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ggregate and Entity Approach in Partnership Taxation

        Lee Kang 한국조세연구포럼 2010 조세연구 Vol.10 No.2

        미국의 과세제도는 크게 C corporation에 대한 과세, partnership에 대한 과세, 그리고 개인에 대한 과세로 나누어볼 수 있다. S corporation과 최근에 유행하고 있는 LLC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파트너십 과세제도는 비록 조항 수는 36개 조밖에 되지 않지만, Regulation은 250여 페이지에 달하기 때문에, 적용시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제도이다. 파트너십 과세제도는 크게 두 가지 이론, 즉 집합론과 단체론에 의해서 구성된다. 집합론은 파트너십이 파트너들의 합일체에 불과하다는 이론으로서 결국적으로 파트너 개인이 종국적인 납부 책임을 지게 된다. 이에 반해 단체론은 파트너십이 파트너와는 별개의 단체로서 존재한다는 이론이다. 파트너십 과세제도는 개념적으로 집합론에 근거한 과제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집합론 자체만으로는 적절한 과세체계를 확립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단체론에 근거한 규정들이 상당수 혼재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집합론과 단체론의 관점에서 파트너십과세제도를 바라보는 것은 그 자체로도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개별 사항에 대해 이를 입법적으로 어떻게 규율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조세특례제한법에서 “동일기업에 대한 과세특례”라는 제목하에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도입하여 2009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따라서 집합론과 단체론의 관점에서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횡적으로 고찰해 보는 것도 이 시점에서 의미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파트너십 과세제도를 설립, 운영 및 분배와 회계문제로 나누어서, 각 부문에서 집합론과 단체론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axing regimes of the United State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at is, taxation for corporation, partnership and individual. Because S corporation and limited liability company (LLC) are basically taxed through partnership taxation, a lot of taxable entities are regulated under this taxa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because the Internal Revenue Code(I.R.C.) has only 36 sections about that, but related regulations are provided over about 250 pages. Partnership taxation is supported by two theories, that is, aggregate theory and entity theory. Aggregate theory is a kind of theory that states that partnership is only equal to the aggregate of partners. According to this theory, each partner is finally responsible for tax liability. In contrary, entity theory is a kind of theory that states that partnership exists separately regardless of its partners. Partnership taxation is basically based on aggregate theory. However, because it is not easy to establish a taxation system only with aggregate approach, both theories are included in a lot of provisions. So, to summarize key points of partnership taxation from the standpoint of aggregate and entity approach is helpful to understand. This is also helpful when we need to revise the provisions. Especially, because partnership taxation was enacted as a title of “Special Taxation for Partnership Firms” and has been effective since 2009 in South Korea, it is a task of great significance at this time to review the partnership taxation horizontally according to both theories.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review and compare the legal attitude of U.S. law with Korean’s with respect to aggregate theory and entity theory in partnership taxation.

      • KCI등재

        집합론은 메타논리학에 필수불가결한가?

        강수휘,Gang, Su-Hwi 한국수학사학회 2010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3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집합론이 메타논리학에 필수불가결하다는 주장, 즉 필수불가결성 논제에 반대하는 것이다. 만일 집합론이 메타논리학에 필수불가결하다면, 집합론을 포함하게 되는 논리적 탐구는 논리학의 가장 근본적인 특성들인 주제중립성과 보편적 적용가능성을 결여하게 되기 때문이다. 논리학의 주제중립성은 논리학의 명제들이 개별 과학과 같은 특정한 지식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하며, 논리학의 보편적 적용가능성은 논리학의 명제들과 추론 규칙들이 모든 과학 분야들과 합리적 담론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나아가 주제중립성과 보편적 적용가능성을 지니기 위해서는, 논리학을 기술하는 메타논리적 용어들과 개념들 역시 이러한 특성들을 지녀야만 한다. 하지만 필수불가결성 논제를 받아들이게 되면, 우리는 논리학이 적용되는 모든 분야에서 집합론의 용어들과 집합론적 개념들이 필수불가결하다는 것을 받아들여야만 한다. 그리고 이는 분명 불합리한 일이다. 필수불가결성 논제가 그럴듯하지 않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서 나는 집합과 관련된 존재론적 문제를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탐구는 집합이 어떤 식으로 이해되든지 간에 존재론적으로 보수적인 "논리적 존재자" 로 간주되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 KCI등재

        동업기업의 세액공제 및 세액감면에 관한 연구

        이준규,강병민 한국세무학회 2009 세무와 회계저널 Vol.10 No.3

        This paper evaluates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application of tax credits and tax exemptions to a partnership under the special tax treatments for partnerships and partners which has been legislated in Korean tax laws in 2007 and become effective in 2009. Under the current system, tax credits and tax exemptions for a partnership business are computed as if the partnership were a domestic corporation according to the entity theory, whereas the taxable income is divided into those of four groups, which are residents, non-residents, domestic corporations and foreign corporations and is determined on a group basis according to the aggregate theory. Due to this disharmony, taxable income and taxes before tax credits and tax exemptions should be calculated twice and tax neutrality and tax equity are impaired. For a remedy, this paper suggests that taxable income should be computed as if a partnership were a domestic corporation, but tax credits and tax exemptions should be computed by each partners, not by the partnership. 현행 동업기업 과세특례에서는 소득금액은 집합론에 따라 계산하도록 하면서 세액공제 및 세액감면은 실체론에 따라 계산하도록 하는 과세논리의 불균형이 존재하며 이로 인하여 세액공제 및 세액감면을 위한 소득금액과 산출세액을 별도로 계산해야 하는 복잡성과 법인세율을 적용하여 세액공제와 세액감면을 계산함에 따른 조세의 중립성 및 과세형평에의 훼손 등이 발생하는 것을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득금액은 동업기업을 하나의 내국법인으로 보아 계산하고 해당 소득금액을 손익배분비율에 따라 각 동업자에게 배분하되, 각 동업자는 배분받은 소득금액을 기초로 각자 세율을 적용하고 세액공제 및 세액감면도 각자 계산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이 방안은 동업기업의 소득금액을 계산함에 있어서 해당 동업기업을 하나의 내국법인으로 보아 계산하도록 함으로서 집합론의 논리를 일부 훼손하는 측면이 있지만 그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는 대체로 집합론의 논리에 따라 세액을 산정하게 되며 다음과 같이 세액공제 및 세액감면 산정방식의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동업자군별로 최대 네 번의 소득금액 계산이 필요하던 것을 한 번에 계산하도록 함으로서 소득금액의 계산을 단순하게 한다. 둘째, 현행과 같이 세액공제와 세액감면을 산정함에 있어서 소득금액과 산출세액을 다시 계산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세액공제 및 세액감면금액을 산정하기 위한 산출세액을 계산함에 있어서 법인세율을 적용함에 따른 조세의 중립성과 과세형평이 훼손되는 일도 없게 된다. 셋째, 세액공제 및 세액감면의 요건적용여부와 한도초과 및 최저한세를 동업기업의 단계에서 정하도록 함에 따른 조세회피의 가능성과 조세의 중립성이 훼손되는 문제점도 해당 항목들을 동업자의 단계에서 정하도록 함에 따라 발생하지 않게 된다.

      • KCI등재

        알랭 바디우의 무신론과 디트리히 본회퍼의 ‘그리스도의 현실’에 대한 하나의 해석

        김광현 ( Gim Gwang-hyeon ) 한국조직신학회 202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9 No.-

        이 논문은 현대 프랑스 철학자 알랭 바디우의 새로운 무신론을 소개하고 독일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의 주요 테제인 ‘그리스도의 현실’을 세계의 무신성을 수용한 테겔 신학과 관련하여 새롭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항과 복종』에서 본회퍼는 세상의 무신성과 무한성을 적극적으로 수용한다. 그에게 무신성은 그 자체로 거부하거나 극복해야 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널리 전파해야 할 것이다. 세계는 유한성이 아니라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장소로서 무한성이다. 무신성의 세상은 무한성의 세상인 것이다. 바디우의 무한성은 그의 존재론인 집합론에 의해 제시된다. 집합론은 무한에 관한 사유를 통해 무신론을 극단으로 밀고 나간다. 집합론에 의해 무한은 신의 이름이 아니라 자연과 세계의 이름이 된다. 본회퍼의 무신성에 대한 긍정과 바디우의 무신론이 세계의 무한성을 매개로 서로 공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회퍼가 말한 ‘그리스도의 현실’은 테겔 신학과 관련하여 세 가지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첫째, 초자연적 하나님 나라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하나님은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그리스도의 현실은 무한한 세계의 현실을 완전히 수용하였다. 셋째, ‘그리스도의 현실’은 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사건을 무한한 세계의 중심으로 이해하기로 결단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a new atheism of modern French philosopher Alain Badiu and to understand the ‘Christ-Reality’, an important subject of German theologian Dietrich Bonhoeffer, in relation to Tegel theology, which embraced the world's atheism. In Letters and Papers from Prison, Bonhoeffer actively embraces the atheism and infinity of the world. Atheism should not be rejected or overcome, but actively accepted and spread widely. The world is not finite, but infinite as a place with infinite possibilities. The world of atheism is a world of infinity. Badiou’s infinity is presented by his ontology, the set theory. Set theory leads atheism to extremes through thought about infinity. By set theory, infinity becomes the name of nature and the world, not the name of God. Bonhoeffer’s acceptance of atheism and Badiou’s strong atheism reson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world’s infinity. Therefore, the ‘Christ-Reality’ mentioned by Bonhoeffer should be understood in three aspects in relation to Tegel theology. First, there is no supernatural kingdom of God. In other words, God does not exist. Second, the ‘Christ-Reality’ fully embraced the reality of the infinite world. Third, ‘Christ-Reality’ is related to decision of christian subject to understand Christ-event as the center of the infinite world.

      • KCI등재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과 부분전체론

        강수휘 한국논리학회 2010 論理硏究 Vol.13 No.2

        This paper aims to scrutinize the possibility of mereology as philosophically satisfiable metalogic. Motivation for this is straightforward. As I see, a traditional approach to metalogic presented in the name of mathematical logic posits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entities such as sets, functions, models, etc. to give definitions of logical concepts like logical consequence. As a result, whenever logic is used in any individual sciences, this set-theoretical metalogic cannot but add these mathematical entities to the domain of them. This fact makes this approach contradict to the ontological conservativeness of logic. Mereology, however, has been alleged to be ontologically innocent, while it is a formal system very similar to set theory. So it may well be that some people thought of mereology as a good substitute for set theoretic metalanguage and concepts for ontologically neutral metalogic. Unfortunately, when we look into argument for the ontological innocence of mereology, we can find that mereological entities such as mereological sums or fusions are not ontologically neutral. Thus we can conclude that mereological approach to metalogic is not promising at all. 본 논문의 목적은 철학적으로 만족스러운 메타논리학으로서 부분전체론의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그 이유는 명백하다. 소위 수리 논리학으로 알려진 메타논리학에 대한 전통적인 접근은 집합들, 함수들, 모형들과 같은 수학적 존재자들의 존재를 미리 상정하고 있다. 이는 우리가 논리학을 개별 과학 분야에 적용할 때마다, 이러한 집합론적 메타논리학이 이들 분야의 논의영역에 언제나 이들 특수한 존재자들을 부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은 집합론적 메타논리학이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과 상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집합론과 유사한 형식 체계인 부분전체론은 존재론적으로 무고하다고 주장되어 왔다. 따라서 우리가 논리학의 존재론적 보수성을 보장할 수 있는 중립적인 메타논리학으로 이 부분전체론을 고려하는 것은 상당히 자연스러운 일일 것이다. 하지만 부분전체론의 존재론적 무고함을 주장하는 논변들을 살펴보면, 우리는 부분전체론적 합 혹은 융합체와 같은 부분전체론적 존재자들이 존재론적으로 중립적인, 무고한 존재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결국 우리는 부분전체론을 통한 메타논리학 역시도 논리학의 기초로서 올바른 접근이 될 수 없다고 결론 내리게 된다.

      • KCI등재

        알랭 바디우의 무신론과 디트리히 본회퍼의 ‘그리스도의 현실’에 대한 하나의 해석

        김광현 한국조직신학회 2022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9 No.-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a new atheism of modern French philosopher Alain Badiu and to understand the ‘Christ-Reality’, an important subject of German theologian Dietrich Bonhoeffer, in relation to Tegel theology, which embraced the world's atheism. In Letters and Papers from Prison, Bonhoeffer actively embraces the atheism and infinity of the world. Atheism should not be re- jected or overcome, but actively accepted and spread widely. The world is not finite, but infinite as a place with infinite possibilities. The world of atheism is a world of infinity. Badiou’s infinity is presented by his ontology, the set theory. Set theory leads atheism to extremes through thought about infinity. By set theory, infinity becomes the name of nature and the world, not the name of God. Bonhoeffer’s acceptance of atheism and Badiou’s strong atheism reson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world’s infinity. Therefore, the ‘Christ-Reality’ mentioned by Bonhoeffer should be under- stood in three aspects in relation to Tegel theology. First, there is no supernatural kingdom of God. In other words, God does not exist. Second, the ‘Christ-Reality’ fully embraced the reality of the infinite world. Third, ‘Christ-Reality’ is related to decision of christian subject to understand Christ-event as the center of the infinite world. 이 논문은 현대 프랑스 철학자 알랭 바디우의 새로운 무신론을 소개하고 독일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의 주요 테제인 ‘그리스도의 현실’을 세계의 무신성을 수용한 테겔 신학과 관련하여 새롭게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항과 복종』에서 본회퍼는 세상의 무신성과 무한성을적극적으로 수용한다. 그에게 무신성은 그 자체로 거부하거나 극복해야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널리 전파해야 할 것이다. 세계는유한성이 아니라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장소로서 무한성이다. 무신성의세상은 무한성의 세상인 것이다. 바디우의 무한성은 그의 존재론인 집합론에 의해 제시된다. 집합론은 무한에 관한 사유를 통해 무신론을 극단으로 밀고 나간다. 집합론에 의해 무한은 신의 이름이 아니라 자연과 세계의 이름이 된다. 본회퍼의 무신성에 대한 긍정과 바디우의 무신론이 세계의 무한성을 매개로 서로 공명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회퍼가 말한 ‘그리스도의 현실’은 테겔 신학과 관련하여 세 가지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첫째, 초자연적 하나님 나라는 존재하지 않는다. 즉, 하나님은 존재하지 않는다. 둘째, 그리스도의 현실은 무한한 세계의 현실을 완전히 수용하였다. 셋째, ‘그리스도의 현실’은 그리스도인이 그리스도-사건을 무한한 세계의 중심으로 이해하기로 결단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 KCI등재

        프레게의 Grundgesetze 와 그 이후의 시스템에서의 귀납법 고찰

        이계식 ( Gye Sik Lee ) 한국논리학회 2016 論理硏究 Vol.19 No.1

        프레게의 Grundgesetze에 소개된 시스템과 그 이후에 집합론 및 유형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시스템들에서 사용된 귀납법에 대해살펴본다. 먼저 프레게의 자연수 귀납법에 대한 이해를 살펴 본 후에 현대 집합론과 유형론에서 귀납법이 어떻게 정의 및 활용되는가를 살펴본다. 또한 프레게의 접근방식과 기타 접근방식의 차이점을 predicativity와 impredicativity 차원에서 조명한다. We compare the approaches to natural numbers and the induction principles in Frege’s Grundgesetze and in systems thereafter. We start with an illustration of Frege’s approach and then explain the use of induction principles in Zermelo-Fraenkel set theory and in modern type theories such as Calculus of Inductive Constructions. A comparison among the different approaches to induction principles is also given by analyzing them in respect of predicativity and impredicativity.

      • KCI우수등재

        영, 하나, 여럿

        장태순(Tae Soon Chang)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1

        이 글은 『존재와 사건』에 나타난 알랭 바디우의 다자 개념을 분석하고 의미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바디우의 다자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현시 개념을 이해해야 하는데, 이 개념은 텍스트에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지 않다. 바디우는 이 개념을 리오타르로부터 차용했다고 말하고 있지만, 하이데거를 참조해야 그 의미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바디우에 따르면 전통적인 존재론은 존재와 ‘하나’(일자)를 동일시했으나, 이로 인한 딜레마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바디우는 하나는 존재가 아님을 선언하면서 존재론을 시작한다. 하나는 ‘하나로 셈하기’라는 작용의 결과이며, 현시를 통해 존재자로 나타날 뿐이다. 이로 인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유형의 ‘여럿’(다자)이 나타난다. 한편으로 현시된 ‘하나’가 작용의 결과라면, 그 작용이 행해진 대상은 하나가 아니었으므로 ‘여럿’일 수밖에 없다. 현시 이전의 존재인 이 ‘여럿’에 대해서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하나가 아니라는 사실뿐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셈의 결과인 ‘하나’들을 단위로 하여 만들어지는 ‘여럿’이 있을 수 있다. 바디우는 전자를 비정합적 다자, 후자를 정합적 다자라고 부른다. 수학적 존재론에서 비정합적 다자는 공백으로 나타나며, 이는 집합론의 공집합에 해당한다. This paper analyzes Alain Badiou’s theory of multiplicity within the context of his work, Being and Event. He claims that traditional ontology has always prioritized the one over multiplicity. Badiou seeks to break with this tradition by making the decision to assume that the one is not and proceeds to examine the consequences of such a decision. To mark out the task of articulating Being as pure multiplicity, that is, as a multiple of multiples, Badiou argues that the one is presented only as the result of an operation called count-for-one. This operation reveals two different forms of multiplicity, the presented multiple (consistent multiple) and the pure multiple (inconsistent multiple). We argue that in order to understand Badiou’s distinction between the presented multiple and the pure multiple, we must turn to the Heideggerian distinction between Being and beings. In this sense, Badiou’s concept of presentation is closer to Heidegger than Lyotard. Pure multiple, although it cannot be formulated in mathematical terms, can still be represented by the empty set as conceived in axiomatic set theory, which Badiou calls the “void.”

      • KCI우수등재

        반복적 집합 개념과 그 문제들

        정인교(Inkyo Chung)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3

        이 글의 주된 목적은 반복적 집합 개념을 검토하여 그 개념이 지니는 내부적인 문제들을 드러내고 그 개념에 대한 구성주의적 비판을 제시하는 것이다. 내부적인 문제는 고전수학자들에게 반복적 집합 개념이 불분명한 데에서 기인한다. 이 점은 불로스의 단계이론을 반복적 집합 개념에 관한 다른 설명과 비교하고 치환공리와 선택공리에 관한 논란을 검토하여 드러낼 것이다. 이보다 훨씬 심각한 문제는 구성주의적 비판이다. 특히, 고전적인 반복적 집합 개념에 내재한 무한에 관한 실재론적 이해에 대한 비판과, 집합론에서 고전논리의 사용에 대한 비판 및 비서술성에 관한 비판이 제기될 것이며, 반복적 집합 개념이 구성적으로 이해될 때, 어떤 원칙들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 검토될 것이다. We examine the iterative conception of set and its problems. After giving an informal explanation of some core ideas of the iterative conception, we examine some more precise explanations, in particular, Boolos’ stage theory. The first group of problems, which I call ‘internal problems’, concerning the iterative conception stems from the intrinsic unclarity of the iterative conception. The unclarity of ‘iteration’ is responsible for disputes about the status of replacement axiom and the unclarity of the operation ‘the set of’ is responsible for the status of choice axiom under the iterative conception. Internal problems arise for classical mathematicians who use classical logic for set theory. But the constructivists’ criticisms of the classical iterative conception are far more radical. Intuitionists criticize the realist conception of infinity and reject the use of classical logic in set theoretical reasoning. They should also reject the impredicative principles inherent in the classical iterative conception of set. Core ideas of the iterative conception can be understood constructively. The constructive understanding of the iterative conception of set conforms to the constructive understanding of infinity and does not rely on impredicative principles. The set theoretic principles justified by such a constructive iterative conception of set should include those of CZF.

      • KCI등재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이종관(Jong-Kwan Lee) 한국현상학회 2007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2 No.-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현대 과학사상 가장 혁명적인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일으킨 파장은 단순히 순수과학의 영역에 머무는 것이라 아니라 새로운 기술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때문에 상대성이론은 인간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위대한 이론으로 추앙받고 있다. 그럼에도 후설은 그의 저서 한 구석에서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혁명이라는 평가를 유보한다. 본 논문은 바로 후설이 이러한 평가에 함축되어 있는 의미를 밝혀내고 그를 통해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의 이론적 구조를 투명화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런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가장 시급한 문제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을 후설의 현상학이 어떻게 접근해들어 갈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이를 본 논문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중력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등가이론을 거쳐 중력을 힘이 아니라 공간의 속성으로 파악하는 아인슈타인의 획기적 발상에서 그 실마리를 발견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아인슈타인의 발상의 이론적 근거는 리만 기하학에서 제공되는 데 후설은 바로 그의 수리철학적 논의에서 끊임없이 비유크리트 기하학의 이론적 토대에 대한 해명을 시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비유크리트 기하학에 대한 논의는 후설의 한정다수체 개념을 매개로 집합론에 관한 논의로 발전한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 과정은 결국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한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고전 물리학의 토대인 유클리트 기하학에 잠재되어 있던 공리연역적 방법이 집합론으로 완성되어 리만 기하학을 출현시키며 결국 물리학으로 침투해 들어가는 세계의 집합화과정을 보다 격화된 형태로 견인하고 있는 것이다. The year 2005 was the 100th anniversary commemorating the birth of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Needless to say, the theory has been appreciated as the greatest achievement i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science, and is said to revolutionize the world view established by scientists since Galileo. How would Husserl, who has been never tired of reflecting on modern science, evaluate Einstein's theory of relativity? Unfortunately Husserl never busied himself with Einstein aside from one brief comment on him. This comment is found in his Vienna lecture delivered in 1935. Contrary to the accepted view, Husserl indicates here without detailed explanation that Einstein revolutionizes nothing. Why? Does Husserl just envy Einstein's epochal achievement? Being motivated by the comment, this essay tries to find a phenomenological path to Einstein's theory in order to scrutinize the meaning of Einstein's theoryas implicated in Husserl's comment. Focussing on the relation between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and the curved space, this essay could make clear: tracing the process, in which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was developed, just chronically, we witness that the concept of curved space emerged later. But in terms of justification, the concept of curved space is the first presupposition, on which the theory is constructed. In addition to that,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made by the theory as is seen in the case of the observation of the star at the moment of total eclipse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calculation on the basis of Riemann's geometry. Consequently in order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n the universal validity granted to Einstein's theory in the process of its development from the special to the general, and to clarify the character of its validity in terms of its ultimate foundation as well as its practical accuracy, it is of tremendous importance to investigate the problem; how did Riemann's geometry reach the concept of curved space? It is just at this point where we could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Einstein's theory and Husserl's phenomenology, because Husserl has throughout his works intermittently spoken of non euclidean geom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