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에 있어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이형탁 ( Hyung Tark Lee ),서응교 ( Eung Kyo Suh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가상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연구들이 있어왔으나 가상공간에서의 집단토의를 통한 의사결정에 관련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그 결과도 관련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환경은 매체의 차이로 인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면대면 대화보다 의사 결정에 있어 사회적 존재감을 줄여 그로 인한 다양한 개인적 의견들의 산재로 인해 합의된 집단의견에 도달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서 의사 결정 수준을 다르게 한다. 즉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의 의사결정은 집단의 조직화가 필요한 과제나 하나의 빠른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과제인 경우에는 면대면 조건에서의 의사결정에 비해 불리하다. 상기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번의 실험실 실험을 실시하였는데, 첫 번째 실험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방식과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집단토론을 통한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두 번째 실험은 집단토론을 통한 의사결정에 있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였다.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분리된 환경 하에 시각적 정보가 있는지 여부로 구분하였다. 실험1에서는 414명의 실험 참가자가 6명이 1 그룹이 되어 69그룹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212명의 실험 참가자가 4명이 1 그룹이 되어 53그룹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을 통해 확보한 자료를 타당성과 신뢰성이 확보된 항목을 토대로 결과 값을 이용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실험 1에서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집단극화 현상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실험 2에서는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환경, 비디오 큐를 준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텍스트 기반의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의 순으로 집단극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첫째, 기업조직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집단 의사결정을 수행하려고 할 때 높은 성과를 내거나 원만한 합의와 활발한 정보 공유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 가장 적합한 매체조건을 선제적으로 디자인 하여 적용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인터넷 사용시 발생되는 다양한 역기능들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유용하다. 집단극화 현상은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서 순방향적인 기능과 역방향적인 기능이 공존하는 현상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업들이 온라인을 매체상에서 집단 토론을 통한 집단 의사 결정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인터넷 토론 게시판에서의 토론과 그에 따른 의사결정의 행위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며, 새롭게 토론게시판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기초가 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effects of communication method on group polarization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CMC) settings. Literature introduced some theoretical backgrounds of Social Comparison Theory(SCT) and Persuasive Argumentation Theory(PAT) to explain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ues. The concept of each theory emphasized role on communication cues. However, most literature didn`t compare group polarization of all group conditions. This did not sufficiently explain the result of group polarization. In the face of this insufficiency, we believe that direct impact of communication settings on group polarization can provide a more admissible and clearer explanation for results. This study divides two levels of communication setting as face to face group,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CMC) group. CMC group specifically divided into text settings and text+video settings. To justify our view, two lab experiment was carried out. The experiment conducted in communication setting(face to face setting, text setting, text+video setting). Subjects are undergraduates from a large University majoring Business. In Experiment 1, There were three decision making conditions, non-discussion (personal decision making), and face to face discussion, and CMC with text condition discussion. Every decision making conditions groups decided the probabilities how much the described persons would be one of the engineer. At this experiment, Risky shift phenomenon was measured at group decision making on probability inferring. After experiment the participants was asked how much he/she and his/her group used the individuation information and base-rate. The members of face to face groups reported that he/she had considered the individual information and base-rate somewhat little but his/her group had considered the two kinds of informations very much at probability inferring. And the members of text CMC discussion groups reported that he/she and his/her group had considered the individual information and base-rate information similarly at probability inferring. In Experiment 2, There were three decision making conditions, face to face setting, and CMC setting with text. and CMC setting with text and video. And there were 2 types of descriptions which described like an engineer and a lawyer. Every participants was asked to decide the probabilities 3 times. Pre-discussing session(personal decision making), discussing session(group decision making), post-discussing session(personal decision making). and he/she also asked how much he/she used the individual information and base-rate and his/her group did. And finally, the group evaluated that how much did the group used the individual information and base-rate. At this experiment, Risky shift phenomenon was measured at group decision making on probability inferring and at group evaluation to the considering quantities of the individual information. Findings out of experiment are followings. First, the removal of visual cues does not produce a significant impact on group polarization, which can not be explained by the social presence view. This study examines another view of how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may be associated with group polarization. Process and outcome data from experiment reveal group polarization affected by level of CMC setting. Group discussion carried out in CMC setting with text and CMC setting with text and video tend to result in weaker group polarization. Conversely, group discussion conducted in Face to Face setting tend to lead too stronger group polarization. Finally it should be noted that many other possible factors such as group size, topics, and group history affect group polarization. These factors should be examined in future studies.

      • KCI등재

        암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탐색적 연구: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영향을 중심으로

        정의철,Euichul Jung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Vol.3 No.1

        이 연구는 국립암센터의 전국 규모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암 커뮤니케이션 의도를 강화하는지, 그리고 암 커뮤니케이션 의도가 실제 암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탐색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을 높게 인식 할수록, 또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높다고 인식 할수록 암 커뮤니케이션 의도가 높았다. 또한, 암 커뮤니케이션 의도가 높을수록 암 커뮤니케이션 행동의 강화를 이끌었다. 특히 면 대 면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사회적 지지 제공이 자기효능감을 높여주고 암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기여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헬스커뮤니케이션 대상인 공중이 건강행동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이를 통해 검진 등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인식을 높이는 것이 건강에 대한 공중의 임파워먼트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research, based on a national survey data by National Cancer Institute, explores whether and how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strengthen cancer communication intention, as well as whether and how cancer communication intention influences cancer communication behavior, including screening. Results indicate that if people perceive that they have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hey tend to have stronger cancer communication intention. Also, the stronger the public's cancer communication intention, the more active their cancer communication behavior. In particular, social support through face-to-face communication can improve self-efficacy and make cancer communication more energetic. It seems vital to help the public, the target of health communication, have more confidence on health behavior and increase their intention of initiating health behavior, such as screening, as well. Moreover, this process can contribute to enhancing the public' empowerment in terms of their health care.

      • KCI등재

        비서학 연구 30년: 커뮤니케이션 연구 동향

        전지현 한국비서학회 202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비서학 분야에서 이루어진 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를 위한 발전적인 제안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비서·사무경영연구 창간호부터 2022년 3월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를 수집하기 위하여, 한국비서학회의 학술지 홈페이지에서 커뮤니케이션을 키워드로 논문을 검색하고 출간된 학술지 목차에 제시된 연구제목을 모두 살펴보며 관련 논문을 수집하였다. 커뮤니케이션을 키워드로 검색된 논문 65편 중,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다룬 38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키워드로 커뮤니케이션 관련 논문으로 검색된 논문의 경우, 서론과 결론을 읽으며, 논문에서 커뮤니케이션이 어떤 맥락에서 어떻게 언급된 것인지를 파악하였다. 연구영역, 연구방법, 연구범위, 연구의 세부내용과 제안범위를 파악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한 연구의 경우에는 질적분석을 위한 코딩을 하였다.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우리말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영어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우리말 커뮤니케이션과 영어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한 논문은 연구방법, 연구영역, 연구의 세부내용과 제안범위의 측면에서 각각 내용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이 된 논문 중 우리말 커뮤니케이션 연구와 영어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연구방법, 연구영역, 연구 세부내용, 그리고 제안범위 측면에서 빈도와 분포를 도식화하여 현재까지 이루어진 비서학 분야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현재의 동향을 좀 더 명확하게 볼 수 있게 하였고 향후 어떠한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필요한지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현황과 과제 : 문제점과 방향성

        박기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05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 No.-

        이 연구는 이론형성이나 검증을 시도하는 본격적인 연구논문이 아니라 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가 발족함과 동시에 체계적인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와 교육영역에서 다루어져야 할 향후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려는 시론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구성은 첫째, 전통적 입장에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와 비판적 입장에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관심영역과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전통적 입장은 주로 기능적인 면을 중시하고, 비판적인 입장은 구조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치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에 관한 연구로서 인쇄매체, 전파매체, 그리고 인터넷시대의 정치커뮤니케이션을 살펴보았다. 셋째는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정치학적입장과 커뮤니케이션학의 입장을 대별시켜, 각각의 연구가 가지는 관심과 문제점을 보았다. 그 결과 전자는 포괄적으로 정치와 커뮤니케이션을 보는 대신에 지나치게 거시적이며, 추상적인 문제가 있고 후자는 그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기능중심이며, 미시적 수준에 치우쳐 있음을 지적한다. 끝으로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의 과제와 방향성을 논의하였는데, 먼저 학문의 정체성 확립과 연구영역의 확대를 위하여 지금까지의 연구의 분야가 보다 확대, 다양화 되어야함을 주장하였다. 특히 지금까지의 연구가 권력획득과정인 선거커뮤니케이션에 집중되어 있는데서 나아가 정치체계와 시민, 정치체계와 체계 상호간의 커뮤니케이션, 국가단위의 고도의 정치커뮤니케이션 영역까지 연구의 범위와 관심을 넓힐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조직시민행동 관계에 대한 연구 -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박지철,장석인 대한경영정보학회 2014 경영과 정보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와 이들 관계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성원들로 하여금 조 직에 적극 참여토록 하고, 훌륭한 리더십은 조직의 목표달성과 성과창출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는 관 점에서 실행한 국방조직에 대한 실증연구이다. 하향적, 상향적,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을 독립변수 로, 참여적 행동과 이타적 행동을 종속변수로, 변혁적 리더십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하향적 커뮤니케이션은 참여적 행동과 이타적 행동에, 상향적 커뮤니케이션은 참여적 행동 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은 어느 변수에도 유의한 영향 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혁적 리더십은 하향적, 상향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시민행동 의 관계에서는 유의한조절효과가 나타났지만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는 조절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방조직의 경우 임무수행 관련 지시나 보고 등의 하 향적, 상향적 커뮤니케이션은 부대(서)원들로 하여금 조직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은 물론 적극적인 참 여활동과 이타적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지만, 동호회 등 사적(私的)인 모임의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 은 구성원들에게 자발적 조직시민행동을 유발시키지 못한다는 것이다. 즉 변혁적 리더십은 공식적 커뮤니케이션 관계에서만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을 더욱북돋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리더는 공식적 관계에서 조직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조직 구성원들에게 자발적인 동기를 부여 할 수 있도록 변혁적 리더십을 적극 발휘해야 함을 시사하며, 나아가 군조직이 화합되고 국민의 재산 과 생명보호의 국방 목표 달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is on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organizationalcitizenship behavior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positive verification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impacting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to perform positive verification onmoderating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variables are downward communication,upward communication, unofficial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cludingparticipatory actions, altruistic behavior, mindful behavior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t wasverified on survey of 232 peoples. The verification and analysis results will be provided to impact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downward communication impacts all elements ofcitizens’ behaviors, and upward communication impacts of participatory actions. On the other hand,the unofficial communication did not impact at all. Moreover the results of moderating effect of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t as moderator in downward, upwardcommunications. but did not act as a moderator on the unofficial communication. The research suggests to use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to commanders and leaderships atmilitary organizations to put efforts on active communication in order to manage unit moreeffectively and efficiently and to make members of organization to voluntarily. It is assessed that this paper will serve as a reference to whoever in military reform group ororganization working for military developments working for creating elite forces.

      • KCI등재

        소통을 위한 성찰

        김무규(Moo-Kyu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8 No.2

        커뮤니케이션의 이론연구에서 일반모델에 대한 섬세한 구상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다양한 이론연구의 유형들 가운데 체계이론의 관점으로 이루어진 커뮤니케이션 모델에 대해 고찰하고, 이 모델에서 특히 중요한 성찰성 개념을 부각시켜보고자 한다. 의미전달과 상호이해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모델에는 여러 가지 논리적인 문제점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주체, 전달, 대화의 패러독스로 정리하였다. 체계이론의 성찰성 개념은 이러한 패러독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그리고 하버마스의 커뮤니케이션 이론이 패러독스의 문제를 어떻게 풀어가는지 아울러 알아보았는데, 여기에서 언어화용론을 중심으로 한 문제해결 방식에도 역시 논리적인 난점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학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루만의 모델은 하버마스의 이론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메르텐으로부터 시작되어 루만, 슈미트 그리고 그랜트에 의해 제시되는 체계이론과 구성주의적 이론은 다른 방식으로 패러독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방식을 성찰성으로 개념화할 수 있다. 결국 커뮤니케이션의 합리성론에 대해 비판적인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체계이론과 구성주의적 커뮤니케이션 이론은 각각의 경우에 약간의 상이한 점도 나타나지만, 성찰성 개념에 치중하여 커뮤니케이션의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해소하는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paper seeks to deal with the point that in order to perform meaningful communication, a conscious act of reflexion must be involved. In other words,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inevitably requires self-reflexion. It is known that rationality and dialogism function as necessary preconditions and as goals of communication. But these concepts are very ambiguous because the communicational paradox is not considered. The interaction model could be thought to solve the paradox problems, but such solution can ultimately be seen as a result of ignoring the point that personal reflexion is necessary or covering up the logical problem by depending on concepts such as ‘legitimation’ or ‘ideal discourse situation.’ Therefore this paper views that the theory of communication based on Luhmann’s system theory and constructivism has a more meticulous logics, and considers that the concept of reflexion specifically supplements the interaction model also by examining Schmidt’s concept of fiction and Grant’s concept of porous communication.

      •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본 법정 담화 사례분석 : A 지방법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안종묵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1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한 지방법원이 주최한 오픈 코트(open court) 대상 재판(형사재판 1건, 민사재판 1건, 국민참여재판 1건) 3건을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법원이 추진하고 있는 법률서비스의 제고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정보원(판사, 검사)과 수용자(피고인, 변호인, 증인)가 개선해야 할 커뮤니케이션은 무엇인지 탐구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커뮤니케이션의 주최인 판사, 검사, 피고인, 변호인, 증인 등이 상호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요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법정이라는 특수한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뿐 아니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적절히 사용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법정 커뮤니케이션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주최는 판사인데, 판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말끝을 흐리는 태도, 입 속으로 웅얼거리는 말투, 어려운 법률 용어를 빠르게 말하는 태도 등 피함으로써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We need to examine the court discour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mmunication. It is helpful to do thi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scheme in the court's juridical service. We monitored three trial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particular, we examined the communication of the sources(judge, public prosecutor) and the receivers(defendant, attorney, witness).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 sources and receivers need to use verbal communication as well as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e court. Specially, in the court discourse, non-verbal communication is of greatest importance. And, the judge who can handle the core of the court need to interact others, so he(she) need to prohibit to slur the end of his(her) sentences, to swallow his(her) words in the speech, and to use the difficult legal term.

      • 호텔 직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라포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재근,김수진 한국관광서비스학회 2015 관광서비스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호텔 직원의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조직몰입간의 영향관계에서 라포의 매 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특1급 호텔에서 근무하는 282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모형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SPSS 18.0 통계패키지가 이용되었다. 본 연 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대한 3개의 하위요인개념 중 조직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부서 내 커뮤니케이션이 라포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부서 간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라포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대한 3개의 하위요인개념 중 조직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부서 내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으나 부서 간 커뮤니케이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포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하위 개념 중 조직 커뮤니케이션 환경, 부서 내 커뮤니케이션, 부서 간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몰입 간의 영향관계에 대한 매개검증에서 라포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호텔 조직에서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 극대화를 통한 호텔 직원의 직무만족을 유 도하기 위해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법들을 시도하거나, 교육과 훈련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유 형과 기술적인 발전만을 강조하기 보다는 호텔 직원들이 의사소통에 대해 정확하게 인식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고 상사에 대한 신뢰를 기반으로 조직에 몰입 할 수 있는 방안들이 고민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호텔 직원의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몰입간의 영향관계에서 라포의 매개역할을 검증함으로서 인적자원관리 분야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a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satisfaction(CS) on their organization commitment(OC).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the 289 employees who work in Five Star Hotels in Seoul were surveyed,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to conduct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First, hotel sub-concepts of the CS shows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ffect on rapport and OC in circumstance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COS), internal communication(IC) and communication between departments(CD). Second, i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mpact the relationship between CS and OC, rapport showed that a mediating role in positive correlation COS, IC. but In the case of IC, rapport has been shown to no significant effect on OC.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 between CS and OC it proposes the implications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 KCI등재

        뉴로 커뮤니케이션: 휴먼커뮤니케이션의 뇌과학적 탐색 연구

        조창연 ( Chang Yeon Jo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09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는 커뮤니케이션의 환경 인식에서 출발하여 휴먼커뮤니케이션에서 송신자의 의도가 가능한 왜곡되거나 변질됨이 없이 수신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가능성을 인지과학과 뇌 과학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탐색적으로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작업을 위하여 메시지가 전달되는 휴먼커뮤니케이션 과정이 어디에서 왜곡 혹은 변질될 수 있는지를 점검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기존의 메시지 전달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들 모델들은 공통적으로 의미를 생산하는 주체로서 송신자, 송신자가 생산한 의미가 코드화된 메시지, 그리고 이를 전달하는 미디어(매체), 그리고 이를 수용하는 주체로서 수용자로 되어있는 커뮤니케이션의 구성적 요소로 이루어져 있고, 코드화된 메시지와 매체는 시간과 공간적인 차이를 극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들이 갖는 재매개적 특성은 송신자의 메시지를 왜곡할 수 있는 부정적인 요소로도 작용하여 왔음이 밝혀졌다. 기존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이 갖는 이 같은 재매개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생각 자체가 메시지이고 매체로 표현되어 전달될 수 있을 때 상당 부분이 극복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 최근 새롭게 연구되고 있는 진화 생물학적 연구와 최근의 인지과학과 뇌 연구에 대한 연구결과들인데, 특히 뇌파에 대한 연구 결과는 이에 대한 많은 고무적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뉴로 커뮤니케이션 가능성과 그 모델 구축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가설적 수준에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논의는 앞으로 우리의 일상적인 커뮤니케이션이 뉴로 커뮤니케이션 방식으로 이루어질 때 그 변화를 어떻게 이해하고 대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는 계기를 주리라 생각된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some possibility of modelling the human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and brain-science studies in which a sender can transmits his/her messages to the receiver without message distortion. First the current human communication models on transmitting message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process of the message distortion. The review reveals that these models commonly consist of sender expressing meaning, message encoded with meaning, medium transmitting a message, and receiver receiving message. The encoded message and its medium have played a deceive role in getting over the time and place(space), but because of their mediated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y also played negative role in transmitting the message by distorting sender`s message. The limit of these mediated characteristics in previous human communication models can be considerably developed when our thought is message in itself and could be transmitted as it is. This possibility is shown in evolutional biological studies, i.e., the studies of cognitive science and brain science that are recently new developed. Especially those achievements in the studies of brain wave are suggestive of excited possibility. This discussion will provide a momentum for how to understand the span of the human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cognitive science and brain-science studies.

      • KCI등재

        한국의 커뮤니케이션학, 공통감각을 소실한 공생적 지식생산

        유선영(Sun-Young Yoo)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2

        이 연구는 “한국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학자는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라는 실존적 질문을 커뮤니케이션 학자가 생산하는 지식의 속성과 언론학자의 사회적 위상을 탐문하는 방식으로 에둘러 접근하였다. 1980년대 중반 이후 현재까지도 커뮤니케이션학의 정체성을 둘러싼 회의론과 비판론은 반복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괄목할 정도로 분과학문으로서 외형적 성장을 이뤘고, 신자유주의적 사회운영 시스템하에서 급속한 미디어 기술발전과 국가적 콘텐츠산업 부양책을 추수하면서 연구 영역을 확장했으며 미디어 환경과 수용자 변화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생산하면서 존재감을 과시했지만 커뮤니케이션학에서 생산되는 지식은 인접 학문에 영향을 주지도 받지도 않는 공생적 지식에 그치고 있는 상황과 위기론은 맞물려 있다. 커뮤니케이션 기술변화에 즉자적으로 대응하는 기술추수성과 함께 미디어, 미디어 정책 및 규제기구, 신기술, 콘텐츠 등 커뮤니케이션 연구 대상 자체의 물리적 현존, 즉 실물성(實物性, corporality)은 커뮤니케이션 학자의 산업과 시장에 대한 정책적 및 담론적 개입을 추동하였고, 개입의 대가가 여러 형태의 보상으로 주어지면서 응용행정적 학문이라는 외부의 평가와 내부의 자성도 심화되었다. 2000년대 진보정권과 보수정권 교체의 파동은 미디어판의 운영원리를 둘러싼 진영 간의 갈등을 노정하였고 이 균열이 장기화하면서 커뮤니케이션 학자들도 학문공동체다운 공통의 문제틀과 관점, 행동과 감각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오랜 침묵에 빠져들었다. 이에 대한 제안으로 커뮤니케이션학의 본래적 속성인 다학제성의 의미를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전체성(wholeness)으로 재해석하고 커뮤니케이션학이 보다 인문적, 인간적, 사회적, 심층적인 지식생산, 즉 분업화된 지식이 아닌 종합적(synthetic)이고 사회적인 지식생산을 통해 인접학문과 공생적인 관계가 아닌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기를 제안했다. This essay aims to bring forth some suggestions to breakthrough on-going dilemmas of communication field that we have faced since the 1980s. So-called ‘Identity Crisis discourse’ of communication field that has repeatedly pointed out problems in a self-confessed-report style like as theoretical poverty, high dependence on imported theories from the West, lacking of domesticated perspectives on Korea society, rapid diversification into sub-fields and no interactions between sub-fields themselves, and isolated knowledge production within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fields in Korea. In fact, these kinds of problems are not confined nor peculiar to the Communication field. Most of academic disciplines in Korea have wrestled with those problems. I argued a couple of primordial qualities of Communication Studies such as technology driven-ness and corporal presence of research objects have made communication scholars difficult to keep distance from the reality, rather made them to involve and intersect in operations of research objects, such as broadcasting companies, media-regulating agencies, administrative authorities, and media industries. Those tech nology driven-ness, corporality of research objects, and newly rearranged academic institutions disciplined by neo-liberal orientation made communication field in fragments of many sub-fields and in micro variables. Knowledges produced in communication field turns out to be informations lacking significance that are not helpful to understand Korea society in which media locates. In consequence, communication field and knowledges compiled in the field would be circulated within the field, hardly cross over to other fields. I define this isolation as symbiotic association that shares economic resources with other associations, but not communicate to each other. To overcome those dilemma, I suggest to remind the wholeness of communication processes itself that are articulated and constituted by factors visible and invisible. Communication is not scientific facts, but human-social phenomena. Human factor make things complicate, contingent, and variable, so knowledge about communication is to be humanized that cannot be fragmented in a couple of varia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