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서지역 특기적성교육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재화,정회욱 木浦大學校敎育硏究所 2005 교육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정규 학교수업이 끝난 후에 비어 있는 학교의 시설과 공간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을 계발하고 잠재력을 발연시키는 다양하고 흥미 있는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실태 파악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특기·적성교육목적 및 필요성의 실현정도, 특기·적성교육의 내용과 방법, 특기·적성교육의 지도교사 운영, 특기·적성교육의 효과 및 평가 영역에 관한 내용을 전남 서남부 도서지역을 대상으로 146명의 중학교 교사로 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기적성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으로 대부분의 교사들이 필요하며 특기지도라고 응답했다. 둘째. 특기·적성교육의 내용 선정은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가 높게 반영되고 교육방안에 대해서는 실험실 습식 교육이 적당하며 교과관련 영역이 포함되어있다고 응답했다. 셋째, 지도교사가 느끼는 가장 큰 애로사항에 대해서는 전문성 부족이 높게 나타났는데 성별에서는 남교사가, 교육경력별에서는 11년 이상 된 교사들이 더 전문성 부족을 이유로 들었다. 넷째, 특기·적성교육의 전반적인 효과가 있고 특기신장 목표영역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특기·적성교육의 본래의 목적과 취지에는 충분히 공감하면서도 현실적으로 역부족인 부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교과관련과 비교과 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필요한 교육시설 등의 교육여건을 구비해야 하며, 학부모의 평가 및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교사의 업무 부담 경감과 학생의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적극적·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다양한 방과 후 교육프로그램을 개설하고 자질 있는 강사를 확보하기 위해서도 특기·적성 교육활동에 필요한 운영비는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This study is worth analyzing practices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n the islands area and suggesting their improvements in order that they are firmly established in this a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 was investigated for teachers in the 25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southwest islands of Cheonnam province(Shinan, Chindo, Wando) Measuring tool is a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accomplishment degree of its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ts contents and method, management of the teachers in the charge of it, its effect and eval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promoting in each school be managed for students' capability development as its original purposes, and in order to manage the carious programs students and their parents demand, and th reduce private tuition fee, each school must manage higher level education. Above all for maintaining this, parents' trust in th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must go ahead. Second, each school need teach individually through level management or supplementary·advanced class and draw up curricular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and variety. We are suffering from the lack of carious programs and teachers in charge that parents demand, but we will be able to expect more educational rising efficiency of we use human·material resources of the community much better. Third, school authorities should select able inner teachers and outer part-time teachers in change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specially in the islands area school must prepare for the management method reflecting in the lack of human resources and some reaching problems according to long distance, the lack of teachers results in less fee than the other areas. Fourth, school authorities should try to regain the confidence in the public education through th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For this, each school should offer teachers chances to train for them selves and evaluate in many ways like opening their classes and presenting their cases and connect with the festivals of teenagers. And each school need th evaluate it frequently and give a feedback so as to reflect the results of all the evaluations in the next term management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운영 실태 조사- 경기지역 초등학교 학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박철순 ( Chul Sun Park ),권난주 ( Nan Joo Kw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科學敎育硏究誌 Vol.38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특기적성 과학실험에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관내 809개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 안내장을 수합해 강좌명, 수강료, 재료비, 수업시수의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고, 공개수업에 참여한 학부모 36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설문지 결과로 분석했다. 인식조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2013년도 한국과학창의재단 생활과학교실 고객만족도 설문지를 수정ㆍ보완하여 초안을 개발하였고, 과학교육 관련 교수 1인과 과학교육 관련 석사 과정 12인에게 자문을 구하여 설문 내용의 타당성 및 용어 등에 대한 의견을 얻어 최종 설문지를 완성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 수요자(학부모)의 요구를 꾸준히 파악하고 반영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관련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교육 수요자(학부모)의 요구와 선택을 반영한 과학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status of operation of after-school scienc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and offer suggestions for the activation of such programs by targeting parents who participated in an open class, and examining their recognition of the program. To achieve this, announcement sheets for after-school science activities in 809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were collected to examine the class names, class fees, material costs, and management status of class hours. In addition, 36 parents who participated in an open class were targeted, and their recognition of the program was analyzed using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A draft of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vising and complementing the 2013 customer satisfaction survey of the living science class of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The final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consulting 1 science education professor and 12 Master``s candidates in science education for advice on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content and terminolog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atistical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the activation of after-school scienc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First, the needs of education consumers (parents) should be identified and reflected persistently to activate after-school scienc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Second, a science program that reflects the demand and choice of education consumers (parents) needs to be developed for the continuous activation of after-school science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