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선진유학에 나타난 하도낙서

        임병학(Lim Byeong-hak) 한국국학진흥원 2007 국학연구 Vol.11 No.-

        하도와 낙서는 역학의 학문적 탐구과제인 역도 易道를 표상하는 체계로 한국 성리학을 대표하는 퇴계와 율곡의 역학체계에 있어서도 자신들의 리기理氣철학을 정립하는데 있어서 근본이 되었으나, 현재 학계에서는 하도와 낙서를 중국 고대의 수학적 자료를 제공하는 신비스런 도상이나 북송 이후 만들어진 도상으로 생각하여 선진유학에서 표상하고 있는 하도낙서에 대해서는 망각해 온 것이다. 『주역』에서는 하도와 낙서를 변화지도인 역도를 표상하는 체계로 밝히고, 그것을 ‘신물神物’ㆍ‘신神’ㆍ‘귀신鬼神’ㆍ‘시蓍’ㆍ‘귀龜’ㆍ‘수數’ 등 상징적으로 말하고 있다. 이에 하도낙서를 상징적으로 표상하고 있는 『주역』의 의의를 근거로 선진유학에 나타난 하도낙서에 대해 고찰하여 삼경三經에서도 하도낙서에 대하여 밝히고 있음을 얄 수 있었다. 먼저 『주역』은 인도人道인 성명지리를 위주로 표상한 경전이기 때문에 천도를 표상하는 하도낙서에 대해서는 은밀히 감춰 놓고 있으니 괘효사 卦爻辭와 십익十翼의 여러 곳에서 인도의 존재 근거가 되는 하도낙서를 상징적으로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정』에서는 오전五典으로 불리는 요전ㆍ순전ㆍ대우모ㆍ고요모ㆍ익직에서 직접 천도인 천시天時에 근거한 왕도정치원리를 밝히고 있으며, 홍범에서는 ‘홍범구주 洪範九疇’라 하여 9수로 표상되는 낙서에 근거를 두고 왕도정치원리를 밝히고 있기 때문에 하도낙서에 대하여 상징적으로 표상하고 있다. 『시경』은 예악禮樂의 측면에서 인간의 감정을 중심으로 군자지도를 밝히고 있기 때문에 하도낙서에 대하여 쉽사리 포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주남 관저장ㆍ위풍 십묘장ㆍ소아 별목장 등에서 하河ㆍ열(十) 그리고 신神 등을 말하여 군자지도의 근거가 되는 천도를 표상하는 하도와 낙서에 대하여 밝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that looks up Hetu(河圖)-Luoshu(洛書) mentioned in bible of fundamental Confucianism. Hetu-Luoshu is composed with the numbers. The number symbolizes the concept of time. The time is system of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易道) in the Book of changes(Zhouyi, 周易).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 is the providence of changes(the providence of time 時間性). Accordingly, we know that Hetu-Luoshu is a symbolism meaning moral doctrine in bible of Fundamental Confucianism. The ninth chapter, the first volume of Xici(繫辭) explain that Hetu-Luoshu is composed with from one to ten. Namely it is mentioned that "Heaven is one, earth is two ; heaven three, earth four ; heaven five, earth six; heaven seven, earth eight; heaven nine, earth ten." And Hetu-Luoshu symbolized the god(神), the dunce(蓍), the tortoise(龜), the number(數) etc. in the Book of changes. Hetu-Luoshu is found out five code(W?di??n 五典) and Hongfan(洪範) etc. in the Classic of Documents(Sh?j?ng, 書經). The Classic of Documents symbolize the Providence of Lishu. It is composed of the time of sexagenary cycle(干支度數) and Hetu-Luoshu that are the way of Heaven. Hetu-Luoshu is found in the Classic of Foetry(Sh?j?ng, 詩經). The Classic of Foetry represents the way of the superior man(j?nz? 君子) that is on the authority of the Hetu-Luoshu.

      • KCI등재

        상수(象數)원리를 정원구성에 적용한 용도서(龍圖墅)와 귀문원(龜文園)

        홍형순 ( Hyoung Soon Ho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2

        용도서와 귀문원은 홍만선이 저술한 『산림경제』 「복거(卜居)」 편에 실려 있다. 이 글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의 원리를 적용한 독특한 정원 구상안으로, 실제 조영된 바 없는 상상 속의 정원이다. 여기에는 두 정원의 모습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상수학에 대한 이해가 없이는 여기에 내재된 의미를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 기록을 고찰함으로써 정원도해에 담긴 의미와 조경사적 의의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글의 배경이 되는 저작 및 편찬자, 상수학의 개요를 살펴보았다. 또 하도와 낙서에 담긴 생수(生數)와 성수(成數), 음양, 사상, 팔괘도 등의 원리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거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도와 낙서는 우주변화의 원리 등 상수철학의 기본 명제들을 포괄적으로 추상화한 개념적 정의(conceptual definition)라 할 수 있는데, 용도서와 귀문원은 이를 정원구성 원리로 적용하여 거기에 담긴 의미를 구체적으로 경험하고, 반복 가능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한 조작적 정의(operational definition)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중국에서도 전례가 없는 독특한 사례이다. 둘째, 하도와 낙서에 내재된 의미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구체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정원이라는 생활공간이 선정되었고, 하도와 낙서의 방위개념과 위치와 수 등을 재현하는 소품으로 태극정과 십자각, 돈대, 우물, 연못 등과 함께 각종 수목이 사용되었다. 셋째, 용도서와 귀문원은 각기 하도와 낙서가 표상하고 있는 선천과 후천, 체와 용의 관계를 주 모티브로 하고 있다. 즉, 용도서는 하도가 표방하는 우주생성의 원리, 정적이며 조화, 질서, 상생의 모습을 상징하기 위하여 ``십장청``이라는 상록수만을 식재하도록 구상하였다. 귀문원에는 낙서가 표방하는 후천의 변화 즉, 동적이며 부조화 무질서, 상극, 변화를 표현하기 위해 화목과 과목을 자유롭게 식재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식재효과를 통해 구현하고자한 두 정원의 시각적 이미지(image)의 차별성은 용도서에는 ``청상함``, 귀문원은 ``화려함``으로 함축된다. 하도와 낙서가 바탕이 된 상수학은 고대 이래로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학파와 여러 학자의 지혜가 축적된 동양의 독특한 사고 체계이다. 따라서 그 개념과 이론이 심오하고 방대하며 해석의 관점도 다양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양철학의 제반 개념들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다. 추후 연구과제는 전통정원에 내재된 상수학 등 동양사상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Yongdoseo and Guimunwon are described in 「Bokgeo(卜居, fix abode)」 of 『Sanlimkyengje(山林經濟)』」 written by Manseon Hong. This record is a unique garden conceptual idea applying the principles of Hetu(河圖) and Luoshu(洛書), fanciful gardens which have not been actually constructed. Here, two garden types were concretely described respectively, however the underlying meaning therein cannot be apprehended without exact understanding about Sangsu stud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the meaning contained in Garden illustration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landscape therein through considering this tex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writer and the compiler who are the background of this writing and the outline of Sangsu studies were investigated. Also, the principles of Saengsu(生數), Seongsu(成數), Yin Yang(陰陽), Four Bodies(四象), Palgwedo(八卦圖), etc. which are in Hetu and Luoshu were consider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n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etu Luoshu are conceptual definitions which wholly abstracted the basic propositions of Sangsu philosophy such as the universe change principle, etc., while Yongdoseo and Guimunwon can be said to be operational definitions which apply those as garden composition principle, enabling to experience the meaning contained therein concretely and explain it in a replicable way. This attempt is a unique example, unprecedented in China as well. Second, as a living space, garden was selected as a means to concretize operational definitions about the meaning of Hetu Luoshu, and as the property to reproduce the bearings concept, the location and the number, etc. of Hetu Luoshu, Taegukjeong(太極亭), Shipjagak(十字閣), Dondae(墩臺), well, pond as well as various kinds of trees were used. Third, the main motif of Yongdoseo and Guimunwon is the relation between Apriority(先天) and Posterior(後天), and the relation between Constitution(體) and Use(用) of Hetu and Luoshu respectively. That is, Yongdoseo planted evergreen trees such as Shipjangcheong(十長靑) in order to symbolize the universe creation principle which Hetu stands for, i.e. silent, harmonious, orderly and win-win image. In Guimunwon, flowering trees(花木) and fruit trees(果木) were planted freely to express the change of Posterior which Luoshu stands for, that is, dynamic, disharmonious, disorderly, incompatible(相剋) and changing image. The effects intended to be attained through such planting were, ``freshness and cheerfulness(淸爽)`` of Yongdoseo and ``splendidness`` of Guimunwon respectively. Sangsu studies based on Hetu and Luoshu is a unique thinking system to the Orient which came from the accumulated wisdom of several scholars from various schools through a long period since ancient times. Therefore, the concept and the theory thereof are profound and huge, and its viewpoints of interpretation are diverse. It is a limit of this study that more in-depth and various consideration was not performed. As a further research project, more empirical study of Orientalism such as Sangsu studies, etc. inherent in Traditional Garden is necessary.

      • KCI등재

        한대 하도‧낙서관 고찰 - 참위서와 출토자료를 중심으로 -

        석미현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3 儒學硏究 Vol.63 No.-

        본고의 연구목적은 한대 참위서와 출토자료에 나타난 하도·낙서관을 살펴봄으로써, 그것이 주로 방술가 및 유가에 의해 형성·유포되었고, 또한 송대 도상학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밝히는 것이다. 먼저 참위서의 하도‧낙서를 세 가지로 나누어 논하였다. 첫째, 복희·우임금과 용·거북에 국한 되지 않는 다양한 전설로 소개된다. 둘째, 하도는 부명상서의 신물이자 하도라는 참서류의 서명으로 사용되었고, 천문지리·점술·책력·팔괘의 근원·십수론·천도를 상징하는 건괘 등의 여러 의미를 내포한다. 셋째, 낙서 역시 부명상서의 신물이자 낙서라는 참서류의 서명으로 사용되었고, 홍범구주, 천문, 점술, 글자의 기원, 구수론, 지도를 상징하는 곤괘 등의 관념을 가진다. 다음으로 참위서의 하도·낙서관은 서한초기 식반과 공통점이 있다. 둘은 모두 천문을 기반으로 한 점술도구와 문헌이며, 북두칠성을 중요한 기준으로 활용하고, 구수론이 동반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부류는 한서 「예문지」에서 수술가로 분류되며, 참위서는 수술가의 학문을 하였던 방술사들의 저술이므로, 그들이 하도·낙서를 수술에 끌어들여 한대의 하도·낙서관을 형성하였고, 참위서를 정치적으로 활용했던 관방의 유자들은 그것을 사용·유포하였다. 마지막으로 유흠은 오로지 주역과 상서에 근거한 하도팔괘설과 낙서구주설을 주장하였고, 한대의 하도·낙서관에 내포되어 있던 수리적 사유가 유목에 이르러서는 주역과 상서를 근거로 하여 그 속에 내포된 오행설의 숫자로 하도·낙서를 재해석하는데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Hetu and the Luoshu in the Han Dynasty, to reveal how it was formed and spread mainly by alchemists and Confucians, and also influenced the formation of iconography in the Song Dynasty. The Hetu and the Luoshu in the Han Dynasty usually appear in Chenweishu. First, the Hetu and the Luoshu in Chenweishu are introduced as various myths not restricted to Fu Xi and Yu Wang, dragons and turtles. Second, the Hetu was used as a mystical sign and the books called Hetu, and it has various meanings such as astronomical geography, fortune-telling, calendar, the source of Bagua (八卦), the theory of nine numbers, and Qian-Gua (乾卦) symbolizing TianDao (天道). Third, the Luoshu was also used as a mystical sign and the books called Luoshu, and has ideas such as HongFan JiuChou (洪範九疇), astronomical, fortune-telling, the origin of letters, the theory of ten numbers, and Kun-Gua (坤卦) symbolizing DiDao (地道). The Hetu and the Luoshu in Chenweishu have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Shipan (式 盤) of the Western Han Dynasty. Both the tool and the bibliography of astronomical fortune-telling, and the Big Dipper is used as an important criterion, and the theory of nine numbers is accompanied. This is classified as a numerologist in the Yiwenzhi of Hanshu, and since Chenweishu was written by alchemists who studied as numerologists, they attracted Hetu and Luoshu to numerology to form Hetu and Luoshu, and Confucians in government, who used it politically and spread it. Finally, Liuxin asserted the theory of Hetu Bagua and Luoshu HongFan JiuChou based solely on Zhouyi and Shangshu. Along with this, the thought of numerology implied in the theory of Hetu and Luoshu in the Han Dynasty, reached Liumu and influenced the reinterpretation of Hetu and Luoshu as the number of the Five Elements theory implied in it based on Zhouyi and Shangshu.

      • KCI등재

        천부경과 하도낙서

        조남호 한국도교문화학회 2008 道敎文化硏究 Vol.29 No.-

        천부경과 하도낙서는 모두 알 수 없는 그림과 숫자의 형태로 되어 있다. 천부경은 숫자와 문자로 되어 있고, 주희식의 하도낙서는 흰점과 검은 점으로 되어 있다. 흰점과 검은 점을 숫자로 환원하면 서로 비교할 가능성이 생긴다. 그래서 많은 연구자들은 천부경을 해석하는데 하도낙서를 원용하였다. 그러나 천부경을 해석하는데 하도낙서를 이용할 때는 이 둘의 차이점을 고려해야 한다. 천부경은 천지인의 구조로 되어 있고, 하도낙서는 음양오행의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육이란 글자를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서 나누어진다. 육을 천부경에서는 천지인+천지인의 결합으로 보고 있는 데 비해, 하도낙서 특히 하도에서는 일+오로 보고 있다. 천부경은 천지인을 중시한다면, 하도는 오를 중심으로 생수와 성수로 설명한다. 음양론적인 구도인 셈이다. 그리고 하도낙서는 정해진 그림이 있는 것이 아니라 학자마다 시대마다 다르게 규정되어 왔다. 우리가 알고 있는 하도낙서는 주희가 그린 그림이다. In the former studies, the Hetuluoshu was used in interpreting the Cheonbugeong. A typical author was Jeon, Beonghun. The reasons are: firstly, there are ten(十) and nine(九) in the Cheonbugeong, and they are corresponding to ten of Hetu and nine to Luoshu; secondly, in interpreting the Usamsa(運三四) in Cheonbugeong, But, this kind of interpretation has focused on the identical aspect alone and does not see the subsequent problems. Firstly, the Hetuluoshu has a lot of interpretations in the history. Hetu and Luoshu were not presented as a drawing until Sung Dynasty, and even in Sung dynasty there were cases where Hetuluoshu were interpreted reversely. In Ching dynasty, there also were people who denied the existence of Hetuluoshu. Neo-Confucianists and some Taoists agree in general, but other scholars are showing discrepancy. When interpreting the Cheonbugeong with the Hetuluoshu, we have to consider this hermeneutic problems. Secondly, in the Cheonbugeong, there is a sentence that Six generates Seven, Eight, and Nine(六生七八九). Here, Six is explained as the something but Seven, Eight, and Nine. Meanwhile, Six is the same as Seven, Eight, and Nine in the Hetuluoshu. Moreover, the role of Six in the Cheonbugeong is taken by Five in the Hetuluoshu. Five has a central role in the Hetuluoshu, connecting One, Two, Three, and Four with Six, Seven, Eight, and Nine. Six means the double of Heaven-Earth-human, Neo-Confucianists explained it as Tai Chi(太極). The role of Tai Chi is taken by One in the Cheonbugeong. In these respects, we can evaluate that the Hetuluoshu and the Cheonbugeong have different philosophical and historical origins.

      • KCI등재

        『周易』의 河圖洛書論에 근거한『正易』의 八卦圖에 대한 고찰

        임병학(林炳學)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6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70 No.-

        본 논문은 『주역』의 하도낙서론(河圖洛書論)을 근거로 『정역』의 팔괘도(八卦圖)에 대하여 고찰하였다.『정역』에서는 소강절의 복희선천팔괘도와 문왕후천팔괘도 그림은 받아 들였지만, 팔괘도의 이름에서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을 사용하지 않고, 제3의 정역팔괘도(正易八卦圖)를 그리고 있다. 『주역』「계사상」 제9장에서는 하도 55(五十有五)와 낙서 45(四十有五) 그리고 대연지수(大衍之數) 50(五十)을 논하고 있는데, 이것이 3개의 팔괘도와 서로 결부되는 것이다.『정역』의 팔괘도에서 복희팔괘도는 대연지수와 결부되고, 문왕팔괘도에는 낙서의 수를 직접 배치하고, 정역팔괘도는 하도와 결부되는 것이다. 복희팔괘도에서는 십(十)과 오(五)를 상징하는 건괘(☰)와 곤괘(☷)를 남북의 중심축으로 진괘(☳)와 손괘(☴), 감괘(☵)와 이괘(☲), 간괘(☶ )와 태괘(☱)가 대응하고 있다. 팔괘의 괘상이 안에서 밖으로 향해 있어 내면의 인격성을 자각하기보다 대상세계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아직 인격성이 드러나지 않은 자연 상태를 의미하고 있다. 특히 복희팔괘도를 설명한 「설괘」 제3장에서는 하도낙서의 왕래(往來) · 순역(順逆)작용을 논하여 팔괘도를 하도낙서와 결부시켜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문왕팔괘도에서는 낙서의 수를 팔괘에 직접 배정하여 천도(天道)의 사상작용을 표상하고 있다. 문왕팔괘도에서는 팔괘의 괘상이 안에서 밖으로 향해있지만 그 합은 십(十)이기 때문에 단순히 내면의 인격성을 자각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오(五)를 완전히 귀체시킨 천의 작용으로 양과 양, 음과 음이 서로 등을 대고 있는 괘도이다. 정역팔괘도에서는 이천(二天,☰)과 칠지(七地,☷)의 원천화(原天火)를 부가하여, 일(一)부터 십(十)까지 수를 팔괘에 결부시켜 하도의 수와 일치하고 있다. 또 팔괘의 괘상이 밖에서 안으로 향해 있고, 팔괘가 서로 마주보면서 합덕하고 있다. 정역팔괘도는 하도와 같이 음양이 합덕된 오행(五行)작용을 표상하는 괘도인 것이다. This paper is about Eight trigram(八卦圖) of Zhengyi based on Hetu(河圖)-Luoshu(洛書) of I Ching. There are Fuhsi’s eight trigram of Front Heaven (伏羲先天八卦圖) and King wen’s eight trigram of Rear Heaven(文王後天八卦圖) in Shaoyong (邵雍) picture in Zhengyi(『정역』). Ilbu(일부) didn’t use Front Heaven(先天) and Rear Heaven(後天) in names of Eight trigram, but drew a third Zhengyi’s eight trigram(正易八卦圖). There are commented Hetu 55, Luoshu 45, and DayanZhishu(大衍之數) 50 the first volume of Xici(繫辭) chapter 9 and they are related to three of Eight trigram. In other words, Fuhsi’s eight trigram(伏羲八卦圖) are connected to DayanZhishu, the number is placed in King wen’s eight trigram(文王八卦圖) directly Luoshu and Zhengyi’s eight trigram colligates Hetu. Qian(乾,☰) and Kun(坤,☷) that are symbols of 10 and 5, are in the center axis of the north-south and Zhen(震, ☳) corresponds to Xun(巽,☴ ), Kan(坎,☵) responds to Li(離,☲), and Gen(艮,☶) copes with Dui(兌,☱). Yaoxiang(卦象) of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八卦) faces from in to out, so it means natural condition because it’s heading to objective world than aware of inside. Especially, it’s discussing about WangLai(往來)·ShunNi(順逆) action of Hetu-Luoshu in Shuogua(說卦) chapter 3, that explained Fuhsi’s eight trigram. That provides clues that can understand by connecting Eight trigram and Hetu-Luoshu. lbu represented Sixiang(四象) action of the way of Heaven(天道) through assigned numbers of Luoshu to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in King wen’s eight trigram. Yaoxiang of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heads to outside, but the total is ten, it’s not realising personality but is a hanging picture that Yang(陽), Yang and Yin(陰), Yin are back to back is action of heaven. In Zhengyi’s eight trigram, Yuantianhuo(原天火) of Ertian(二天,☰) and Qide(七地,☷) were added and by the number from one to ten connecting to 팔괘, agree with the number of Hetu. And Yaoxiang of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 heads for inside from outside and Eight Trigrams for divination’s form a whole looking each other. Zhengyi’s eight trigram is a hanging picture that presenting the Five Elements action balanced of yin and yang.

      • KCI등재

        『주역(周易)』의 하도(河圖)·낙서(洛書)와 「계사상(繫辭上)」 제9장 고찰

        임병학 ( Lim Byeong-hak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3

        본 논문은 『주역』의 河圖와 洛書가 易道의 표상체계임을 밝히고, 「계사상」 제9장에서 논한 河圖洛書論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周易』에서 河圖와 洛書는 數로 구성된 그림으로 數를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가? 라는 근본적인 물음에서 출발하였다. 「설괘」 제1장에서는 성인이 天地之道를 주체적으로 자각하고, 그것을 河圖·洛書와 卦爻로 표상하였고 하였다. 「계사상」 제11장에서는 河圖·洛書를 직접 언급하면서 神物로 규정하고, 「계사상」 제9장에서는 一에서 十까지의 天地之數를 논하고 있다. 제9장에서는 河圖와 洛書의 理數를 통해 동양철학의 근본적 개념인 陰陽·五行·四象을 논하고 있다. 河圖는 五를 본체로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음양의 합해져 五行이 운행되는 원리인 `體五用六`을 표상하고 있으며, 洛書는 十을 본 체로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의 四象작용을 표상하기 때문에 `體十用九` 원리를 표상하고 있다. 河圖와 洛書는 서로 체용의 관계로 하나이면서 둘인 관계이다. 河圖는 五를 本體로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으로 마치지만, 十에서는 洛書로 되어 다시 十을 본체로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 → 五로 마치고, 또 五에서 다시 河圖의 작용이 시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河圖는 음양의 합해져 전개되는 인격적 세계의 작용원리인 五行을 위주로 밝힌 그림이라면, 洛書는 음양이 합해지기 이전의 작용인 天道의 四象작용을 위주로 밝힌 그림이라 하겠다. This paper determined that Hetu(河圖)-Luoshu(洛書) of I Ching are a symbol system of the moral doctrine of changes(易道) and considered Hetu-LuoshuLun(河 圖洛書論) that examined in the first volume of Xici(繫辭) chapter 9. Hetu and Luoshu of I Ching are pictures being made up numbers. This paper started by asking what would want to expose through number is it. In Shuogua(說卦) Chapter 1, It said that Saint expressed Hetu-Luoshu and Guayao(卦爻) it after realized Tiandezhidao(天地之道) by himself. first volume of Xici Chapter 12 presents Hetu-Luoshu directly and characterized those as Shenwu (神物). first volume of Xici Chapter 9 treated Tiandezhishu(天地之數), from one to ten and dessert Yinyang(陰陽)·Wuxing(五行)·Sixiang(四象) that is fundamental concept of Eastern philosophy throughout Lishu(理數) of Hetu-Luoshu. Hetu attaches primary importance to five and acts as 一·六 → 二·七 → 三·八 → 四· 九 → 五·十. Also Hetu expresses `Tiwuyonglu(體五用六)` that is the principle, Wuxing(五行) runs by combining Yinyang(陰陽). Luoshu attaches primary importance to ten and represented Sixiang(四象)`s action of 九(一) → 八(二) → 七(三) → 六(四). Luoshu expresses `Tishiyongjiu(體十 用九)`. Hetu and Luoshu are relationships of Tiyong(體用) each other, as both one and two. Hetu turn on five and completed with 一·六 → 二·七 → 三·八 → 四·九 → 五·十. But In ten, it becomes to Luoshu and turn on five and completed with 九(一) → 八 (二) → 七(三) → 六(四) → 五. It starts action of Hetu at five again. Therefore Hetu is a picture that determined mainly with Wuxing, is an action principle of world of phenomenon from join Yinyang, but Luoshu is a pictures that determined mainly with Sixiang`s action of the way of heaven, is action before join Yinyang. In addition, Hetu and Luoshu is thing that Saint realized the principle of Shenming(神明), including the way of human(人道). Therefore noble man realizes the way of heaven throughout number and figure of Hetu-Luoshu and practices the way of human, is the way of human life.

      • KCI등재

        『正易』의 입장에서 본 王龍溪의 易學思想

        임병학(Lim, Byeong-hak) 한국양명학회 2013 陽明學 Vol.0 No.36

        본 논문은 韓國易學인『正易』의 입장에서 陽明學에서『周易』을 체계적으로 해석한 대표적 학자인 王龍溪의 易學思想을 고찰하였다. 龍溪의 역학사상은 기본적으로 그의 스승인 王陽明의 易學觀을 계승하여, 易學의 두 견해인 象數易學과 義理易學을 자신의 心學的입장에서 하나로 통일하고 있다. 그는『周易』의 十翼가운데 특히 ‘大象辭’에서 밝힌 君子의 의리를 중시하여 『大象義述』을 지었을 뿐만 아니라 『先天後天解義』·『河圖洛書解義』· 『易與天地準一章大旨』· 『圖書先后天跋語』· 『太極亭記』등을 저술하여, 宋代 圖書象數易學의 핵심적 내용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에 『正易』이 밝히고 있는 역학의 3대 근본 문제 즉, 첫째 易學은 聖人之學이라는 것이고, 둘째 干支度數와 河圖洛書를 통해 표상하는 易道가 曆數原理이며, 셋째 易學의 先後天論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제2장 良知와 易에서는 良知와 易을 동일시하면서 良知를 깨우친 자가 聖人이라 하여, 易學이 聖人之學임을 고찰하였으며, 제3장 良知와 先後天論에서는『先天後天解義』를 중심으로 『正易』의 先後天論과 龍溪의 先後天論을 비교?고찰하였다. 용계는 先天은 本體로, 後天은 作用으로 규정하고, 자신의 體用一源의 논리에 바탕하여 일체적인 관계로 설명하는 독창적인 해석을 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4장 良知와 河圖洛書論에서는『河圖洛書解義』을 중심으로 용계가 언급한 河圖洛書論의 『正易』的의미를 고찰하였다. 용계는 河圖와 洛書를 順逆으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周易』 說卦제3장에 근거한 것이다. 易學에서 河圖洛書原理의 구체적인 내용은 『正易』을 통해 확연히 드러나기 때문에 『正易』의 내용과 용계의 河圖洛書論의 유사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동학의 관점에서 본 우주변화의 원리고찰 -洛書 相克의 限界와 그 克服으로서의 相均圖-

        이찬구 동학학회 2007 동학학보 Vol.11 No.2

        이 글은 현행 河圖와 洛書의 相生 相克 관계에서 특히 洛書의 相克原理가 갖고 있는 한계를 지적하고 그 극복방안을 東學의 관점에서 제시하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易學에서 말하는 先天과 後天을 필자는 하루에 밀물(潮水), 썰물(汐水)이 午前, 午後에 한번씩, 모두 두 번 있는 것에 깊이 유의하여 午前과 午後를 先後天으로 나누고, 오전의 선천에도 상생과 상극이 일어나며, 오후 후천에도 상생과 상극이 일어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기존의 하도(상생)와 낙서(상극)는 오전선천의 상생과 상극일 뿐이요, 개벽에 들어가 후천의 단초가 열리는 상황 하에서 오후 후천에는 그 後天의 陰에 맞는 상생도가 나오고, 상극도가 나와야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생은 오행의 기본도이므로 선천이나 후천이나 변하지 않지만, 문제는 후천의 상극도인 것이다. 다시 말해 後天에 맞는 第2 洛書가 나와야한다는 주장이다. 現行 洛書 相克圖는 후천 陰의 시대에 들어서면 金은 더욱 旺해져 木은 金에 의해 滅木(木이 滅沒되는 것;大過卦) 당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렇게 金이 木을 침몰시켜 오행 중에 목이 滅木당하면 五行의 循環이 停止하는 破滅을 맞이할 것이다. 이런 木의 파멸은 지구생태계에서 벌어지고 있는 온갖 생명파괴현상에 비유할 수 있다. 木은 오행 중에서 살아 있는 생물체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五行은 自己調節能力을 갖고 있고, 生命의 氣는 進化를 위한 氣化 作用을 끊임없이 전개한다. 그동안 五行의 中央位는 洛書의 5皇極, 正易의 6皇極으로 불리었으나, 이와는 전혀 달리 第2洛書는 3.8木을 中央의 皇極으로 삼아 五行關係를 새롭게 표시한다. 先天洛書의 相克圖에서 木과 土가 자리바꿈을 한 것이다. 이것이 木土交易이며, 參伍(3과5)錯綜이다. 이는 天道의 一大變革이다. 이를 일러 後天 新相克圖로서의 ‘相均圖’라 한다. 이러한 명칭은 東學의 相均論에 基礎한 것이며, ‘相生’, ‘相克’에 이은 ‘相均’의 三元的 構造로써 五行論을 說明한 것이다. 이 相均圖는 北方에 水, 西方에 火, 南方에 金, 中央에 木, 東方에 土가 자리한 것이다. 따라서 洛書 5皇極은 先天의 皇極圖일 뿐, 후천에 들어서면 木을 돌보지 못한다는 면에서 眞正한 皇極이 못된다. 洛書 皇極은 10이 없는 5皇極이었으나, 新皇極圖는 3.8木이 中央에 들어가 陰陽 合體로 존재한다. 다시 말하면 3.8木이 中央 皇極이 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相均圖가 나타내주고 있는 皇極圖는 木皇極이며 靑皇極인 것이다.

      • KCI등재

        하도·낙서의 사주명리적 전개

        하명렬 ( Ha Myoung Lyoul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1

        본 연구는 사주명리학에서 인간의 운명을 추론할 때 근본으로 하는 음양오행과 오행의 상생·상극 원리, 그리고 하도·낙서의 사주명리적 전개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연구결과, 음양오행론은 태양과 성(星)의 위치·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자연 법칙에 따라 발전하였으며, 하도·낙서에서 오행의 상생·상극 원리를 찾을 수 있었다. 하도와 낙서를 비교하면 남방의 화(火)와 서방의 금(金)이 서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하도를 체(體)로 낙서를 용(用)으로 삼은 결과이며 금화교역이라 명명한다. 사주명리는 인간의 생로병사와 길흉화복을 예측하여 운로(運路)의 변화에 따른 취길피흉에 목적을 둔다. 사주명리는 하도·낙서로부터 발전되어온 음양오행론을 근원으로 한다. In this study, Eumyang Ohaeng, Sangsaeng, Sangeuk principle of Ohaeng based on which human fortune is fundamentally inferred in Saju Myeongri theory and development of Hado, Naksuh based on Saju Myeongri were researched. As a result of this study, Eumyang Ohaeng theory was developed based on natural law being represented by position, change of the sun and stars and Sangsaeng, Sanggeuk principle could be found in Hado, Naksuh. It could be realized that when comparing Hado with Naksuh, Hwa of southern region and Geum of western region were reversed. This is a result of taking Hado as Che and Naksuh as Yong and it was named after Geumhwa Gyoyeok. The objective of Saju Myeongri is to take lucky fortune and avoid bad omen based on change of fortune by forecasting human fate. Saju Myeongri is based on Eumyang Ohaeng theory that has been developed from Hado, Naksuh.

      • KCI등재

        <하도·낙서>와 劉牧의 易數學

        주광호(JOO KWANG HO) 한국동양철학회 2016 동양철학 Vol.0 No.46

        주자의 <하도·낙서>에 관한 관점은 주로 유목의 영향 하에 형성되었다. 유목은 ‘易數’ 즉 ‘수리의 보편타당성’이 <하도·낙서>의 본질이라고 보았으며, 이는 주자에게 그대로 계승·발전된다. 유목의 河洛學은 『주역』 경전에 대한 해석의 차원을 넘어 『주역』의 근원이 어디에 있는가에 대한 탐색이었으며, 따라서 종래의 ‘경전 해석’이나 ‘괘기론적 역학’과는 달리 세계의 본원과 본질에 대한 물음이라는 성격을 갖는다. 그가 본 세계의 본원과 본질은 數理였으며 이는 세계에 대한 모사요 상징인 象보다 우선하는 것이었다. 주자는 유목의 數理를 다시 ‘理’로 일반화 하여, 이 세계의 균형과 질서를 설명하는 근거로 삼고자 하였다. 만약 유목과 주자의 하락학을 <하도·낙서>의 수적 조합으로부터 『주역』과 홍범 이 도출되는 과정으로 읽는다면 ‘과도한 해석’이라고 밖에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를 거꾸로, 세계의 균형과 질서를 수리의 보편타당성으로 치환하고 그것을 <하도·낙서>라는 도상으로 구현해 낸 것이라고 한다면 이러한 해석은 의도와 의미의 차원에서 충분한 가독성을 지닌다고 하겠다. The point of view of Zhu-xi’s Hetu-Luoshu was mainly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Liu-mu. Liu-mu sees ‘universal validity of mathematics’ as the essence of Hetu-Luoshu, which is inherited and developed by Zhu-xi. Liumu s Mathematical Theories of Zhou-yi was a search for where the origin of Zhou-yi was beyond the interpretation of Zhou-yi. Therefore, unlike the conventional interpretation of Zhou-yi or the Guoqi theory of Zhou-yi of the past, it was a question of the origin and the nature of the world. The nature of the world he saw was mathematical logic, and this was a precedent over Xiang, a similitude symbol for the world. Zhu-xi generalizes the mathematical logic of Liu-mu to ‘Li’, so as to provide a basis for explaining the balance and order of this world. If we read it as the process of deriving Zhou-yi and Hengfan from the numerical combination of Liu-mu and Zhu-xi s Mathematical Theories of Zhou-yi, then we can only say that is a excessive interpretation . However, on the contrary, if we read it as the process of the balance and order of the world are replaced by universal validity, and it is embodied in the image of Hetu-Luoshu, then this interpretation has sufficient readability in terms of intention and mea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