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자아이미지 스토리텔링 표현 연구

        한지운(Han, Ji Woon),나건(Nah, Ke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자기표현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본능이며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다. 특히 시각에 기반한 자기표현은 예술⋅디자인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시각도구를 활용한 자기표현은 본능 충족의 목적뿐만이 아닌 자기의 이해 및 타인과의 소통을 위한 도구로서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본 연구는 15세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미지 스토리텔링 이론과 연계한 시각적 자기표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디자인 요소인 색채를 기반으로 한 자아이미지 스토리텔링의 특징을 연구하고 향후 교육활동 분야의 활용 가능성을 제안함에 있다. 연구방법으로 자아이미지 및 정체성 이론과 서사적 정체성 이론을 고찰하고 표현이론에 해당하는 이미지 스토리텔링을 색채 활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실험연구는 15세 여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정성조사로 진행하였다. 정성조사를 통해 자아이미지 영역에 대한 표현 분석과정에서 이미지 스토리텔링에 적합한 자아 이미지 영역을 찾고 시각화 작업을 거쳤다. 본 연구의 범위는 시각적 자기표현 및 이미지 스토리텔링에 해당하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결과로 시각적인 자기표현은 색채와 형태에서 단어의 서사적 확장을 통한 구체적인 설명과정을 거친다. 그 중에서 자아이미지의 시각요소인 색채는 감정의 즉각적인 시각표현 도구이고, 언어는 단어에서 스토리텔링의 서사적인 형태로 확장된다. 이는 시각디자인의 요소를 활용한 자아이미지 스토리텔링으로 연계된다. 이와 같은 시각적 자기표현은 자아정체감 형성기에 해당하는 청소년들에게 자기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을 줄 것이다. 자아이미지 요소 중에서 능력 자아이미지는 이미지 스토리텔링 형식으로의 적용에 적합한 영역임을 볼 수 있었다. 신체 자아이미지는 후속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디자인 요소를 활용한 청소년의 자기표현 프로그램으로 연계하여 자기표현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Self expression is the instinct that humans possess and can be expressed in various ways. Especially self expression based on vision can be found in the field of art and design. Self expression using visual tools is important not only for the purpose of fulfillment of instincts but also as important tool for understanding of one"s own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This study is a visual self-expression study in connection with image storytelling theory for 15- year-old female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lf-expression based on colors, which is a visual design element. Also,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self-image storytelling and suggested possibilities of future use of educational activities. Four different theories were studied for this research. Considered self-image, identity, narrative identity and image storytelling corresponds to expression theory. Especially, we focused on color expression as a design element. In the experimental study, a qualitative survey was conducted for youth aged 15 years ol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expression of self-image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we found the self-image elements suitable for the image storytelling and got the visualization work-shop. The scope of this research corresponds to visual self-expression and image storytelling, and it targets young people. As a result of the research, Visual self-expression goes through specific explanations through the narrative expansion of words in color and form. Among them, color, the visual element of self image, is an instant visual expression tool of emotion. Also, the language extends from the word to the narrative form of storytelling. This is linked to the self-image storytelling using elements of visual design. Self expression, especially for young people who respond to the period of self identity development gives not only their own understanding but also communication support. Among self-image elements, self-image of one"s ability is suitable for image storytelling. The self-image of body needs to present a more concrete methodology through subsequent research.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linked to the self -expression program of youth using visual design element. This is expected to help communication through design as well as self-expression.

      • KCI등재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과 이에 따른 정서표현성, 문제행동 및 심리적안녕감: 아동·청소년·성인집단의 비교

        박하얀,정윤경,최해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8 No.3

        본 연구는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성의 발달적 양상을 살펴보고 발달 단계별로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 및 문제행동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아동․청소년․성인을 대상으로 정서표현양가성, 정서표현성, 문제행동과 심리적안녕감을 측정하여 그 변화와 관련성의 발달적 양상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성, 문제행동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안녕감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줄어드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둘째,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성은 집단에 따라 대조된 결과를 보였다.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을수록 아동집단에서는 정서표현 수준이 높았으며, 성인집단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정서표현양가성과 문제행동은 모든 연령집단에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흥미롭게도 청소년의 경우에는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을수록 내재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 모두 높게 나타나는 반면 성인의 경우 내재화 문제행동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안녕감과의 관련성은 아동집단에서는 뚜렷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고 청소년과 성인집단에서는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을수록 심리적안녕감이 낮았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developmental changes i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E) and the relationships among AE, emotional expressiveness (EE), and behavior problems (BP) by age group. Groups of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AE, EE, B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E and EE improve with age. Second, A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E in the children group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EE in the adult group. Third, A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P in every group. An interesting finding was that AE was correlated with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P in the adolescent group, but only with internalizing BP in the adult group. Finally,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adolescent and adult groups, but not in the children group.

      • KCI등재

        Honorific Expressions and Registers in Korean

        Ahn, Hyun-Jung(안현정),Kwon, Yeon-Jin(권연진)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1

        본 논문은 한국어의 존칭표현이 공손이론(politeness theory)으로 설명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화용론적으로 Agha(1998)의 언어사용역 이론(enregisterment theory)과 Silverstein(2003)의 단계적 지표성 이론에 어떻게 부합되는지를 논의한 연구이다. 특히 Brown and Levinson(1987)의 존칭표현과 Hill(1986)에서 주장한 인식의 표현에 근거한 존칭표현을 분석하였다. Brown and Levinson의 존칭표현에서는 존칭표현이 ‘face-threatening act’로 인해 사용된다고 주장되었다. 다시 말해서 존칭표현은 파괴적이거나 부정적인 효과가 있을 때 이를 완화하기 위해서 쓰이는 언어표현이라고 정의하였다. 그에 반해, Hill에 따르면, 존칭표현이나 존대표현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권력이 있는 사람에게, 연장자에게, 그리고 더욱 형식적인 상황에서 쓰인다고 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사모임 회의에서 나타난 존칭표현인 ‘-시, -께서, 분, 저희, 드리다, -ㅂ니다’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존칭어의 경우 Brown and Levinson의 공손이론이 더욱 적합한 것을 밝히며, 또한 Agha와 Silverstein의 기호학적 언어사용역과 지표성이 한국어 대화에서 존칭표현과 공손표현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밝힌다. 이는 한국어 화자들이 존칭표현과 공손표현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특정한 지표를 나타내는 지표화된 표현임을 암시한다. 특히 지표성 순서에서 높은 단계인 2-3단계의 지표성을 사용함으로써 한국어 화자들은 존칭표현을 통하여 지위의 높고 낮음뿐만 아니라 지시와 명령의 대면 행위의 부정적인 얼굴 표현을 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유자재로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존칭표현은 단순한 높임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이지만 사회적 계층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형식적인 면을 표현해 주는 간접적인 2-3단계의 지표가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use of honorific expressions is heavily dependent on the contex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locutors. Honorifics are used as a manifestation of discernment(Hill et al 1986, Ide 1989, 2005, 2006, Ide & Yoshida 1999), which means that speakers use honorifics to be polite to: 1) a person of a higher social position, 2) a person with power, 3) an older person, and 4) in a formal situation. On the other hand, honorific expressions, as polite expressions in Korean and Japanese, are also used to redress the ‘face-threatening act’(Brown and Levinson 1987). Brown and Levinson argue that ‘face’ consists of two related aspects; positive and negative face. This paper examines which politeness theory can be best applied to honorific uses in the formal setting of a Korean teachers’ meeting and what the honorific expressions index in terms of semiotic symbols. The paper also seeks to find an answer for the questions of how much and how deeply the use of Korean honorifics is enregistered using Agha(1998) and Silverstein(2003).

      • KCI등재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이 대학생의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성범 ( Sung Bum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받은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의 특징을 밝히 고자 하였다. 이미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이수한 대학생 76명, 표현중심 문학치 료교육을 이수중에 있는 대학생 79명, 그리고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대학생 94명을 대상으로 우울 및 불안을 분석하였다. 첫째, 표현중심 문학치 료교육을 이수한 대학생이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이수중에 있는 학생과 이수하 지 않은 학생에 비하여 우울이 낮으며 그 중에서도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이수 하지 않은 학생의 우울이 가장 높았다. 둘째,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이수한 대 학생이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이수중에 있는 학생과 이수하지 않은 학생에 비 하여 불안이 낮으며, 그 중에서도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의 불안이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이수한 대학생 과 이수중인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이 상호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표현중심 문학 치료교육을 이수한 대학생과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대학생은 우 울과 불안이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이수중인 대학생과 표현중심 문학치료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대학생 또한 우울과 불안이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is to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group of university students who got literary therapy education. Depression and discomfort was cross-checked in the three groups, 76 who already took the literary therapy education, 79 university students in taking class, and 94 who did not take the class. First, depression was lower in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literary therapy education than in who are taking and who did not take literary therapy education, especially, the students who did not take its class were shown the highest depression. Secondly, anxiety was lower in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literary therapy education than in who are taking and who did not take literary therapy education, especially, the students who did not take its class were shown the highest of anxiety. Thirdly,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two groups of who took literary therapy education and who are taking its class, was shown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the students who did not take its class were shown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anxiety. As mentioned above, depression and anxiety was shown to be relived in the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literary therapy education, and the enthusiastic and highly psychological resilience were shown in them, in daily life and campus life.

      • KCI등재

        혐오표현과 표현의 자유

        이광진 ( Kwang-jin Lee ) 한국법정책학회 2017 법과 정책연구 Vol.17 No.1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에서 불가결한 권리 중의 하나이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의사표현의 형태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의사표현의 형태 중에는 표현의 자유의 가치를 향유하지 못하는 것도 있다. 그러한 것 중에서 최근 논의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혐오표현에 관한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유로운 표현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공간에서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표현이 개인이나 특정 집단에 대한 혐오를 선동하는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결혼이민이나 유학 등으로 다문화사회가 되면서 이러한 현상이 오프라인상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혐오표현은 성별, 민족적 출신, 종교, 인종, 장애 또는 성적 취향과 같은 속성을 기준으로 사람이나 소수자 집단을 공격하는 표현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혐오표현을 규제하기 위한 노력은 국제사회뿐 아니라 개별국가에 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제인권규약은 이러한 혐오표현을 규제할 의무를 가입국에게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국제인권규약 중에서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철폐에 관한 국제규약`과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에 우리나 라가 가입하였기 때문에 혐오표현을 규제하기 위한 입법의무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혐오표현을 규제하기 위한 법률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관련하여 우리의 경우도 혐오표현을 규율하기 위한 입법의 필요성이 꾸준하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위하여 혐오표현을 규제하는 판례와 실정법을 정 비한 미국, 캐나다, 영국, 독일의 상황을 개관하고, 이를 바탕으로 혐오표현을 규제해야 할 적정성과 당위성을 검토한다. 사회적 해악성을 갖는 혐오표현은 표현의 자유의 가치를 향유하지 못한다는 점에는 의문점이 없다. 그러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제한은 최소한에 그쳐야 한다는 헌법적 요청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규제대상이 되어야 할 혐오표현의 기준이 명확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혐오표현을 금지하는 입법은 그 대상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 즉, 금지의 대상이 되는 혐오표현의 유형을 물리적 폭력으로 한정할 것인지 아니면 혐오표현을 선동하거나 고취하는 것도 대상으로 할 것인지를 명확하게 정해야 한다. 그리고 금지의 사유를 어떻게 정할 것인지도 고려해야 한다. 캐나다의 경우 명시적으로 성적 소수자에 대한 혐오표현도 처벌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점도 참고사항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reedom of expression is one of the indispensable rights of democratic society. There ar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ve expressions that realize freedom of expression. Some of these forms of communicative expression do not enjoy the value of freedom of expression. Recently one of the things that has been discussed is the problem of the hate speech. Korea has been actively engaged in free expression activities in cyberspace, and there is a side effect that the expressions that infringe the rights of others in this space incite the aversion to individuals or specific groups. In addition, these phenomena are manifesting in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marriage immigrant or studying abroad etc. Hate speech can be defined as a speech that attacks a person or group on the basis of attributes such as gender, ethnic origin, religion, race, disability, or sexual orientation. As the hate speech is recognized as a factor that threatens the state of human dignity, leading to discrimination, to the starting point of genocide, the debate has been further examined. Efforts to regulate hate speech are occurring not only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but also in individual countries.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Human Rights gives the member nations the obligation to regulate such hate speech. There is a legislative obligation to regulate the hate speech, as Korea has joined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and `the International Covenant on Civil and Political Rights`(ICCPR). However, there is no law to regulate the present hate speech. In this regard, the necessity of legislation to regulate the hate speech is constantly being raised. To this end, I overview the situation in the United States, Canada,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which have established case law and statute that regulate hate speech. Based on this, I examine the appropriateness and justifiability to regulate the hate speech. There is no question that the malaise of hate speech on society does not enjoy the value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However, in order to comply with constitutional demands that restrictions on the freedom of expression should be kept to a minimum, the standards of hate speech to be regulated must be clear. To this end, legislation that prohibits hate speech should clarify the object. In other words, it should be clearly defined whether the type of hate speech to be prohibited should be limited to physical violence, or to incite or inspire hate speech. And how to determine the reason for the ban. In the case of Canada, it may also be pointed out that the hate speech to sexual minorities are also subject to punishment.

      • KCI등재

        日本語の動物語彙に表われる否定的感情表現の様相

        申惠淑 ( Shin Hye-sook ) 한국일어일문학회 2021 日語日文學硏究 Vol.118 No.-

        본 연구에서는 일본인들이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때 동물어휘를 사용해서 감정을 표출하는 표현 양상 및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번 연구에서 일본어의 부정적인 감정표현에 많이 등장하고 있는 동물어휘로는 ‘개(犬)’, ‘소(牛)’, ‘늑대(狼)’, ‘달팽이(カタツムリ/ナメクジ)’, ‘고양이(猫)’, ‘쥐(鼠)’, ‘돼지(豚)’, ‘뱀(蛇)’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부정적인 감정표현에 있어서 이들 동물 어휘들이 나타내는 세부적인 표현 특징과 전체적인 감정 경향을 분석하였다. 먼저, ‘개(犬)’ 관련 어휘들의 부정적인 감정표현 경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면, 슬프고 애처로운 감정(哀)과 싫은 감정(厭)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화와 분노의 감정(怒)과 무섭고 두려운 감정(怖)을 표현할 때도 일부 나타나고 있었다. ‘소(牛)’ 관련 어휘들의 경우에는 주로 싫은 감정(厭)을 표현하고 있었으며, 애처로운 감정(哀)에서도 일부 사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늑대(狼)’ 관련 어휘는 주로 무섭고 두려운 감정(怖)을 표현할 때 사용되고 있었고, ‘달팽이(カタツムリ/ナメクジ)’ 관련 어휘는 대부분의 경우 싫은 감정(厭)에서 등장하고 있었다. ‘고양이(猫)’ 와 ‘쥐(鼠)’ 관련 어휘의 경우에는 주로 싫은 감정(厭)에서 등장하고 있었는데, 두 동물 관련 어휘는 비슷한 부정적 감정표현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돼지(豚)’ 관련 어휘는 대부분의 용례에서 싫은 감정(厭)을 표현할 때 나타나고 있었으며, ‘뱀(蛇)’ 관련 어휘는 주로 무섭고 두려운 감정(怖)에서 나타나고 있었다. 한편, ‘어류(魚類)’, ‘조류(鳥類)’, ‘벌레 및 곤충류(虫類)’도 일본어의 부정적인 감정표현에 상당히 빈번하게 등장하는 동물어휘이다. 그런데, 각 어휘를 세부 분류하여 고찰하면 용례의 양이 무척 방대하다. 향후 이들 어휘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표현 분석도 포함하여 순차적으로 연구를 진행해 나갈 것이며, 아울러 한국어와의 대조연구도 함께 병행해 나가도록 하겠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 animal-related vocabulary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in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expressions were more prominent. "Dog", "Cattle", "Wolf", "Snail", "Cat", "Rat", "Pig" and "Snake" were selected as the words that are often shown in negative Japanese expressions of emotions based on '(SHIN, HYE SOOK:2018)'. And in the expressions of negative emotions, the detailed expressive features and the tendency of overall expressions shown by these animal-related words were analyzed. First, when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tendency of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of ‘Dog’-related vocabulary, most of them showed sad and piteous feelings and feelings of dislike. Also, some of them appeared when expressing feelings of anger and fear. Next, in the case of the vocabulary related to 'Cattle', it was mainly used to express disgust and pity. Furthermore, the vocabulary related to 'Wolf' was mainly used to express fearful emotions, and also appeared when expressing disliked and pitiful emotions. The vocabulary related to 'Snails' appeared mainly in disgusted emotions, and also in fearful emotions and pitiful emotions. In the case of the vocabulary related to 'Cat' and 'Rat,' they appeared mainly in disgusted emotions. They also appeared in pitiful emotions and fearful emotions. In addition, the vocabulary related to 'Cat' and 'Rat' showed a similar tendency for expressions, such as appearing in some cases when expressing a sense of tension and urgency. In the case of 'Pig'-related vocabulary, most of the cases were shown when expressing feelings of dislike, and some of them were also shown to express anger and fear. Finally, the vocabulary related to ‘Snake’ appeared mainly in fearful emotions, and also in emotions expressing dislike, and some appeared in anger, pity, tension and urgency. On the other hand, 'Fish', 'Birds', 'Worms and Insects' are also animal-related words that appear very much in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in Japanese. However, the amount of usage is too vast to classify and consider each vocabulary in detail. Therefore, the analysis of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for these words will be studied sequentially in the future, and a study that contrasts with Korean will also be conducted.

      • KCI등재

        일본어 수동표현의 한국어의 대응 양상:능동표현을 중심으로

        김현숙(Kim Hyunsook),동주(Son Dong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고는 일본어 수동표현의 한국어 대응 양상, 특히 한국어가 능동표현으로 대응하게 되는 원인을 밝히는 것에 주목하여 그 원인을 한국어 수동표현인 이形와 지다形의 선택범위와 관련지어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리고 지다形의 선택범위를 객관화하기 위하여 工藤(1995)의 동사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고찰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일본어 수동표현에 한국어가 능동표현으로 대응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한국어 수동표현인 이形과 지다形의 제한된 선택범위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먼저 한국어의 전형적인 수동표현인 이形의 선택범위는 한정된 동사(140개-200개 정도)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생산성이 현저히 낮은 이形으로 인해 한국어에서 수동표현을 필요로 하는 경우, 수동 보조동사인 지다形을 그 보완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다形도 의미적인 특성으로 인해 모든 동사와 결합할 수 없으며, 지다形과 결합 가능한 동사의 대부분은 ‘대상의 변화를 야기하는 동사’라는 점이다. 따라서 지다形과 결합이 용이하지 않는 동사, 다시 말해 ‘대상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동사’이면서 동시에 이形 동사꼴이 없는 동사의 경우, 한국어는 수동표현을 나타내기 힘든 조건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는 일본어가 수동표현으로 나타내는 경우, 한국어는 능동표현으로 대응하게 되는 것이다. 또 ‘대상의 변화를 야기하는 동사’라고 할지라도 일본어 수동표현에 한국어가 지다形이 아닌 능동표현으로 대응할 때가 있는데, 이 때는 주어가 유정물을 취하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지다形은 동작주가 결여된 표현을 만들기 때문에 수동표현의 주어는 무정물 주어를 취하게 된다. ‘대상의 변화를 야기하는 동사’를 취하는 수동표현은 주로 무정물 주어문이지만 동작주의 동작이 명확한 유정물 주어문을 취하는 동사의 경우는 지다形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능동표현으로 대응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Korean(TL) actives corresponding to Japanese(SL) passives, especially on how Korean expressions of active voice correspond to the source expressions, seeking to explain the results in terms of the scope of selection of Korean actives, using suffix -e and jida meaning becoming. The research continues based on verb classification by Kudo(1995) and objectify the scope of Korean correspondents using the suffix jida to source expressions. The analysis shows that Korean equivalents of active voice correspond to the passives of Japanese due to the limited selection scope of Korean actives or suffix -e and jida, In detail, typical Korean passives containing the suffix-e applies to only a limited number(approximately 140~200) of verbs. Korean passives containing suffix jida, auxiliary verb of passive, with much lower frequency in its use, are used in the case of -e passives to compensate for the loss. Korean passives with the suffix jida is limited in the combination with the verbs due to their semantic features as well , and most of the verbs using the suffix jida are the verbs ‘causing change in the object of the sentence.’ To sum up, verbs that do not go along with the suffix jida , or that do not cause changes of the object and are not used with the Korean suffix have difficulties in its passives. In these conditions, Korean actives correspond to Japanese passives. Furthermore, there are cases when verbs causing change in the object are translated into Korean passives rather than being translated into passives with jida in cases where the subject of target sentence is animate. Passives of jida type are used for inanimate subject due to its syntactic feature with the absence of doers in sentences. Passives of verbs causing change in subject feature an inanimate subject and sentences with animate subjects have a tendency to correspond to actives instead of jida type passive translations.

      • KCI등재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박근아(Geun A Park),유금란(Kumlan 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서표현 양가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 지역의 총 70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질문지, 정서표현 질문지, 한국판 UCLA 외로움 척도를 시행하였다. SPSS 21.0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량 및 상관을 알아보았으며, AMOS 21.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델(SEM)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외로움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서표현성과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정서표현성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나, 하위요인은 정서표현성과 각각 상반된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로움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요인은 외로움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정서표현성은 외로움과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적응적/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표현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이는 상담에서 부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는 내담자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도록 돕거나, 정서를 표현하도록 돕는 등 정서표현에 대한 상담자의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neliness. Methods A sample of 704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survey includ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AEQ-K),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O),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EEQ),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and AMOS 21.0. Results Emotional expression ambival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oneliness,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but sub-factors showed opposite correlations with emotional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loneliness, but the sub-factor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oneliness.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loneliness.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validat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nelines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unselor's intervention in emotional expression is necessary, such as helping clients who use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to use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r to express emotions in counseling.

      • 청소년의 혐오표현 노출실태 및 대응 방안 연구

        김영한,이유진,조아미,임성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편견과 차별, 혐오표현에 관한 청소년 대상 최초의 대규모 조사로서 다양한 유형의 혐오집단과 혐오표현 형태에 대한 청소년의 노출 실태를 파악하여 이에 필요한 정책적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혐오표현 문제의 개념적 논의와 주요 연구내용을 구상하였고, 외국사례 분석을 통해 교육프로그램과 제도적 장치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조사연구로써 전국단위의 설문조사를 통해 초·중·고등학교 청소년 6,000명에 대한 혐오 실태를 분석하였고, 청소년 면접조사와 전문가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혐오표현 문제가 앞으로 우리 사회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에 대해 더욱 확대되고, 더 큰 사회문제가 되고, 인권침해를 할 것이라고 전망하는 청소년이 많았다. 청소년이 혐오나 차별 표현을 가장 많이 경험하는 곳은 인터넷, 커뮤니티, SNS이고, 다음으로 신문, 방송 등 대중매체로 미디어가 노출경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혐오나 차별 표현을 하는 사람은 언론인이나 정치인도 많았지만 가장 많은 사람은 친구였다. 소수집단의 혐오표현 피해는 범죄청소년, 페미니스트, 성소수자의 순으로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혐오표현 대응방안 중에는 교육현장에서의 혐오표현 교육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다. 전문가 면접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 차별금지법 제정에 찬성하는 입장이고, 청소년을 위해서도 반드시 차별금지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청소년 혐오표현은 과거에 비해 증가했고, 향후로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혐오표현의 원인으로는 학업성적 중심의 학교문화와 질서, 나이와 서열을 중시하는 문화, 혐오표현이 정당하다는 잘못된 믿음, 집단 내에서 강해보이고 싶거나 일탈적인 하위문화를 공유하는 청소년기 발달특성과 재미로 혐오표현을 하는 측면을 제시했다. 청소년 면접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에게 혐오표현을 한 가해자들은 그들 주위에 있는 친구, 교사, 지인, 가족, 친척 등 평범한 사람들이었다. 피해를 당한 장소도 온라인 뿐 아니라 교실이나 학교, 학원, 길거리, 집, 직장 등 일상 생활공간이었다. 피해를 당한 이유는 자신이 가진 약점 때문이라 생각하고 있고, 자퇴를 고민했으며, 스트레스로 인해 잔병치레를 하기도 했고, 왕따 피해를 당하기도 했다. 그로 인해 트라우마가 생기고, 두려움이 2년 이상 지속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법 제도적 대응방안으로써 정책 추진 기반 조성을 위하여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정부부처의 협업체계 구축, 청소년 시설 종사자에 대한 관리 강화, 학생인권조례 제정 활성화 등을 추진해야 한다. 둘째, 미디어 대응방안으로써 자율규제 및 인식개선을 위해 청소년 보호를 위한 온라인 자율규제의 내실화, 청소년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강화, 사회적 인식개선을 위한 미디어 홍보 강화 등을 추진해야 한다. 셋째, 교육적 대응방안으로써 인권감수성 함양을 위해 혐오표현 예방교육 실시, 여성혐오 예방을 위한 포괄적 성교육 실시, 청소년 혐오표현 예방 대응 가이드라인 보급 활성화, 혐오표현 대항문화 활성화 등을 추진해야 한다. 넷째, 피해자 지원방안으로써 소수집단 청소년 보호를 위해 피해자 신고 및 상담 ․ 심리치료 지원, 회복적 정의 실천 프로그램 운영, 특별 보호가 필요한 소수집단 청소년 지원 강화 등을 추진해야 한다.

      • KCI등재

        허구화 원리 중심의 서사표현교육 연구

        정래필 동남어문학회 2014 동남어문논집 Vol.1 No.37

        이 연구는 서사표현의 과정에서 허구화의 원리를 규명해 서사표현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시했다. 사건을 전달하는 주체의 관점에 따라 스토리의 의미가 달라지므로 서사의 표현에는 허구가 작용한다. 이런 점에서 ‘허구’는 서사의 주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서사표현교육은 사실과 허구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허구화 원리를 이해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구조주의 서사 이론과 리꾀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스토리의 세계가 서사로 표현될 때 나타나는 허구화의 원리를 다음의 세 가지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표현 주체의 태도는 서술적 목소리에 의한 언표화 된다. 둘째, 표현 주체는 상상력을 작동해 자신이 지닌 이념을 실천한다. 셋째, 표현 주체는 해석공동체의 수용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허구화한다. 이 연구는 허구화의 원리를 밝히고, 그에 따른 표현교육의 내용을 ‘지식’, ‘기능’, ‘태도’의 세 범주로 나누어 제시했다. 지식은 서사표현의 본질적인 특성과 관련되는 것이며, ‘기능’은 서사표현의 과정과 방법과 관련되는 것이며, ‘태도’는 서사표현 주체의 동기와 가치 등과 관련된 것이다. 이 글은 서사표현교육의 각 범주별로 요구되는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As meaning of story varies according to viewpoint of a subject to convey affair, fiction works in narrative expression. One of basic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is ‘fiction’. The study suggested content and method of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through principle of fictionalization in the process of narrative expression.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focusing on activity to understand principle of fictionalization shown on relationship between fact and fiction. First, attitude of expression subject becomes enunciation in narrative voice. Second, expression subject implements his or her own ideology with imagination. Third, expression subject makes fiction, keeping acceptability of interpretive communities in mind. The study figured out principle of fictionalization and suggested content of expression education divided in three categories of ‘knowledge’, ‘function’, and ‘attitude’. ‘Knowledge’ is related to essential characteristic of narrative expression. ‘Function’ is related to process and method of narrative expression. And ‘attitude’ is related to motive, value etc. of narrative expression subject. The study suggested performance criteria required from each category of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