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남명학파의 동향 일고찰 -월촌(月村) 하달홍(河達弘)의 삶과 교유활동을 중심으로-

        박동일 ( Dong Il Park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4 No.-

        月村 河達弘은 19세기 강우지역에서 활동했던 학자이다. 그는 실용 을 중시하는 학문경향을 가지고 南冥 曺植과 謙齋 河弘度를 존숭하며 慕寒齋에서 강학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로써 인근의 학자들을 운집시키 고 그들에게 남명학파로서의 의식을 고취시켰다. 이때 月皐 趙性家ㆍ 溪南 崔琡民ㆍ東寮 河載文ㆍ克齋 河憲鎭ㆍ斗山 姜柄周ㆍ尼谷 河應魯 등이 그의 문하에서 종유하였다. 이후 조성가와 최숙민은 하달홍의 인도 아래 보다 체계적인 학문을 위해 노사학단에 나아가 奇正鎭에게 수학하였다. 한편 하재문과 하헌 진은 본거지로 돌아가 寒州 李震相과 교유하였고, 강병주와 하응로는 性齋 許傳에게 나아가 집지하였다. 조성가와 최숙민이 노사학단의 핵심인물로 자리매김한 것에 비해 하재문이 한주학단에서나 강병주가 성재학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 리 크지 않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남명을 존숭하고 학문의 실천성을중시하는 남명학파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는데, 하나는 하달홍의 모한재 강학이 남명학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는 것과, 다른 하나는 하달홍이 노사학파와 친밀성이 깊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하달홍은 19세기 하동과 인근 강우지역의 문인들에게 남 명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고 보다 큰 학문을 접할 수 있도록 발판의 역할을 해 주었으며, 이를 통해 그 문인들은 남명학파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각자의 학문을 발전시켜 나갔던 것이다. Ha Dal-hong(河達弘, 1809~1877) was a scholar who worked in the Rainfall Area. He respected Nammyeong(南冥) Jo-Sik(曺植)ㆍ Kyumjae(謙齋) Ha Hongdo(河弘度) besides had a practical academic tendency. And gatherd the young scholars around as inspired the Nam-myoung school``s consciousness. Especially scholars such as Wolko(月皐) Cho Sung-ga(趙性家), Gyenam(溪南) Choi Suk-Min(崔琡民) gatherd there When he was studying at Ha Hongdo``s school Mohanjae(慕寒齋). Since then, Cho Sung-ga and Choi Suk-Min enterd the Nosa School of Ki Jung-jin(奇正鎭) for systematic studying under his leadership. Other scholars enterd the Han-ju School of Yi jin-sang or Sung Jae School of Heo Jeon. Even though they said they had a different academic orientation emphasized the practical academic tendency. And they had a identity as Nam-myoung school``s scholar. So Ha Dal-hong had a great influence in that Rainfall Area``s people had a identity as Nam-myoung school``s scholar, Through this, he receives a rating that succeed to the Ha Hongdo``s learning.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의 "명리지학(明理之學)"으로서의 심론(心論)

        김근호 ( Goun Go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본고는 최숙민의 `명리지학`으로서의 心論을 究明하면서 l9세기 후반 20세기 초반까지 지속되었던 성리학 담론의 일면과 당시 성리학자들의 학문적 공감대를 시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최숙민은 조성가와 정재규와 함께 진주를 중심으로 한 경상우도 지역에 노사학파의 학문을 확대했던 대표적 인물이다. 노론의 色目을 가지고 있었던 조성가나 정재규와는 달리, 그는 남인의 색목을 가지고 있으면서 기정진의 문하에 들어갔다. 이것이 정치적 관계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롭게 학문적 교유를 전개하였다는 측면을 짐작하게 해 준다. 기정진의 직전제자이면서도 화서학파, 한주학파, 안동의 퇴계문인 등과도 학문적 교유를 확대하였다. 그의 이러한 학문적 교유에는 당대 지식인들의 학문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보인다. 특히 `明理之學`을 성현들의 학문이라고 전제하면서 `心卽理`라는 心論을 형성하고 있는 최숙민의 학문은 노사학파의 입장에서 보면 독특한 일면이다. 그러나 心을 중심으로 한 학문적 경향성은 그의 학문뿐만 아니라 한주학파, 화서학파 등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숙민의 心論은 기정진이 부정했던 `心卽理`를 오히려 긍정하였다는 측면에 학문적 특징이 있지만, 이것은 理의 氣에 대한 현실적 우위성을 확보하여 理主氣僕의 가치론적 상하관계를 공고히 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理의 절대적 우위성을 확보하고자 경향을 보이는 기정진의 학문을 현실적 측면으로 까지 확대·강화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현실에서의 理의 우위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학문적 노력들은 최숙민뿐만 아니라 그가 교유하였던 학파들이 공유하였던 성리학적 문제의식이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變亂의 늪에 빠진 조선을 구하고자 했던 성리학자들의 현실적 고뇌가 당겨 있다. Neo-Confucianists of Chosun in the 19th century theorized about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心卽理), which was distinction between their mind theory and a concept of School of Mind(心學). A concept of School of Mind signified that mind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while their mind theory maintained that mind isn`t the origin of universe because of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nature(心性之辨). However, why did they justify the mind theory although their theory was criticized by reason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propositions. Their purpose could be confirmed Choe Suk-min(1837-1905)`s mind theory. He tried to theorize `Mind is principle`, which Ki Jung-jin(奇正鎭), his teacher, denied the proposition `Mind is principle` and maintained the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nature. There was some reason why he insisted the mind theory against Ki Jung-jin`s mind theory that Mind is material force(心事氣). First, there was a realistic agenda on the realization of Li(理) in his mind theory. In theory it made the material force(氣) always to carry out the order of Li(理). So, they believed that it was up to Li to take the realistic initiative in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Second, it provided a sound theoretical basis to keep on their cultural styles on the moral base and system of Neo-Confucianism. The cultural styles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Chosun dynasty. Through the `Mind is priciple` theory he tried to get over his social and international difficulties. Finally, Li is principle without the realistic power, but Mind(心) has the realistic power on realization of Li according to his theory. And then he focused on Mind and tried to prove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조성가(趙性家)와 최숙민(崔琡民)을 통해서 본 경상우도 지역에서의 노사학(蘆沙學)의 전개양상

        김봉곤 ( Bong Gon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본고는 19세기 경상우도 학풍 속에서 趙性家(1824-1903) 와 崔琡民(1837-1905)의 활동을 분석하여 노사학이 어떻게 전개되어갔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경상우도 지역은 19세기에 새로운 성관집단이 성장하면서 학파를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고, 각 가문에서는 과거 급제나 학행에 뛰어난 인물 배출을 위해 노력한 결과 진주 일대의 학문 수준은 그 이전시기보다 훨씬 높아지는 결과를 갖게 되었다. 각 가문에서는 書齋를 지어 학문에 몰두하였으며, 지리산과 덕천강의 풍경이 뛰어난 곳에는 樓亭을 지어 문장을 통해 당색을 뛰어넘어 교제하였다. 문장 외에도 경학이나 성리학에 뜻을 둔 학자들은 호남의 기정진과 같은 저명한 학자 들에게 나아가 수학하였다. 경상우도의 기정진의 문인들은 섬진강과 지리산을 따라 이어진 길을 따라 호남으로 나아갔는데, 곳곳에 숙박할 수 있는 객점과 시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족들이 분포되어 있어서 여행이 용이하였다. 또한 장성의 김인후나 함양의 정여창의 후손 등 영,호남을 대표하는 사족들 간에 혼인도 이루어지고 있어서 호남 지역을 왕래하는데 정서적으로 큰 어려움이 없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기정진의 명성이 높아지자 많은 학자들이 기정진을 찾아와서 수학하게 된 것이다. 조성가와 최숙민은 19세기에 성장한 가문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상우도에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들이다. 그들은 河達弘(1809-1877)등에 의해 전개된 시단에 참여하여 다수의 시를 남겼으며, 장성의 기정진을 찾아가서 주리론에 바탕을 둔 성리학에 잠심하였다. 조성가는 호남지역 문인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하달홍 이후 이 지역의 시단을 이끌었으며 영, 호남간의 노사학파의 가교 역할을 하였다. 그는 崔益鉉이나 宋秉璿, 李震相 등이 찾아올 정도로 명망이 높았으며, 관찰사나 목사 등 지방관과 함께 향약을 실시하여 향촌질서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남계서원의 원장이 되어 강규를 새롭게 정하거나 조식의 신도비의 일에 주도적으로 관여하였다. 또한 최숙민은 남인 출신이지만 기정진에게 수학한 인물로서 이항로나 이진상의 문인들과도 교제하면서 기정진의 학설을 심즉리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정진에게서 성리학을 수학한 이후 동문들과 강회를 자주 개최하였으며, 조식을 숭상하여 山川齋에서 德山講約의 강규를 정하는 등 강학에 힘써 산청과 단성, 진주 일대에 다수의 문인을 배출하였다. 그의 학문은 기정진의 학설을 추종하여 매사에 천명 즉 천리를 구현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삼강오륜의 도덕적 질서를 중시하고, 의리나 도리에 어긋나는 일체 행동을 배격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1895년 단발령이 내리자 도에 어긋난다고 반발하여 직접 언문을 지어 단성의 吏民들을 효유하여 결국 단발령을 철회하게 하였다. 이처럼 조성가와 최숙민은 각각 이 지역의 문단과 학계를 주도하면서 경상 우도 지역에 의리에 바탕을 둔 노사학파의 학설이 굳게 뿌리내리게 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advancement of Nohsahak studies within the Gyeongsangwudo`s academic trad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Jo Seong Ga(1824-1903) and Choi Suk Min(1837-1905). In the 19th century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relatively tolerant environment began to take shape owing to the rise of the newly established clans. It became possible to pursue a doctrinal faction of one`s own choosing. With every family clan vying to produce their own promising prodigy, who would make a name for themselves by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or becoming a respected scholar, academic standards of the Jinju region rose higher than ever before. Every clan would set up their own "Seojae(study hall)" to dedicate themselves to learning. While building "Rujeong(pavilion)" in scenic spots, mostly in the Jirisan mountains or along the Deokcheongang river, to promote wide-ranging exchange of opinions through "Munjang(handwritten manuscripts)" even to the point of transcending political affiliations. Those keen on "Gyeonghak(study of Confucian classics)" or "Seonglihak(Neo-Confucianism)" would study under renowned scholars like Gi Jeong Jin in the Honam region. Followers of Gi Jeong Jin living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would make their way to the Honam region taking the trail winding through the Seomjingang river and the Jirisan mountains. Along these paths, lodging facilities like "Gaekjeom," and "Sajok(distinguished family`s household)" where you can exchange "Shimun(literary writings)," would be found scattered about, making traveling less of a chore. Furthermore, as in the case of Kim In Hu of Jangseong or the descendants of Jeong Yeo Chang of Hamyang, marriage between the leading families of the two regions was not an uncommon practice, thus canceling out any concerns of cultural disparity between the two regions. All of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scholars flocking to study under Gi Jeong Jin as his reputation continued to grow.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o had the financial backings of the newly-risen clan in the 19th century, became notable figures among Gyeongsangwudo scholars. They had been closely involved in a poetry group fostered by Ha Dal Hong(1809-1877), contributing many compositions. They also went to Gi Jung Jin in Jangseong region delving into Seonglihak based on Ju-Ri philosophy. Jo Seong Ga kept close ties with literati of the Honam region, and eventually took over the reins from Ha Dal Hong to lead his poetry group, effectively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the Nohsa scholars` faction of the Yeongnam and the Honam region. Jo was held in such high esteem that scholars like Choi Ik Hyeon, Song Byeong Seon, and Lee Jin Sang sought him out. Working closely with governors and local officials, Jo would implement "Hyang-Yak(Confucianist village code)," as a means of establishing order in provincial districts. Later, he was to head "Namgye Seowon(lecture hall)," exercising his influence in newly enacting academic code of conduct and erecting a stone monument dedicated to Jo Shik. Choi Suk Min though he was from the Namin faction, chose to study under Gi Jeong Jin establishing close ties with the likes of Lee Hang Ro and Lee Jin Sang. He was to interpret Gi Jeong Jin`s theories in terms of "Shim-Jeuk-Lee(心卽理)" philosophy`s perspective. After studying "Seonglihak" under Gi Jeong Jin, he would regularly hold lectures with his alumni. As a sign of utmost reverence for Jo Shik, Choi would institute academic code of conduct called "Deoksangangyak" in Sancheonjae. His commitment to education has turned out many scholars from Sancheong, Danseong, and Jinju region. Choi`s philosophy, which follows in the footstep of Gi Jeong Jin`s theories, is in realizing the truth in everything. In line with this logic is to place the utmost importance on ethical order according to "Sam-Gang-Oh-Ryun(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nd denouncing any behavior contrary to righteousness and reason. On this account, when "Danbalryeong(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was proclaimed in 1895, Choi personally wrote a written protest using Korean alphabets in opposition, asserting that it ran counter to reason. This incited the citizens of Danseong, and Danbalryeong was soon called off.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ile leading the learned circles of this region, made doctrines of Nohsa scholar`s faction based on righteousness take root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의 성리사상(性理思想) -이기론(理氣論)과 심성론(心性論)을 통해서 본 철학사적(哲學史的) 좌표

        김기주 ( Kee Joo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溪南 崔琡民(l837-1904)은 기정진의 제자이자, 다양하게 전개되어 온 기호 학맥의 끝자락을 장식한 인물이다. 특히 그는 그의 스승 기정진과 함께 율곡학파에 귀속되긴 하지만, 그의 성리학적 구도는 율곡학이나, 이이의 시각을 수정 없이 그대로 계승한 계열과 많은 차별성을 보여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최숙민의 성리학이 어떤 측면에서 율곡학의 관점과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는지 그의 리기론과 심성론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확인하는 데 있다. 아울러 그러한 차별성에도 불구하고 그가 왜 여전히 율곡학파의 일원으로 분류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의 성리학이 조선성리학의 전개사에 있어서 어떤 좌표에 위치해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氣發理乘一途` 와 `심은 곧 기(心卽氣)`라는 명제로 요약될 수 있는 이이의 성리학이 떠안아야만 했던 치명적인 약점은 바로 성리학의 궁극적인 목표였던 `도덕실천의 필연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것에 있었다. 그리고 이렇듯 이이가 남겨둔 문제는 이이의 후계자들이 어떤 형태로든 해결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였고, 율곡학파의 전개사는 곧 이 문제에 고민하며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최숙민의 성리학에는 율곡학파 300년의 고민이 담겨져 있다. 그 고민의 결과가 리기론에서는 주리적인 성격의 강화로, 심성론에서는 `심이 곧 리(心卽理)`라는 명제로 나타났다. 물론 이것은 최숙민의 문제해결 방식이다. 그리고 그의 철학체계는 혹 또 다른 문제를 낳을 수 있겠지만, 최소한 율곡학파가 고민하던 문제에 대해 그 나름의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Chio Suk-min(Gyenam, 1837-1904) was Gi Jung-jin`s discipline and ended the Kiho. School that had made various activities. In particular, he was involved in Yul-gok School along with his mentor, Gi Jung-jin but his Neo-Confucian structure showed many differences from those who just followed Yul-gok School and Lee-Ii`s view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ces from Yul-gok School`s perspective through an analysis of li-ki theory and mentality theory. This study analyzed why he is still considered as a member of Yul-gok School despite such a difference. In addition, it analyzed where his Neo-Confucianism was in the history of Chosun Neo-Confucianism. The fatal limit of Lee-Ii`s Neo-Confucianism that can be summarized as propositions `one way that ki is generated and then li follows it`(氣發理乘一途說) and `sim is li`(心卽氣) `sim is ki(心卽氣) is that it didn`t secure enough `necessity of morality practice`, the ultimate goal of Neo-Confucianism. The problem that Lee-li left was an issue for his successors to solve in any way, and Yul-gok School`s progress is to find out the solution, worrying about this problem. Chio Suk-min`s Neo-Confucianism contains 300-year Yul-gok School`s concerns. When it comes to the result of the worries, li-ki theory highlights confucious personality, and mentality theory shows a proposition `sim is li`(心卽氣) `sim is ki(心卽氣). Of course, it is Chio Suk-min`s way to solve the problem. Although his philosophy system may bring about another problem, it is meaningful in that he suggested a solution to Yul-gok School`s problems at least.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경상우도(慶尙右道) 노사학파(蘆沙學派)의 남명학존숭(南冥學尊崇) 양상(樣相)과 그 본질(本質)에 대한 고찰(考察) -조성가(趙性家), 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김익재 ( Ik Jae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趙性家와 崔琡民은 경상우도 蘆沙學派의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南冥學派의 본거지인 경상우도에서 태어나 蘆沙 奇正鎭의 문인이 되었고, 기정진의 학문을 전파하고 확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사람들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들의 행적을 돌이켜보면 그들에게서 남명학적 사상과 언행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언행을 순수하게 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의 이러한 행위가 진정으로 남명학을 존숭해서가 아니라, 남명학적 사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상우도에서 자신들의 학파세력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록에 남아있는 여러 가지 증거와 정황으로 볼 때, 경상우도 노사학파를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조성가와 최숙민은 실제로 남명 조식을 존숭하였고 그의 사상을 자신의 내면에 깊이 간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사상을 더욱 더 발전·확산시키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노력했던 인물들이었다는 것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남명학 존숭과 관련된 그들의 언행은 진정성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he most remarkable persons of the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They were born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the stronghold of Nammyoung-school, and became the students of Nosa Ki jung-un. They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But the second thought of their whereabouts, we can find out the considerable evidence that they have a lot of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And we can`t deny that some of us partly agree that. Because the behavior of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aken as not purely efforts for the Nammyoung-school`s ideas but as a pretentious actions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min. It may be so, bu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the representative of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actually speaking they really respected Nammyoung Cho-sik and really kept his academical ideas in their mind. Furthermore we have to realize tha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did their many-sided efforts to develop and spread the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 KCI등재

        노사(蘆沙) 문인 최숙민(崔琡民)의 현실인식과 대응양상

        김준형 ( Jun Hyeong Kim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1 역사학연구 Vol.41 No.-

        구한말 경남 서부지역에서는 각 고을마다 南人·老論세력이 형성되어 서로 대립하면서도 서로 교유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들은 각각의 당파적·학파적 입장에서 당시의 사회변화에 다양하게 대응하고 있었다. 노론계 蘆沙學派의 일원인 崔琡民에게서도 그 모습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다. 최숙민은 衛正斥邪의 입장을 견지하면서 외세침략과 기존의 유교적 질서를 파괴하는 현상에 대해 앞장서서 반대의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義兵에 대해서도 상당히 긍정적으로 보았지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입장은 아니었다. 노사 문인인 최숙민은 스승의 학문을 전승하고 후배들에게 확산시키려 노력하였다. 그는 「蘆沙集」의 刊行과 重刊 등에 간여하였고, 이론적인 면에서도 스승을 따라 主理論을 앞서 강조하고 있었다. 南冥學派의 본거지에서 자란 최숙민은 조상의 가풍을 따라 남명학파의 계승이라는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南冥集」 重刊 등의 일에 깊숙이 간여하거나, 남명이 남겼던 학문과 실천의 정신을 환기하면서, 이를 다른 사람에도 확산시키려 하였다. 최숙민은 영남 지역 유림들뿐만 아니라 호남이나 경기 지역의 노론계 인물들과도 폭넓게 교유하였다. 그러나 그는 남인과도 폭넓은 교유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남인 집안 출신으로서 노사의 문하에 들어갔지만, 남인의 입장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지는 않았던 것 같다. 이런 입장으로 인해 노사학파에 참여하면서도 학설 수용이나 기타 문제에 대해 매우 신중한 입장을 취할 수밖에 없었다. In the latter era of Chosen Dynasty, in each village of the southern area of Gyungnam, Namin party((南人) and Noron Party(老論) were formed, and although they were in antagonistic relationship, they would frequently carry out their mutual exchange. They responded to the social change of that period variously in the aspect of factions and schools. A member of Nosa school(蘆沙學派) of Noron party, Choi Suk Min, showed one of such aspects. Holding fast the view of expulsion of foreign culture, Wijungchuksa(衛正斥邪), Choi Suk Min had a leading role in expressing the opposite perspective against the phenomenon of foreign invasion and destruction of existing order. He showed a very positive attitude towards Euibyong(義兵), but he did not participated in it actively. Nosa Scholar, Choi Suk Min tried to pass down his master`s learning and spread it to the juniors. He was involved in the publication of Nosajip and participated in edition. In the theoretical aspect, he followed his master, emphasizing Juriron(主理論). Grown up in the central part of Nammyong school(南冥學派), Choi Suk Min was interested in the issue of succession of Nammyong school, in accordance with his family tradition. He was deeply involved in the edition of Nammyoungjip, and made an effort to spread Nammyong`s learning to others, recalling his learning and spirit of practice. Choi Suk Min was broadly associated with scholars in the area of Yongnam as well as persons of Noron party in the areas of Homam and Gyonggi. However, he had a broad association with Namin. As a member of Namin family, he was under the Nosa school, but he did not seem completely independent from Namin`s view point. Due to such view point, while he was taking part in Nosa school, he could not help being very careful of accepting academic theories an other issues.

      • KCI등재

        溪南 崔琡民의 ‘明理之學’으로서의 心論

        김근호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Neo-Confucianists of Chosun in the 19th century theorized about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心卽理), which was distinction between their mind theory and a concept of School of Mind(心學). A concept of School of Mind signified that mind is the origin of the universe, while their mind theory maintained that mind isn't the origin of universe because of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nature(心性之辨). However, why did they justify the mind theory although their theory was criticized by reason of similarity between the two propositions. Their purpose could be confirmed Choe Suk-min(1837-1905)'s mind theory. He tried to theorize ‘Mind is principle’, which Ki Jung-jin(奇正鎭), his teacher, denied the proposition ‘Mind is principle’ and maintained the distinction between mind and nature. There was some reason why he insisted the mind theory against Ki Jung-jin's mind theory that Mind is material force(心是氣). First, there was a realistic agenda on the realization of Li(理) in his mind theory. In theory it made the material force(氣) always to carry out the order of Li(理). So, they believed that it was up to Li to take the realistic initiative in overcoming a national crisis. Second, it provided a sound theoretical basis to keep on their cultural styles on the moral base and system of Neo-Confucianism. The cultural styles wer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Chosun dynasty. Through the ‘Mind is priciple’ theory he tried to get over his social and international difficulties. Finally, Li is principle without the realistic power, but Mind(心) has the realistic power on realization of Li according to his theory. And then he focused on Mind and tried to prove the mind theory that Mind is principle. 본고는 최숙민의 ‘명리지학’으로서의 心論을 究明하면서 19세기 후반 20세기 초반까지 지속되었던 성리학적 담론의 일면과 당시 성리학자들의 학문적 공감대를 시론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최숙민은 조성가와 정재규와 함께 진주를 중심으로 한 경상우도 지역에 노사학파의 학문을 확대했던 대표적 인물이다. 노론의 色目을 가지고 있었던 조성가나 정재규와는 달리, 그는 남인의 색목을 가지고 있으면서 기정진의 문하에 들어갔다. 이것은 정치적 관계에 구애되지 않고 자유롭게 학문적 교유를 전개하였다는 것을 짐작하게 해 준다. 기정진의 직전제자이면서도 화서학파, 한주학파, 안동의 퇴계문인 등과도 학문적 교유를 확대하였다. 그의 이러한 학문적 교유에는 당대 지식인들의 학문적 공감대가 형성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고 보인다. 특히 ‘明理之學’을 성현들의 학문이라고 전제하면서 ‘心卽理’라는 心論을 형성하고 있는 최숙민의 학문은 노사학파의 입장에서 보면 독특한 일면이다. 그러나 心을 중심으로 한 학문적 경향성은 그의 학문뿐만 아니라 한주학파, 화서학파 등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숙민의 心論은 기정진이 부정했던 ‘心卽理’를 오히려 긍정하였다는 측면에 학문적 특징이 있지만, 이것은 理의 氣에 대한 현실적 우위성을 확보하여 理主氣僕의 가치론적 상하관계를 공고히 하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理의 절대적 우위성을 확보하고자 理一元化 경향을 보이는 기정진의 학문을 현실적 측면으로까지 확대·강화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현실에서의 理의 우위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학문적 노력들은 최숙민뿐만 아니라 그가 교유하였던 학파들이 공유하였던 성리학적 문제의식이었다. 그리고 거기에는 變亂의 늪에 빠진 조선을 구하고자 했던 성리학자들의 현실적 고뇌가 담겨 있다.

      • KCI등재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의 시세계 고찰

        김기림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24 동방학 Vol.- No.50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poetic tendencies and significance of Choi Sook-min, a student of Nosa's school in Yeongnam. Choi Sook-min learned Neo-Confucianism and the spirit of Wijeongcheoksa from Ki Jeong-jin, and the spirit of practice from Jo Sik. When Japan violated Joseon's sovereignty, he thought that Joseon would turn into barbarians. As a writer, he expressed his perception and feelings about his life, studies, and reality through his poetry. In his poetry, he distinguishes between civilized people and barbarians, and describes the deeds of those who practiced respect for civilized people, a clean mind when mountaineering, self-reflection, anger at reality and criticism of government officials, and respect for Jo Sik. expressed. His poetic world contains the consciousness of trying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y inducing awareness of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restoring and strengthening ethics.

      • KCI등재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의 교유(交遊)와 학술 토론

        김낙진 ( Nak Jin Kim ) 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영남의 남인 출신 유학자인 최숙민은 호남의 노론 율곡학자인 奇正鎭의 문하생이다. 본래 心身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었던 그는 기정진의 문도가 된 이후 理主氣僕의 철학과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보다는 이면의 원인을 이해하여야 한다는 학문 방법을 배웠다. 스승의 견해에 바탕을 두고 영남에서 유행하던 심설을 결합함으로써 순선한 본심의 측면을 강조하는 心卽理說을 받아들였다. 이것에 合理氣說을 더함으로써 心氣를 경계해 마지않던 전통적인 학문 정신도 수용하였다. 그는 이런 학설을 스스로 연구하였지만, 또한 견해가 상통하는 학자들과의 교유를 통해 문제의식과 이해의 정도를 심화시켜 나갔다. 학문 연원을 같이 하는 노사학단의 동문들은 물론 활동공간을 같이 한 한주학파의 학자들, 경기도에서 활동한 화서학파의 학자들이 그의 학문적 동료들이었다. 이들과 위정척사 의식을 함께 소유하며 마음의 본질에 관한 주리적 학설을 공유한다. 당쟁으로 얼룩진 과거를 반성하면서 학파와 당파를 떠난 단합을 도모하던 이들이 공유하려던 정신이 이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한말 위정척사의 학자들이 주리론적 견해를 공동 소유한다고 보았던 논의를 세밀하게 가다듬으면 본심에 관한 주리론적 해석을 공유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이야말로 유학의 세계가 영속하기를 바라던 이들이 의리의 정신으로 외세에 맞서 투쟁하고, 나라가 망하더라도 유학의 도를 언젠가는 회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는 최종 근거였다. Choi Sook Min who his family were belonged to South Party was a disciple of Ki Jeong Jin. He originally take an interest in the problem of Mind and Body. He learned the spirit of Li ju Ki bok(the theory that Li is supervisor, conversely Ki is servant) and the method of study that attach importance to the inside cause of the present condition. As the result, he received the theory of Sim jeuk Li(Li is the important content fact, and Ki is only assistance in Mind). Moreover he added the theory of Sim hap Li Ki(Mind is composed of Li and Ki), so he inherited the spirit that kept a strict watch on Mind. He went deep into this study by oneself, and deepened the theory through academic exchange with congenial scholars. His academic partners were the fellow students who studied under the same teacher, scholars belonged to Hanju school and Hwaseo school. They held in common the consciousness of Wijeong-Cheoksa(the ideas on the preservation of true science and the expulsion of wickedness) and the theory of essential Mind undersood by an angle of Ju-li-ron. They criticized the history of disunion and hostility provoked by party strife in late Cho-sun, so they devised union of Confucianism world. The basis of union was the theory of essential Mind. It was the ultimate foundation of struggle against foreign power and the recovery of Confucian Tao.

      • KCI등재

        노사학파의 명덕(明德) 개념 - 기정진과 최숙민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순자 (사)율곡학회 2023 율곡학연구 Vol.53 No.-

        조선 성리학은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학파로 분기하는데,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의 사상을 종지로 삼는 노사학파가 그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은 기정진과 그의 직전 제자인 계남(溪南) 최숙민(崔琡民, 1837~1905)의 명덕(明德)을 고찰한 것이다. 기정진은 명덕을 본심(本心)이라고 규정함으로써 명덕이 심 성 정을 모두 아우르는 총체적 개념이 아니라 마음의 역량임을 분명히 한다. 하지만 기정진은 명덕을 리(理) 또는 기(氣)로 규정하는 것을 경계한다. 왜냐하면 본심은 기의 지반을 떠나 성립할 수 없으므로 본심은 단순히 기라고 할 수 없지만 리라고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숙민은 기정진이 명덕을 본심으로 보는 관점을 이어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심을 리라고 봄으로써 스승과는 다른 입장을 취한다. 최숙민은 명덕을 “거짓이 없는 참된 본체[無妄之眞體]”로 규정하면서 기가 전혀 섞이지 않는 상태로 설명한다. 또한 최숙민은 ‘령(靈)’ 개념 분석을 통해 그의 ‘심즉리(心卽理)’를 완성한다. 왜냐하면 심을 주기론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학자들이 주목하는 개념이 허령(虛靈)이기 때문이다. 최숙민은 령을 저(底)와 처(處)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신령스러운 것[靈底]은 리, 신령스러운 곳[靈處]은 기와 연관시킨다. 최숙민은 령은 ‘저’의 측면에서는 리이지만 ‘처’의 측면에서는 기이며, 더 나아가 ‘저’는 주인이고 ‘처’는 노복에 해당한다고 본다. 그런데 기정진은 ‘령’을 리와 연관시켜 논의하는 것에 반대한다. 왜냐하면 만약 령을 리라고 하게 되면 자칫 잘못하여 기를 리라고 하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최숙민은 자신의 심과 명덕에 대한 입장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스승인 기정진의 영향을 받은 측면도 있지만 스승의 주리적인 경향을 더욱 강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시 말하면 최숙민이 스승과 달리 ‘심즉리(心卽理)’의 노선을 선택한 이유는 심을 통해 리의 기에 대한 주재를 증명하고자 하였기 때문이다. In the 19th century, Neo-Confucianism of Joseon diverged into various schools, and one of them was the Nosa School, which pivoted around the ideas of Nosa Ki Jung-jin (1798-1879).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mingde of Ki Jung-jin and his previous disciple, Gyenam Choi Sook-min (1837-1905). By defining mindge as the true mind, Ki Jung-jin made it clear that mingde is not a total concept encompassing xin, xing and qing, but a capacity of the mind. However, Ki Jung-jin was wary of defining mindge as li or qi. This is because the true mind cannot exist outside the ground of the qi, so it cannot be simply called as qi or li. However, Choi Sook-min took a different position from his teacher by considering Ki Jung-jin's true mind as li even though he inherited the view of mindge as his true mind. Choi Sook-min regarded mindge as a "true body without lies" and explained it in a state where qi is not mixed at all. In addition, Choi Sook-min completed his theory of “xin is li.”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ling(靈).’ This is because xuling (虛靈) is the concept that the qi-centered theorists paid attention to. Choi Sook-min divided the ling into two parts, di[底, thing] and chu[處, place], and associated a spiritual thing with li and a spiritual place with qi. Choi Sook-min believed that ling is li in terms of thing but qi in terms of place and furthermore, di is the owner and chu is the salve. However, Ki Jung-jin opposed discussing 'ling' in connection with li. This is because if we say “ling is li.”, it is almost same as if we say “qi is li.” In conclusion, Choi Sook-min was influenced by his teacher Ki Jung-ji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his position on mind and mingde, but it is evaluated that he further strengthened the li-centered ideas of his teacher. In other words, unlike his teacher, Choi Sook-min chose the line of "xin is li" because he wanted to prove li’s presidency of qi through x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