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finitivit\"{a}t$ des deutschen und koreanischen Verbs - Im sprachtypologischen Vergleich beider Sprachen

        박진길,Park Jin-Gil Korean Society For German Linguistics/Koreanische 2002 독어학 Vol.6 No.-

        지금까지 우리는 한국어와 독일어를 비교하면서 동사의 정형과 부정형을 관찰해 왔다. 이 부정성(역으로 말하면 비구속성)은 한국어 동사에는 전반적으로 통용되는 데 반해 독일어에는 부정형/동사원형과 분사가 그러할 뿐이다. 동사의 특성 연구는 어느 자연어/개별언어의 상이한 기능을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외국어 학습/습득을 위해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 그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다. 한국어와 독일어 동사의 부정성 비교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ast$ 한국어 동사의 특징인 부정성은 우리의 운명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어떤 면에서는 유익함을, 그리고 어떤 다른 면에서는 문제점을 감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전형적인 전치성 언어인 유럽언어를 습득할 때 언어간섭현상을 통해 그러하다. $\ast$ 독일어의 부정사/분사 및 한국어 동사가 인칭변화를 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들이 주어를 갖지 않고 있거나 (독일어의 경우), 아니면 그것이 어떤 문법/통사적 역할을 하는가 (한국어의 경우)에 주된 원인이 있다. $\ast$ 비교 대상의 양쪽은 생략가능성, 즉 원자가 요구에 대한 자유/비구속성을 누린다. 핵(성분), 즉 독일어의 부정형 및 분사 그리고 한국어 동사는 혼자 남을 때까지 생략이 계속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부정성은 <비한정성/비구속성>과 관련된 것 같으며, 반면에 정동사의 특성은 <한정성/구속성>과 관계되어 있다. $\ast$ 원자가 요구/충족에 대한 자유/비구속성은 한국어 동사/술어가 문장 끝에 고정되어 있다는 사실은, 직접 또는 간접으로 본동사 앞에 놓여 있어야 되는 모든 문장성분과 부문장 때문에, 즉 한국어의 전면적인 전위수식 현상으로 흔히 큰 부담/복잡함을 야기한다는 데에 그 원인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동사는 가능한 한 그의 문장성분을 줄이려 한다. 통사적으로 보장되어 이미 있으니 말이다. 그래서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은 일종의 부담해소 대책으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ast$ 두 비교 대상에서의 핵 및 최소문장 가능성은 역시 원자가에 대한 비구속성에서 비롯된다. $\ast$ 우리 한국인이 빨리 말할 때 흔히 범하는 부정성으로 인한 인칭변화에서의 오류는 무엇보다도 정형성/제한성을 지닌 독일어 정동사가 인칭 변화하는 데 반해 한국어에서는 부정성/비구속성을 지닌 동사가 그것과는 무관한 페 기인한다. 동사의 속성을 철저히 분석함으로써 이런 과오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한국어 동사의 부정성은 지금까지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 이 문제는 또한 지속적으로 수많은 다른 자연어들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관찰돼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이 이런 연구와 언어습득을 위한 작업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Sprachtypologische Disambiguierungsprobleme- in Hinsicht auf den Spracherwerb -

        박진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4 獨語敎育 Vol.30 No.-

        자연어는 보편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학습 때문에 존재한다. 언어습득/학습은 언어의 규칙체계를 정복함으로써 끝난다. 자연어에 존재하는 다양한 규칙체계의 문제점을 조절하고 보완하는 것이 중의성 해소(DA) 현상이다. 그의 위상/기능을 정립하기 위해 특히 언어유형학 및 언어습득이론에 입각해서 독일어와 한국어를 중심으로 관찰했다. 중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중의성 해소(DA), 즉 중의성 탈피 현상은 언어학습의 핵인 규칙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여러 가지 이질적인 문제를 조절하고 해결하는 데 기여한다. 그래서 중의성 해소 현상은 언어유형에 따라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때로는 (오해와 오류를 서로 확인/판별하는 데서) 긍정적으로, 때로는 (난해한 형태 및 언어간섭 상태에서) 부정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2) 중의성 해소 현상은 언어의 보편성, 즉 보편문법(UG)을 기본적인 골격으로 해당언어의 특수성을 유지하고 조절해서 가능한 한 조화를 추구한다. 즉 개별언어에 특유한, 변수적인 문제에 작용한다. 이를테면, 수식구조의 양면성에 따라 성/수/격에 따른 격변화 및 인칭과 수에 따른 인칭변화를 통해 오해와 오류를 조절 해소하는 것이 그러하다. 수식구조에서 일면성, 동사의 부정형과 부정성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어에서는 문법적인 일치구조나 원자가 요구 현상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들은 언어학습에 긍정적이고도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다. (3) 언어 및 언어유형이란, 규칙체계, 즉 보편문법(UG)과 개별언어에 특유한 변수적인 자질의 집합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중의성 해소 현상은 바로 언어학습 및 언어학 연구에 매우 중요한 영역이다. 무엇보다도 다양한 표현 면에 대한 그의 역할에서 그러하다. 이를테면, 구절구조라는 보편적 골격을 조절하고 보완한다. 즉 기본성에 일관된 규칙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언어접촉과 변화에 적응하고 체계유지에 방어적 역할을 수행하는 셈이다. (4) 모든 인간 언어는 반드시 보편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언어습득장치의 절대적인 기능과 보장에서 - 언어습득의 결정/한계론이 제시하는 바와 같이 - 즉 학습에 따라 규칙체계를 구축해 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100% 성공적인 언어학습에는 모국어 사례에서 드러나듯이 반드시 일정한 원칙과 방법을 제대로 수행해야 한다. 모국어의 언어공동체에 상응하는 학습환경과 학습방법이 필수적이다. (5) 언어학습은 언어최소량을 정복함으로써 (이에 따른 규칙체계는 언어습득장치가 완벽하게 보장해 주기 때문에) 언어학습은 완료된다. 특히 주목해야 하는 것은 “문법”이니 “규칙성”이니 하는 것은 아예 거론되지도 않는다는 사실이다. 언어최소량은 모국어의 언어공동체와 같은 언어환경에서는 100% 달성되기 마련이다. 어디로 넘어져도 언어학습이요 각인작업이 계속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볼 때 우리의 외국어 학습/교육은 모든 가능성을 깡그리 간과하고 역행하고 있는 셈이다. 언어의 기본성을 기반으로 하는 보편문법에 따른 중의성 해소 현상, 또는 언어유형에 대한 연구는 언어학과 마찬가지로 직접 (그것을 가르쳐) 언어학습에 기여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그 원칙과 이치에 따라 효과적인, 이상적으로는 완벽한 언어환경과 학습방법을 제시하고 실천하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자연어는 결국 극소량의 질량(언어최소량)을 소화/ ...

      • KCI등재
      • KCI등재

        언어유형학에서 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박진길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05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17 No.-

        Bis jetzt haben wir über Merkmale und Positionen von KaF dis- kutiert, und zwar in Hinsicht auf Sprachtypologie und im Vergleich mit DaF. Sie sind folgendermaßen zusammenzufassen: (a) KaF ist eine konstante Postpositionalsprache, deren Merkmale hauptsächlich als die Nachstellung des Kopf/Kerns, die starke Entwicklung der Postpositionalmorpheme, die Einseitigkeit der Modifikation durch Endstellung des Verbs charakterisiert werden. So sieht KaF grammatisch gegenüber DaF viel einfach aus. (b) Die Eigenschaften von KaF gehen meistens von dem Verb aus, das über die Form Infinitiv, die Endstellung, das Merkmal [ꠏFINITHEIT], den Kern-/Minimalsatz, die Unabhängigkeit von der Valenz und die agglutinierende Konstruktion verfügt. Beim Lernen der indoeuropäischen Sprachen wie Deutsch wirken sie aber oft negativ durch Sprachinterferenz. (c) Gegenüber der Beiderseitigkeit von DaF in der Spezifizierung enthält KaF nur einseitige Präspezifizierung, was in der Endstellung des Verbs besteht. (d) In KaF ist nicht vorhanden: Die Klammer(ung), die Wiederholung, die Korrelation und die Kongrunenz durch Deklination bzw. Konjugation. Aus diesem Grund ist KaF sprachtypologisch oft als eine Protosprache bzw. als Metasprache anzusehen. (e) Zur praktischen Beseitigung der Ambiguität, die wegen der einseitigen Spezifizierung passiert ist, ist es für Koreaner empfehlungswert, einen längeren deutschen Satz in die koreanischen Kurzsätze zu wechseln. Dadurch kann man sich gleichzeitig im KaF nicht nur Sachlichkeit, sondern auch Knappheit sichern. In der Zeit Globalisierung soll man die Eigenschaften von KaF genug verstehen und wirkliche Maßnahmen ergreifen, einerseits um es effektvoll zu lehren und andererseits um die Fremdsprache erfolgreich zu aneignen. Dazu ist KaF gerade an der Anfangsphase.

      • KCI등재
      • KCI등재

        Spezifizierungs-und Klammerkonstruktion : in Hinsicht auf Deutsch und Koreanisch

        Park, Jin-Gil 한국독일어문학회 2004 독일어문학 Vol.24 No.-

        우리는 지금까지 수식 및 괄호구조를 관찰해 왔다. 이를 위해 독일어와 한국어를 대조적으로, 특히 범주문법적인 분석을 통해 비교했다. 이 두 언어가 언어 유형학적으로 서로 가깝게 연결되지만 매우 대립적이기 때문이다. 이 논문의 주목적은 무엇이 전향적인 이동과 언어발전의 기반으로서 작용하는가, 그리고 이들은 보편문법과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확인하는 데 있다. 특히 수식 및 괄호현상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자연어는 기호의 규칙체계로 이해되고 있다. 근원적으로는 인간의 뇌 속에 존재하는 언어습득장치의 기능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인간의 언어습득, 언어능력 및 언어활용은 그에 따라 유전적으로 주어진 것이다. 즉 결정론/한계론이 지배적이다. 언어습득의 성공은 오직 이렇게 결정된 방법에서 비로소 가능하다는 뜻이다. (2) 규칙체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별언어의 매개변수와 더불어 소위 생성변형문법 또는 언어유형학적인 보편문법 분야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그의 실상은 보편적인 구절구조에서 지배 결속관계를 나타낸다. 이 논문의 수식 및 괄호구조 역시 그러하다. 특히 머리-보충어-관계 및 수식어-피수식어-관계를 통해서다. 이는 결국 동일한 구조에 대한 다른 시각일 뿐이다. 이 두 구조를 위한 독일어와 한국어의 철저한 분석, 특히 범주문법적인 분석에서 언어의 보편성과 더불어 언어발달의 일관성을 읽을 수 있다. (3) 모든 언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전치성 및 후치성이라는 언어의 기본성이다. 이는 머리의 위치/자리로써 시각적으로도 간단하게 확인된다. 가장 단순하면서도 수용력이 놀라운 보편문법의 중추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괄호현상은 으뜸머리가 후치성 언어의 교착상태에서 분석적인 성향으로 완화됨으로써, 즉 그의 버금머리 뒤로부터 소속 구의 선두 자리로 이동함으로써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반면에 수식구조란 관계어/핵심어를 규명하는 것으로 독일어의 전후양면적 수식형과 한국어의 일관된 전위수식형으로 분류되고 있다. (4) 언어의 기본성은 수식 및 괄호구조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머리-보충어 또는 수식어와 피수식어 관계로 통하는 모든 구절구조에서의 일반성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즉 한 자연어 속에서도 상상할 수조차 없는 무한한 언어자료를 대변/극복할 수 있는, 곧 습득하기 위한 원칙적이고 일반적인 규칙체계의 일환이라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괄호 또는 수식구조에서, 한정사, 인칭형 및 유도사는 머리로서 후치성 또는 전치성 언어의 기본성을 제시하며 일관되게 이동 또는 고정상태에서 규칙체계를 유지하려 한다. 범주문법적인 분석에서는 각 구절 및 요소들의 결합과 이동/발전은 시각적으로 드러난다. 따라서 모든 언어에서의 머리의 작용/기능은 반드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만큼 언어의 특성에 깊이 관여하기 때문이다. 이와 연관된 언어의 기본성, 즉 전치성과 후치성은 보편문법에서의 핵심적인 문제인 이동, 지배, 결속관계를 수행하는 <α를 이동하라>는 원칙에 대한 동기/원인으로서 정착돼야 한다. 왜냐하면, 모든 자연어, 즉 전치성 언어와 후치성 언어에 대해서도 일관된 설명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