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의 도전·방해요인이 신체적 증상 및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이동환(Lee, Dong Hwan),장영철(Chang, Young Chul)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조직 구성원의 신체적 증상과 종업원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긍정정서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남녀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378개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긍정적 요인인 도전요인은 신체적 증상 중에서 수면장애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직무인게이지먼트를 유의하게 향상시켰지만, 조직인게이지먼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부정적 요인인 방해요인은 신체적 증상 중에서 수면장애, 두통, 소화기 증상 및 상기도 감염 모두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방해요인은 직무인게이지먼트와 조직인게이지먼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긍정정서는 도전요인이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과 도전요인이 직무인게이지먼트와 조직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관련 연구 분야에서 처음으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함으로써 직무스트레스의 긍정적 요인을 이론적으로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조직 차원에서 방해요인은 줄이고, 도전요인은 장려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의 신체적 증상을 줄이고, 직무 및 조직에 더 몰입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hallenge and hindrance factor from job stress on physical symptoms and employee engagement of each member of an organization. This study also verifies mediating role of positive affects during this process. For the study, 37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workers over the age of 20 living in Seou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hallenge factor which is a factor of job stress and considered positively reduces sleep disturbance among physical symptoms significantly. Challenge factor also improved job engagement significantly, but it didn’t affect organizational engagement. Whereas, hindrance factor which is considered negatively increased sleep disturbance, headache, gastrointestinal problem, and upper respiratory infection of physical symptoms. And it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Also, positive affects played its mediating role between challenge factor and its effects on sleep disturbance,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This study is the first domestic research to develop positive factors of job stress theoretically by separating job stress factors to challenge factors and hindrance. This study is also important, because it shows that the relevant institutions have to be supplemented to reduce hindrance and help workers to concentrate on their works by distinguishing challenge factors from hindrance and reducing physical symptoms.

      • KCI등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소진,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

        정현선 ( Hyun-seon Chung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1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단편적인 인과관계 검증을 넘어 COVID-19 발생 이후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미흡, 보상부적절, 조직문화), 직무소진,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둘째,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소진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는 데 있다. 다른 직업군에 비해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이직률은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객실승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된 바 있으나, COVID-19 발생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관점에 변화가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 직무불안정 요인을 포함하는 KOSS를 측정도구로 하여 COVID-19 발생으로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한 이직의도 증가라는 문제의식에 있어 직무소진을 매개변수로 함께 고려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직접적인 경감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상황을 가정한다면, 직무소진을 줄이는 방안이 이직의도를 줄이는 대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국내 항공사에서 현직으로 근무 중인 객실승무원 4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0.0과 AMOS 20.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조직체계 미흡을 제외한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보상부적절, 조직문화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조직체계 미흡을 제외한 직무요구, 직무자율성 결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보상부적절, 조직문화는 직무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소진은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이직의도 간에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factors (job demand, lack of job autonomy, relationship conflict,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inadequate compensation, organizational culture), job burnout, and job stress factors. The turnover rate of airline cabin crew is known to be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at of other occupational groups, so domestic research has been actively conducted on antecedent factors affecting cabin crew turnover intention, but there is a change in the perspective of research on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due to COVID-19. Therefore, in this study, changes in job stress factors perceived by cabin crew due to the occurrence of COVID-19 were examined using KOSS, which includes job instability factors as job stress factors. In addition, job burnout was considered as a parameter in the sense of increasing turnover intention due to job stress factors of cabin crew. Assuming that it is difficult to come up with direct mitigation measures for job stress factors, reducing job burnout can be an alternative to reducing job turnover intention.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cabin crew members currently working at domestic airlines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20, and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20.0 and AMOS 20.0.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of airline cabin crew, job demand, lack of job autonomy, relationship conflict, job insecurity, compensation inappropriate, and organizational culture, excluding the organizational system,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of airline cabin crew, it was empirically confirmed that job demands, lack of job autonomy, relationship conflict, job insecurity, compensation inappropriate, and organizational cult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burnou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job burnout of airline cabin crew had a direct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ourth, job burnout showed a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 factors and turnover intention.

      • 철도시설물 유지관리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성격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병오 한영신학대학교 출판부 2016 한영연구논문 Vol.8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철도시설물 유지관리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성격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대전, 부산지역의 철도공사에 근무하는 도시설물 유지관리 종사원 187명 이였으며, 직무스트레스, 성격요인, 직무만족을 측정도구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사원 경력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성격요인, 직무만족의 각 변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인 중 신체 및 물리적 요인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성격요인,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스트레스과 성격요인 간,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 모두 유의한 부적 상관이며, 성격요인과 직무만족간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성격요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기분석 결과, 성격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조직기반 자긍심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적 인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사원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정적 요인이 직무스트레스 보다는 긍정적 요인인 조직기반 자긍심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해석수준의 조절효과 -

        정현선 ( Hyun-seon Chung ),김형곤 ( Hyoung-gon Kim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2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0 No.2

        이 연구는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직무소진,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해석수준의 조절효과를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이직의도의 선행요인으로 객실승무 조직과 직무 관련 변수 또는 고객 관련 변수들을 중점적으로 고찰한 반면, 직업 안정성 차원에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는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팬데믹으로 객실승무원의 직업 안정성에 대한 불안감이 크게 높아진 상황을 고려하여,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직무불안정을 하부요인으로 포함하고 있는 KOSS를 측정 도구로 삼아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부터 이직의도 지각으로 이어지는 인과적 경로의 조절 방안으로서, 객실승무원의 해석수준의 차이에 따른 맞춤형 대응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항공사의 현직 객실승무원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으며,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에서 조직체계미흡을 제외한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보상부적절, 조직문화는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조직체계미흡을 제외한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보상부적절, 조직문화는 직무소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소진은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이직의도 간에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객실승무원이 상위해석수준일 때, 직무불안정 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를 더 강화하며, 하위해석수준일 때 직무자율성결여 요인에 의한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factors of cabin crew, job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nstrual level. Existing studies focused on cabin crew organization and job-related variables or customer-related variables as antecedents of turnover intention, but it is insufficient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in terms of job stability.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SS, which includes job insecurity as a sub-factor in job stress factors, as a measurement tool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job security of cabin crew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customized countermeasur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construal level of cabin crew as a control plan for the causal path from job stress factors of cabin crew to job turnover intention percep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400 cabin crew members currently working at domestic and foreign airlines, and the results of hypothesis verification are as follow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job demands, lack of job autonomy, relationship conflict, and job instability, etc. among the job stress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except for insufficient organizational system.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job demands, lack of job autonomy, relationship conflict, and job instability, etc. were variables that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burnout, except for insufficient organizational system among job stress factors. Third, job burnout of airline cabin crew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Fourth, it has been empirically proven that job burnout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tress factors and turnover intention.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tability factors and turnover intention was further strengthened when the airline cabin crew was at the upper construal level, and the effect of job stress caused by the lack of job autonomy factor on turnover intention was strengthened at the lower construal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strual Level Theory needs to be treated importantly in order to control the effect of job stress factors of airline cabin crew on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류상일,조종묵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12

        Most of previous studies on civil servants’ stress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have been focused on low job satisfaction caused by stress from role relations and human relations. In case of fire officers, however, their stress is expected to be influenced by their unique job characteristics such as risk, urgency, stand-by, and shift. Thus, this study divided fire officers’stress factors into job-related factors (risk, urgency, stand-by, alternation) and role-related factors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role overload), and empirically analyzed how these factors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e officers’ job characteristics and their roles in the organiz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job satisfaction. Particularly, among the job-related factors, urgency and stand-by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among role-related factors, role conflict and role overload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fire officers’ stress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job (fire fighting, rescue and first aid, fire administration, others), and according to their workplace (fire fighting headquarters, fire station, 119 safety center). 그동안 공무원의 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이 역할 관계와 인간 관계에 따른 스트레스 증가로 인한 직무만족의 저하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소방공무원의 경우, 직무상 위험성, 긴급성, 대기성, 교대성의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직무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가 다소 발생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요인을 직무특성(위험성, 긴급성, 대기성, 교대성)요인과 조직내역할(역할갈등, 역할모호, 역할과다)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소방공무원의 직무특성 요인과 조직내역할 요인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고, 구체적으로 직무특성 요인 중에서는 긴급성과 대기성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고, 조직내역할 요인 중에서는 역할 갈등과 역할 과다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업무형태(화재 진압, 구조 구급, 소방 행정, 기타)에 따라 스트레스 요인 및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근무기간(소방본부, 소방서, 119안전센터)에 따라서도 스트레스 요인 및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 도전적 ·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박민정(Min Jeong, Park),안성익(Seong Ik, Ahn)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본 연구의 목적은 도전적 ·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데 있다.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관계는 많이 연구되어왔지만 과거 연구에서 직무 스트레스를 주로 역할 갈등, 역할 모호성, 역할 과부하 등과 같은 조직 구성원의 역할에서 오는 스트레스로 연구되어왔는데 최근에는 직무 스트레스를 두 가지 차원(도전적, 방해적)으로 보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Cavanaugh et al ,2000). 국내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으로 한국에서의 도전적, 방해적 스트레스요인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도전적 · 방해적 스트레스요인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개인의 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요인을 받아들이는 정도의 차이가 있다는 기존 연구에 따라 개인이 자신, 타인, 주위의 환경에 대해 본인 스스로 내리는 평가인 핵심자기평가를 통해서 도전적 ·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소진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다고 보고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일반 사무직 직장인 29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를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도전적 스트레스 요인과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 모두 직무소진과 유의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핵심자기평가는 도전적 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소진의 관계는 조절하지 않지만 방해적 스트레스 요인과 직무소진의 관계는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직무스트레스의 도전・방해요인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동환(Dong-Hwan Lee),장영철(Young-Chul Chang) 피터드러커 소사이어티 2017 창조와 혁신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스트레스요인 중 직무성과에 긍정적 요인으로 알려진 도전요인과 부정적 요인으로 알려진 방해요인이 한국의 근로자들에게도 각각 상반되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종업원 인게 이지먼트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찰을 실시하였 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20세 이상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400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이 중 불성실한 답변의 설문지 22개를 제외한 378개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도전요인은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의 하위 변수인 직무몰입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방해요인은 직무몰입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조직몰입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직지원인식은 도전요인과 직무몰입의 영향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는 조직 지원인식이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국내에서도 직무스트레스의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에 서로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조직지원인식의 향상으로 도전요인이 직무몰입을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직무스트 레스의 긍정적 요인에 대한 연구로서 학술적 의미가 있다. 또한 기업들은 조직차원 에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도전요인과 방해요인으로 구분하여 방해요인은 낮추고 도전요인은 장려하며, 동시에 조직지원인식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종업원 인게이지먼트를 증가 시킬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mpacts of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on employee engage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t is to examine whether work stressor, challenge factor known as positive factor affecting on work performance and hindrance factor as negative factor, may contrastingly influence to Korean workers.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we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workers aged above 20 who reside in Seoul. Among the returns, 378 responses are used except 22 copies with unreliable responses. As a result, challenge factor positively influences on subfactors of employee engagement, job engagement and organizational engagement and hindrance factor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engagement but had a nega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engagement.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challenge factor and job engagement. However,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process of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influencing on organizational engag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finds that work stressor related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differently influence to domestic workers, and the growth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n greatly enhance job engagement through challenge factor. This study has academic importance as domestic research about positive factor of work stressor. Additionally, this study has a practical implication that companies may encourage employee engagement by classifying challenge factor and hindrance factor so as to encourage challenge factor and decrease hindrance factor as well as strategize to enhance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개인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강수흐 어용토야, 이정언 培材大學校 社會科學硏究所 2016 사회과학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몽골 기업 조직구성원들이 어느 정도 수준의 직무스트레스를 지각하고 있으며, 이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은 무엇이며, 직무스트레스가 개인의 성과 가운데 하나인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자료의 수집은 몽골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520명의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실증자료 분석 결과, 몽골 기업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심리적 스트레스에는 역할갈등, 역할모호성, 대인관계가 정(+)의 영향을 미쳤고, 신체적 스트레스에는 역할갈등, 역할과다, 대인관계가 정(+)의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몽골 기업 조직구성원은 대인관계와 역할갈등을 높게 지각할수록 직무스트레스도 높게 지각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심리적 스트레스와 신체적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몽골 기업 조직구성원은 직무스트레스를 높게 지각할수록 직무만족은 낮아진다는 결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심리적 스트레스의 경우 대인관계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였고, 신체적 스트레스의 경우는 역할모호성 및 대인관계와 직무만족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개인의 지각은 상이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기업구성원의 욕구와 가치관을 고려하여 직무에 배치하고, 직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과다한 업무, 모호성 등을 가능한 낮추는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조직구성원의 주관적 성향이 강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구성원의 개인적 특성을 잘 파악하여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셋째, 기업은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장기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책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The Mongolian firms are attempting to expand their own management system to be more competitive through being fortified innovation and efficiency. In the dynamic management environment, employees are naturally under stress due to their working load,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relationship with co-workers. The primary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employees’ job stress and its outcome in Mongolian firms. The proposed independent variables are job stressors which are role overload,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b stress(psychological stress, physical stress) is the mediating variable. Job satisfaction is included in the research model as a dependent variable. To verify the proposed hypotheses, a survey questionnaire is applied as the primary data collection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 is distributed to 578 employees in several Mongolian firms, however, 520 cases a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carried out in hypotheses test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ffect significantly of psychological stress, whereas role conflict and personal relationship have a meaningful impact on physical stress. Moreover,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es have the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respectively. It is also found that job stress mediates between job stressor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imply that firms and managers should make a substantial effort to reduce employee’s job stress in order to motivate people in firms and to enhance employee job satisfaction level.

      • 항공기 복합소재 부품제조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 분석

        박정주,이춘재,윤훈용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09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추계

        본 연구는 항공기 제작에 사용되는 복합 소재 부품 제조업에 종사하는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를 통해 복합소재 부품제조업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로인해 발생하는 스트레스 요인을 통제하고 관리함으로써 직무 만족을 유도하고 기업과 조직 구성원의 주요한 성과 지표라 할 수 있는 조직 유효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로는 2003년 산업안전공단과 산업안전 연구원에서 개발한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요인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는데, 여기에는 물리환경, 직무요구, 직무자율, 관계갈등,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등 8가지 요인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총 250명의 항공기 복합소재 부품 제조업 종사자들이 설문에 참여 하였으며, 그 중 204명에 대한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물리환경, 직무자율, 직무불안정, 조직체계, 보상부적절, 직장문화 등 6가지 요인에서 표준산업분류에 의한 전체 제조업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중 직무불안정과 조직체계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 중 51%가 비정규직 종사자들로 인해 고용에 대한 불안정 및 조직 내에서의 입지 및 조직으로의 편입이 힘든 결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항공기 복합소재 부품 제조업 종사자들의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업무 손실을 예방하고, 사업장 내에서 보다 정확한 스트레스 요인들을 제거하여야 하고, 다양한 연구, 분석을 통해 스트레스 해소 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직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작업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작업 능률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성격 5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근무기간을 조절효과로-

        유정화 ( Jung-hwa You ),김형곤 ( Hyoung-gon Kim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4 No.3

        개인이 지니고 있는 성격 특성은 여러 지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핵심 요인이라고 추론해 볼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객실승무원들의 성격5요인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성격5요인이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근무기간이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한항공 객실 승무원1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핵심적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객실 승무원의 성격 5요인 중 신경증과 개방성이 높아질수록 업무관련 스트레스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향성이 높은 승무원들은 조직구조 스트레스를 낮게 인식하는 경향이 있으나, 신경증이 높은 승무원들은 상대적으로 조직구조 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격5요인과 업무관련 스트레스 사이에서 근무기간은 친화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격5요인과 조직구조 스트레스 사이에서 근무기간은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성격5요인과 근무기간이라는 관점에서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있으며, 근무기간을 직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변수로서만 실증적 논의를 진행해 온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객실승무원의 성격5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이러한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로서 근무기간의 영향에 대해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기여 점과 시사점이 있다. It is reported that, of the implicit characteristics individuals have, personality traits affect several perceptions and behaviors, and especially, it can be inferred that it is a key factor that ma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job stress perceived by airline flight attendants. Generally, empirical studies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job stress perceived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but there are few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flight attendants’ personality and job stress. Thus, it is judged that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irline flight attendants’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job stress are important,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and reveal the impacts of five personality factors on the factors of job stress with airline flight attendants and how the service period can control their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89 Korean Air flight attendants, and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of the flight attendants’ five personality factors, the higher their neurosis and openness, the higher their task-related job stress became. Second, the flight attendants with high extroversion tended to perceive low organizational structure job stress, but those with high neurosis perceived relatively higher organizational structure job stress. Third, it was noted that the service period modulated friendliness between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task-related job stress.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period modulated extroversion, friendliness and sincerity between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job stress from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e factors affecting flight attendants’ job stress in terms of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service period, and this study has an important implication in that, unlike the preceding studies that only empirically discussed the service period as a precedent variable that might have a direct impact on job stress, it revealed the influence of the service period in the relationship of the impact of flight attendants’ five personality factors on job stress as a role in modulating the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