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실험영화 집단 <카이두> 작품들에 차용된 퍼포먼스 형식 연구

        최종한 한국연기예술학회 2017 연기예술연구 Vol.10 No.2

        퍼포먼스는 가장 오래된 인간의 예술행위 중 하나다. 모든 인간들은 연기하는 DNA를 가지고 있다 해 도 과언이 아니다. 아들, 배우자, 선생님, 작가 등 사회와 문화는 다양한 역할로서 개인을 규정하며 인간 들은 그 규정된 역할에 맞게 행동하게끔 교육되어 왔다. 각 역할에 맞는 적합한 행동을 우리는 매일 연기하고 행위 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영화와 퍼포먼스는 대단히 밀접한 관계다. 더욱이 초기 한국 실험영화 류의 범주로 포함될 수 있는 그림자극 <만석중놀이>와 <의리적 구토>로 대표되는 연쇄극 형식 은 퍼포먼스와 적극적으로 결합된 영화 형식 표현이다. 또한 변사로 대표되는 변사 류 <무성영화>의 경우도 시네마와 퍼포먼스가 결합된 라이브 시네마(Live Cinema)의 확장된 퍼포먼스 영화형식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듯 퍼포먼스 형식이 실험영화 창작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은, 70년대 한국 최초 여성 실험영화 집단인 <카이두>의 작품들에서 찾아볼 수 있는 퍼포먼스 형식에 관해 논의해 보려 한다. <카이두> 실험영화에 차용된 퍼포먼스를 이해하기 위해 퍼포먼스를 영화적 관점에서 넓게 조망하고, 영화매체 퍼포먼스의 두 종류라 분류할 수 있는 시네마 퍼포먼스와 퍼포먼스 시네마에 관해 고찰해 퍼포먼스 형식이 <카이두> 실험영화 창작의 중요한 형식적 기저였음을 확인한다. Performance is one of the oldest human artistic practices.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all humans have DNA to act. Societies and cultures, such as sons, spouses, teachers, writers, etc., have defined individuals as diverse roles and humans have been educated to act according to their prescribed roles. We are acting and acting every day for the right behavior for each role. Therefore, movies and performances are closely related. Also, in the case of the non-verbal version, which is represented by the presenter, it is an extended performance movie format of Live Cinema which is a combination of cinema and performance. In this study, I try to discuss the form of performance that can be found in the works of <kaidu>, the first female experimental film making group in Korea in the 1970s, which is a crucial factor in the creation of experimental films.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borrowed from the experimental film, I will examine the performance from a cinematic point of view and examine the cinema performance and performance cinema which can be divided into two kinds of cinema related performance. It confirms that it was an important formal basis of experimental film creation.

      • KCI등재후보

        새로운 예술형식으로서의 인터랙티브 비디오 퍼포먼스 가능성 연구 -작품〈Cycle of Hollow(虛)〉를 중심으로-

        성화진 ( Hwa Jin Seong ),장성갑 ( Surng Gahb Jahng ),김형기 ( Hyung Gi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09 예술과 미디어 Vol.8 No.1

        본 논문에서는 뉴미디어로 대변되는 디지털 매체와 퍼포먼스를 실험적으로 결합한 작품〈Cycle of Hollow(虛)〉에 대해 기술한다. 작품에서 보여지는 디지털 매체와 퍼포먼스와의 형식 관계를 해석하여 작 가 퍼포먼스(Performance Art)와 디지털 매체가 어떻게 하나의 내러티브를 형성해낼 수 있는가를 탐구 한다. 이를통해 퍼포먼스 아트와 뉴미디어의 중요성 과와 효과를 분석하고 뉴미디어와 퍼포먼스아트의 새로운 융합 형태를 제시한다. 퍼포먼스는 고대의 제례의식이나 상징적인 춤 행 위로부터 출발한다. 과학기술의 발달로 여러 매체가 등장하자 예술가들은 작가적 시점에서 새로운 매체를 적극 차용했으며, 퍼포먼스에서도 새로운 매체와 의 융합을 계속적으로 시도하고 발전시켜왔다. 본 논 문에서는 퍼포먼스의 범위는 퍼포밍아트의 범위에 서 일컬어지는 연극, 무용, 음악 등의 공연 예술을 배 제하고 작가 퍼포먼스로 한정하여 퍼포먼스와 매체 가 융합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시대별로 나누어 살펴 본다. 194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는 물리적인 작품의 제 작보다 작가의 정신성과 개념의 표현에 중점을 두고 퍼포먼스와 매체가 결합이 되었다. 1980년대부터 퍼포먼스는 적극적으로 대중문화 속으로 침투하려고 시도한다. 1990년대부터는 더욱 복잡하고 정교한 기술 들을 도입하여 신체에 로보틱스 기술을 적용한 사이보그적 행위도 출현하게 된다. 본 작품〈Cycle of Hollow(虛)〉는 이러한 시대적 맥락에서 창작된 하나 의 실험적 시도이며 이와 같은 실험적 시도들로 인하 여 앞으로 퍼포먼스와 디지털 매체의 결합 형태도 끊임없이 진보해 나가고 또 새롭게 창조되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This thesis tells us about Cycle of Hollow what the work which put together experimently digital media what speak for new media and performance. It searches how performance art and digital media makes a narrative by their relationship. Through this, it analyzes not only performance art also effect and effort of new media. Furthermore, it shows us new version of union of new media and performance art. Performance have started from ancient tradition or action of dancing. When a variety of media appeared by advancement of technology, artists adopted positively the new media from their views. Also, they continuously have tried and developed to join a new media. In this thesis, the range of performance set limits to a play, a dance, music and ect in performing art and looks into the series of union of performance and media in performance art. From 1940 to 1970, performance and media had put together for artist of concept and expression of concept than works on a whim. From 1980, performance attempted actively to penetrate into a popular culture From 1990, it has appeared cyborgic performance what apply a robotics technology in body by the introduction of technology which is more complete and more wrought. Cycle of Hollow forecasts that performance and digital media merging will be advanced constantly and be created because of experiment made by the perspectives of the times.

      • KCI등재후보

        퍼포먼스 텍스트 구성을 위한 탈경계적 글쓰기

        최영주 ( Young Joo Choi ) 한국드라마학회 2010 드라마연구 Vol.- No.32

        Though performance writing or cross-boundary writing mediates theory and practice, it has been ignored among the theatre scholars and the practitioners until recent days. Most of the performance researches were focused on the theories of performance art, its analysis, and historical contextualizat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how to construct and to analyze the performance theatre as a text. If performance theatre can be constituted with some pattern or textual networking, it assumes performance theatre includes parts of semantic field as well as aesthetic one. Here, performance writing or cross-boundary writing can provide a certain methodology for the performance theatre. To do this, this paper looks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arly 20th century`s avant-garde art such as Futurism, Dadaism, and Surrealism. Then, it tries to reconstruct the methodology based on the other`s academic views. In this, the performativity and the materiality are found another essential to constitute the textual landscape in and out of the space. Also, the intertextuality or intratextuality is also found as another way to get near to the textual landscape crossing the disciplinary boundaries, video, visual art, architecture, movement etc. To develop and invent more textualities as the materials for performance writing would be the future for the performance studies. 퍼포먼스 텍스트를 구성하는 것, 혹은 퍼포먼스 글쓰기를 실천하는 것은 실천과 이론을 매개하는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퍼포먼스 연구에서 오랫동안 간과되어 왔다. 퍼포먼스에 대한 논의는 퍼포먼스에 관한 장르 이론, 개별 작품의 분석, 개별 작품을 범주화하여 맥락화함으로써 역사에 위치시키는 것에 대체로 집중되어 왔던 것이다. 본 논문의 의도는 퍼포먼스 연극이 텍스트로 구축되고 분석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탐색하려는 것이다. 퍼포먼스 연극이 특정한 틀로 구성된다는 전제하에 그 방식을 접근하는 것은 퍼포먼스 연극이 미학적인 차원을 넘어 기호학적 측면을 일부 수용한다는 사실을 함축한다. 여기서 ``퍼포먼스 글쓰기/탈경계적 글쓰기``는 퍼포먼스 텍스트를 구성하는 실천적 방법과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다. 논의의 전개를 위해 본고는 먼저 퍼포먼스 글쓰기의 역사적,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나서 기존 논의에 기대어 퍼포먼스 텍스트 구성을 위한 퍼포먼스 글쓰기의 실천적 전략을 재구성하여보았다. 퍼포먼스에서 수행성과 물질성은 퍼포먼스를 구성하는 두 가지 요소이다. 퍼포먼스 텍스트와 퍼포먼스 글쓰기를 구성하는데 수행성은 매우 유효한 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는 수행성에 관한 논의 메 머물러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퍼포먼스에서 물질적 측면 역시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퍼포먼스는 관객과의 지각적 소통을 활성화함으로써 발전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퍼포먼스 텍스트를 구성하기 위한 전략은 그 같은 수행성과 물질성을 활성화시킴으로써 효율적일 수 있다. 퍼포먼스에서 수행성과 물질성이 발휘되며, 그 독특한 지형도를 나타내는 것은 공간, 언어, 몸성, 혼종적 꼴라쥬 등을 통해서이다. 이러한 텍스트성을 글쓰기로 계발하여 실천하는 것이 퍼포먼스 글쓰기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라고 본다.

      • KCI등재

        동시대 미술관의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의 지속 가능성 - 테이트 모던(Tate Modern)을 중심으로

        배현진(Bae, Hyun-Jin) 한국박물관학회 2021 博物館學報 Vol.- No.40

        1960년대 후반 퍼포먼스 아트가 현대 미술 발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면서 예술가의 행위 자체가 미술로 확장되었을 뿐 아니라 신체를 매개로 한 예술 실천 속에서 관람객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최근 동시대 미술관은 행위와 과정을 강조한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의 특이성에 적응하며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 세계 미술계에서 퍼포먼스 아트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영국 테이트 모던(Tate Modern)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시대 미술관의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 확장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테이트 모던이 소장한 ‘위임된 퍼포먼스(delegated performance)’는 일반적인 미술관의 작품 수집과 전시 방식을 벗어난 것으로 개념과 행위로써 작품의 비물질적 요소를 소유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 예술가의 지시에 따라 작업을 수행할 행위자를 고용하고 이들이 예술가의 퍼포먼스를 대신 수행하도록 위임받는 새로운 형식적 전환을 통해 퍼포먼스 아트의 유연한 지형 변화를 예고하였다. 결론적으로 동시대 미술관의 퍼포먼스 아트 컬렉션은 위임된 형식에 의한 ‘재공연(re-performance)’ 권리를 소장하는 것으로 퍼포먼스 아트의 지속가능성을 확립하였고 동시대 미술관의 새로운 위상 정립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As performance ar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modern art in the late 1960s, the artist’s behavior not only expanded into art, but also actively guided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the art practice using the body as a medium. Recently, the contemporary art museum has proposed a new methodology by adapting to the specificity of performance art collections that emphasize action and proces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performance art collection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of contemporary art museums, focusing on the case of Tate Modern in the UK, as the status of performance art in the global art has been rising since the 2000s. In particular, the “delegated performance” owned by Tate Modern showed the process of possessing the immaterial elements of a work as a concept and action, which went beyond the general art collection and display method of art museums. In other words, it heralded a change in the flexible field of performance art through a new form of transformation in which actors are hired to perform the work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artist and they are delegated to perform the artis’s performance on their behalf. In conclusion, the performance art collection of a contemporary art museum has the right to “re-performance” in a delegated form, which means that it has established the sustainability of performance art, established the new status for contemporary art museums and suggested the future direction.

      • KCI등재

        퍼포먼스의 일상화, 일상의 퍼포먼스화: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 시리즈와 퍼포먼스의 수행적 실천

        김기란(Kim, Kira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

        이 글에서는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 시리즈를 중심으로 현대공연예술의 전략과 미학적 윤리에 대해 고찰했다. 문화의 연극성이 발견되면서, 연극과 문화가 수행적 속성을 매개로 상호침투하며 퍼포먼스적 전환이라 할 수 있는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상의 의례를 포함하는 문화적 퍼포먼스의 성격을 공유하면서도, 그것의 위임된 수동성을 문제시하여 퍼포먼스의 수행적 실천을 환기하는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 시리즈를 살펴보았다.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 시리즈는 2014년의 세월호 참사를 다루는 장기 공연 프로젝트로, 2017년에 시작되어 대한민국의 주요 참사 현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작 시리즈이다. 일상을 통해 익숙해진 위임된 수동성을 문제시하며, 그것이 2014년 세월호 참사를 망각하도록 방조하는 메커니즘을 성찰한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선택되는 일상의 행동이 기실 위임된 수동적 행위일 수 있으며, 그것이 사회적 문제에 대한 망각과 닿아 있다는 점을 환기하기 위해 일상 자체를 퍼포먼스로 공연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극적 사건을 구성하거나 재현하여 참여자들의 공감을 강요하는 방식이 아니라, 일상과 닿아 있는 문화적 퍼포먼스의 메커니즘을 활용, 참여자들이 익숙한 일상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스스로의 성찰에 이르도록 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공연된 일상과 전시된 일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018년에 마무리된 이동형 거리극인 <망각댄스> 시리즈에서는 일상에 스윙 댄스와 세월호 타임테이블과 같은 비일상적 퍼포먼스를 삽입함으로써 일상적 시간의 흐름을 지연시켜 망각된 것들에 대해 성찰케 했다. 일상과 퍼포먼스가 상호침투하며, 서로가 서로를 낯설게 만드는 전략이다. 2020년 <망각댄스-4.16편, 박제>편에서는 퍼포먼스의 형식이 이동형 거리극에서 전시극으로 바뀌고, 일상의 공간에 초점을 맞춰 퍼포먼스를 구성했다. 기억을 공간화하는 전략을 통해 익숙한 일상 안에서 참여자들 스스로 박제되어 망각된 기억을 떠올리도록 만들었다. 이를 통해 극단 신세계의 퍼포먼스가 자율적 예술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예술적 윤리학을 구성”하는 수행적 실천일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ategy and aesthetic ethics of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after the performance turn, focusing on the <not-remembering Dance> series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As the theatricality of culture has been discovered, theatre and culture show the change that can be called performance turn. In this situation, the <not-remembering Dance> series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which shares the characteristic of cultural performance including everyday rituals, but reverses its delegated passiveness and reminds the performance practice, was the subject of this article. The <not-remembering Dance> series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is a long- term performance project that deals with the disaster of the Seowall incident in 2014. It started in 2017 and has been performed at major disaster sites in Korea until 2020. In a context that questions the delegated passiveness that is familiar in the everyday life, it shows a strategy to resist forgetting in order to remember the ‘sewol’ ship disaster in 2014. The daily behavior of the subjective and active choice can be passive delegated behavior, and it is in contact with the forgetting of social problems. To remind it, the daily life is performed in the <not-remembering Dance> series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Specifically, this is not a way to compose or reproduce dramatic events to force participants to sympathize with them, but a way to utilize the mechanism of cultural performance that representates daily life and allow participants to participate and experience them directly. In this article, I divided these contents into daily life to be performed and daily life to be displayed. In the <not-remembering Dance> series, a mobile street performance art that was completed in 2018, participants can reflect on the oblivion by delaying the flow of everyday time by inserting something non-daily into everyday things. It is a strategy that everyday life and performance penetrate each other and make each other unfamiliar. In 2020, <not-remembering Dance-4.16, Stuffing>, the form of performance changed from a mobile street performance art to an exhibition performance, and the performance was organized focusing on the space of everyday life. Through the strategy of spatializing memories, participants make themselves think of memories in familiar daily life. Through this, it was examined that performance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can be a performative practice that does not only autonomous art but also constructs a new “artistic ethics”.

      • KCI등재

        현존과 부재의 동거와 공명 - 비대면 렉처 퍼포먼스의 구조와 미학 -

        최종한 한국연기예술학회 2020 연기예술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비대면 렉처 퍼포먼스의 구조와 미학을 사유하기 위해 렉처 형식의 의미 그리고 예술 형식 으로서 퍼포먼스를 연구하고, 나아가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을 바탕으로 비대면 렉처 퍼포먼스만의 미학 적 특징을 탐색하였다. 현존의 대표 매체인 퍼포먼스가 부재를 상징하는 온라인 시, 공간에서 유영하며, 언어와 내러티브를 주 소재로 하는 렉처가 몸과 행위, 수행을 기반으로 하는 퍼포먼스와 만나는 지경을 선행연구들과 작품들 그리고 라캉의 이론을 통해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비대면 렉처 퍼포먼스는 온라인 이라는 비대면 기술환경과 렉처라는 언어를 사용하는 형식 그리고 퍼포먼스라는 행위 중심의 퍼포머의 수행이 모두 합쳐진 융·복합 예술 형식으로서, 나름의 독특한 시, 공간 구조를 가지고 있다. 관객이 작 품의 응시를 통해 승화적 경험을 체험하게 함으로써, 라캉이 이야기하는 상상계로의 상징계로부터의 회 귀를 불러일으키는 미학을 지향하고 있음을 추론했다. 아울러 이제 막 그 형식적, 미학적, 구조적 특징이 주목받고 있는 비대면 렉처 퍼포먼스 연구에 그 방법론으로써 라캉의 이론을 접목한 점은 본 연구가 학 술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는 의미 있는 시도라 생각된다. 최근의 비대면 렉처 퍼포먼스는 실시간 렉처도, 대면 퍼포먼스도 아닌 비상상황에 어쩔 수 없는 형식적 껍데기였을 수도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 예술가 들과 관객들로 인해 새로운 예술 형식의 하나로 인식되고 또 그 유형과 장르를 변모시키는 중이다. 그리 고 비대면 렉처 퍼포먼스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환경 속에서 가장 실험적인 예술 형식으로 거듭날 저력 과 욕망을 내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라캉 정신분석 이론의 세 범주인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를 사유하 며, 라캉의 욕망이론을 통해 비대면 렉처 퍼포먼스의 구조와 미학을 직조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통해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이 비대면 렉처 퍼포먼스의 미학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연구 방법론으로서 기 능할 수 있음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studied both the aesthetics of performance and art form of lecture format to justify the structure and aesthetics of online lecture performance. Furthermore, based on Lacan's theory, the aesthetic of online lecture performance were explored. Performance, the representative medium of the present, is played in online times and spaces that symbolize absence. The point where lecture, which mainly focuses on language and narratives, meets body, behavior, performing-based performances was studied through prior related studies, works, and Lacan's psychoanalysis theory. As a result, online lecture Performance is a fusion contemporary art form that combines the non-face-to-face technical environment of online, the language or narrative of lecture, and the performance of performing-oriented performers. By having its own unique time and spatial structure and allowing the audience to experience sublimation experienc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work, it was inferred that Lacan was aiming for aesthetics that evoked a return from the symbolic world to imaginary. In addition, the fact that Lacan's theory was applied as a methodology to the online lecture performance study, which is just drawing attention to its formal, aesthetic and structural features, is considered a meaningful attempt for this study to be evaluated academically. The contemporarty online lecture performance may have been an inevitable form of formality in Covid-19 emergency, not a real-time lecture or face-to-face performance, but artists and audiences using it have recognized it as one of the new form of art and are transforming its style and genre. And the online lecture performance implies the potential and desire to be reborn as the most experimental contemporary art form in the environ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 방법론 연구 - 연출 구조를 중심으로

        김효진 한국영상학회 2015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3 No.6

        본 논문은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 방법론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미디어의 운용이라는 관점에서 미디어 퍼포먼스를 이해하고, 미디어를 운용하는 예술가에게 미디어 퍼포먼스의 모듈로서의 연출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우선 미디어 퍼포먼스의 개념은 실험과 수행성의 관점에서 리차드 쉐크너(Richard Schechner) 가 말하는 ‘퍼포먼스’의 연장선에서 설정하였다. 그러나 미디어 퍼포먼스를 사건 중심의 수행성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작품으로서 레퍼토리화 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작업인 것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핵심인 연출방법론은 전통적인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가 상호소통하고 퍼포머로서의 미디어가 아날로그 공연자와 함께 공연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미디어 퍼포먼스의 연출 방법론은 문헌연구를 통해 미디어 퍼포먼스를 위한 아리스토텔레스 이론 모델을 제시하고, 이 모델에 근거하여 도출하였다. 미디어 퍼포먼스를 위한 연출 방법론은 다음의 연출-구조, 연출-유형, 연출-기술 등 세 가지로 요약된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연출-구조를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미디어 퍼포먼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이론 모델에 의거해서 어떤 단계에서 중점적으로 미디어가 운용되는지에 따라서 배경효과, 재연효과, 퍼포머효과 연출 구조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추론된 연출 구조는 미디어 운용의 관점에서 미디어 퍼포먼스를 분석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focuses on a directing methodology of media performance.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understand media performances from 'media operation' perspectives and to suggest directing methodologies as a 'module of media performance' to artists who are conducting and operating media. This study investigates media performances from an extension of performances noted by Richard Schechner regarding experimental nature and performance perspectives. However, media performance is not a mere event-driven performance. It creates new categories and accumulates works with possible repertoires. Research on a directing methodology of media performance creates the premise that traditional earlier media such as cultural events, plays, dance, and music interact and communicate with new media, this the new media performing as a performer along with the analog performers. This study suggests the Aristotle theory model for media performanc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creating a directing methodology for media performance based on the model. The directing methodology is classified into the three subtypes of the directing structure, directing type, and production method for media performances based on the theory model of Aristotle. This study focuses on the directing structure. Media performance is classified into three subcategories, i.e., the background effect, the re-presentation effect, and the performer effect, depending on when the media was operated and mainly at which stage. The case study on the directing structure will help analyze media performances from a 'media operation' perspective.

      • KCI등재

        제4집단의 퍼포먼스 : 범 장르적 예술운동의 서막

        송윤지(Song, Yunji)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6 美術史學 Vol.- No.32

        본 논문은 1970년에 활동한 한국 최초의 종합예술집단인 제 4집단의 퍼포먼스 작업에 나타난 범 장르적 성격에 주목한 연구다. 제 4집단은 미술가로서 전위적 태도를 보여 왔던 김구림의 주도로 정찬승, 정강자 등이 모여 결성한 것으로, 연극, 음악, 영화, 패션, 종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공동 퍼포먼스를 기획함으로써 ‘총체예술’을 추구하였다. 특히 당시 연극계에서 팬터마임 전문극단으로 활동하던 ‘에저또’의 참여가 두드러짐에 따라, 제 4집단의 퍼포먼스는 연극의 형식을 수용한 연극적 퍼포먼스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우선, 제 4집단은 행인들에게 특별한 지령과 소도구를 배부하거나 특정 장소를 마치 연극의 무대처럼 설정함으로써 다수의 대중을 행위주체로 변모시켰다. 예술의 관조자였던 관람자가 직접적으로 예술행위를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이러한 퍼포먼스 방식은 삶 속에서의 예술적 체험을 통해 고정관념을 타파하려는 제 4집단의 기본 취지에 따른 것으로, 관객의 자발적 참여가 원활하지 않은 한국 사회의 정서적 풍토에서 관객참여예술을 효과적으로 실현하는 방법이었다. 제 4집단의 퍼포먼스에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징은 몸(body)의 주체 또는 몸의 물리적인 움직임 자체에 주목하기보다 신체적 행위가 함축하는 메타포가 더욱 중시되었다는 점이다. 제 4집단의 퍼포먼스는 연극의 ‘극본’처럼 막으로 구성된 역할극의 형식을 보이는 한편 팬터마임처럼 대사를 배제하고 몸짓을 통한 의미전달에 목적을 두었다. 이는 제 4집단의 철학적 토대인 ‘무체사상(無體思想)’의 가시적 표출로, 주체로서의 ‘나’를 상실한 한국 사회의 독재체제를 은유한 것이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4집단은 장례행렬이라는 설정을 통해 이동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임으로써 ‘정해진 무대’라는 연극적 요소의 한계를 확장하였다. 또한 의도에 부합하는 이동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일상적인 장소들이 갖는 의미가 교차되면서 새로운 의미로 재탄생하게끔 하였다. 이러한 퍼포먼스를 통해 제 4집단은 구태의연한 기존 예술계의 타파와 외래문화로부터의 독립을 주장하면서 현대성과 전통성이 공존하는 자생적 문화예술로의 진보를 꾀하였다. 이처럼 제 4집단은 배우, 관객, 극본, 무대 등 연극의 전통적인 구성요소를 수용하면서도 그것을 다시 해체하고 전복시킴으로써 탈장르적 전위예술로서의 퍼포먼스 형식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일상적인 장소에서 퍼포먼스를 펼침으로써 대중들에게 예술과 현실을 재인식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에서 하나의 예술운동으로서 자생적 퍼포먼스를 정립하고자 하는 시도였으며, 예술의 사회적 발언이라는 현대미술의 과제를 실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비록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가지는 못했지만 제 4집단의 이러한 작업은 이후의 한국 퍼포먼스의 발전에 다각도로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This paper is a study focusing on the pan-genre characteristic shown in the performance works of the 4th group, a Korean primary composite art group active in 1970. The 4th group was organized around avant-garde artists with Kim Gu-rim, Jung Chan-seung and Jung Gang-ja making up the main members from various fields such as play, music, movie, fashion and religion, and pursuing "total art" through joint performances. Especially by collaborating with "Ejeotto", a professional pantomime troupe in the theatrical world at the time, the 4th group’s work became known as dramatic performances that accommodated formal elements of theatre in abundance. Firstly, the 4th group distributed special directives and stage properties to passersby or established a specific place like the stage of a play to appoint a majority of the public to role of main actor. The methods utilized to attract and convince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was in compliance with the basic purport of the 4th group aimed at breaking down fixed ideas through artistic experiences in life and was an efficient way to realize audience participation in art of a Korean social and emotional climate in which the audience"s voluntary participation could not be expected. Another feature of the 4th group’s performances was that they focused on metaphor contained by physical behavior rather than pay attention to the subjectivity of one"s body or the physical movement itself. the performances of the 4th group featured role playing composed of acts like a play "script" and on the other hand, carried out the purpose of excluding speech and communicating through gestures like a pantomime of Ejeotto. This was a visual exposure of the "intangible idea" that was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4th group and was also a metaphor for the dictatorship of Korean society that excluded the idea of "myself" as a subject. Lastly, the 4th group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funeral march, displaying a moving performance to expand the limitations of the theatrical element of a "defined stage." In addition, by selecting a moving route in compliance with a specific intention, the significance of common places were made to intersect for their recreation as new meanings. Through this performance, the 4th group claimed the overthrow of the previous outdated art world and independence from foreign cultures and tried to search for a way to advance to a form of spontaneous art where modernism and tradition co-existed. As such, the 4th group accommodated the traditional components of play such as actor, audience, script and stage but dismantled them to complete the performance type as crossover avant-garde art. Moreover, it attempted to make the public realize art and reality by displaying performances in common places. This was an attempt to establish spontaneous performances as an art movement in Korea and the practice of modern art"s assignment of social speech of art. Even though consistent activities could not be performed, the works of the 4th group were encouraging in that it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Korean performance.

      • KCI등재

        관객 참여형 퍼포먼스 영상기록물과 1960-70년대 비디오 및 퍼포먼스아트와의 관계성 연구

        정새해,이현진 한국영상학회 2013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1 No.2

        본 논문은 참여 예술이라는 이름하에 행해지는 여러 형태의 작품들 중 관객 참여형 퍼포먼스와 그것의 영 상기록물을 비디오 매체의 활용에 주목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관객 참여형 퍼포먼스 의 기원을 1960-70년대 비디오아트 및 퍼포먼스아트에서 찾아보며 이들이 어떻게 비디오를 사용하고 있는 지 점검한다. 이는 오늘날의 관객 참여형 퍼포먼스 영상기록물을 미술사적이며 미학적 맥락에서 연결시켜 바라보고자 하는 것이다. 1960-70년대 비디오아트 및 퍼포먼스아트의 영상기록물에서 오늘날의 관객 참여 형 퍼포먼스 영상기록물에 이르기까지 비디오의 활용에 따른 접근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비디 오에 대한 매체성을 인식하고 접근한 매체 중심의 비디오작업이고 둘째, 일시적 속성의 퍼포먼스에 대한 기록을 위해 비디오 영상을 활용한 퍼포먼스 중심의 비디오작업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비디 오에 대한 접근과 활용이 관객 참여형 퍼포먼스의 영상기록물에서 소셜미디어와 인터넷과 연결됨으로써 어떻게 확장, 진화해 가고 있는지 비디오 매체성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 KCI등재

        윤진섭의 ‘노는’ 행위예술

        조수진(Soojin Cho) 현대미술사학회 2021 현대미술사연구 Vol.- No.50

        한국을 대표하는 퍼포먼스 아트 작가 윤진섭은 미술 실천 외에 비평가, 전시기획자, 교육자로도 활약하며 오늘날까지 일평생 전위적 예술세계를 추구해 왔다. 이렇듯 다채로운 그의 경력과 결과물 중 단연 돋보이는 것은 한국 퍼포먼스 아트 역사의 산증인으로서의 활동, 그리고 현재까지 공개한 약 70여 점에 달하는 퍼포먼스 작품들이다. 한국에 퍼포먼스라는 새로운 미술 형식이 도입된 이래, 그간 많은 작가가 있었으나 윤진섭처럼 일관되게 지금까지도 퍼포먼스 작품을 발표하고 있는 이는 매우 드물다. 또 그만큼 퍼포먼스 작가로서, 퍼포먼스 관련 국내외 전시기획자로서, 퍼포먼스 비평가 혹은 역사 연구자로서 다방면의 실천을 보여준 인물 역시 우리 미술계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윤진섭의 전 생애에 걸친 퍼포먼스 작업과 그에 연루된 실천을 고찰하는 일은, 그 자체로 40년이 넘는 한국 퍼포먼스 아트 역사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는 일이 된다. 비록 시대별 특이성이라는 차이는 있을지언정, 윤진섭의 행위예술 세계를 구성하는 이벤트, 행위예술, SNS상의 퍼포먼스가 목표로 하는 지점은 같다. 그것은 ‘참여’와 ‘순수’라는 오직 두 가지 개념만 지향하는 한국 현대미술 특유의 대립적 사고로부터 우리를 구원할 예술, 퍼포먼스의 지속적인 탐구이다. 이를 위해 그는 그동안 미술계의 안팎을 가로질러 가며 인식의 전환을 불러일으키고자 노력해 왔다. 정해진 경로도 전략도 없이, 주어진 상황에 따라 자유자재로 창조된 윤진섭의 퍼포먼스는 작가의 유목민적 세계관의 소산이었다. 또 시대와의 치열한 대결보다 주류의 경계 내부에서 균열 내기를 선택한 윤진섭의 퍼포먼스는, 비장하진 않으나 대신 어린아이의 놀이처럼 유쾌했다. 그는 지금까지도 적대적 이분법의 그물망을 빠져나가는 이 새로운 사유로서의 예술 놀이, 자신만의 행위예술을 계속 창조해 나가고 있다. Jin Sup Yoon, one of Korea’s leading performance artists, worked as a critic, curator, and educator while pursuing avant-garde art throughout his life. Most notable within his long career is Yoon’s role as a living witness of the history of Korean performance art, and his seventy or so performance pieces that have been released to date. Many artists have practiced performance art since the genre’s introduction in Korea, but few have produced performance works consistently throughout their lifetime. In addition, it is rare to see artists with such diverse careers—Yoon worked simultaneously as a performance artist, a performance-related exhibition curator at home and abroad, a performance critic and a historical researcher. Therefore, examining Jin Sup Yoon’s works and the practices involved is a matter of examin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ore than forty years of Korean performance art history. Although each era of Yoon’s performance shows its distinct nature, the ultimate motivation behind his works remains the same throughout. It is a continuous quest, explored through the medium of performance, to break free from the ideological dichotomy that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has been so obsessed with: ‘participation’ and ‘purity.’ For this goal he has traversed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Korean art scene in order to bring a change of perception. Yoon’s performances, constructed freely and without any set path or strategy, are the result of the artist’s nomadic worldview. Less grandiose and more delightful, like a child’s play, they sought to create a fissure within the mainstream art scene instead of confronting it head to head. Yoon continues to create his unique kind of performance pieces to this day, using art as “play,” a new way of thinking that can free itself from hostile ideological divi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