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外國人을 위한 漢字語 敎育 方案 考察

        高睿振(Ye-jin, Ko),趙宰亨(Chae-hyung, Ch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4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어 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그 원인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대다수의 연구자들이 공감하는 성공적인 언어 교육의 핵심은 언어 학습자의 어휘력 신장과 매우 관련이 깊다. 한편, 한국어의 어휘 체계에서 한자어가 가지는 위상이 매우 크며, 실제로 고급 단계로 갈수록 많은 한자어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 수준높은 한국어 어휘를 구사하기 위해서는 한자어에 대한 학습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어휘 교육에 있어서 한자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반영되어 차츰 그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어 교육에 대한 논의는 고유어와 한자어를 별개의 것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이었다. 이러한 이중적 교수법은 학습자에게 추가 학습의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며, 학습자에게 더 큰 혼란을 야기할 것임이 분명하다. 따라서 한국어 내의 한자어는 엄연히 한국어 어휘라는 점을 명시해야 하며, 따라서 고유어 체계와 같은 선상에서 교수법을 개발하여 지도하는 것이 당연하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어 관련 연구들을 고찰하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어 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 어떻게 한자어를 다루는지와 그 원인을 다루었으며, 4장에서는 문제점들을 개선한 한자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problem and the reason of the Sino-Korean word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The key point of language education that many researcher agree with have a lot to do with increasing learners vocabulary. Meanwhile, the Sino-Korean word’ status got high in Korean vocabulary and the more foreign learners go to high level class, the more they have to learn the high level Sino-Korean word. Therefore, foreign learners have to study Sino-Korean to speak high level Korean language. because of this, people has studied Sino-Korean word while thinking that the importance of Sino-Korean word education is getting high.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researchers distinguish between Korean word from Sino-Korean wor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obvious that the double teaching method give learners the burden of additional learning and cause larger confusion to them. Therefore, we make clear that Sino-Korean word in Korean language is obviously one of Korean word and it is natural that we develop and teach the teaching method for Sino-Korean word in the same way of the teaching method for native Korean tongue. This paper realize these situation and study the papers about Sino-Korean wor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try to write the problem and the improvement plan. To do this, we talked about the preceding research of Sino-Korean wor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chapter 2, talked about How Korean language textbook explain Sino-Korean word and try to propose the improved teaching method for Sino-Korean word.

      • KCI등재

        중국 외국어 교육 정책에 따른 한국어 교육의 과제

        유영영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학 Vol.19 No.3

        본 연구는 중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외국어 교육 관련 정책의 내용, 의의, 특징, 그리고 이 정책들 간의 내재적 연관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의 발전과 인재 양성의 질적 전환을 위한 한국어 교육 개혁 방향을 제시하였다. 중국의 외국어 교육 정책에 의하면 언어 능력 중심에서 포괄적 능력, ‘한국어+전문지식’을 갖춘 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서 한국어학과는 거시적 차원에서 사회경제적 발전과 산업 구조 조정에 따른 다양한 수요를 지향하여 교내외 및 국내외 협력, 산학연협력 등을 통해 ‘한국어+’ 복합형 인재를 배출하는 다원적 인재 양성 모델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태도 교육에 중점을 두면서 학생들의 포괄적 능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미시적 차원에서 교과 체계 구축과 교원 확보에 있어서는 학제적 접근이 필요하고, 교재 개발 및 수업 설계에 있어서는 사상정치교육 콘텐츠를 융합시키고 학생들의 교양과 포괄적 능력을 제고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significance,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relevanc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related policies in China. Based on this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form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and the quality change of talent training we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policies, it is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ransform from language ability-oriented to training compound talents with comprehensive ability and “Korean+expertise”. To cultivate such talents, at the macro level,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should seek diversified talent training models that cultivate “Korean+” compound talents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ollege-enterprise cooperation, aiming for the demand for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 restructur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mprove students' comprehensive abilities while focusing on human natur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at the microscopic level,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curriculum system and faculty. In textbook development and class desig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integrating the contents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education and enhancing students' humanity qualities and comprehensive abilities.

      • KCI등재

        한국어 전공 학생에 대한 한국역사 교육의 제문제

        유보전 한중인문학회 2008 한중인문학연구 Vol.24 No.-

        이 글은 필자가 한국어 전공의 학생들에게 한국역사, 중․한관계사를 가르칠 때의 소감이다. 중국에서 한국어 학과를 개설한 4년제 대학교는 70여개에 달하고 그 수자가 지금에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어 학과의 학생들은 “한국역사”, “한국문화”와 “한국개황” 등 과목들을 통해 한국 역사와 문화를 배운다. 그리고 한국역사를 배우는 것은 문화소질을 양성하고 한국어 실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한국어 학과의 학생들이 한국역사를 배우면서 교과서의 부족 문제와 분쟁이 있는 역사문제들을 많이 부딪히게 된다. 한국과 중국은 역사 문제에 대한 이해의 차이 그리고 이것으로 인해 발생한 분쟁은 한국역사를 가르치는 선생들과 한국역사를 배우는 학생들로 하여금 혼란에 빠지게 한다. 이것들은 다름아닌 한국역사 교육의 난점으로 된다. 한국사 교육에 있어서의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교육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원칙들을 지켜야 한다고 했다. 첫째, 역사교육의 목표는 현실의 요구에 따라 민족주체성과 민족정신을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대한 이해를 확대시키고 인문소양을 양성할 것으로 정해야 한다. 역사교육은 자기 나라 역사의 교육이 아니라 일개국의 국한을 벗어 전체적이고 세계적인 역사관으로 역사를 전면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둘째, 공동으로 연구하여 교과서를 편찬하고 공동적인 역사관을 세워야 한다. 세계사의 조류 중에서 국가사를 이해하고, 문화의 다원화조류 중에서 국가사를 고려하여 동북아시아 지역의 공동역사의식을 확립시킨다. 셋째, 우호관계를 발전시킬 때 특정한 정견을 버리고 일치하는 점은 취하며, 의견이 서로 다른 점은 잠시 보류하여 학술교류와 공동연구를 통해 차이를 줄이고 공동의식을 배양해야 한다. 중․한 양국간에 이견이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객관적으로 직술하는 방법으로 사실 그대로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학생들로 하여금 공부하면서 판단하도록 한다. 물론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이견을 점차 없애고 공통적 인식을 도모할 것이다. There are more than 70 colleges with the 4 year specialty of Korean, and the amount is increasing with years. Our Chinese students of this specialty can learn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by studying the courses like Korean History, Korean Culture and The Survey of Korea. They even take Korean history as a useful tool of improving their cultural quality and learning the language well. However, there are two problems during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history: the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 and the dispute of history issues. The problem of teaching this course is that teachers and students are confused by the difference of knowledge of history issues and the argument inspired by them.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opinion and interpret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e aspects of history of nationality, history of country, Ancient History of Goguryeo, Balhae Kingdom, the ancient relation of Korea and China, especially the Tributary State System. Moreover, some freewheeling interpretation of history by a very few Korean scholar trigger a strongly besetment and scunner. There are several principles in teaching history if we want to solve these problems in history education. Firstly, the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is to expend our knowledge of the past and to bringup our civilization, not to train national identity or ethos based on the need of reality. The education of history should not only be the education of national history, but also be a distinctive perspective, taking the wholeness and history-view about world as starting point. Secondly, the teachers should bring up a common historical view by researching and compiling textbooks together. They should also take in country history in the trend of universal history, clear the obstacle of history between nationality and country, to form a common historical consciousness of Northeast Asia in the range of East Asiaor even the world. At last, we should overcome differences and seek common groun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relation of friendship, get rid of different political views and bridge the gap step by step to get consensus by academic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teaching of history, never avoid history problem deliberately on the premise that respect history. If the problem is unable to avoid, we should take the method of objective direct account, and give the historical problem and viewpoint with disagreement to the students from beginning to end. Then they will make judgment and improve their level during the studying. And what’s more, we must eliminate different opinion and get across consensus on the base of overcome difference and seek common ground.

      • KCI등재

        Role and Importance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A Case Study of Malaysian Universities -

        Rou Seung Yoan,Kim Keum Hyun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한국언어문화학 Vol.7 No.1

        류승완, 김금현. 2010.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역할과 중요성 -말레이시아 대학에서의 사례연구-. 한국언어문화학. 7-1. 117-144. 본고는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실증적 조사를 통해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국은 물론 인근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다인종, 다문화, 다종교 국가로 대별되는 말레이시아는 국어인 말레이어 외에도 중국어, 인도어 그리고 영어는 물론 토착민들의 토속어 등 사용언어에 있어서도 다언어 국가로 특징 지워진다. 80년대 중반부터 대학교 선택과목으로 보급된 한국어 교육은 언어구사능력 중심 교육에서 90년대 말부터 서서히 문화 교육을 도입하기 시작한다.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는 있으나 실질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떠한 문화교육을 얼마나 필요로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설문 및 인터뷰 방식을 채택, 단계별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목적 등에 관한 설문조사와 한국에 대한 지식 및 문화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세 그룹으로 나누어, 첫 번째 그룹은 한국어를 선택과목으로 수강하는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학생들, 두 번째와 세 번째 그룹은 말라야 대학교 학생들로서 한국어를 선택과목으로 그리고 전공/부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을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각 세 그룹 학생들의 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많은 부분에 있어 일치하고 있음과, 앞으로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체계화와 및 비중이 높아져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말라야 대학교)

      • KCI등재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 목록 선정 연구

        허은혜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2 한국언어문화학 Vol.19 No.3

        본고는 한국어 문법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이 어떻게 교수되고 있는지 그 현황을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을 선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복합문법이란 문법형태에 또 다른 문법형태나 어휘형태가 결합한 덩어리 표현으로 한국어교육에서 ‘복합문법, 통어적 구문, 표현, 표현항목, 표현문형’등으로 불리어 왔다. 복합문법은 외국인 학습자의 유창성 향상을 목표로 하는 한국어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데 본고는 복합문법 가운데 보조사가 포함된 유형을 살펴보았고 이를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이라 칭하였다. 한국어교육에서는 다양한 언어범주와 결합이 가능한 보조사를 단일형태로 교수하기도 하지만 ‘-기도 하다’와 같은 복합 형태로 가르치기도 한다. 본고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이 교육되는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 교재 6종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교재별로 제시하는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이 매우 상이함을 발견하였다. 이에 한국어교육을 위한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을 선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한국어 교재 6종과 한국어교육을 위한 문법서 4종 그리고 한국어교육 전문가 6인의 평정을 바탕으로 새로이 학습용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 목록을 정립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추후 효과적인 보조사 포함 복합문법 교육 방안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uxiliary particles of complex grammar by analyzing Korean textbooks, and determining how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Korean grammar education. It attempted to select the auxiliary particles of complex grammar that need to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different kinds of complex grammar including auxiliary particles. Auxiliary particles that give meaning to the preceding sentence contain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combined with other linguistic forms. Therefore, this grammatical form poses a high level of difficulty for Korean learners. Accordingly, to improve the learners’ language skills and prevent them from making errors, not only single auxiliary particles, such as ‘도’, are examined, but also complex grammar, including auxiliary particles, such as ‘-기도 하다’, are presented as research examples. Thus, this research intend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grammar by closely analyzing the auxiliary particles presented in six different Korean textbooks. The analysis will be beneficial in effectively educating learners and educators in complex grammar, including auxiliary particles, in the future. In addition, certain challenges identified in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will be explored, and methods to further modify and supplement these issues will be presented.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육과정(KSL)의 학교 현장 정착을 위한 제언

        문윤주(Mun Yun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 No.8

        2013년에 고시된 한국어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반영하여 2017년에 개정 한국어교육과정이 수정 고시되었다. 그러나 한국어교육과정은 아직까지 일선 학교 현장에서 안착되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교육과정의 가장 본질에 해당하는 수업의 두 축인 교사와 학습자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먼저 2017년 교육과정이 이전의 교육과정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과정이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을 학습자와 교사측면에서 예상하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습자 측면에서 학습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국어 숙달도에 맞춘 개별화된 학습 시스템이 필요하지만 현재의 학교 현장에서 이것을 뒷받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유동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해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단위학교를 넘어선 네트워크의 필요함을 말하였다. 둘째, 교사의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을 학교 현장에 안착시키기 위해서는 한국어 전문 교사가 필요하며 현재 교원양성과정을 담당하고 있는 교대와 사대에서 한국어 교육과를 신설해야 하며 현직 교사들을 위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함을 말하였다. 한국어 교육의 중요한 축을 맡고 있는 KSL 강사와 이중 언어 강사의 처우도 개선되어야 하며 이들과의 유기적인 협조가 중요함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특성상 전체 교사의 참여와 학교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 또 다가올 다문화 미래 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세계시민의식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이러한 비판적 검토와 활발한 논의를 통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에 안착되 기를 기대한다. Mun Yunju. 2018. The suggestion that How can KSL take root in the Class. - Focus on KSL students and teachers in the class. The J 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Vol. 8. 17-34. The new KSL was notified on September 2017. It has reflected a lot of improvement compare to ver. 2013. But KSL still was not took root in the class. In this paper, I will analyze some problem about KSL and suggest some solution for teaching Korean Class. It will be proceeded by two way (student and teacher). In terms of students (in KSL class), They need a personalized curriculum. But they can’t be supported by school system. This problem will be solved by floating curriculum. And it needs a regional network over the school. In terms of teachers and school, Teacher’s teaching ability for the KSL is very unsufficient. They need a effective training program. And they must have ‘multicultural teacher competence’ based on Global Citizenship.

      • KCI등재

        한국어 문화권의 교육력 제고를 위한 전망

        禹漢鎔 한중인문학회 2008 한중인문학연구 Vol.25 No.-

        한국어로 산출된 한국문화는 세계 여러 지역으로 퍼져 있다. 해당 지역의 정치, 사회, 문화 등의 여건에 따라 한국문화는 많은 변형을 보인다. 다양한 변형 가운데 한국문화의 원형적 요소가 상존하는 경우는 여전히 한국문화의 양상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한국문화는 지역적 인접성이 유지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 한국어가 쓰이는 지역의 문화를 따라 세계 각처에 한국문화가 흩어져 있다. 지역적 인접성이나 인종적 단일성 등은 약하지만 한국어를 중심으로 유지하면서 변화를 거듭하는 한국문화를 하나의 권역으로 묶을 필요가 있다. 이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섬들이 흩어져 있는 어느 바다를 하나의 지리적 권역으로 묶는 것과 흡사한 구조가 된다. 문화권이 겹치는 권역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가운데 언어교육이 핵심사항이 된다. 제2언어나 외국어로서 한국어교육이 한국문화교육 전반을 포함하게 된다. 이는 외국에서 연구되는 한국학의 범위와 일치하게 된다. 그런데 그런 한국어는 언어 운용 목적에 따라 내용과 방법이 달라진다. 일반목적과 특수목적을 설정할 수 있는데, 실용성을 고려하는 수요자에게는 일반목적 한국어를 가르쳐야 한다. 그런데 학문과 예술, 정치, 외교 등의 영역에서는 한국어교육의 수준을 너무 낮게 설정하면 목적 달성이 어렵다. 한국어 학습의 목적이 다르고 수준에 차이가 있어도 문화 상호간의 교류를 전제해야 하고, 문화의 주체가 다중적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위에 말한 문화교류적 측면의 한국어교육을 위해서는 문학이 제재와 방법으로 동원되어야 한다. 문학은 어느 언어권의 언어적 정수를 집약할 뿐만 아니라 문화적 사유의 유형을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언어의 논리성과 합께 언어의 정서적 가치를 담고 있는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한국어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는 한국어 최고 수준의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한국어 문화권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그 문화권의 구성원을 문화적으로 통합하는 텍스트를 구성하고 교육에 활용해야 한다. 한국어 능력이 해당 지역 문화 향상에 도움이 되어 문화간 질적 상승을 가능하게 해 주어야 한다. Almost all over the world, there the Korean cultures are situated in the shape of islands. By the political conditions, by social needs, by cultural heritages the Korean culture of the area is transformed in diverse modes. Among the transformed cultural modes the core traits makes sustainable the Korean culture in foreign countries. Sometimes, the Korean cultures in foreign countries have the regional contingency and another case they are separated without any regional approximate. But the Korean using areas approved as Korean cultural areas even if the shape of it transformed in many aspects. Even though the regional contingency is not sustained, and the ethnological homogeneity is not proved, the lingual sameness will prove the cultural identity in any case of conception for the culture. It is a circle of Korean culture. Metaphorically, it is a kind of ocean park that many diverse islands included in it. In the area that the different cultures are overlapped, the language education include the whole kinds of cultural entries. It is coincide the categories of Korean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The contents and method of teaching Korean will be varied by the goal and purpose of the learners. The goals of Korean education will be grouped in two types by the users needs; the general objectives and the special objectives. In the area of special objectives, Korean for the academic activities, for art activities, for political activities, the goal of Korean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in higher degree. In the course of Korean education, they must care in consideration the cross 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the native culture and foreign culture. And the subjects of the cultural practice, they are burdened in two cultures, in some degree, multiple roles. For the effectiveness of Korean education in high degree, the literature as an art will be available as subject matter and as a method of education. That is because the literature in any linguistic territory, it assembled the cultural core and it has configurated the cultural thinking method in itself. Moreover, it is the text that has the logical structure of its language and the emotional values of it. The teachers and professors must have the ability of analysis the culture and teaching it in good method. For the sustainable maturity of Korean culture in foreign countries, they must prepare the texts that integrate the members in them, and teach them the texts in due course. The members who learn Korean in high degree must serve for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e that flourished in their country. It is the ultimate goal of Korean education in our time, here and now.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유해준 중앙어문학회 2019 語文論集 Vol.80 N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grammar educ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n China. To this end, I examined Koreanrelated subjects and the aspects of grammar presentation in Korean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In recent year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has developed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rms, wherein Korean language departments have been establish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throughout many universities in China. However,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hina are yet to be institutionalized. Therefore, in this study, I cannot examine the whole status of education in China. Hence, the study is confined to the area of grammar education and conducted by comparing Korean grammar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ltimately summariz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in China, and to use the findings as the basic data for overseas Korean grammar education research. 본고는 지금까지 중국에서 이루어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교육에 대해중국 대학의 관련 교과목과 교재의 내용을 통해 중국 내 문법 교육 현황을 살피고자 한다. 중국 내 대학의 한국어학과는 한국의 국어국문학과적인 성격을가진 학과와 한국어에 중심을 둔 실용 언어 학습 중심의 한국어학과가 함께 공존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실용 언어 학습 중심의 한국어학과를 중심으로 그 안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문법 관련 교과목을 살필 것이다. 또한 그 학과들안에서 교육이 되고 있는 한국어 교재 내에 담긴 문법 항목들의 제시 양상과성격을 통해 중국의 문법 교육 현황을 살피고자 한다. 최근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양적인 면에서도 질적인 면에서도 발전을 이룩하였고 중국의 많은 대학에서는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어학과가 많이 개설되고 있다. 하지만 중국 내에서 이루어진 한국어 교육 내용들이 구체적인 교과목 내용 중심으로 교육 현황이 소개되고 있지는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교육 현황 전체를 살필 수는 없지만 문법 교육이라는 부분에서 한국 내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문법 교육과 중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문법 교육의차이를 살피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한국어 문법 교육 현황을 중국을 중심으로 정리하여 후에 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지는 국외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태국 내 한국어교육의 변화와 교육 기반 연구 -중등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임형재 ( Hyung Jae Lim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4 No.-

        최근 태국 내 한국어교육의 중요한 화두는 중등학교 한국어교육의 변화이다. 2011년부터 시작된 한국어교원 파견 사업으로 지난 3년 동안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 학습자는 27년의 역사를 가진 태국 대학 내 한국어 학습자 3,470명을 첫해에 넘어섰다. 그리고 2013년 태국 대학에서 한국어교육이 점차 자리를 잡기 시작한지 10여 년이 된 시점에서 태국 중등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은 시작 3년 만에 공립 중등학교서만 이미 24,000명의 학습자를 확보하였다. 이제 한국어는 중국어와 일본어에 이어 태국 내 중등학교 11개 제2외국어 중 학습자 및 채택 학교 순위에서 3위에 오르게 되었다. 본 논문은 2010년 이후 태국 내 한국어교육의 변화와 발전이라는 주제로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을 바탕으로 중등학교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변화를 살펴보고, 한국 정부에서 대단위 한국어교원 파견을 진행한 최근 3년 동안 태국 중등학교 한국어교육의 확산과 파견의 성과, 그리고 이후 발전을 위한 교육 기반 구축의 필요성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2013년 5월에 태국 교육부 OBEC에서 한국교육원에 제시한 자료인 OBEC소속(공립학교) 중등학교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통계자료와 2013년 한국 교육부에서 태국 현지 중등학교에 파견한 60명의 한국어교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한다. In Thailand, the important subject of (curren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he chan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As a result of Korean Language Teachers Dispatch Program, which started in 2011,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in Thai secondary schools in the last three years exceeds that of Korean leaners in Thai university (3,470 students) which has 27 years of history. In addition, at this point where year 2013 remarks last 10 years of establish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ail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ai secondary schools has already secured 24,000 learners during the three years of its history. Korean is now ranked 3rd, as a favored foreign language by learner sand schools among11 Thai secondary schools, after Chinese and Japanese. This thesis will first examine new changes made in Korean education in Thai secondary schools, comparing with Korean education in Thai universities, under the topic of ‘changes and developm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ailand since 2010’. Then it will evaluate the outcome of the last three years of Korean government`s project on dispatching large units of Korean teachers to Thailand. It will examine how the government`s project has affected disseminating Korean education in Thai secondary schools. Lastly it will analyze the need to build foundation for Korean education for further developments. In order to do this, the research utilizes two kinds of statistical resources. The first one is the report on Korean learners in Thai secondary schools which belong to Office of the Basic Education Commission(OBEC) and hence classified as public schools. This reports was presented by OBEC of Thailand to Korean Education Center in Bangkok. The second one is the survey and statistical reports produced in 2013 targeting 60 Korean teachers dispatched by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to Thai secondary schools.

      • KCI등재

        한국근대사 교육의 쟁점과 과제

        김한종(Kim, Han-jong)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6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6

        이글에서는 한국근대사 교육의 쟁점과 과제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한국근대사 교육의 쟁점으로는 세계사적 맥락을 강조하는 한국근대사 이해 방법, 틀에 박힌 근대사의 체계와 학습 방안, 한국근대사 연구성과의 학교 역사교육 반영, 한국근대사 인식을 둘러싼 사회갈등을 들 수 있다.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는 세계사적 맥락에서 한국근대사를 이해할 것을 강조한다. 그러나 한국근대사와 세계사를 어떻게 연결할 것인지는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다. 교과서에서 한국근대사에 영향을 미친 서구 국가들의 정책이나 세계적 상황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교과서나 교실수업에서 다루는 한국근대사의 체계는 1970년부터 현재까지 별로 달라지지 않았다. 한국근대사 연구성과는 한국사교과서에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 그러나 교과서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역사적 사실이 집필기준이나 교과서 검정과정에서 달라진다. 한국근대사 인식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은 정치적 성격을 띠고 있다. 문호개방과 개화정책의 평가, 식민지 근대화론을 둘러싼 논란, 이승만의 독립운동 등은 논란이 되고 있는 주제들이다. 한국근대사 교육의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교육내용을 재구성해야 한다. 한국근대사 교육내용을 재구성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근대사 내용체계를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한국 근대사회가 지향했던 국가나 사회상을 기준으로 근대사의 전개과정을 이해하는 연구서나 한국사 연구성과를 정리한 역사입문서의 단원구조를 이 작업에 참고할 수 있다. 둘째, 학습내용의 요소를 조정해야 한다. 근대사 내용체계를 구조화하고, 이해를 위한 스토리라인을 마련한 다음, 이에 적합한 사실을 선택해야 한다. 셋째, 근대사의 일부 학습내용을 보완해야 한다. 생활사, 민족운동과 민중운동, 사회적 소수의 역사를 학습해야 한다. 사실지식 중심의 역사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를 기르는 역사교육으로 전환해야 한다. 이는 역사교육 전반의 과제이지만, 한국근대사 교육에서 특히 필요하다. 한국근대사 교육이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하려면, 다양한 행위선택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역사적 상황에 대한 판단과 의사결정을 경험하는 역사수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근대에 일어난 역사적 사실이나 근대사 자료를 다원적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수업을 해야 한다. 동일한 역사적 사실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서술한다든지 대비하여 평가를 하고, 비교하는 것도 비판적 사고에 도움이 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issues and tasks of Korean modern history teaching and to suggest some strategies for developing it. Main issues of Korean modern history teaching are as follows: understanding method of Korean modern history contextualized in world history, routine framework of Korean modern history and its learning method, applying research results of Korean modern history to school history, social conflict around to recognizing Korean modern history.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emphasize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for understanding Korean modern history.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of interconnecting with Korean modern history and world history among history textbooks. The content on the policy of Western states and world context is not involved in middle and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Next, the framework of Korean modern history in history textbook and history classroom has little changed since 1970s. History textbooks accepted many research results of Korean modern history.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among textbooks, and the description of same historical facts changes according to writing guideline and through the course of authorizing textbook. Social conflict around to recognizing Korean modern history has political nature. The evaluation on the opening of a port and the enlighment policy, colonial modernity controversy and independent movement Lee, Sung-man are hot issues in Korean modern history. We should firstly reorganize learning contents to solve these problems on Korean modern history teaching. Some strategies to reorganize learning contents of Korean modern history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restructure content framework of Koran modern history. We can refer to handbook for studying Korean history and research book which try to understand the developing course of modern times based on state vision. Second, we should control elements of learning contents. We should structure contents of Korean modern history at first, construct sdtoryline for understanding them next, and select historical facts suitable to them last. Third, we should make up for learning contents, for example, history of nation movement, people movement and the minority. It is important to transform from knowing historical facts to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of history education. Critical thinking is necessary for learning Korean modern history. History teacher provide various experiments of act to develop students" critical thinking. Students should judge historical circumstance and select decision-making in history classroom. History teacher should make history classroom for students to think modern historical facts or documents with multi-perspective. It is desirable for developing critical thinking to describe the same historical fact with other’s perspective, and compare and then evaluate it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