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디자인통계조사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

        연명흠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4

        Industrial Design Statistics Survey(IDSS) is comprehensive research on design industries and design activities. The survey is one of the design research of world-clas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iscover problems of whole process of the survey from planning to reporting, and to find the improvement direction. Research methods are as below. First, four national statistics, Service Industry Survey, Sports Industry Condition Survey, Content Industry Statistics, and Advertising Industry Statistics were compared with the IDSS. Subsequently, two statistical quality diagnostic reports conducted in 2009 and 2014 for IDSS were reviewed.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problems on sampling design such as standard error and non-response are found. And, the survey sheet is too superabundant, because the sheet have wide range from industry condition grasp to design activities. In addition, insightful summary and analysis were insufficient in the report of the IDSS. The problems must be improved. Especially, survey items should be separated two parts, basic and supplementary parts, and ought to be reduced. When the survey items will be organized, we should take a balance with interest in design field and national economic viewpoint. Furthermore, sampling design should be improved, insightful analysis from the result of the IDSS should be reflect in the report. 산업디자인통계조사는 디자인산업과 디자인활동에 관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디자인 통계조사로서,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유래없는 수준의 조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디자인통계조사의 기획, 조사방법, 표본설계, 조사표작성, 조사 진행, 결과보고서의 작성과 공표, 자료의 활용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서비스업조사’, ‘스포츠산업실태조사’, ‘콘텐츠산업통계조사’, ’광고산업통계조사‘의 4가지 국가승인통계와 산업디자인통계조사를 비교하였다. 이어서, 2009년과 2014년 2차례에 걸쳐 진행된 산업디자인통계조사에 대한 통계품질진단 보고서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산업디자인통계조사는 표본오차 관리, 무응답처리 등 표본설계상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조사표에는 매출이나 직원수와 같은 산업동향 파악용 문항 외에도 디자인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어, 분량이 과다하였다. 보고서에는 결과에 대한 해설이나 통찰을 담은 요약이 부족하였다. 산업디자인통계조사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들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특히 조사표는 기본통계와 부속통계로 이원화하고, 문항을 정비하여 조사표를 축소하여야 하며, 이때 산업동향 파악이라는 국가경제 차원의 관심과 디자인 분야의 관심이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표본오차 관리 및 무응답처리 등을 개선해야 하며, 통계결과를 조망하고 해석한 내용이 보고서에 반영되도록 하여야 한다.

      • KCI등재

        교육통계조사와 개인정보보호-독일의 교육통계조사제도와의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정남철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40

        Recent years have seen a rising need to lay the legal groundwork for systematic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national education statistics survey. Basic statistics surveys on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since 1963, but there has yet to be an individual law providing for a clear legal basis of educational statistics surveys. The current basis of the basic statistical survey of education is the Ministry of Education directive, which is problematic in terms of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and the rule of law.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odern administrative tools, statistical surveys deserve a careful legislative approach. Individual laws should explicitly stipulate the basis for educational statistics surveys. In light of the importance, it may be worthwhile to consider explicitly providing for the basis of statistical surveys in the Constitution, insofar as possible. Statistical surveys are closely related to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regard, the German census judgment may serve as a useful reference point. Of particular note is the emphasis placed on normative clarity and the proportionality doctrine. In damage compensation claims of teachers and professors regarding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n personal information, which are on the rise lately, the important criteria are whether and to what extent personal information features public nature. There is still a long way to go for research on the intersection of education statistics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Provisions under German statutes on education statistics survey tend to be very specific and precise on the object and scope of survey. Today, more emphasis is put on the limits of statistical research in relation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s more and more statistical surveys are conducted on consignment, setting an appropriate level of state regulation is in order. In this connection, regulated self-regulation is worth considering, rather than the traditional, authoritative regulation. 근래에 들어와서 국가교육통계조사의 체계적이고 효율적 운영을 위해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교육기본통계조사가 이미 1963년부터 실시되어 왔으나, 각 개별법에는 아직도 교육통계조사에 관한 명확한 법적 근거가 없는 상태이다. 교육기본통계조사는 교육부훈령에 의해 실시되고 있으나, 기본권의 보호와 법률유보원칙의 관점에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통계조사는 현대행정의 중요한 도구이며, 통계조사에 관한 입법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 교육통계조사에 관한 근거를 개별 법률에서 직접 마련해야 한다. 가능한 한 통계조사의 중요성에 비추어 헌법에 직접 규정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통계조사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독일의 인구조사판결은 그러한 점에서 좋은 교훈을 주고 있다. 특히 규범의 명확성과 비례의 원칙을 통해 강조하고 있는 점도 주목된다. 근래에는 교원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관련된 손해배상청구사건이 늘고 있는데, 개인정보의 공공성 여부가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고 있다. 교육통계조사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교육통계조사와 관련된 독일의 법령에는 조사의 영역, 대상 및 범위 등을 매우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근래에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통계조사의 한계가 강조되고 있다. 그 밖에 통계조사의 위탁이 증가하고 있는데,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이에 대한 국가의 규제를 고민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고권적 규제보다는 근래에 강조되고 있는 규제된 자율규제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적통계의 이용실태 및 한계진단 연구

        이성화(Lee, Seong Hwa) 한국지적정보학회 2011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 및 부동산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적통계의 이용실태 및 한계를 진단하고, 지적통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은 지적통계연보로 한정하고, 연구의 범위는 지적통계의 한계진단을 위한 의식조사로 설정하였다. 연구목적과 연구범위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조사방법은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SPSS 1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적통계의 이용 및 활용실태 조사에서는 지적통계의 이용용도, 활용정도, 통계획득의 경로 등에서 응답자별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이용만족도 및 한계진단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보통이하의 만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적통계의 개선방향으로 이용실태측면에서는 지적통계의 수요 및 품질진단 시스템을 구축, 통계데이터가 첨부된 디스크 파일의 제공, 통계포털의 인터페이스 전환을 제시하였으며, 한계 및 관리측면에서는 통계의 가독성 향상을 위한 통계그래프의 다양화와 통계지리정보의 제공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arry out a survey for cadastral and real estate professional to diagnose Use States and limitations of cadastral statistics, and to suggest the ways to improve cadastral statistics. I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such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subjects were limited to cadastral statistics chronology and the research scope was set as the opinion survey for diagnosing the limitations of cadastral statistics. Research method for faithful fulfillment of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scope was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while analysis method was SPSS 12.0,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tabulation.<br/> ?;?;Analysis results show; first, the cadastral statistics utilization and application status research shows different reactions per participant in utilization frequency of cadastral statistics, its usage, statistics acquisition route. Second, utilization satisfaction and limitation diagnosis research shows that most of the respondents showed less than average level of satisfaction. Lastly, for the ways to improve cadastral statistics, in terms of the current usage status, establishment of diagnosis system for cadastral statistics demands and quality, and provision of disk files including statistics data were suggested, and in terms of the limitation and management, diversification of statistics graphs for improving the readability of statistics, and provision of statistical geographic inform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Administrative Statistics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Field Survey Data

        Yoonseock Lee(이윤석)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18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일제시대에 한반도를 통치하고 있었던 조선 총독부의 통계 제도와 조직, 실제의 통계 데이터의 문제점을 분석해 당시의 경제성장과 행정체제를 분석하여, 현재의 정치경제 및 사회정책의 패러다임하에서 보았을 때 식민지시대의 행정은 어떠한 함의를 갖고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선 시대별 특징으로서는, 조선 총독부 초기에는 조사통계기능보다는 행정통계가 중심이 되어 총무과의 내부에 문서과를 설치하고, 각 부국을 통해서 수집된 통계자료를 종합적으로 편집했다. 한편, 인구통계 업무에 관해서는 경무총감부장 산하의 경무과에서 담당했다. 이것은 당시의 헌병통치의 특성을 내보이는 것이기도 한다. 조선 총독부 중기에 이르면 통계과를 신설해서 행정통계 업무의 독립성을 시도했지만, 이후 폐지되어 조사과 또는 문서과에 흡수되었다. 그러나 인구 조사과를 설치해서 조사 통계 업무를 수행한 것이 이 시기의 주요한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일제말기에는 전쟁 수행을 위해서 자원조사 업무가 주된 업무가 되어, 전시 정보통제에 의해 통계 정보의 공개가 제한되었다. 또 다른 특징으로서는 보고례제도를 들 수 있다. 보고례제도는 식민지통계 제도의 기본지침으로서 기능했다. 본문에서는 보고례를 이용해서 조사 자료를 분석할 경우에 주의해야 할 특기사항들을 각 분야에 걸쳐서 분석하여 당시의 자료분석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statistics system and organization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which ruled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colonial period, as well as issues with the actual statistical data. It also reviews the economic growth and government systems of the time and aims to create opportunities for improving the current political economy and social policy system. In terms of period-specific characteristics, in the early period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the focus was on operation statistics rather than survey statistics functions. The Documents Section was set up inside the Administration Section and undertook the overall compilation of the statistics materials collected through the respective bureaus. Meanwhile, work on population statistics was allocated to the Police Affairs Section, which wa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Chief of Police Affairs. This also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government at the time. In the middle period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the Statistics Section was established in an attempt to make the operation statistics functions independent. However, it was subsequently dismantled and absorbed by the Survey Section and the Documents Section. However, the main feature of this period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urvey Section, which conducted survey statistics operations. Towards the end of the regime, the main focus of operations became materials surveying for conducting the war. During the war, publication of statistical data was restricted due to information controls.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Governor-General era was the report system. The reporting system functioned as the basic guideline for the colonial statistics system. When using these reports to analyze survey materials by field, it is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changes in the report itself and in the related survey items.

      • 범죄현상에 대한 경험적 연구 방법론 성찰

        황지태 ( Ji Tae Hwang ) 한국범죄비행학회 2011 범죄와 비행 Vol.1 No.-

        본고는 과학적 범죄학 연구의 기본 토대에 대한 성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그 초점은 과학적 인과관계론의 핵심축의 하나인 종속변수, 즉 범죄와 범죄량(혹은 범죄발생량)에 대한 측정의 문제에 두었다. 이는 현재 국내 다수의 범죄학자들이 범죄현상 설명에 있어 범죄를 설명하고자 하는 요인(즉 독립변수)에 대해서는 지대한 관심을 보이면서도 정작 종속변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둔감한 편이라는 지적을 하는 것이기도 하다. 혹 그러한 평가가 지나친 것이라고 할지라도, 최소한 현 시점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조금이라도 자극적인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과학적 연구에서 종속변수 측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모르는 연구자는 없을 것이다. 그에 대한 측정이 크게 잘못 되어 있을 경우 독립변수를 아무리 정교하게 측정한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인과론적 이론을 구축하고 검증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범죄학이론의 최종적인 검증방식은 결국 특정한 요인 (독립변수)이 범죄(종속변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음을 어느 정도라도 보여주는 형식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문제는 범죄학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재의 종속변수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불안정하다는 것이고, 이 때문에 수많은 범죄학 연구의 기본 토대부터 흔들리는 현재까지 과학적 범죄학 연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범죄량 증감에 관한 종속변수의 형태는 크게 세가지 범주, 즉 공식범죄통계 자료, 범죄피해자조사 추세 자료, 범죄가해자조사 추세 자료뿐이라고 할수 있다. 적어도 아직까지는 그 외의 것을 생각해 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작금의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최소한 최근 십여간 공식범죄통계 자료에 나타난 범죄발생 추세와 범죄피해조사에서 나타난 추세가 서로 역방향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공식범죄통계는 증가 중이고, 범죄피해조사 결과는 감소하였던 것이다. 이 문제는 주로 필자의 선행 논문에서 제시했던 문제인데, 어느 것이 실제 진실이 든 간에 이러한 상황은 특정 독립변수가 범죄량 증감에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시도하는 수많은 범죄학적 분석 연구들을 혼란에 빠뜨릴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고는 이와 같은 종속변수의 불안정성에 대해 굳이 범죄피해조사 결과를 다시 제시하지 않고, 오로지 공식범죄통계 자체 내의 모순과 균열 지점들을 지적함으로써 이 문제를 재차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 공식범죄통계에서의 이른바 강간범죄와 살인범죄에서 나타난 모순과 균열에 대한 지적이다. 즉 이 두 범죄의 전체적인 발생통계에서는 범죄의 증가현상이 나타나지만 각 범죄 내의 상해사건 혹은 사망사건 통계에서는 범죄의 감소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 이 현상에 대한 해석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그 하나는 그동안 범죄암수로 노출되지 않던 비교적 가벼운 범죄들이 범죄신고율 향상과 범죄통계 입력 의무화 조치 등으로 인해 해가 갈수록 더 많이 노출됨으로써 전체 수준에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신고율이나 입력률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상해사건이나 사망사건과 같이 심각한 유형에 있어서는 범죄가 감소해 왔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이다. 다른 한 가지 해석은 전체 범죄발생률 통계는 여러 가지 개선책에 힘입어 그 입력률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각 범죄의 하위 카테고리 입력에 있어서는 입력 누락 등의 부실이 해가 갈수록 증대되어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해석하는 것이다. 현재 법률적으로도 관행적으로도 공개되지 않고 있는 범죄통계 원자료 및 그 입력 과정에 대한 전면적인 정보 개방 없이는 어느 해석이 더 타당한지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위 어느 해석의 경우에도 범죄 추세의 실상을 파악하여 과학적 범죄연구를 수행하는데 기여하는 데 있어서는 커다란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지금이라도 범죄학 연구의 기초부터 제대로 다지게 위한 작업을 본격화해야 함은 물론이다. This paper aims to reflect fundamentally on the methodology of criminology in Korea by showing the discrepancy within Korean official crime statistics, especiaIIy statistics of rape and murder. Nobody who study criminology will not deny that in empirical criminological researches dependent variables(the measurement of crime itself) are very important as weII as independent variables. But during the recent decades there has been serious problems about which is the true trends of crime rate(dependent variables) in Korea. The official crime rates in Korea have increased almost continuaIly, but in the recent results of crime victim survey the crime rates have decreased also almost continuaIly. In such situation,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study which independent variables mainl-y explain the true cause of crime(or the changes of crime rates) in Korea I think that until now most of Korean criminologists have taken for granted. the approximate buth of the trends of official crime statistics in Korea. If so, it should be the drastic false of crime victim survey in Korea. But I assume the reverse carefully. I think that recent Korean official crime statistics have undergone great quality changes and. they may not be the real trends of recent Korean crime rate. In this paper, I presented the crucial discrepancies within statistics of rape and murder in Korean official statistics system. In overall statistics the crime rates of rape and murder have increased for ten years or more. But in the specific statistics, i.e., incidents including wounded rape victims or incidents of death in murder(In Korean offi.ciaI statistics, the murder crime category includes the incidents in which the victims did not die. It includes failed murder trial!) have decreased almost continuaIly during the same period. There may be two interpretation about such statistics. The one is the possibility of the truth of recent trends which Korean crime victim survey have showd(The declines of crime rates are real). The other is the possibility of terrible and systematic omission of data of subcategories of rape and murder crime report format in the entry stage of procedure of making official crime statistics by policemen, while the overall entry rates having increased. Any of possibilities will be quite matter. H we do not solve such problems, I think the foundation of criminological researches in Korea will be very unstable. So I think it is urgent to solve such problems for the stable methodological condition.

      • KCI등재

        통계행정의 사이버 거버넌스 형성에 관한 연구

        박화수(Park Hwa-Soo) 한국정치정보학회 2007 정치정보연구 Vol.10 No.1

        지식정보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인터넷의 활용이 각 분야에서 보편화 되면서 행정과정에 시민의 참여가 확대되고 사이버공동체 구성원 간에 쌍방향적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통계행정을 수행함에 있어서도 시민의 자발적 참여와 쌍방향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통계 행정의 혁신을 위해서는 통계생산 과정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통계조사과정의 집중적인 정보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통계조사방법의 적용이 검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조사업무의 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 인터넷에 의한 통계조사를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통계 사이버 거버넌스의 모형을 설계하고 그 형성요소들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터넷 통계조사를 단순한 조사방법론적인 기법이 아니라 행정 정책학적인 거버넌스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거버넌스이론과 관련된 제도분석틀 및 경험적 연구내용과 인터넷조사과정의 체제분석을 통하여 통계 사이버 거버넌스 모형설계의 분석틀을 마련하고, 마련된 분석틀을 바탕으로 통계 사이버 거버넌스의 모형을 설계하고 그 형성요소들을 분석하였다. 그 후 통계청에서 실시한 인터넷 통계조사의 사례분석과 인터넷 조사방법에 대한 평가조사를 통하여 설계된 모형과 형성요소들의 적합성을 검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With the progres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Internet is used widely in the various field. Through the use of the Internet, citizens are able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the process of public administration. Internet utilization in the statistical surve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statistical process is necessary to innovate statistical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 model of the statistical cyber governance and to find its components in the Internet survey. The model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institutional analysis frames of rational institutionalism, the existing research on the governance and the system analysis of the Internet survey. To identify the model, Case studies are introduced about the real Internet survey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 KCI등재

        조사동향 : 국가통계조사에서의 IT조사방법 활용에 대한 연구

        심규호 ( Kyu Ho Shim ),이의규 ( Eui Kyoo Lee ) 한국조사연구학회 2009 조사연구 Vol.10 No.2

        최근의 조사환경은 많이 악화되는 추세이다. 일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가 증가하면서 조사원이 조사가구를 방문했을 때 응답자를 만나기는 쉽지 않다. 개인의 비밀보호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통계조사에 쉽게 응답하지 않는 원인이 되고 있다. 조사에 불응하거나 만나기 어려운 응답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통계청에서는 기존의 면접조사 틀에서 벗어난 여러 조사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공식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고 있는 조사에서 일부는 전화조사를 허용하고 있으며, 인터넷조사로 전환하기 위한 연구도 많이 하고 있는 실정이다. IT기술을 접목한 조사방법에는 많은 장점이 있고 우리나라는 이미 세계적인 IT기술 강국이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IT환경을 조사방법에 잘 적용할 수 있다면 조사품질의 향상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IT기술을 이용한 조사방법을 중심으로 조사환경의 변화에 부응하는 적절한 국가통계 조사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Survey environment has recently been changed along with its bad conditions. Surveyors feel difficult to meet respondents because the number of one person-household and working-together-household has rapidly increased. With a growing awareness of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respondents no longer want to response to a questionnaire. To get responses form an increasing number of non-response houses and respondents who are difficult to meet,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KNSO) has changed its survey methods and thus introduced new survey methods, free from face-to-face interviews. A telephone interview has officially been allowed for some reasonable situations and it shows a tendency that the trend of interviewing method is moving toward Internet survey. This paper focuses on how survey methods should be changed with the use of IT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survey environment. Survey methods combined with IT have many excellent advantages, Korea has been an enviable World IT contest for a long time. If Korea can apply such an advanced IT environment to survey methods successfully, it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toward improving the survey quality. This paper also reviews which survey method is most appropriate for National Statistics as the survey environment has changed.

      • KCI등재

        농축산물생산비조사 통계의 종합적 품질 진단 및 개선 방안

        구승모,김성훈,이계오,손창수,한석호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1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5 No.6

        이 연구는 농축산물생산비 조사의 통계품질을 진단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진단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통계청의 품질 진단 지침에 의거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량적․정성적 진단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식적인 국가 통계에서의 통계품질 개념인 통계의 정확성, 관련성, 시의성, 접근성, 비교성 등의 측면에 대한 정성적 분석 및 조사, 전문 이용자 심층면접 분석(FGI)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한 포트폴리오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1차 개선 영역에 해당되는 항목은 ‘지출비용에 대한 만족도’, ‘충분한 설명자료 제공’ 등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종합했을 때, 통계 작성기관과의 협의를 거친 주요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자의 편의 제고를 위한 개선 사항으로 통계 용어 분류의 개선을 꼽을 수 있다. 통계 이용자 편의를 위해 통계의 세부 항목을 재분류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있으나, 이는 조사기관인 통계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므로, 유관 기관과의 적극적인 협의 하에 전문적이면서도 보다 보편적인 용어가 정의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둘째, 이용자의 편의를 제고하기 위해 KOSIS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diagnosis process on agricultural production cost survey, which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ublic statistics of agricultural sector in Korea. The diagnosis were performed by employ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with the official guideline provided by the Ministry of Statistics. The various results were produced from the aspects of exactness, relevance, timeliness, accessibility, and comparability, which were based on the qualitative approaches including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professional users. The results from statistical portfolio analysis implies that the first priority to improve the statistics is given to 'satisfaction level corresponding to user cost' and 'offering sufficient explanation'. The comprehensive results, discussed with the administrative office, ar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 two major points. First, classification of the detailed items should be improved to avoid users' confusion. However, the re-classification need to be professionally reviewed with the relevant administrative office such a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roducing similar statistics. Second, the KOSIS system is found to be constantly upgraded to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 KCI등재

        시계열적 분석과 응답자 의견조사를 통한 산업디자인통계조사표 문제점의 파악

        연명흠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6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0 No.1

        산업디자인통계조사는 우리나라 디자인산업에 관한 대규모적이며 정기적인 조사이자 국가승인통계의 하나로서, 디자인 산업 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가치가 높다. 그러나 현재의 산업디자인통계조사는 여러 문제를 안고 있는데, 그 중 조사표의 문제는 비표본오차의 주요 원인이 되며, 다른 문제를야기하는 핵심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표 문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1, 2013,2014, 2015 조사표를 시계열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 조사표 문항이 대폭 늘어나고 응답유형도 정교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부속통계문항에는 작성기관인 한국디자인진흥원의 관심 분야가 주로 조사되고 있었다. 이어서, 설문조사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응답자의견을 조사한결과, 조사표 응답시간은 약 1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며,사례비는 4만원 이상을 적정하다고 느끼며, 매출액 관련 문항에 대한 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조사표는 응답의 정확성을 훼손할 만큼 과다한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낮은 방문면접조사 비율, 불충분한 사례비 등을 고려하면 조사표에 따른 산업디자인통계조사의 비표본오차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조사표의근본적인 개선을 위한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ndustrial Design Statistics Survey(IDSS) is regular andlarge-scaled survey on design industries, and one ofnational statistics of Korea. However, there are severalproblems in IDSS. Among them, survey sheet is the leadingcause of non-sampling errors, produce other errors onthe IDSS. To grasp the problem, I carried out timesequential analysis for survey sheets(2011, 2013, 2014,2015) of ID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2015 surveyitems have been extremely increased and became moredetailed, and supplemental sheet contains many survey itemrelated with projects performed by KIDP(korea Instituteof Design Promotion). Subsequently, an investigation onopinion of the respondents through simple survey andphone interviews was carried out. As a results, It was foundthat the proper response time for the IDSS is about onehour, and proper honorarium is more than 40,000 won,and many respondents feel to burden to when they answerabout sales and profits. Conclusively, it can be said that the current survey sheetis too heavy to vouch for the accuracy of the IDSS. Inaddition, rate of visiting survey is low, and honorariumis also low. therefore, non-sampling error of IDSSgenerated from the survey sheet would be increase further.

      • KCI등재

        조선총독부의 사회경제조사 내용분석

        송규진(Song, Kuejin) 호서사학회 2016 역사와 담론 Vol.0 No.80

        일제강점기 사회경제조사의 자료로 『조선총독부통계연보』(이하 『통계연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사회경제사 연구가 통계정보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충분히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 식민통계체제의 불안정으로 장과 항목으로 이루어지는 『통계연보』구성은 일정한 원칙이 없이 자주 바뀌었기 때문에 일단 활용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일제강점기에도 기형적인 형태나마 사회경제의 규모는 확장되었고 이에 따라 조사해야 할 항목수도 증가했음에도 『통계연보』의 항목수가 감소하여 사회경제의 전체상을 이해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통계청에서 서비스하는 국가통계포털 ‘광복이전통계’가 『통계연보』의 장을 국토 · 기후, 인구 · 가구, 고용 · 노동 · 임금, 물가, 보건 · 복지, 농림어업, 광공업, 건설 · 주택 · 상수도, 교통 · 정보통신, 재정 · 금융 · 보험, 무역 · 외환 · 국제수지, 교육 · 문화 · 과학, 범죄 · 재해, 사업 · 행정으로 재구성하고 여러 항목을 통폐합하거나 항목을 분리했는데 필자는 이 분류가 가장 활용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국가통계포털 ‘광복이전통계’의 분류방식에 따라『통계연보』 전체를 개량화하여 시기별 양적변화를 살펴보고 빈도수가 20개 이상(동일항목 20년 이상 연속으로 게재)인 경우를 소개했다. 또한 각 시기마다 특성을 보여줄 수 있는 항목을 분석하고 총독부가 중시했던 항목을 정리하여 추후 일제강점기 사회경제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했다. There is a need to conduct an accurate analysi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nual Statistics Report” (referred as the “Annual Statistics Report”). It is the most widely used reference material in socio-economic surveys on the colonial era of Japan. The existing historical research in socioeconomics does not include an adequate critical analysis of the statistical information. First,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Annual Statistics Report,” consisting of chapters and items, because of the changing the structure and lack of guidelines. This is attributed to the volatility of statistic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During this era, the social economy was undergoing an unusual phase and was growing extensively. This increased the number of items that needed to be investigated. However, the number of items in the Annual Statistics Report decreased, and, thus, the report is limited in it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economy.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s report, “Pre-Independence Statistics,” has reconstructed the chapters of the Annual Statistics Report by categorizing the items into the following: Territory/Climate, Population/Households, Employment/Labor/Wages, Prices, Health/Welfare, Agriculture/Forestry/Fisheries, Mining and Manufacturing, Construction/Housing/Water Supply, Transportation/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Finances/Banking/Insurance, Trade/Foreign Exchange/Balance of International Payments, Education/Culture/Science, Crime/Disasters, and Business/Administration. The author of this paper finds this categorization useful. In addition, for the different time-periods, the items that represent that era’s unique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and items are organized based on their importance as p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is will contribute to future research on socioeconomics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