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문학 : 교육과정과 교과서 게재소설 변천 연구

        조미숙 ( Mi Sook Jo ) 겨레어문학회 2007 겨레어문학 Vol.38 No.-

        본고는 1차 교육과정부터 현재(7차)에 이르기까지 교육과정 전반을 고찰하면서 반공주의가 교육에 현실적으로 어떻게 작동하여 왔는가, 『국어』교과서의 게재소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에 교과서가 어떤 식으로 변모하여 왔는지를 살펴보는 글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수준의 각 단위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문서화한, 교육부의 교육행정용어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육부가 저작권을 가진 국정교과서"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교육과정을 크게 반공주의 강화 과정으로서의 교육과정과 탈반공 혹은 탈이데올로기의 교육과정으로 나누고 그 강화과정으로서의 교육과정은 반공주의의 터닦기(1, 2차 교육과정), 반공주의의 본격화(3, 4차 교육과정)로 시대구분하고 탈반공 교육과정을 반공주의의 회의기(5차 교육과정), 탈반공의 본격 화 과정(6, 7차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따라서 교과서 게재소설은 반공주의 자장 안에서 첨가, 수정, 배제되어 온 것들과 탈반공의 추세에 맞게 변화의 양상을 가져오는 것들로 나누어 살필 수 있었다. 국어과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의 변화를 한눈에 보면서 그에 국어교과서가 어떻게 변모하여 왔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교과서 게재소설의 이데올로기적 특성을 고려할 때 그 선택과 배제를 세밀히 살피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작업은 앞으로도 계속 이루어져야 할 줄로 믿는다. In Korea, revised curriculum seven time until now. This paper examined how Korean curriculums changed. Then, Korean textbook adapted how in curriculum`s changes. Above all, our education was process that Bangongjuui is emphasized gradually from first curriculum to fourth curriculum. In emergency measures period, the Bangongjuui that Americans planted have dominated our educational champ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for a long time. Bangongjuui as drawing that is readied at this time is used by means that deliver Dominate ideology if commissioned to importance ideology of a text book in first and second curriculum interval and reaches in dictatorship age named renovation and 5 republics. 5 th curriculums of the Korea is curriculum that is changed greatly owing in change that is the chang of the world history and Korean internal democratization. After this change, we should try much overcoming ``Bangong`` that is accustomed meantime. Overcoming dominate ideology tried in 5 th curriculums and becomes an institution to 6 th and 7 th curriculums. This appears well in textbook`s novels. Textbook` s novels has ideological individuality in various ways. Therefore, need work which observe textbook`s novels to investigate transfiguration aspect of ideology which appear to curriculum. At most important target of the country is time that was Bangong and over-Bangong`s time, textbook`s novels changes much. Before, the list of the textbook`s novels that is inherited without change greatly begins to change since 5 th. In 7th curriculum, do not load excellent good work in a text book literary. This phenomenon divines possibility that spread of authorized text book is consisted at future of our language education that only state textbook was mean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