회는 세계교회협의회(WCC)의 구호 활동도 대행하였다. 기독교세계봉사회의 한국 책임자는 헨리 D. 아펜젤러 목사였다. 기독교 외원단체들은 제한된 자원과 구호의 긴급성 때문에 응급한 구호사업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보건사업에도 손을 대었다. 기독교세계봉사회는 피난민들을 위한 사업과 아동, 전쟁미망인, 부상자 등을 위한 구호사업에 역점을 두었다. 전시의 구호활동은 사회적 약자들을 보호하는 사업이었다. 이 시기에 외국 기독교 외원단체들을 통해 전개된 구호 및 복구 활동은 한국사회에 대한 봉사의 양과 규모에서 한국교회 초기에 있었던 외국교회들의 교육과 의료활동을 훨씬 능가하는 것이었으며 한국사회에 대한 대규모 봉사의 재현이었다. 외원단체들은 구호 활동을 통해서 한국인들에게 사회봉사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사회교육의 기능도 담당하였다. 기독교 외원단체의 영향은 여러 분야에서 다양했으며 부정적인 영향도 있었다. 미국으로부터의 엄청난 양의 원조는 미군의 참전과 함께 전후의 한국인들에게 미국이 일종의 구원국가로 보이게까지 했으며 이러한 인식은 외원단체의 최대의 수혜자였던 교회에 아직까지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Shortly after the Korean War broke out, half the people of Korea were in need of relief. Refugees, war sufferers, and local destitute amounted 10, 291,774 of the total population 21,000,000. In this situation about 40 foreign voluntary agencies with Christian background came to South Korea and began to play a key role in relief activities for war refugees and sufferers. Among other things, Church World Service and War Relief Service of the National Catholic Welfare Conference played prominent part in the relief and rehabilitation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This essay examines the relief activities of Christian voluntary agencies from foreign countries in general and those of Church World Service in particular. Church World Service conducted relief and rehabilitation programs in Korea ever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but during the Korean War it carried on more extensive program of relief of Korean refugees and other war victims as agent of the American Churches and World Council of Churches. Since February, 1951, Rev. Henry D. Appenzeller directed relief work of the Church World Service in Korea. He and his missionary and Korean Christian associates were engaged in distributing supplies, in assisting with the movement of refugees and in their settlement with the cooperation of other voluntary agencies such as War Relief Service Committee, 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CARE, etc. Main relief work of the Church World Service included orphans and unaccompanied children, the physically handicapped, vagrant adolescents, children and war wido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