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해주 시절 조명희 문학의 재인식

        김재용 ( Kim Jae-yong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60 No.-

        조명희 후반기의 활동 즉 소련 연해주에서의 문학에 대해서는 냉전종식 이후 여러 연구들이 나왔지만 여전히 자료와 시각 등의 문제로 인하여 핵심적인 접근이 되지 못하고 있다. 소련으로 이주한 것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분분하게 제시되었지만, 일본의 첩자로 살해당한 것에 대해서는 여전히 태부족이다. 소련으로의 망명과 처형을 함께 읽어내는 작업은 거의 없는데 그나마 나온 것은 민족주의의 시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조명희가 소련의 연해주로 가기 직전에 쓴 단편 ‘아들의 마음’(1928)과 처형 직전에 쓴 시 ‘아무르를 보고서’(1937) 두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연해주에서의 문학활동을 전반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조명희의 문학을 식민지 조선의 문맥만이 아니라 당대의 국제주의 연대의 활동의 맥락에 비추어 해석하되 소련중심주의와 코민테른의 유럽중심주의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설명한다. 조명희가 소련으로 가기 직전에 쓴 ‘아들의 마음’은 당대 조선의 사회주의자의 머리를 장악하였던 코민테른의 국제주의 혁명 정책에 기반을 두고 문학적으로 재현한 작품이다. 일본에서 노동운동을 하는 조선출신의 남자와 중국에서 북벌전쟁의 비행사로 활약하고 있는 조선 출신의 여자를 나란히 놓고 그 연대를 말하는 것은 당시 코민테른의 정책을 거의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처형당하기 직전에 발표한 시 ‘아무르를 보고서’는 소련중심주의와 코민테른의 유럽중심주의에 대한 강한 반발을 표현한 작품으로 읽을 수 있다. 스탈린하의 소련은 오로지 일국 사회주의와 소련 방어에만 치중하고 있었고, 코민테른은 이러한 소련의 지휘 하에 있었기 때문에 1920년대 중반까지의 국제적 혁명과 이에 기반한 조선의 해방이란 것은 거의 관심 밖이었다. 조명희는 심한 내적인 갈등을 겪었고 이러한 것을 표현한 것이 바로 이 시이다. 이러한 조명희의 활동은 조선인들의 중앙아시아 이주 정책과 정면으로 배치되게 된다. 소련의 이러한 정책에 대한 조명희의 저항은 결국 처형으로 이어졌다. 후반기 조명희의 문학은 단순히 식민지 조선의 맥락만이 아니라 이렇게 소련과 코민테른으로 이어지는 국제주의적 맥락에서 설명할 때 그 내적과정을 제대로 읽을 수 있을 것이다. The literature of Cho Myounghee in the Soviet Union was oppressed for a long time because of cold war censorship of South Korea. Recently so many researcher start to study it after the fall of Soviet Union. But the research was almost based on ideology of nationalism ignoring the socialist idea of him in Soviet Union. Cho moved to Soviet Union to acquire the free intellectual atmosphere of socialism and socialist realism of Maxim Gorky and create his own style form of novel. At that time, most socialist writer of KAPF was searching of international solidarity of Comintern. Cho also moved to Soviet Union to find new sphere of international solidarity. But he was excuted by in Khabarovsk regarded as th spy of Japanese empire. Cho resist always against colonialsim of Japanese empire before his his movement to Soviet Union. Cho was frustrated by eurocentrism of Soviet Union disregard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colonial Korea. In this essay, the motivation of his movement to Vladivostok and his resistance against Soviet Union of being accused the pro-Japanese spy. Before his escape from colonial Korea to Soviet Union, he published last short story called The Heart of Son. We can find easily his intention of international solidarity based on Comintern through solidarity between man of activity of labour movement in Japan and women of pilot who fight against chinese warlord in China. This is an typical representation of international solidarity based on Comintern. Before his execution of 1938 in Khabarovsk he published poem called In Front of Amur River. We can find easily his agony between socialism and national liberation. Stalin thought that the destiny of international revolution depended on the fate of Soviet Union while Lenin thought that The fate of Soviet Union had depended on international revolution. Stalin's policy of socialism in one nation was spread on that time. Cho can not trust Stalin's policy disregardsing international revolution including national liberation of colonial Korea. We can understand the literature of Cho in the Soviet Union in context of the policy change of Comintern and Stalin's policy of one nation socialism not based on the national context of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조선학부 연구(1924~25년)

        김국화 ( Kuk Hwa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7

        이 논문의 목적은 1920년대 중반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이하 ‘공산대학’ 으로 줄임)의 조선인 재학생을 분석하고, 그들 사이에 있었던 갈등양상을살피는 것이다. 공산대학은 전문적인 혁명가를 양성하는 기관으로 1921년4월 코민테른집행위원회 산하 기관으로 세워진 2년제 학교였다. 조선인들은 코민테른집행위원회 동방부, 러시아공산당, 고려공산청년회 등의 추천으로 공산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다. 공산대학 조선학부 재학생 사이의 분규는 재학생 간의 공산당 건설에대한 이견으로 발생했다. 코민테른집행위원회 산하 기관이었던 공산대학조선학부는 재학생 사이의 내분을 조정하는 과정에서 코민테른의 개입을피할 수 없었다. 학생들 사이에서 발생한 분쟁을 출교로 해결하고자 했다. 공산대학 조선학부에서 발생한 출교 문제는 재학생 사이에서 벌어졌던 사적인 문제가 아니었다. 이것은 곧 조선공산당 창당 과정의 복잡한 상황과 관련이 있었다. 조선공산당이 창당되기 전 조선 사회주의 운동의 최상위기관이었던 오르그뷰로를 반대하는 여론이 조선학부에 있었다. KUTV (Kommunisticheskii Universitet Trudiashchikhsia Vostoka), an institution founded by Communist International in April 1921, had been taking charge of propagating communism to the young people, not only in colonial, but in semi - colonial states. In this collage, students in the Korean Group, who represented a party, had insisted on the creatio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because that was related with the movement for Joseon. The Korean Group at KUTV had been able to set up policies by creating an integrated communist party. In KUTV, there were many students recommended by various parties, and students had been included in different parties as well. On the other hand, some people could matriculate at KUTV if they were the members of the communist party or received recommendation from it. Due to this privilege, it caused conflicts among students which lead to excommunication on the Korean Group. The Korean Group at KUTV became a space of intense conflicts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a policy for the unified communist party. It led to excommunication, and finally, Tuesday communist group(화요파) came to seize power in the Korean Group.

      • KCI등재

        중국공산당의 “중화민족”에 대한 인식 연구: 중국공산당과 코민테른의 관계를 중심으로

        최승현 한국동북아학회 2018 한국동북아논총 Vol.23 No.1

        Since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a plethora of slogans in China called the “Great rejuvenation of the Chinese nation”. Research in this field is also abundant. In particular, the history, unity of the “Chinese nation" and the contribu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ve already been shared by most related studies as facts. That is to say, the so-called “Chinese nation" is a historical reality and unification from the ancient times, and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s maintained the interests of the “Chinese nation" ever since its establishment. This study examines documents produced by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prior to the founding of the People 's Republic of China on the “Chinese nation". This course will show how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perception of the “Chinese nation" has chang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presented. Firs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emerged in the form of the Chinese branch of the Comintern. Therefore, the perception of the “Chinese nation"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was not based on the independent thinking of the Communist Party itself, b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st Party and the Comintern. Second, For China, “Ethnic self-determination" means the separation of ethnic minorities, It conflicted with the logic of the “Chinese people" that demanded unity. Therefore the Chinese Communist Party in the period of emphasizing “Ethnic self-determination" could not accept the “Chinese nation". Third, the theoretical underpinnings of “Chinese nation" characterized by historicality, unity, and diversity were formed through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 independence from the Comintern, or “Sinicization of Marxism". 최근 중국에 “중화민족 위대부흥(中華民族 偉大復興)”이라는 구호가 넘쳐나고 있다. 이와 관련한 학계의 연구 또한 풍성하다. 특히 “중화민족”의 역사성, 통일성 그리고 이에 대한 중국공산당의 공헌은 이미 대부분의 관련연구가 기정사실로서 공유하고 있다. 즉, 이른바 “중화민족”이란 고대로부터 이어온 하나의 역사적 실체이자 통일체이고, 또한 중국공산당은 창당 이래 줄곧 “중화민족”의 이익을 견지해 왔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전 중국공산당이 “중화민족”에 관해 생산했던 문건의 재검토를 통해 중국공산당의 “중화민족”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그 결과로서 다음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중국공산당은 코민테른의 중국지부라는 형식으로 출현했다. 이에 중국공산당의 “중화민족”에 대한 인식과 관련 정책은 중국공산당 스스로의 독립적 사고나 필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중국공산당과 코민테른의 관계로부터 지배를 받았다. 둘째, 중국에게 있어 “민족자결”은 중국 내 각 소수민족의 분리를 지향하는 것으로, 이는 통일성을 요구하는 “중화민족”의 논리와 필연적으로 충돌하였다. 이에 “민족자결”을 강조하던 시기의 중국공산당은 “중화민족”을 부정할 수밖에 없었다. 셋째, 역사성, 통일성,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당대 중국의 “중화민족”에 관한 이론적 토대는 중국공산당이 코민테른으로부터 독립되면서, 즉 “마르크스주의의 중국화”를 통해 형성되었다.

      • KCI등재후보

        마오쩌둥과 당치(黨治)없는 건국 : 1930년 12월 [부전사변(富田事變)]을 중심으로

        김판수 ( Kim Pansu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19 중국사회과학논총 Vol.1 No.2

        이 논문은 1930년 12월 [푸톈사변(富田事變)]을 중심으로, 마오쩌둥이 어떻게 ‘군권’에 기반하여 ‘지역 패자’로 등장했고 또 중화소비에트공화국 건국을 주도했는지 설명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코민테른, 마오쩌둥, 중공중앙이 ‘당치 및 당군 관계의 확립’ 문제를 둘러싸고 어떻게 경쟁·타협했는지 분석하고, 특히 당시 중공 내 권력 문제를 밝히기 위해 중공중앙이 아닌 ‘모스크바의 코민테른과 지역의 마오쩌둥’에 초점을 두고 설명한다. 마오쩌둥의 집권은 1935년 1월 [쭌이회의(遵義會議)]부터 시작되었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 이전 마오쩌둥은 천두슈, 취추바이, 리리싼, 왕밍(王明), 보구(博古) 등 역대 모든 ‘실패한 실권자들’에 의한 모욕·위협 등을 견뎌내야만 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이 담론은 재고되어야만 한다. 첫째, 1934년 이전까지 당치가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공중앙의 지역 관리 역량은 미약했던 반면, ‘지역 군대’를 장악한 마오쩌둥의 권력은 중앙도 쉽게 제어할 수 없었다. 둘째, [쭌이회의] 이전 중공 지도자들의 권력 기반은 코민테른, 중공중앙, 지역 군대 등 여러 차원으로 분열되어 있었다. 1931년 11월 중화소비에트공화국 건국 당시에도 중공의 실질적 권력은 여전히 ‘당’보다 ‘군’에 편중되어 있었다. 그 이유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코민테른에 의해 당 중앙의 자율성이 약화되었다. 2. 당군 통합 이전이었기 때문에, 중공중앙은 중국 각지의 홍군을 직접 통제할 수 있는 역량이 없었다. 3. 1931년 11월 중화소비에트공화국 건국에도 불구하고, 1933년 초 비로소 중공중앙이 루이진으로 이전한 것은 국가 운영 주도권을 사실상 마오쩌둥의 ‘군권’에 빼앗긴 것과 같았다. This article explains how Mao Zedong emerged as a local overlord based on the military power, from the [8·7 Conference] in 1927 to the founding of Chinese Soviet Republic in November 1931.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Comintern, Mao Zedong, and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CCCPC) had competed and compromised on the issue of establishing the Party Rule and Party-Military relations. It is known that Mao Zedong’s rule have begun at the Zunyi Conference in January 1935, firstly. Before that, it was reported that he had to endure the insults and threats of all the ‘failed strong men’ such as Chen Duxiu, Qu Qiubai, Li lisan, Wang Ming, and Bo Gu. But this discourses must be reconsidered. First, since the Party Rule was not established until 1934, the power of the CCCPC was not strong enough, while the power of Mao Zedong, who ruled the local area with military power, could not be easily controlled by them. Second, the power of the CCP was divided into several levels, such as the Comintern, the CCCPC, and the local military.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oviet Republic China in November 1931, the real power of the CCP was still concentrated on the military rather than the party. There are three reasons for this. 1. the CCCPC’s autonomy have been violated by the Comintern. 2. Since the relationship of the Party-Military relations was not established, the CCCPC could not directly control the local Military. 3. Despite the establishment of Chinese Soviet Republic in November 1931, the CCCPC relocated to Rui-jin in early 1933 means that the Military has taken away the authority to operate the state.

      • KCI등재

        국제공산당과 국제공산청년회 속의 한인 혁명가: 박진순과 조훈의 활동 비교

        윤상원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16 No.3

        ‘세계혁명의 총참모부’를 자임하며 1919년에 창립한 코민테른과 킴은 식민지 조선의 민족해방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족해방의 가능성을 사회주의혁명에서 찾았던 조선의 혁명가들은 코민테른과 킴을 각각 국제공산당과 국제공산청년회라고부르며 깊은 관계를 맺어왔다. 이 글의 목적은 박진순과 조훈이 국제공산당과 국제공청에서 한 활동을 프리즘으로 초기 한국 사회주의운동의 변화과정을 바라보려는 데 있다. 박진순과 조훈은모두 식민지 조선의 해방을 염원하는 혁명적 민족주의자로 출발하여 러시아혁명을현장에서 겪으면서 사회주의자로 변신하였다. 박진순은 한인사회당(상해파) 대표로 코민테른 제2차 대회에 참가하여 코민테른집행위원회의 위원이 되었다. 원동의 혁명 전체를 책임지는 막중한 자리였다. 조훈은 고려공산당(이르쿠츠크파)의 대표자로 킴에 파견되어 전권위원이 되었다. 이후조선과 중국에서 전개된 한인 혁명가들의 공산청년회 운동은 조훈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코민테른과 킴의 집행위원으로 두 사람의 권위는 매우 높았다. 그런데 박진순이이후 상해파와 이르쿠츠크파의 파쟁으로 인해 역할과 활동에서 제약을 받을 수밖에없었던 반면, 조훈은 국제공청 집행위원으로서의 권위를 통해 조선 혁명의 새로운세대들을 지도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훈이 북경에서 결성한 고려공청 중앙총국에서 활동하며 공산주의자가 이들이 국내에서 조선공산당과 고려공청을 조직함으로써 결국 조훈의 길이 초기 한국 사회주의운동이 걸어간 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Third International (Comintern) and the Young Communist International (YCI), both founded in 1919, had a great influence, on Korean anti-colonial revolutionaries, who found the possibility of national liberation in the communist revolution. This examines the changes in the early Korean communist movement through the activities of Park Jin-sun and Cho Hun at the Comintern and YCI. Park and Cho both started out as revolutionary nationalists fighting for independence and transformed into socialists after encountering the Russian Revolution. Park Jin-sun participated in the Second Congress of the Comintern as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Socialist Party (Shanghai group) and became a member of the Executive Committee. Cho Hun was sent to the YCI as a representative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Irkutsk group) and became a member of the Executive Committee. However, while Park Jin-sun was constrained in his role and activities due to the struggles of the two groups, Cho Hun was able to lead a new generation of the Korean Revolution through his leadership in the YCI.

      • KCI등재

        1922년 베르흐네우딘스크 대회의 결렬

        임경석(Lim Kyong-sok) 고려사학회 2007 한국사학보 Vol.- No.27

        이 글의 연구 대상은 베르흐네우딘스크에서 열린 고려공산당 통합대회다. 1922년 10월 19일부터 28일까지 개최된 이 대회는 한국의 초창기 사회주의자들이 통일 공산당을 조직하기 위해서 열었던 큰 회합이었다. 이 대회는 결국 결렬되고 말았다. 대표자 자격 문제 때문이었다. 이르쿠츠크파는 러시아 령 소재 공산단체에서 파견된 대표자에게 의결권을 부여하자고 주장했다. 상해파는 그 반대의견을 내세웠다. 이견은 끝내 좁혀지지 않았다. 소수파의 위치로 전락한 이르쿠츠크파는 대회장에서 탈퇴해 버렸다. 대회장에는 두 그룹에 속하지 않는 신흥 사회주의 세력의 대표자들이 참석했다. 서울의 중립 조선공산당과 재일본 조선공산단체가 통합 공산당 결성 과정에 합류했던 것이다. 그들은 중립을 표방했다. 그러나 두 신흥 그룹의 대표자들은 중립적인 지위에 머물지 않고 이르쿠츠크파와 행동을 같이했다. 그들의 가세 덕분에 탈퇴파는 연합반대파의 외형을 띄게 됐다. 초창기 사회주의 운동의 내분 과정에는 코민테른과 러시아공산당의 조선문제 담당관들이 개입했다. 코민테른으로부터 대회 지도원으로 임명된 러시아공산당 극동국 간부들은 상해파를 지지했다. 불과 1년전인 1921년에 코민테른 극동비서부 임원들이 이르쿠츠크파를 지지한 사실과 대비된다. 초창기 사회주의 운동의 분쟁은 코민테른과 러시아공산당에 의해서 더욱 증폭되는 경향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We are here concerned with the Convention of the Goryeo Communist Party, which was held at Verkhneudinsk on October 19-28. 1922. There were 128 delegates present. They came to this convention for the purpose of organizing the sole communist party. But the purpose never materialized because of the different opinion between two factions. The Shanghai faction proposed to eliminate all Russianized Koreans from the convention. This was not acceptable to the Irkutsk faction, which consisted mainly of Russianized Koreans. A Three-man delegation from Comintern, headed by Kubyak, were present at the convention. They supported the Shanghai faction's claim. Oweing to Kubyak the Shanghai faction occupied the majority. Conseqently all of the members of the Irkutsk faction walked out of the convention. They went to Chita, and resumed its meeting.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that delegates of two neutral groups-the Jeoseon Communist Party and Korean Communist Group in Tokyo-came to Verkhneudinsk. They represented the newly-rising communists in Korea and Japan. But acctually they didn't take a neutral attetude. They cooperated with the Irkutsk faction.

      • KCI등재

        어느 코민테른 극동부 대표의 이상과 현실

        김영진(Kim Young-jin) 한국역사연구회 2011 역사와 현실 Vol.- No.82

        This article took notice of the case of a Comintern representative who served as a mediator between the Comintern and the communist movement in East Asia. The person in question is Joseph (or Joe) Fineberg, who was appointed as representative of the Far East Bureau of the Comintern in Vladivostok. During his term from July 1923 to February 1924, Fineberg was involved in the revolutionary movements in East Asia and also chaired the Korean Bureau. The Korean Bureau was established to unite opposing Korean communist groups, as instructed by the resolution of the Fourth Congress of the Comintern. Unlike his predecessors, Fineberg is not a well-known figure, as his term was short and ended in failure. Through examining his failure, however, this study will be able to describe the mutual relationship that existed between the Comintern and the revolutionary movements in East Asia. In this study, the given conditions in which Fineberg found himself is first examined, and then historical accounts containing information pertaining to his failure, for which he and his individual incompetence was often blamed, will be examined as well. The fundamental conditions under which the Comintern operated at that time, will be thoroughly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1920년 코민테른 2차대회 시기 朴鎭淳의 민족ㆍ식민지문제 인식

        전명혁(Jun Myung-Hyuk) 한국사연구회 2006 한국사연구 Vol.134 No.-

        This article purposes to search how does the Park Chin-Sun's recognition influence on the Korean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while considering the formation of his idea and process of turning about ‘National-Colonial Question’. In order to approach this problem while analysing and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Lenin and Roy, first I consider the formation of its conception on Park Chin-Sun who was an Ideologue of Korean Socialist Party and participated in a member of council of the national and colonial question and how does Lenin and Roy influence on Park's idea and second, I research since the second congress of Korean Socialist Party in April 1919, how does change his attitude on the national bourgeoisie. In order to attain these aims I analyze Park's two writings, i.e., “The Socialist Movement in Korea”(1919), “The Revolutionary East and the Next Task of the Comintern”(1920) and a document, his addressing in the Second Congress of Communist International a document, I lead to the conclusion as Park's agrarian revolution theory is similar to Lenin's ‘the road of non-capitalistic development'. And I suggest that Park Chin-Sun is much affected by M.N.Roy's ‘East-Centered Revolution’ who supplies important strategies of colonial liberation, then he differ from Roy in respect to ‘the solidarity between Communist West and Revolutionary East’. Then I try to present a clue on the relation between Park's ‘nationalcolonial question’ and the strategy of Korean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