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하우로서의 倫理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인지과학과 동양철학 연구

        유권종(Yoo, Kwon-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0 동양철학 Vol.0 No.34

        급진적 구성주의의 학문 연구를 주도했던 인물들 가운데 한 사람인 프란시스코 바렐라(1946~2001)의 강연집 『윤리적 노하우』는 동양의 전통적 가르침이 정립했던 것을 윤리적 노하우라는 관점으로 조명한 내용을 담고 있다. 그의 저서는 동양철학 전공자에게 연구의 중요한 진전을 가져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음에 틀림없는 것이다. 본 연구는 바렐라의 견해를 분석하고, 그의 관점과 연구 내용을 동양철학 연구 특히 유교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방향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순서는 인지과학의 흐름과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학문, 『윤리적 노하우』의 체계와 주요 관점, 윤리에 관한 지식의 본질, 윤리를 노하우로 보는 것이 타당한가? 동양철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의 논의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철학연구에 적용가능한 『윤리적 노하우』의 특징적 구도를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현대인의 윤리적 실천의 현실에 관한 그의 문제의식, 둘째 서구철학적 사고 내지는 초기 인지과학의 계산주의적 모델의 극복과 구성주의 모델의 확립, 셋째 존재론적 이원론의 구도를 넘어서는 생명론적 일원론의 구도로의 전환, 넷째 숙련에 의한 자기창조의 원리 등이다. One of leading members of radical constructivism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Francisco J. Varela's Ethical Know-how, which is a collective publication of his speeches, newly explains the Asian traditional teachings as a very useful and meaningful wisdom depending on a new conception of ethical know-how he developed. It is sure that his work gives a moment to specialist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article is for the analysis of his ideas about the ethical know-how and at the same time for a search for possible way to apply his ideas and methodology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This study is going on with the order as follows; current stream of cognitive science and Varela's researches, the principle of Ethical Know-how and main viewpoints, the essence of knowledge of ethics, the explanary structure of Ethical Know-how, and new viewpoint of Asian philosophical studies. According to this study, his ideas and theoretical poi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tudies of Asian traditional thoughts are summarized as follow; his strong and consistent willingness to improve the low level practice of ethics in contemporary societies up to a higher level practice, changing the thinking model for the improvement leaving from th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or the computational style of the early cognitive science settling to radical constructivist model, establishment of the monistic principle on the basis of the life itself with rejection of the ontological dualism, and construction of autopoiesis(self-organization) by means of mastery of the know-how.

      • KCI등재

        마음과 뇌

        유권종(Yoo, Kwon Jong) 한국동양철학회 2011 동양철학 Vol.0 No.36

        본 연구는 뇌과학/신경과학의 연구성과를 유교의 수양론을 해명하는 새로운 과학적 원리로 채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의하는 것, 그리고 유교의 마음 이해의 맥락을 뇌과학/신경과학의 탐구에 접맥함으로써 과학에 근거한 인문학적 담론의 관점을 다양화시키고 담론을 풍성하게 하는 방향을 탐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논의한 내용은 첫째 마음과 뇌에 관한 접근 가설의 비교, 둘째 유교 심학의 마음 이해의 특징, 셋째 유교적 마음이해의 인지과학적 재해석, 넷째 바렐라의 생명중심 관점과 유교적 마음 이해의 연결점 등이다. 논의의 방법은 최근 인지과학 특히 뇌과학/신경과학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는 인문학적 담론의 갈래를 크게 세 가지 계통으로 나누어보고 이 가운데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관점을 유교의 수양론 내지 그것에 작용한 유교적 마음 이해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타당성을 논증하는 것이다. 뇌와 신경에 관한 과학적 연구성과에 기초하여 전개되는 인문학적 담론의 갈래는 크게 기존의 물리주의 혹은 유물론적 입장을 견지하는 패트리셔처칠랜드의 제거적 유물론이 있으며, 이에 대해서 의식은 뇌로 환원될 수 없음을 주장하면서 뇌 외적인 요소들이 의식과 상호 연관되어 있음을 강조하는 계열이 있다. 그리고 이와는 달리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서 생명 현상을 인지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명 개체의 목적론적 활동을 인지연구의 중요사항으로 보는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신경현상학적 입장이 대립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의 마음 이해는 바렐라의 관점과 근접해 있음을 논의하였으며, 그리고 유교적 마음 이해가 현대의 뇌과학/신경과학의 연구방향, 혹은 그에 바탕으로 두고 이루어지는 인문학적 담론에 중요한 경험적 지혜를 줄 수 있음도 함께 논하였다. The target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It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he results of brain/neuro-science to be adopted as a new scientific theory for the explanation of the methodological propriety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For this, four items are researched. The first is comparisons of accessible hypotheses concerning the mind and the brain. The second is the features of understanding of mind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 Mind-learning. The third is the re-interpretation of Confucian understanding of mind under the cognitive science. And the last is the connection between Francisco Varela’s viewpoint which is based on the life itself not on the ontology and Confucian understanding of mind. The discourses of the Humanities based on the latest products of the brain/neuro-scienc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but among them only F. Varela’s discourse is appropriate for explain and support the propriety of Confucian self-cultivation and understanding of mind. The discussion on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demonstration of the validity of F. Varela’s viewpoint and Confucian methodology of self-cultivation. Patricia S. Churchland, as a pioneer of Neurophilosophy, strongly discerns her Neurophilosophy as the eliminative materialism from the folk psychology, and insists all the philosophical discussions should be reduced to the results of the brain science. There is a strong opposition against her attitude from the side of Alva Noё and according to this human mind or consciousness cannot be reduced to the brain. However F. Varela’s attitude belongs to none of the two groups. He opened a new field, that is Neurophenomenology, which stressed, through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and neuroscience, on the cognition of the life phenomena and regarded the teleological activities of the living things as the most important target of the research of the cognitive science. This Varela’s attitude can be the closest to the Confucian attitudes of self-cultivation methodology. And instead the Confucian viewpoint will be able to suggest a way of wisdom to brain/neuro-science and related discourses of Humanities.

      • KCI등재
      • KCI등재

        스크린 기반 인공지능 예술과 포스트휴먼 관람성 - 레픽 아나돌의 <감독받지 않은 Unsupervised>을 중심으로

        조선령 현대미술학회 2023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7 No.2

        This paper explains the spectatorship presented by Refik Anadol’s Unsupervised, which is a screen-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artwork, through the posthuman theor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work is a new type in that it does not belong to either the interaction model or the delegation model as categorized by the technology theorists. Unsupervised creates the images and sounds by using the flow of data as triggers, including both the viewers’ perceptionmovement in the museum lobby and the changing weather condition outside the museum. But it is not directly experienced by the audience. Unsupervised has a paradox that it appears to be an ‘autonomous’ work even though it constructs a system from a human-machine feedback loop. This paper interprets it through autopoesis theory by Humberto Maturara and Francisco Varela. Next,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work created with the coopera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through Varela’s emergence theory and Katherine Hayles’ theory of nonconscious cognition devised with reference to it. This paper names the spectatorship of Unsupervised as posthuman one as mentioned by Hayles, and concludes that the work can be a new model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s. 본 논문은 스크린 기반 인공지능 예술작품인 레픽 아나돌의 <감독받지 않은>이 기존의 상호작용 모델과 위임 모델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새로운 종류라는 점에 주목하여 이 작품이 창출하는 관람성을 포스트휴먼 이론으로 설명해보고자 한다. <감독받지 않은>은 관람객의 지각-운동을 포함한 미술관 로비 환경 및 외부 날씨 변화에서 오는 데이터의 흐름을 트리거로사용하여 이미지와 사운드를 만들어내는 작품이지만, 관람객에게는 이 사실이 직접 경험되지않는다. 본 논문은 이 작품이 인간-기계의 피드백 루프로 구성된 하나의 시스템을 창출하고있음에도 외관상으로는 ‘자율적’ 작품인 것처럼 보이는 역설에 주목하여 이를 움베르토 마투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자기생성 이론으로 설명한다. 이어 본 논문은 인간과 기계의 협응으로 생성되는 이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바렐라의 창발 이론과 이를 참조하여 만들어진 캐서린 헤일스의 무의식적 인지 이론을 통해 살펴본다. 본 논문은 이 작품의 관람성을 헤일스가 말한 포스트휴먼적 관람성으로 명명하며, 이 작품이 인공지능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한 가지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다고 결론 내린다.

      • KCI등재

        시간의식의 현상학과 신경과학: 인문학기반 융합연구로서의 신경현상학을 중심으로

        김태희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3 한국융합인문학 Vol.11 No.2

        Rigorous methodology needs to be considered for productive humanities-based convergence research.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present and evaluate an example of such methodology in the context of convergence research between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 This article presents Varela’s neurophenomenological research, which front-loads Husserl’s phenomenology of time-consciousness into neuroscience research and analyzes it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for humanities-based convergence research. Through dynamic theory, Varela’s study links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field of presence as a structure of retention - primal impression - protention to the biological basis of brain activity. According to this study, while brain activity occurs on three temporal scales—elementary, integrative, and narrative scale, the integrative scale corresponds to the field of presence. The significance of this neurophenomenology is that it provides a medium for explaining time-consciousness and bridges the explanatory gap regarding the difficult problem of consciousnes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as it is difficult to explain ‘consciousness of time’ with ‘time of consciousness’ and what it provides cannot be more than the isomorphism between experience and neural processes. Furthermo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humanities-based convergence research are that humanities should maintain its ideas and methodology and that humanities can serve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