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쿠오 바디스』에 나타난 애국적 알레고리 연구 : 헨릭 시엔키에비츠의 노벨 문학상 100주년을 기념하며

        최성은(Choi,Sung Eu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5 동유럽발칸학 Vol.7 No.2

        헨릭 시엔키에비츠는 1905년 노벨 문학상 수상으로 잘 알려진 폴란드의 대표적인 소설가이다. 그의 대표작 『쿠오 바디스』(1996)는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세계 문학사에서 불후의 명작으로 꼽히며 독자들로부터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시엔키에비츠가『쿠오 바디스』를 쓸 당시 그의 조국인 폴란드는 러시아, 프로이센, 오스트리아의 3국에 의해 분할 점령을 당하고 있었다. 시엔키에비츠는 빼앗긴 조국에 대한 애국심, 그리고 절망에 빠진 동포들에게 용기를 심어주겠다는 작가로서의 사명감에서『쿠오 바디스』를 썼다. 권력과 권위에 의해 다스려지던 네로 통치 하의 로마는 철의 재상 비스마르크의 압제에 신음하던 폴란드의 시대상과 교묘하게 일치했다. 박해받는 기독교인은 외세의 지배하에 고통 받는 폴란드인들의 수난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알레고리였다. 시엔키에비츠는 신앙을 위해 목숨을 바친 초기 그리스도교 신자들의 숭고한 모습을 통해‘정의와 진리는 반드시 승리한다’는 희망의 메시지를 폴란드 민족에게 전하고자 했던 것이다. 시엔키에비츠는 『쿠오 바디스』를 쓰기 위해 다섯 차례나 로마를 방문했고, 타키투스의 『연대기』를 비롯한 AD 1세기 로마의 시대상을 알 수 있는 관련 문헌들을 수없이 탐독하여 역사적 고증에 충실한 작품을 탄생시켰다.『쿠오 바디스』는 전 세계 세계 50여 개 언어로 번역되어 오늘날까지 스테디셀러의 자리를 지키고 있으며, 여러 차례 연극과 영화로 제작되기도 했다. Henryk Sienkiewicz is a representative novelist of Poland, known for receiving a Nobel Prize for Literature in 1905. His masterpiece 『Quo Vadi s』(1996) is constantly adored by readers as one of the great everlasting works in the history of world literature even today, 100 years later. At the time Henryk Sienkiewicz wrote 『Quo Vadis』 his homeland in Poland was occupied in divisions by the 3 nations of Russia, Prussia, and Austria. Sienkiewicz wrote 『Quo Vadis』 out of his patriotism for his motherland, and out of his sense of mission as writer to give courage to his people who were in despair. The age of Nero governed by power and authority, ingeniously corresponded to the conditions in Poland, which groaned under the oppression of Bismarck, the Iron Chancellor. The persecuted Christians symbolized the Polish people, who suffered hardships under foreign dominance. Sienkiewicz wanted to convey to the Polish people a message of hope that 'justice and truth will always be victorious' through the sublimity of early Christians, who gave up their lives for their faith. Sienkiewicz visited Rome five times in order to write 『Quo Vadis』, and steeped himself over countless publications to learn about the Roman era in the 1st century AD, including 『Annales』 by Tacitus, creating a masterpiece faithful to historic evidences. 『Quo Vadis』proved to have universal appeal and it became enormously popular. In France, though in translation, it outsold the works of the most popular French writer, Emil Zola. In England and America it sold 800,000 copies in one year and by 1901, 2 million copies were estimated to have been sold in Poland and Germany alone. 『Quo Vadis』 has been translated into 50 different languages around the world, maintaining its position of steady-seller to this day, being created into a number of plays and films as well.

      • KCI우수등재

        인공지능 시대 “Historia, Quo Vadis?”

        김기봉(Kim, Gi-Bong) 역사학회 2017 역사학보 Vol.0 No.233

        History is a narrative that aims to play a role as a teacher of life by remembering the experiences and accumulated knowledge of the past. But what can human beings learn from history, if 80-90% of current knowledge becomes obsolete in the next 30 years? In the age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history is faced with the crisis of “to be, or not to be”. The question posed by this sense of crisis is “Historia, Quo Vadis? ” Historia has a dual meaning of history and historical science. This paper first deals with “history, where are you going?” Then, in order to answer the first question, it examines where historical science should head to. In the 21st century, mankind has made progress for the greatest civilization, but it is facing the crisis of eschatology. In our days, there is a need to construct a history of imagining the past for remembering the end, not the progress will come in the future. The term “past future” is a term that refers to imagining the past while remembering the future. The genre that best embodies the “past future” is SF film. The message that the ‘Terminator’ series, a classical SF film, gives us is consistently one. “The future"s not set. There"s no fate but what we make for ourselves.” This message is the answer to “Historia, Quo Vadis? ” And this is also why history must exist in the age of AI.

      • KCI우수등재

        한국 서양사의 정체성과 존재의미 - 2015~16년 사상사·역사이론 회고와 전망

        김기봉 역사학회 2017 역사학보 Vol.0 No.235

        This paper purports to be a critical review on the Korean western history scholarship in the field of history of ideas and theory of history for the last two years. For the survival of the western history scholarship in Korea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I argue that the field of western history in Korea should establish itself as an academic ecosystem(autopoiesis), which can autonomously produce and consume its research outcome, even though the prospect of this turn seems very unpromising due to the imbalance between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research. While research papers primarily target scholars and researchers in the narrow guild of historians, I believe that books and monographs can reach to the larger audience thereby extending the historians’ craft to the public sphere. I argue that this turn of focus from research paper to books could be an answer to cope with the current crisis in the humanities in Korea. With this problematics in mind, this paper attempts to engage Korean historians in the field of western history, who have already practiced this turn. In the near future, I argue historians’ craft should find its raison d'etre in general education that can provide wisdom and imagination linking historical insights into the possibilities of the future. The problem is history itself, not western history. 본 논문은 서양사의 정체성과 존재의미를 성찰할 목적으로 지난 2년간 사상사와 역사이론의 연구 성과를 비평한다. 한국 서양사학이 독자적인 학문분과로 존속할 수 있으려면 연구 성과의 생산과 소비를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학문 생태계를 형성해야 한다. 하지만 그럴 수 있는 전망은 매우 어둡다. 논문의 독자는 주로 같은 분야의 연구자다. 이에 반해 저서는 다른 전공자 뿐 아니라 대중으로 독자의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앞으로 인문학자는 논문이 아니라 책을 쓰는 것을 목표로 해서 연구를 할 때 현재의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런 문제의식으로 나는 서양사연구의 차원을 넘어서 역사에 관한 책을 출간한 서양사학자의 업적을 주로 분석했다. 앞으로 역사학은 과거의 지식을 보존하고 전수하는 기능을 하기 보다는 미래의 가능성을 통찰할 수 있는 지혜와 상상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변신을 해야 한다. 문제는 서양사가 아니라 역사다.

      • KCI등재

        사극을 어떻게 볼 것인가

        김기봉(Kim, Gi-Bong)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3

        사극이란 역사의 내용을 드라마의 형식으로 재현하는 장르다. 역사가 사실인 반면, 드라마는 허구다. 이런 사극의 이중적 정체성이 사극을 어떻게 볼 것인가의 문제를 낳는다. 사극을 보는 두 가지 시각이 있다. 첫 번째는 역사와 사극을 트루스(truth) vs. ‘포스트 트루스(Post-truth)’ 대립의 문법으로 보는 방식이다. 이 문법에 따르면, 사극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는 역사감정을 유발한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두 번째는 역사학과 사극의 관계를 현실과 꿈이라는 인간 삶의 두 측면과 연관해서 이해하는 방식이다. 현실과 꿈의 두 세계를 어떻게 접합하면서 사느냐에 따라 인간은 세 종류의 현실을 산다. 첫 번째는 실제 현실만을 진정한 삶의 현장이라고 믿으며 사는 방식이다. 두 번째는 꿈이라는 목표를 갖고 현실을 사는 사람이 사는 증강현실이다. 세 번째는 현실에서 벗어나 꿈속의 가상현실에 사는 삶이다. 이 세 유형에 부응하여 역사적 재현을 현실과 꿈의 두 세계의 접합으로 하는 사극도 정통사극, 팩션사극, 픽션사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같은 세 유형으로 사극이 분화한 것은 디지털 시대에서 인간 삶의 공간이 가상세계로 확장하고 존재방식이 변화한 것과 연관된다. 앞으로 다가올 인공지능 시대에서 인간에게 중요한 것은 지식과 지능보다는 상상력과 감성이다. 모든 것을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시킬 수 있는 시대에서 기억의 반대는 망각이 아니라 상상이다. 앞으로 인류는 한 번도 가지 않은 길을 가야한다. 과거의 인류가 걸어왔던 발자국을 통해 미래 나아갈 길을 모색할 수 없다는 것이 오늘날 역사학이 직면한 근본적 한계다. 본 에세이는 인공지능 시대 역사학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문제의식으로 역사학과 사극의 관계를 보는 인식의 전환을 제안한다. 현실의 역사를 탐구하는 역사학보다는 과거를 살았던 사람들에게 있었던 ‘지나간 미래’를 이야기하는 사극의 문법에 입각해서 생각할 때, 인공지능 시대 “Historia, Quovadis?”에 대한 의미 있는 답을 구할 수 있다. Historical drama is a genre that represents the contents of history by form of drama. While history is fact, drama is fiction. It causes an issue of how to identify it because historical drama has both sides. There are two different perspectives to understand. One is looking at history and historical drama as truth versus ‘post-truth’ by means of opposition to one another. This perspective could result in the negative evaluation appealing to historical sentiment that distorts historical fact. The other perspective is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historical drama as two sides of human life: reality and dream. Depending on how one connects the world of reality and dream, he/she can live three different types of lives. The first one is the way of living by being completely centered on the actual reality itself. The second is a life of a person who sets attaining one’s dream as a goal of life, living in augmented reality. The third is a life of a dreamer who lives in an imaginary world away from reality. In response to these three types, the historical drama,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two worlds of reality and dream, can be divided into authentic historical drama, faction historical drama, and fiction historical drama. The differentiation of the historical drama into these three types is related to the expansion of the space inhabited by humans into the virtual reality and the change in the way of existence in the digital age. In the coming era of AI(Artificial Intelligence), the important attribute to humans will be imagination and emotion rather than knowledge and intelligence. During the era when everything can be converted into digital data, the opposite of memory is imagination, not oblivion. In the future, mankind must take the road that has never been traveled. Today, history is faced with the limitation that it cannot search for the answers about the future by looking at the footsteps of past mankind. This essay suggests that in order overcome the challenge faced by history during the age of AI,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the way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historical drama. When we focus on the grammar of historical drama that is telling a story about the ‘past future’ that existed for those who lived in the past, instead of doing historical research that explore past reality, we can find meaningful answer about “Historia, Quovadis?” in AI 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